KR100956120B1 -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 Google Patents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6120B1 KR100956120B1 KR1020090136114A KR20090136114A KR100956120B1 KR 100956120 B1 KR100956120 B1 KR 100956120B1 KR 1020090136114 A KR1020090136114 A KR 1020090136114A KR 20090136114 A KR20090136114 A KR 20090136114A KR 100956120 B1 KR100956120 B1 KR 1009561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tank
- aeration
- liquefaction
- livestock waste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가 개시된다. 축산폐수에 응집제를 혼합시켜 혼합수를 생성하는 응집제 혼합조와, 혼합수를 응집반응에 의해 응집처리수 및 응집처리수 상측으로 떠오르는 부상 플록으로 분리하고 응집처리수 및 부상 플록을 배출하는 응집조와, 응집처리수를 폭기시켜 폭기처리수를 생성하는 폭기조와, 폭기처리수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침전시켜 침전처리수를 생성하는 침전조와, 침전처리수를 정화하는 정화처리부를 포함하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를 제공함으로써, 축산분뇨를 액비로 활용하거나 정화하여 방류할 수 있는 양을 조절할 수 있고, 방류수의 정화 정도를 향상시켜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며, 축산분뇨의 처리과정에서 응집조의 잔여물을 최소화 하여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축산폐수, 축산분뇨, 액비, 정화
Description
본 발명은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에 관한 것이다.
축산폐수는 질소 및 인과 같은 영양염류가 다량 포함된 고농도의 유기성 폐수이다. 따라서, 축산폐수가 미처리된 상태로 하천이나 해양으로 유입되면 상술한 영양염류에 의한 부영양화 등의 원인에 의해 장기적으로는 수계에 심각한 오염을 초래하게 된다.
정부는 1992년에 가입하여 1994년부터 가입국으로 효력이 발생한 '폐기물 및 기타 물질의 투기에 의한 해양오염 방지에 관한 협약(런던협약, 1972.11.03. 체결)'에 따라 수년 전부터 축산폐수의 해양투기량을 감축해오면서 축산폐수의 자가 또는 공동처리를 의무화하였고, 2012년부터는 축산폐수의 해양투기를 전면 금지할 예정이다.
대신 정부는 축산폐수의 퇴비화 및 액비화를 통한 재활용 정책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축산폐수를 처리하는 공동처리시설의 운영 및 관리가 미흡하고, 공동처리시설의 확대설치 또한 설치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축산분뇨를 포함한 전체 비료 공급량이 토양의 양분수요를 초과하는 지역에서는 비료 공급의 축소가 불가피한 실정이므로, 축산분뇨를 재활용 할 수 있는 동시에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축산분뇨가 포함된 축산폐수를 정화하여 방류할 수 있는 설비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축산분뇨를 효과적으로 액비화 및 정화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축산폐수를 액비로 활용하거나 정화하여 방류할 수 있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축산폐수에 응집제를 혼합시켜 혼합수를 생성하는 응집제 혼합조와, 혼합수를 응집반응에 의해 응집처리수 및 응집처리수 상측으로 떠오르는 부상 플록으로 분리하고 응집처리수 및 부상 플록을 배출하는 응집조와, 응집처리수를 폭기시켜 폭기처리수를 생성하는 폭기조와, 폭기처리수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침전시켜 침전처리수를 생성하는 침전조와, 침전처리수를 정화하는 정화처리부를 포함하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가 제공된다.
응집제 혼합조는, 축산폐수가 상단부로 유입되는 혼합관과, 혼합관의 일측에 연결되고 혼합관 내로 응집제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미리 정해진 양만큼 투입하 는 정량 투입기와, 응집제 혼합관의 타측에 연결되고 혼합관으로부터 유입되는 혼합수를 일시 저장하는 완충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혼합관은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는, 응집제 혼합조 내의 혼합수를 응집조 내에 고압으로 유입시키는 고압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집조는, 하단부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배출구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호퍼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응집조 본체와, 응집조 본체의 내측면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된 혼합수 공급관과, 응집조 본체 상부에 연결되고 공기를 공급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혼합수는 응집조 본체 내에 와류를 형성하며 유입되며, 부상 플록은 응집처리수 배출 후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응집조 본체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어 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혼합수 공급관은 상기 응집조 본체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응집조는, 응집조 내로 유입되는 혼합수의 양을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폭기조는, 폭기조 본체와, 폭기조 본체 내부를 복수의 폭기구역으로 구획하고 상측에 통공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격벽과, 폭기구역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공기를 분출하는 복수의 급기노즐을 각각 구비한 복수의 분기관과, 분기관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를 포함하고, 통공은 복수의 폭기구역의 바닥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어 응집처리수가 복수의 폭기구역을 순차적으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폭기구역 중 응집처리수가 가장 먼저 유입되는 것은 나머지보다 2배 이상의 체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급기노즐은 폭기구역의 하방향을 향하여 공기를 분출할 수 있다. 그리고, 급기부는 분기관에 설치된 복수의 밸브를 포함하고, 복수의 폭기구역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은 분기관에 설치된 복수의 밸브의 개폐에 의해 각각 조절될 수 있다.
폭기조는, 복수의 폭기구역 중 응집처리수가 가장 나중에 유입되는 것으로부터 가장 먼저 유입되는 것으로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슬러지 이송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화처리부는, 침전처리수를 걸러 1차 정화처리수를 생성하는 샌드 여과장치와, 1차 정화처리수를 걸러 2차 정화처리수를 생성하는 복수의 활성탄 여과장치를 포함하고, 복수의 활성탄 여과장치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하나씩 순차적으로 역세척 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정화처리부는, 1차 정화처리수의 물 클러스터의 크기를 감소시켜 활성탄 여과장치로 유입시키는 세라믹 볼 여과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침전조는, 폭기처리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침전조 본체와, 침전조 본체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고 통공이 형성된 격벽과, 통공에 설치된 상향관을 포함하고, 격벽의 하부에는 슬러지가 침전되며 슬러지가 분리되어 생성되는 침전처리수는 통공을 통하여 침전조 본체 외부로 유동될 수 있다. 여기서, 침전조는, 상향관의 상단부에 구비된 필터를 더 포함하고, 침전처리수는 필터를 통과하여 침전조 외부로 유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산분뇨를 액비로 활용하거나 정화하여 방류할 수 있는 양을 조절할 수 있고, 방류수의 정화 정도를 향상시켜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며, 축산분뇨의 처리과정에서 응집조의 잔여물을 최소화 하여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의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1)에는 응집제 혼합조(5), 응집조(6), 폭기조(11), 침전조(12) 및 정화처리부가 포함되고, 정화처리부에는 샌드 여과장치(14), 세라믹 볼 여과장치(15) 및 활성탄 여과장치(16, 17)가 포함된다.
가축을 기르는 축사에서 배출되는 축산폐수는 원수 저장조(2)로 유입되어 일시 저장된다. 축산폐수인 원수에는 다량의 축산분뇨 외에도 가축의 털, 사료 찌꺼기, 볏짚 등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축산폐수에는 돌이나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원수 저장조(2)에는 철망 등으로 제작된 스크린(도시되지 않음)과 같이 축산분뇨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축사로부터 원수 저장조(2)로 유입된 축산폐수는 유량 조절조(3)로 유입된다. 유량 조절조(3)에는 후술할 정화처리수 저장조(18)로부터 정화처리수가 유입될 수 있다. 정화처리수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1)에 의해 정화처리 되어 하수로 방류될 수 있을 정도의 중수(中水)로서, 원수 저장조(2) 내의 축산폐수의 오염농도 및 점도를 감소시켜 이후의 처리 단계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1)의 정화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1)의 전반적인 작동 속도를 고르게 유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량 조절조(3)에 의해 점도 및 유량이 조절된 축산폐수는 pH 조절조(4)로 유입된다. pH 조절조(4)에는 pH 측정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축산폐수의 pH를 측정한다. pH 측정 결과, 축산폐수의 pH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pH를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을 투입하는 등의 방법으로 축산폐수의 pH가 중성에 가깝게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축산폐수의 pH를 조절하는 이유는, 후술할 응집제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축산폐수의 pH를 조절하는 방법은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pH 조절조(4)에서 pH가 조절된 축산폐수는 응집제 혼합조(5)로 유입된다. 응집제 혼합조(5)는 축산폐수에 응집제를 혼합시켜 혼합수를 생성한다. 응집제 혼합조(5)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의 응집제 혼합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응집제 혼합조(5)는 정량 투입기(52), 혼합관(54) 및 완충용기(55)를 포함한다.
혼합관(54)은 pH 조절조(도 1의 4)로부터 유입되는 축산폐수에 응집제를 혼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pH 조절조(도 1의 4)로부터 유입되는 축산폐수는 혼합관(54)의 일측으로 유입되고, 혼합관(54)의 일측에는 응집제 투입관(53)이 연결된다.
응집제 투입관(53)의 상단부에는 응집제 투입구(51)가 형성되고, 응집제 투입구(51)의 하측에는 정량 투입기(52)가 설치된다. 정량 투입기(52)는 응집제 투입구(51)로 투입되는 응집제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미리 정해진 양만큼만 통과시킴으로써, 축산폐수에 일정한 양의 응집제가 혼합되도록 한다. 정량 투입기(52)가 통과시키는 응집제의 양은 필요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으며, 정량 투입기(52)는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혼합관(54)은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즉, 혼합관(54)은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 의 경사각(θ)을 갖도록 설치하여, 혼합관(54)으로 유입된 축산폐수가 중력에 의해 원활히 유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응집제 투입관(53)을 통하여 유입되는 응집제가 축산폐수에 잘 혼합되도록 한다. 혼합관(54)이 상술한 바와 같은 수평면에 대하여 갖는 소정의 경사각(θ)은 45도 정도로 할 수 있다.
이때, 혼합관(54)은 축산폐수가 유입되는 일측의 높이가 타측의 높이보다 높도록 설치하여 축산폐수와 응집제의 혼합수가 혼합관(54)의 타측으로 원활히 유동되도록 해야 한다.
혼합관(54)의 타측에는 완충용기(55)의 하측이 연결된다. 완충용기(55)는 혼합관(54)으로부터 유입되는 혼합수를 일시 저장하여, 이후의 처리단계로 혼합수가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완충용기(55)에 일시 저장된 혼합수는 응집조(도 1의 6)로 유입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집제 혼합조(5), 즉 완충용기(55)에 일시 저장된 혼합수는 고압펌프(P1)에 의해 응집조(6) 내로 고압으로 유입된다. 응집조(6)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의 응집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Ⅳ-Ⅳ 직선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및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응집조(6)는 응집조 본체(61), 배출관(63) 및 가압부를 포함하고, 가압부는 가압관(67), 밸브(68) 및 급기수단(도 1의 7)을 포함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급기수단(7)은 송풍기 또는 압축기 등을 구비 하여, 가압관(67)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한다. 급기수단(7)의 작동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원통형의 응집조 본체(61)의 하측에는 하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호퍼부(62)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배출구에는 배출관(63)이 연결되고, 배출관(63)에는 배출관(63)을 개폐하는 밸브(64)가 설치된다. 응집조 본체(61)의 내측면에는 접선방향으로 혼합수 공급관(65)이 연결되고, 혼합수 공급관(65)에는 혼합수 공급관(65)을 개폐하는 밸브(66)가 설치된다. 응집조 본체(61)의 내부 상측에는 수위센서(69)가 설치되고, 수위센서(69)는 응집조 본체(66) 내의 혼합수(Wm)의 양을 감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압펌프(P1)에 의해 혼합수 공급관(65)을 통하여 응집조 본체(61) 내에 고압으로 유입되는 혼합수(Wm)는, 혼합수 공급관(65)이 응집조 본체(61)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응집조 본체(61) 내에서 와류를 형성하며 유입된다. 이와 같이, 혼합수(Wm)가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축산폐수와 응집제의 혼합도가 더 상승되고, 이에 따라 응집제의 응집효과가 향상된다.
그리고, 고압펌프(P1)의 압력에 의해 혼합수(Wm)에 와류를 형성시키게 함으로써, 응집조(6)에 별도의 교반장치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수위센서(69)에 의해 응집조 본체(61) 내로 유입된 혼합수(Wm)의 양이 미리 정해진 양에 도달되었음이 감지되면, 밸브(66)를 작동시켜 혼합수(Wm)가 더 이상 유입되지 않도록 혼합수 공급관(65)을 차단한다. 이때, 가압관(67)에 설치된 밸 브(68) 및 배출관(63)에 설치된 밸브(64)는 차단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응집조 본체(61) 내로 유입된 혼합수(Wm)는 응집반응에 의해 부상 플록(floc) 및 응집처리수로 분리된다. 여기서, 플록은 축산폐수에 포함되어 있던 현탁물질이나 유기물, 미생물 등의 미립자가 응집제에 의해 응집된 덩어리를 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1)에 사용되는 응집제는 이러한 플록이 응집처리수 표면으로 떠오르게 하는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유기성 고형물 및 난분해성 고형물이 물보다 비중이 작은 플록을 형성하여 응집처리수의 표면으로 떠오르는 부상 플록이 형성된다.
이러한 응집반응은 혼합수(Wm)의 공급을 차단한 후 3 내지 4분이 경과되면 완료되며, 이러한 응집반응의 소요시간은 기온, 응집제의 성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참고로, 실험 결과에 의하면 응집반응에 의해 부상 플록의 형성이 완료된 후 응집처리수의 부유물질(SS: Suspended Solid)은 축산폐수에 비하여 약 95%가 감소되었다. 그리고, 응집처리수의 총질소(T-N) 는 약 60%, 총인(T-P)은 약 80%가 감소되었으며,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은 약 55%,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은 약 40%가 낮아졌다.
응집반응이 완료되면, 밸브(64)를 개방하여 배출관(63)으로 응집처리수 및 부상 플록을 배출시킨다. 이때, 응집처리수는 배출관(63)을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되나, 부상 플록은 응집조 본체(61) 내에 잔류할 수 있다.
따라서, 응집처리수 및 부상 플록을 배출할 때 가압부에 의해 응집조 본체(61) 내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즉, 응집처리수 및 부상 플록을 배출하기 시작할 때 가압관(67)에 설치된 밸브(68)를 개방하여 급기수단(7)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응집조 본체(61) 내로 유입되도록 하여, 응집조 본체(61) 내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다소 상승시킨다. 이 압력에 의해 부상 플록은 호퍼부(62)로 집결되었다가 배출관(63)을 향하여 용이하게 배출된다.
참고로, 응집반응에는 소정의 시간이 소요되며, 이 시간 동안에는 응집조 본체(61)로 혼합수(Wm)가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응집반응을 시켜야 할 혼합수(Wm)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에 응집조를 복수로 설치하고, 고압펌프(P1)와 복수의 응집조 사이에 전환밸브를 설치하여 하나의 응집조에서 응집반응이 일어나는 동안 나머지 응집조로 혼합수를 계속 유입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응집처리수 및 부상 플록은 배출관(63)을 통하여 고액 분리기(도 1의 8)로 이송된다.
여기서, 고액 분리기(8)는 응집조(6)로부터 이송된 응집처리수 및 부상 플록을 액체상태 및 고체상태에 따라 분리하는 것으로, 벨트 프레스(belt press)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트 프레스는 액체는 통과시키고 고체는 걸러내는 필터로 제조된 컨베이어 벨트 상에 응집처리수 및 부상 플록이 이송되도록 하여, 응집처리수를 우선 통과시키고, 벨트 상에 남아있는 부상 플록은 상하 2매의 벨트 사이에 넣고 압착시켜 부상 플록에 잔류하는 응집처리수를 분리하는 장치이다. 고액 분리기(8)로는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고액 분리기(8)는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액 분리기(8)에 의해 걸러진 부상 플록은 퇴비장(9)으로 이송되어 퇴비로 활용되고, 부상 플록과 분리된 응집처리수는 응집처리수 저장조(도 1의 10)에 일시 저장된다. 이때, 응집처리수에는 고액 분리기(8)에 의해 분리되지 않은 소량의 미세 부유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응집처리수 저장조(10)에 저장된 응집처리수는 폭기조(도 1의 11)로 유입되어 폭기된 후 침전조(도 1의 12)로 유동된다. 폭기조(11)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의 폭기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에 A로 표시한 부분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의 폭기조(11)는 폭기조 본체(111), 복수의 격벽(114, 115, 116, 117) 및 급기부를 포함하고, 급기부는 송풍수단(B) 및 급기관(Bp)을 포함한다.
폭기조(111) 본체는 복수의 격벽(114, 115, 116, 117)에 의해 복수의 폭기구역(Ⅰ 내지 Ⅴ)으로 구획되며, 복수의 격벽(114, 115, 116, 117)에는 통공(114a, 115a, 116a, 117a)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응집처리수 저장조(10)로부터 응집처리수가 가장 먼저 유입되는 폭기구역(I)을 구획하는 격벽(114)에 형성된 통공(114a)은 폭기조 본체(111)의 바닥면으로부터 가장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나머지 격벽(115, 116, 117)에 형성 된 통공(115a, 116a, 117a)은 점차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응집처리수는 가장 먼저 유입되는 폭기구역(Ⅰ)을 모두 채운 후에는 격벽(114)에 형성된 통공(114a)을 통하여 인접한 폭기구역(Ⅱ)으로 유동하게 된다. 응집처리수가 이 폭기구역(Ⅱ)을 모두 채운 후에는 통공(115a)을 통하여 그 다음으로 인접한 폭기구역(Ⅲ)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폭기조(11)는 폭기조 본체(111)의 바닥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된 통공(114a, 115a, 116a, 117a)을 통하여 응집처리수가 복수의 폭기구역(Ⅰ 내지 Ⅴ)을 순차적으로 유동하며 폭기되도록 하여 폭기처리수를 생성하게 된다.
폭기조 본체(111)의 하측에는 급기부가 설치된다. 즉, 일단부에 블로어(blower)와 같은 송풍수단(B)이 연결된 급기관(Bp)이 폭기조 본체(111) 내부의 격벽(114, 115, 116, 117)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급기관(Bp)에는 복수의 분기관(112)이 연결된다. 이때, 분기관(112)은 복수의 격벽(114, 115, 116, 117)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폭기구역(Ⅰ 내지 Ⅴ)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며, 분기관(112)에는 공기를 분출하는 복수의 급기노즐(113)이 각각 구비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분기관(12)에 구비된 복수의 급기노즐(113)은 폭기구역(Ⅰ 내지 Ⅴ)의 하방향을 향하여 공기를 분출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급기노즐(113)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는 급기노즐(113)의 주변으로 분산되며 분출되므로, 응집처리수와 공기의 접촉면적이 최대화되어 폭기효율이 향상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응집처리수 저장조(10)로부터 유입된 응집처리수는 폭기조(11)에 형성된 다수의 폭기구역(Ⅰ 내지 Ⅴ)을 순차적으로 거치며 폭기된다. 이 과정에서 응집처리수에 포함된 총질소, 총인이 감소되며, 화학적 산소요구량 및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또한 감소된다.
이때, 응집처리수의 총질소 및 총인의 감소량은 응집처리수가 폭기되는 시간 및 송풍수단(B)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응집처리수를 액비로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적절한 양의 총질소 및 총인이 잔류하도록 폭기처리수를 생성하고, 응집처리수를 정화하여 방류하고자 할 때에는 총질소, 총인, 화학적 산소요구량 및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이 최소화 되도록 폭기처리수를 생성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폭기조(11)에 형성된 복수의 폭기구역(Ⅰ 내지 Ⅴ) 중 응집처리수 저장조(10)로부터 가장 먼저 응집처리수가 유입되는 폭기구역(Ⅰ)은 나머지 폭기구역(Ⅱ 내지 Ⅴ)보다 2배 이상의 체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급기관(Bp)에는 복수의 밸브가 설치되어, 복수의 폭기구역(Ⅰ 내지 Ⅴ)마다 급기관(Bp)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량, 즉 응집처리수가 폭기되는 정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폭기구역(Ⅰ 내지 Ⅴ) 중 응집처리수가 가장 나중에 유입되는 폭기구역(Ⅴ)은 급기관(Bp)에 설치된 밸브(도시되지 않음)를 조절하여, 미량의 공기만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마지막 폭기구역(Ⅴ)에서는 약한 대류현상이 발생된다.
이 슬러지(sludge)는 활성오니(activated sludge)로서, 응집처리수에 포함된 호기성미생물이 번식되어 형성되는 호상(糊狀)의 물질이다. 이 활성오니에 의해 응 집처리수에 포함된 유기물이 분해되어 제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응집처리수는 복수의 폭기구역(Ⅰ 내지 Ⅴ)을 순차적으로 거치며 폭기된다. 따라서, 응집처리수는 복수의 폭기구역(Ⅰ 내지 Ⅴ)을 거치는 동안 활성오니에 의해 유기물이 감소된다.
폭기조(11)에서 응집처리수 내의 유기물 감소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폭기구역(Ⅰ 내지 Ⅴ) 중 응집처리수가 가장 먼저 유입되는 폭기구역(Ⅰ) 및 응집처리수가 가장 나중에 유입되는 폭기구역(Ⅴ) 사이에 리턴라인(118)을 설치한다.
리턴라인(118)에는 밸브(119) 및 리턴펌프(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폭기구역(Ⅴ)으로 유입된 폭기 중인 응집처리수를 다시 폭기구역(Ⅰ)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턴라인(118)을 이용하여 응집처리수가 폭기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폭기되는 시간이 증가될수록 폭기 중인 응집처리수에 포함된 유기물(탄소)의 양이 감소되므로, 리턴라인(118)에 설치된 밸브(119) 및 리턴펌프(도시되지 않음)의 작동을 조절하면 폭기조(11)에서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폭기처리수 내의 유기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폭기조(11)로 유입되는 응집처리수의 양은 축산폐수의 발생량, 즉 축사에서 사육하는 가축의 규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축산폐수는 대부분 주간에 발생되며 야간에는 가축이 수면을 취하므로 새로 발생하는 축산폐수의 양이 매우 적다. 따라서, 응집처리수는 거의 주간에 폭기조(11)로 유입되며, 야간에 유입되는 양은 없거나 매우 적다.
이와 같이, 응집처리수의 발생량이 일과성을 갖게 되므로, 응집처리수가 지속적으로 폭기조(11)에 공급되는 동안에는 복수의 폭기구역(Ⅰ 내지 Ⅴ)에 공급된 응집처리수를 상술한 바와 같이 폭기하고, 응집처리수가 폭기조(11)에 공급되지 않는 동안에는 급기관(Bp)에 설치된 밸브(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복수의 폭기구역(Ⅰ 내지 Ⅴ) 중 일부분, 예를 들어 중간부의 폭기구역(Ⅱ 내지 Ⅳ)에서는 폭기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폭기조(11)의 일부분에서는 응집처리수가 폭기되도록 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폭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응집처리수에 포함된 혐기성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가 일어나게 할 수 있다.
참고로, 복수의 폭기구역(Ⅰ 내지 Ⅴ) 중 폭기하는 곳에서는 질산화, 탄소산화, 인 축적 등이 일어나고, 폭기하지 않는 곳에서는 탈질, 인 방출, 유기물 축적 등이 일어난다. 여기서, 인 방출은 잉여슬러지에 인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 잉여슬러지를 침전시킨 후 제거하면 총인이 감소된다. 잉여슬러지의 제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의 폭기조(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응집처리수가 유입되는 시간 및 유입되지 않는 시간을 구분하고, 복수의 폭기구역(Ⅰ 내지 Ⅴ)을 폭기 또는 폭기하지 않는 구역으로 구분하여 작동시킴으로써, 폭기처리수에 포함된 유기물, 총질소 및 총인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리턴라인(118)을 이용하여 폭기되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폭 기처리수에 포함된 유기물, 총질소 및 총인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침전조(12)에서 폭기처리수로부터 생성되는 침전처리수를 액비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리턴라인(118)을 이용하여 마지막 폭기구역(Ⅴ) 내의 폭기처리수를 첫 번째 폭기구역(Ⅰ)으로 이송하지 않거나 적은 양만 이송되도록 하여, 유기물, 총질소 및 총인을 잔류시킬 수 있다. 반대로, 폭기처리수를 정화하여 방류하고자 할 경우에는 리턴라인(118)을 통하여 폭기처리수를 다량 또는 지속적으로 이송되도록 하여 폭기처리수에 포함된 유기물, 총질소 및 총인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의 침전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침전조(12)에는 침전조 본체(121), 격벽(124), 상향관(125) 및 침전물 탱크(128)가 포함된다.
침전조 본체(121)에는 유입관(122)이 설치된다. 유입관(122)은 폭기조(11)에서 생성된 폭기처리수가 침전조 본체(121) 내측 하부로 유입되도록 설치된다. 유입관(122)의 단부에는 비산방지수단(123)이 설치되어, 유입관(122)으로부터 배출되는 폭기처리수에 의해 침전조 본체(121)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가 비산되지 않도록 한다.
침전조 본체(121) 내부는 격벽(124)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다. 격벽(124)에는 통공이 형성되는데, 이 통공에는 상향관(125)이 설치된다. 상향관(125)의 상단부 둘레에는 필터(125a)가 설치된다. 침전조 본체(121)의 외주면 중 격벽(124) 상측의 가장 낮은 위치에는 도관(126)이 연결된다.
따라서, 유입관(122)을 통하여 침전조 본체(121) 내로 유입된 폭기처리수에 포함된 슬러지는 침전조의 하부로 침전된다. 여기서, 폭기처리수가 유입관(122)으로 유입되는 속도를 최소화하여, 침전조 본체(121) 내에서 폭기처리수가 최소한만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슬러지가 비산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침전조 본체(121) 하부에서는 폭기처리수로부터 슬러지가 분리되어 침전처리수가 생성된다.
침전조 본체(121)로 폭기처리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면, 침전처리수의 수위가 침전조 본체(121) 상방향으로 점차 높아진다. 침전처리수의 수위가 상향관(125)의 상단부를 넘어서게 되면, 침전처리수는 필터(125a)를 통과하여 격벽(124) 상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격벽(124) 상측으로 유동된 침전처리수는 도관(126)을 통하여 침전처리수 저장조(13)로 유입되어 일시 저장된다. 여기서, 필터(125a)는 침전처리수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미량의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침전조 본체(121)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는, 침전조 본체 하단부에 설치된 밸브(127)를 간헐적으로 개방하여 침전물 탱크(128)로 유동되도록 한다. 침전물 탱크(128) 내로 유입된 슬러지는 퇴비장(9)으로 이송되어, 상술한 부상 플록과 함께 퇴비로 활용될 수 있다. 침전물 탱크(128) 내에는 경사패널(129)을 설치하여, 슬러지가 침전물 탱크(128)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침전처리수 저장조(13)에 저장된 침전처리수는 액비로 활용되거나 정화하여 하천 등으로 방류될 수 있다. 침전처리수를 액비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침전처리수를 경작지로 이동시킨 후 도시되지 않은 액비살포장치를 이 용하여 분사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침전처리수를 정화하여 방류하고자 할 경우에는 침전처리수를 정화처리부로 유입시켜 방류 전에 정화처리 되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정화처리부는 샌드 여과장치(14), 세라믹 볼 여과장치(15) 및 활성탄 여과장치(16, 17)를 포함한다.
샌드 여과장치(14)는 침전처리수가 내부에 모래 또는 무기물 입자로 형성된 필터층을 투과하도록 하여, 침전처리수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샌드 여과장치(14)는 침전처리수를 걸러 1차 정화처리수를 생성한다.
1차 정화처리수는 세라믹 볼 여과장치(15)로 유입된다. 세라믹 볼 여과장치(15)는 1차 정화처리수의 물 클러스터(cluster)의 크기를 감소시켜 후술할 활성탄 여과장치(16, 17)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세라믹 볼 여과장치(15) 내에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다수의 세라믹 볼(도시되지 않음)을 내장되어, 1차 정화처리수가 다수의 세라믹 볼 사이를 통과하면서 세라믹 볼이 방사하는 원적외선을 조사받게 된다.
1차 정화처리수가 활성탄 여과장치(16, 17)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물 클러스터의 크기가 작을수록 활성탄 필터(도 7의 162 참조)를 용이하게 통과하므로, 활성탄 여과장치(16, 17)에 의한 여과효율이 증가된다. 여기서, 물 클러스터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장치는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이에 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참고로, 정화처리부에 포함된 샌드 여과장치(14) 및 활성탄 여과장치(16, 17)는 침전처리수를 미세한 다공성 물질을 통과시켜 정화하는 방식이므로, 정화처 리부에는 침전처리수를 강한 압력으로 공급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침전처리수 저장조(13)에 저장된 침전처리수를 정화하여 방류하고자 할 경우에는, 침전처리수가 고압펌프(P2)에 의해 정화처리부에 고압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활성탄 여과장치(16, 17)에 관하여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의 활성탄 여과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활성탄 여과장치(16)에는 여과장치 본체(161), 활성탄 필터(162), 도관(163, 164), 전환밸브(165) 및 스트레이너(166)가 포함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1)에는 두 개의 활성탄 여과장치(16, 17)가 구비되나, 두 활성탄 여과장치(16, 17)의 구조 및 작동은 동일하므로 하나의 활성탄 여과장치(16)의 구조 및 작동을 대표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머지 활성탄 여과장치(17)에 대한 설명을 갈음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라믹 볼 여과장치(15)로부터 유입되는 1차 정화처리수는 전환밸브(165)에 의해 도관(163)으로 유입된다. 도관(163)은 여과장치 본체(161)의 상측에 연결되어, 도관(163)으로 유입된 1차 정화처리수는 활성탄 필터(162)를 통과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1차 정화처리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활성탄 필터(162)에 걸러지게 되고, 걸러진 이물질은 다공성 물질인 활성탄 필터(162) 내에 잔류하게 된다.
1차 정화처리수는 활성탄 필터(162)에 의해 걸러져 2차 정화처리수가 되는 데, 2차 정화처리수는 여과장치 본체(161)의 하측에 배치된 복수의 스트레이너(166)로 유입되고, 스트레이너(166)가 연결된 도관(164)을 통하여 여과장치 본체(161) 외부로 유출된다. 도관(164)을 통하여 유출되는 2차 정화처리수를 정화처리수 저장조(도 1의 18)로 유동시킨다.
정화처리수 저장조(도 1의 18)로 유입된 2차 정화처리수는 하천 등에 방류할 수 있는 중수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유량 조절조(3)로 유입시키거나 세라믹 볼 여과장치(15)로 유입시켜 여과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천 등에 방류할 수 있다.
그런데, 활성탄 여과장치(16)를 이용하여 1차 정화처리수를 장시간 정화처리하는 경우, 다공성 물질인 활성탄 필터(162)의 미세한 통공들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된다. 이럴 경우 활성탄 필터(162)의 여과효율이 저하되므로, 미세한 통공을 막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활성탄 필터(162)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역세척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활성탄 여과장치(16)의 전환밸브(165)의 방향이 전환되어, 정화처리수 저장조(도 1의 18)로부터 유입되는 2차 정화처리수가 스트레이너(166)와 연결된 도관(164)로 유입된다. 도관(164) 및 스트레이너(166)를 통하여 여과장치 본체(161) 하측 내로 유입된 2차 정화처리수는 활성탄 필터(162)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때, 활성탄 필터(162)의 미세한 통공들에 잔류하고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2차 정화처리수가 역세척 펌프(도 1의 Pw)에 의해 도 관(164)에 고압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즉, 2차 정화처리수가 스트레이너(166)로부터 분사되어 활성탄 필터(162)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고압으로 유동하게 함으로써, 활성탄 필터(162) 내에 잔류하고 있던 이물질들이 이탈되도록 한다. 활성탄 필터(162)로부터 이탈된 이물질들은 도관(163)을 통하여 여과장치 본체(161) 외부로 유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역세척이 완료되면, 활성탄 필터(162)의 미세한 통공을 막고 있던 이물질이 제거되므로, 활성탄 여과장치(16)의 여과효율이 회복된다. 즉, 활성탄 여과장치(16)를 이용하여 1차 정화처리수의 여과를 소정 시간 행한 후에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역세척을 함으로써,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1)에 구비된 활성탄 여과장치(16, 17)의 여과효율을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도관(163)을 통하여 여과장치 본체(161) 외부로 유출되는 역세척수는 전환밸브(165)에 의해 역세척수 저장조(19)로 이송되어 일시 저장된다.
역세척수 저장조(19)에 일시 저장된 역세척수에는 미량의 미세입자가 포함되어 있으나, 총질소, 총인 및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1차 정화처리수와 유사한 수준이다. 따라서, 침전처리수를 정화하여 방류하고자 할 경우에는 역세척수 저장소에 저장된 역세척수를 폭기조(11)로 유입시켜, 폭기효율 및 침전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탄 여과 장치(16)에는 두 개의 활성탄 여과장치(16, 17)가 구비된다. 이는 두 개의 활성탄 여과장치(16, 17)를 번갈아서 역세척 함으로써, 1차 정화처리수를 걸러 2차 정화처리수를 생성하는 과정을 중단 없이 행할 수 있으면서도 활성탄 여과장치(16, 17)의 여과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의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의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의 응집제 혼합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의 응집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 직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의 폭기조 및 침전조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A로 표시한 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의 침전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의 활성탄 필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응집제 혼합조 6: 응집조
11: 폭기조 12: 침전조
14: 샌드 여과장치 15: 세라믹 볼 여과장치
16, 17: 활성탄 여과장치 P1, P2: 고압펌프
Claims (16)
- 축산폐수에 응집제를 혼합시켜 혼합수를 생성하는 응집제 혼합조;상기 혼합수를 응집반응에 의해 응집처리수 및 상기 응집처리수 상측으로 떠오르는 부상 플록으로 분리하고, 상기 응집처리수 및 상기 부상 플록을 배출하는 응집조;상기 응집처리수를 폭기시켜 폭기처리수를 생성하는 폭기조;상기 폭기처리수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침전시켜 침전처리수를 생성하는 침전조; 및상기 침전처리수를 정화하는 정화처리부를 포함하고,상기 응집제 혼합조는,상기 축산폐수가 상단부로 유입되는 혼합관;상기 혼합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혼합관 내로 상기 응집제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미리 정해진 양만큼 투입하는 정량 투입기; 및상기 혼합관의 타측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혼합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혼합수를 일시 저장하는 완충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혼합관은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응집제 혼합조 내의 상기 혼합수를 상기 응집조 내에 고압으로 유입시키는 고압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응집조는,하단부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호퍼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응집조 본체;상기 응집조 본체의 내측면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된 혼합수 공급관; 및상기 응집조 본체 상부에 연결되고, 공기를 공급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상기 혼합수는 상기 응집조 본체 내에 와류를 형성하며 유입되며,상기 부상 플록은 상기 응집처리수 배출 후 상기 공기에 의해 상기 응집조 본체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 제5항에 있어서,상기 혼합수 공급관은 상기 응집조 본체의 상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응집조는,상기 응집조 내로 유입되는 상기 혼합수의 양을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폭기조는,폭기조 본체;상기 폭기조 본체 내부를 복수의 폭기구역으로 구획하고, 상측에 통공이 각 각 형성된 복수의 격벽;상기 폭기구역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공기를 분출하는 복수의 급기노즐을 각각 구비한 복수의 분기관; 및상기 분기관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를 포함하고,상기 통공은 상기 복수의 폭기구역의 바닥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응집처리수가 상기 복수의 폭기구역을 순차적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 제8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폭기구역 중 상기 응집처리수가 가장 먼저 유입되는 것은 나머지보다 2배 이상의 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 제9항에 있어서,상기 급기노즐은 상기 폭기구역의 하방향을 향하여 공기를 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 제8항에 있어서,상기 급기부는,상기 분기관에 설치된 복수의 밸브를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폭기구역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은 상기 분기관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밸브의 개폐에 의해 각각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폭기조는,상기 복수의 폭기구역 중 상기 응집처리수가 가장 나중에 유입되는 것으로부터 가장 먼저 유입되는 것으로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슬러지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정화처리부는,상기 침전처리수를 걸러 1차 정화처리수를 생성하는 샌드 여과장치; 및상기 1차 정화처리수를 걸러 2차 정화처리수를 생성하는 복수의 활성탄 여과장치를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활성탄 여과장치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하나씩 순차적으로 역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정화처리부는,상기 1차 정화처리수의 물 클러스터의 크기를 감소시켜 상기 활성탄 여과장치로 유입시키는 세라믹 볼 여과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침전조는,상기 폭기처리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침전조 본체;상기 침전조 본체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고, 통공이 형성된 격벽; 및상기 통공에 설치된 상향관을 포함하고,상기 격벽의 하부에는 슬러지가 침전되고, 상기 슬러지가 분리되어 생성되는 침전처리수는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침전조 본체 외부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침전조는,상기 상향관의 상단부에 구비된 필터를 더 포함하고,상기 침전처리수는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침전조 외부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6114A KR100956120B1 (ko) | 2009-12-31 | 2009-12-31 |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6114A KR100956120B1 (ko) | 2009-12-31 | 2009-12-31 |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56120B1 true KR100956120B1 (ko) | 2010-05-07 |
Family
ID=4228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36114A KR100956120B1 (ko) | 2009-12-31 | 2009-12-31 |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6120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5942B1 (ko) | 2010-11-24 | 2011-05-23 | 최일성 | 축산분뇨의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
KR101860102B1 (ko) * | 2018-01-26 | 2018-05-21 | 환경시설관리 주식회사 | 난응집성 인성분을 포함한 하폐수 처리시스템 |
KR20190138975A (ko) | 2018-06-07 | 2019-12-17 | 최재희 | 다공성 세라믹 분리막을 이용한 액비정제장치 |
KR20200010937A (ko) * | 2018-07-23 | 2020-01-31 | 태양그린 주식회사 | 가축분뇨를 이용한 작물재배 맞춤형 액비제조장치 |
KR20200101663A (ko) | 2019-02-20 | 2020-08-28 | 최재희 | 축산폐수의 여과와 여과막의 세정이 가능한 장치 |
CN117285133A (zh) * | 2023-11-24 | 2023-12-26 | 甘肃金宝实业有限公司 | 一种柠檬酸提取后的废水处理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79593A (ko) * | 2001-04-13 | 2002-10-19 |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 |
JP2003103267A (ja) * | 2001-09-28 | 2003-04-08 | Sumitomo Densetsu Corp | 廃水処理システム |
KR20060012722A (ko) * | 2004-08-04 | 2006-02-09 | 이우원 | 유기성 오폐수의 처리 방법 및 장치 |
KR20080069366A (ko) * | 2007-01-23 | 2008-07-28 |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 세라믹필터와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여과장치 |
-
2009
- 2009-12-31 KR KR1020090136114A patent/KR10095612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79593A (ko) * | 2001-04-13 | 2002-10-19 |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 |
JP2003103267A (ja) * | 2001-09-28 | 2003-04-08 | Sumitomo Densetsu Corp | 廃水処理システム |
KR20060012722A (ko) * | 2004-08-04 | 2006-02-09 | 이우원 | 유기성 오폐수의 처리 방법 및 장치 |
KR20080069366A (ko) * | 2007-01-23 | 2008-07-28 |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 세라믹필터와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여과장치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5942B1 (ko) | 2010-11-24 | 2011-05-23 | 최일성 | 축산분뇨의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
KR101860102B1 (ko) * | 2018-01-26 | 2018-05-21 | 환경시설관리 주식회사 | 난응집성 인성분을 포함한 하폐수 처리시스템 |
KR20190138975A (ko) | 2018-06-07 | 2019-12-17 | 최재희 | 다공성 세라믹 분리막을 이용한 액비정제장치 |
KR102100991B1 (ko) | 2018-06-07 | 2020-04-14 | 최재희 | 다공성 세라믹 분리막을 이용한 액비정제장치 |
KR20200010937A (ko) * | 2018-07-23 | 2020-01-31 | 태양그린 주식회사 | 가축분뇨를 이용한 작물재배 맞춤형 액비제조장치 |
KR102086566B1 (ko) | 2018-07-23 | 2020-03-09 | 태양그린 주식회사 | 가축분뇨를 이용한 작물재배 맞춤형 액비제조장치 |
KR20200101663A (ko) | 2019-02-20 | 2020-08-28 | 최재희 | 축산폐수의 여과와 여과막의 세정이 가능한 장치 |
CN117285133A (zh) * | 2023-11-24 | 2023-12-26 | 甘肃金宝实业有限公司 | 一种柠檬酸提取后的废水处理装置 |
CN117285133B (zh) * | 2023-11-24 | 2024-02-06 | 甘肃金宝实业有限公司 | 一种柠檬酸提取后的废水处理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7933226U (zh) | 一种工业废水处理系统 | |
KR100956120B1 (ko) |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 |
CN109437482A (zh) | 一种制药行业原料药生产有机废水的高效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 |
US6663782B2 (en) | System and method to treat livestock waste | |
US4042494A (en) | Pressure pipe treatment for sewage | |
KR20110002832A (ko) | 폐수 처리 방법 및 장치 | |
KR100980464B1 (ko) | 하수고도처리장치 | |
CN108101316B (zh) | 一种沥青生产废水处理工艺 | |
KR101678202B1 (ko) | 폐기물 매립장용 침출수 처리 시스템 | |
KR101048516B1 (ko) | 혐기발효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 |
KR102410922B1 (ko) | 가축분뇨 처리 시스템 | |
KR100458564B1 (ko) | 오수 처리방법 및 장치 | |
KR101278475B1 (ko) | 선회류식 무기슬러지 분리배출장치와 생물반응조를 결합한 슬러지처리장치 | |
KR100871651B1 (ko) | 고농도 유기폐수 처리장치 | |
KR101037888B1 (ko) |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 |
KR100920090B1 (ko) | 오·폐수를 재활용하기 위한 고도처리 장치 | |
KR100381901B1 (ko) | 접촉산화방법을 이용한 오염심화 하천수 및 하수, 오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처리시스템 | |
KR20010016337A (ko) | 오폐수 처리시스템 | |
KR101045878B1 (ko) | 상하수 고도 처리를 위한 고효율 하이브리드 침전지 | |
KR200225283Y1 (ko) | 오폐수 처리장치 | |
KR100879788B1 (ko) |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오폐수 처리장치, 그 방법, 및 시스템 | |
RU2136614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го удаления из сточных вод органических веществ, соединений азота и фосфора | |
RU2013382C1 (ru) |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KR101632740B1 (ko) | 일체형 호기 질소탈기조를 이용한 생물학적 고도처리장치 및 그 공법 | |
KR100731846B1 (ko) | 2단분리식 수력사이클론을 이용한 하수오니의 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