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464B1 - 하수고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고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464B1
KR100980464B1 KR20100025962A KR20100025962A KR100980464B1 KR 100980464 B1 KR100980464 B1 KR 100980464B1 KR 20100025962 A KR20100025962 A KR 20100025962A KR 20100025962 A KR20100025962 A KR 20100025962A KR 100980464 B1 KR100980464 B1 KR 100980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tank
floating
porous
biofilm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25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낙
Original Assignee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25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7Inorganic materials, e.g. sand,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Multistep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5Phosphorus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6Nitrogen compounds, e.g. ammon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고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수와 함께 유입되는 다양한 오염물질, 예컨대 BOD, COD, SS, 총질소(T-N), 총인(T-P) 등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다공성 부상여재를 구비한 상향류식 부상 여과조로 1차 처리한 후에, 부상식 다공성 미생물 담체를 구비한 상향류식 생물막 여과조를 통해 2차 처리하여 외부 수계로 배출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생물막 여과조 후단에 다공성 여재를 구비한 하향류식 급속 여과조를 추가로 구비한다.

Description

하수고도처리장치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하수와 함께 유입되는 다양한 오염물질, 예컨대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부유물질(SS), 총질소(T-N), 총인(T-P) 등을 저감시킬 수 있는 하수고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도, 폐수 및 우수에는 다양한 유기물질, 부유물질, 질소, 인 등을 함유하고 있어, 이러한 하·폐수를 적정하게 처리하지 않고 방류수역으로 방류할 경우에 하천의 수질오염을 야기시키고 수서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야기하는 오염물질에 대한 용수처리할 때에 통상적으로 물속의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물질은 물리·화학적으로 제거하고 유기물질은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 처리하고 있다.
일반 하·폐수 종말처리장 등의 대형 기간처리시설에서는 전술된 공정들을 위해 개별적인 1차 침전조, 생물반응조, 최종침전조, 여과설비 등을 구비하고 있어 상당한 시설규모, 부지면적, 시설설치비 및 유지비에 대한 부담을 가져야 하며, 이러한 대규모 시설의 운전 및 관리에 어려움이 뒤따르게 된다.
종래에 사용된 1차 침전조는 무겁고 입자가 큰 협잡물을 침사지에서 제거한 후 유입되는 하수를 중력침전에 의하여 간이 침전시키고 있어 수면적 부하가 약 50㎥/㎡·day 로 작고 유기물질 및 부유물질의 제거율이 낮아 부지면적을 크게 차지하는 한계점이 있으므로 급속여과기술을 개발하여 오염물질 제거효율 및 처리속도를 높여 부지면적을 줄이는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기존의 생물반응조는 유기물질, 질소, 인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하수의 체류시간을 일반적으로 8 ~ 9시간을 유지하는 규모로 설치하고 있어 부지면적이 크고, 하수처리에 적당한 미생물을 확보·유지하기 위한 산소공급량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한계점이 있고 생물반응조에서 형성된 하수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최종침전조는 주로 중력침전 방식에 의하여 고액분리시키고 있어 수면적 부하가 약 20㎥/㎡·day 로 매우 작아 부지면적이 크게 차지하는 한계점이 있어 생물반응조 및 최종침전조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생물막 여과기술을 개발하여 부지면적 및 공기공급량을 획기적으로 줄여서 시설설치비 및 유지비를 저감하는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하·폐수 종말처리장의 유기물질 및 총인의 방류수 수질기준이 지속적으로 강화됨에 따라서 최종침전조 후단에 여과처리공정이 도입되고 있어 이에 대한 기술개발도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1차 침전조, 생물반응조, 최종침전조 및 여과공정을 다공성 부상여재 및/또는 다공성 여재를 매개로 하여 하·폐수 속에 함유된 유기물질, 부유물질, 총질소, 총인 등 오염물질의 처리효율 및 처리속도를 향상시켜 시설 설치부지면적당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공성 부상여재를 매개로 하는 상향류식 여과공정, 생물막 여과공정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하수종말처리장에 1차 침전조를 대체하도록 다공성 부상여재로 충전된 부상 여과조를 구비하여, 하수가 상향류식으로 이동하면서 다공성 부상여재와의 접촉을 통해 여과처리되는 한편, 플럭 형성을 돕기 위해 응집제를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상 여과조의 하류에는 다단의 생물막 여과조를 일렬로 배열하여 그 내부에 충전된 부상식 다공성 미생물 담체와 함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이는 종래의 생물학적 하수처리공정에서의 생물반응조 및 최종침전조를 대체하는 공정으로 BOD의 산화 및 질소, 인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생물막 여과조로부터 유출된 처리수에는 완전 처리되지 못한 소량의 입자상 물질 뿐만 아니라 부영양화를 유발하는 인을 함유하고 있는바, 양질의 하천 원수수질확보를 위하여 하·폐수 종말처리장의 방류수 수질기준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고, 처리수를 중수도 등으로 재이용하는 데에는 상당한 제약이 뒤따르게 된다.
따라서, 방류수역의 수질보전 및 하수 재이용에 장애를 유발하는 오염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함으로써 다양한 이수목적에 적합한 수질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다공성 침전여재를 매개로 하는 하향류식 여과공정을 도입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하수의 여과처리속도 및 여과처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물막 여과조를 구비하여 BOD의 산화와 함께 질소 및 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공성 부상여재와 부상식 다공성 미생물 담체와의 접촉을 향상시키고 이를 관통해 흐르는 하수의 유속을 빠르게 하여 처리속도를 향상시킨다.
기존 하수종말처리장에 비해서 여과처리속도와 여과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은 설치면적을 줄여서 시공단가를 낮추는 경제적인 효과도 창출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고도처리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도 2는 하수고도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에 구비된 부상 여과조와 생물막 여과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고도처리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도 4는 하수고도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에 구비된 급속 여과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고도처리장치는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수고도처리장치의 블록선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고도처리장치의 제1실시예는 도시되었듯이 부상 여과조(10)와 생물막 여과조(20)로 이루어진다.
하수 펌프장으로 유입될 하수는 본 발명의 하수고도처리장치를 수단으로 고도처리되어 외부 수계로 정화되어 방류될 것이다.
부상 여과조(10)는 다공성 부상여재를 수용하고 있어, 하수와 다공성 부상여재와의 접촉을 돕기 위해 하수는 상향류식으로 유동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다공성 부상여재는 작은 입자크기를 갖는 유리분말에 수지 및 발포제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고온으로 가열하고 이를 냉각분쇄하여 50~80%의 담체 충전율을 가지고 건조시 용적밀도 0.2~0.6g/㎤, 공극율이 50~80%이며, 입경이 20~50mm 이하의 크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여과조(10)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하수종말처리장에 설치된 1차 침전조를 대체하는 것으로, 종래의 1차 침전지 수면적 부하는 통상적으로 50 ㎥/㎡·day로 되어 있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부상 여과조(10)의 여과속도는 1,200 ㎥/㎡·day(50㎥/㎡·hr)로 처리할 수 있어, 기존 1차 침전지와 부상 여과조(10)에서 동일한 하수량을 처리한다면 기존의 1차 침전지에 비해서 부상 여과조(10)는 대략 1/20의 소요부지를 점유하게 된다. 이는 1차 침전지보다 1/20배 소규모로 부상 여과조(10)를 구축하여도 그와 동일한 처리효율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부상 여과조(10)는 응집제를 제공할 수 있는바, 하수와 응집제를 충분히 혼합하고서 탁질입자인 플럭(floc)을 형성하여 다공성 부상여재와 접촉을 활성화시켜 상당한 처리효율을 제공하게 된다.
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해 응집제와 응집보조제를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수가 부상 여과조(10) 내에서 응집제와 혼합되어 형성된 플럭이 다공성 부상여재와 접촉으로 불용성 부유물질(Suspended Solid;이하 SS)과 BOD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부상 여과조(10)로 유입된 하수에서 SS는 80% 이상 그리고 BOD는 50% 이상 처리될 수 있다. 상당량의 SS와 BOD를 처리하게 되어 하류에 위치된 생물막 여과조(20)의 작업부하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부상 여과조(10) 하부에 침전된 퇴적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별도의 배출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된 부상 여과조(10)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부상 여과조(10) 하류에 위치된 생물막 여과조(20)는 부상 여과조(10)와 유사하게 하수 처리수를 상향류식으로 유동시키면서 다단의 생물막 여과조(20)를 통과하면서 BOD의 산화, 질소(N)와 인을 제거한다.
생물막 여과조(20)도 상향류식으로 하수 처리수가 이동하므로, 각 여과조(20)에는 부상식 다공성 미생물 담체를 수용하고 있다. 여기서, 부상식 다공성 미생물 담체는 작은 입자크기를 갖는 유리분말에 수지 및 발포제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고온으로 가열하고 이를 냉각분쇄하여 20~60%의 담체 충전율을 가지고 건조시 용적밀도 0.2~0.6g/㎤, 공극율이 50~80%이며 입경이 20~50mm의 크기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 생물막 여과조(20)는 그 하부에 산기관을 배치하여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산기관은 별도의 자동공급밸브를 갖추고 있어 생물막 여과조(20) 내부에 공기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공급을 통해서 생물막 여과조(20)에서는 포기/비포기, 호기성/혐기성을 조정하여 하수 처리수에 BOD 산화와, 질산화 혹은 탈질산화를 구현할 수 있다. 배출될 처리수에 함유된 질소의 농도가 높거나 높은 질소제거효율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하수 처리수의 일부를 제1생물막 여과조(201)로 우회시킬 수 있도록 우회관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어, 처리수 중에 포함된 질산성 질소(NO3-N)의 탈질산화율을 높여 질소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본 발명의 생물막 여과조의 배출구에는 질산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별도로 구비하여 배출될 처리수를 다시 생물막 여과조 입구로 순환시켜 다시 여과처리공정을 통해 저감효율을 증대시킨다.
또한, 생물막 여과조(20)에서 고농도(15,000~20,000㎎/ℓ)의 MLSS를 유지할 수 있어 슬러지를 직접 탈수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사용되었던 슬러지 농축조, 소화조를 생략할 수도 있다.
부상식 다공성 미생물 담체를 통해 각각의 생물막 여과조(20)에서의 수리학적 체류시간(HRT;Hydraulic Retention Time)이 1~2시간으로 종래의 하수종말처리장에 설치된 생물 반응기(HRT:6~8시간)에 비해서 1/4 이하로 줄일 수 있어 사용부지면적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생물막 여과조(20)의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의 도 2에 도해할 것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하수고도처리장치에 구비된 부상 여과조와 생물막 여과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수고도처리장치는 부상 여과조(10)와 하나 이상의 생물막 여과조(20)로 구성되되, 여기서는 하나의 부상 여과조(10)와 직렬로 구성된 3단의 생물막 여과조(20)를 갖추고 있다.
부상 여과조(10)는 유입관(11)으로 안내된 하수와 다공성 부상여재(15)를 통해 여과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약품투입관(12)은 응집제를 부상 여과조(10) 내에 투여하여 플럭 형성을 돕는다. 부상 여과조(10) 내에 있는 플럭과 하수는 상향류식으로 이동하면서 다공성 부상여재(15)와 접촉하면서 여과처리되고, 여과처리된 처리수는 부상 여과조(10) 하류에 배치된 생물막 여과조(20)로 안내된다.
추가로, 부상 여과조(10)는 그 바닥면에 근접하게 산기관(16)을 구비하는데, 이는 다량의 공기를 주기적으로 분사하여 다공성 부상여재(15)의 여과처리효율 저감시 역세척할 수 있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생물막 여과조(20)는 그 내부에 부유가능한 소재로 된 부상식 다공성 미생물 담체를 수용하고, 바닥면에 근접하게 산기관(23)을 구비하여 생물막 여과조(20) 내부 공간으로 공기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다단으로 배열된 생물막 여과조(20;201,202,203)은 그 바닥면 상에 산기관(23)을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질소제거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제3생물막 여과조(203)에서 제1생물막 여과조(201)까지 유체가 이동할 수 있게 길이연장된 우회관(22;bypass)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 우회관(22)으로 환류되는 처리수의 일부는 제1생물막 여과조(201)로부터 다시 부상식 다공성 미생물 담체(25)와 공기를 통해 재여과처리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수준의 저감효율을 제공한다.
또한 각 생물막 여과조(20;201,202,203)에 구비된 산기관(23)은, 부상식 다공성 미생물 담체(25)가 여과처리 효율이 떨어지게 되면, 특히 부상식 다공성 미생물 담체(25)의 효율이 떨어지는 생물막 여과조(201,202,203)를 선별하여 그 생물막 여과조에 산기관(23)을 통해 다량의 공기를 분사하여 부상식 다공성 미생물 담체(25)를 역세척한다. 다량의 공기를 매개로 하여 생물막 여과조 내에 채워져 있던 처리수에 난류를 야기시켜 담체(25)에 부착된 미생물(혹은 SS 등)을 탈리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모든 여과처리를 거친 처리수는 최종 생물막 여과조(20;여기서는 203)의 배출관(21)을 통하여 외부 수계로 방출된다.
도면에 표시된 화살표는 유입관(11)으로 유입된 하수의 처리공정을 따라 이동하는 경로를 보여주고 있다.
참고로, 다공성 부상여재(15)와 부상식 다공성 미생물 담체(25)는 처리수의 독특한 유동방향, 구체적으로 상향식 흐름으로 하수 혹은 처리수를 다음 단계로 이동시키므로 이 유동흐름에 편승하여 부상물들이 휩쓸려가지 않도록 각 여과조에 방지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부상물 월류방지수단들은 이미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배제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수고도처리장치의 블록선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생물막 여과조(20)의 하류에 급속 여과조(3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는 배제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고도처리장치의 제2실시예는 도시되었듯이 부상 여과조(10)와 생물막 여과조(20) 및 급속 여과조(30)로 이루어진다.
하수 펌프장으로 유입될 하수는 본 발명의 하수고도처리장치를 수단으로 고도처리하여 외부 수계로 정화되어 방류될 것이다.
급속 여과조(30)는 생물막 여과조(20)로 유출되는 처리수에 함유된 소량의 입자상 물질 및 인(P)을 확실하게 제거하기 위해 약품투입관(32)으로 인 제거용 응집제를 처리수에 공급한다.
응집제로 또 형성된 플럭은 급속 여과조(30) 내부에 제공된 여과층부를 통해 여과처리된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하수고도처리장치에 구비된 급속 여과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급속 여과조(30)는 이의 바닥면에 평행하게 배열된 여과층부(35)과 바닥면에 배출관(31)을 구비하고 있다. 여과층부(35)는 다공성 여재(353)로 충전되어 있어, 하향류식으로 이동하는 처리수의 인과 입자상 물질을 제거한다.
여과층부(35)는 지지대(351)와, 스크린(352), 스크린 아래로 유출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 굵은 모래층(354), 및 다공성 여재(353)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지지대(351)는 그 상에 안착될 스크린, 굵은 모래층 뿐만 아니라 다공성 여재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게 한다. 지지대(351) 상에 넓게 스크린(352)이 펼쳐진다. 스크린(352)은 굵은 모래가 여과층부(35)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촘촘한 구조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굵은 모래층(354)을 이루는 굵은 모래의 입자 크기는 2~3mm 로 되어 있으며, 굵은 모래가 관통하지 못하도록 조밀한 틈새를 갖는 스크린(352) 상에 안착된다. 바람직하기로, 스크린(352)은 처리수의 원활한 유동 경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위에 적층될 소재(예컨대, 모래 등)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부직포, 특히 와이어 메쉬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다공성 여재(353)는 다공성 인조모래로서 작은 입자크기를 갖는 유리분말에 수지 및 발포제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고온으로 가열하고 이를 냉각분쇄하여 입경은 3mm 이하이며, 건조시 용적밀도 0.4~0.6g/㎤, 수분포화시 1.3~1.8g/㎤, 공극률이 65~80%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공성 여재(353)는 굵은 모래층(354) 상에 안착되되, 처리수는 다공성 여재(353), 굵은 모래층(354), 스크린(352), 및 지지대(351)를 관통해 배출관(31)을 따라 외부로 안내된다.
다공성 여재 상으로 적층될 응집물과 침전물로 인하여 처리수가 배출되지 못하면, 급속 여과조(30)에 처리수의 수위가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은 수위계측기를 수단으로 급속 여과조(30)에 수용된 처리수의 수위를 실시간 혹은 정기적, 부정기적으로 측정한다. 처리수 수위의 변동, 더욱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처리수가 차오르게 되면 이를 수위계측기가 감지하고서 배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본 발명의 급속 여과조(30) 바닥에서 여과층부(35)를 향해 상향류되게 공기 및/또는 역세척수를 공급한다.
역세척수는 유입수의 여과처리되는 유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주입되어 여과층부(35)에 적층되어 있던 퇴적물을 여과층부(35)에서 탈리시켜 여과층부의 막힘을 방지하게 하다. 역세척수로 분산된 퇴적물은 급속 여과조(30) 상부로 떠오르게 하여 급속 여과조(30)에 구비된 퇴출구를 지나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고도처리장치의 제2실시예는 협잡물의 응집처리공정을 추가할 수 있도록 처리수에 약품투입관(32)을 통해 응집제를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앞서 언급되었듯이 다공성 여재와 부상식 다공성 미생물 담체 및 다공성 부상여재는 유리분말에 수지 및 발포제를 혼합하고 고온으로 가열하여 이를 냉각분쇄하여 형성하는데, 상기 다공성 여재는 작게 분쇄되면서 기포가 파괴되어 침전되는 반면에, 상기 다공성 부상여재와 부상식 다공성 미생물 담체는 내부의 기포가 유지되어 물에 뜨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된 상세한 설명과 첨부도면에 국한되지 않고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주와 범위 내에서 변경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10 ----- 부상 여과조, 12 ----- 약품투입관,
15 ----- 다공성 부상여재, 20 ----- 생물막 여과조,
25 ----- 부상식 다공성 미생물 담체, 30 ----- 급속 여과조,
32 ----- 약품투입관, 353 ----- 다공성 여재.

Claims (8)

  1. 하수를 안내하는 유입관(11)과 다공성 부상여재(15)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관(11)으로 유입된 하수를 상기 다공성 부상여재(15)로 여과처리하는 부상 여과조(10)와;
    상기 부상 여과조(10)의 후단에 유체가 흐르게 연결되어 배치되고, 처리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21)을 구비하는 생물막 여과조(20)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수는 상기 부상 여과조(10)의 하부로 유입되어 상향류식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다공성 부상여재(15)에 의해 여과되어 그 위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고, 하부에는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다공성 부상여재(15)를 역세척하기 위한 산기관(16)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부상 여과조(10)에서 배출된 처리수는 이 부상 여과조(10)의 후단에 추가로 구비된 상기 생물막 여과조(20)의 하부로 유입되게 하여 상기 부상 여과조(10)에서 유입된 처리수를 상향류식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부상 여과조(10)의 후단에 연결된 생물막 여과조(20)에는 유입된 처리수의 유기물질과 질소 및 인을 처리하는 부상식 다공성 미생물 담체(25)를 구비하되, 이 부상식 다공성 미생물 담체(25)를 역세척하기 위한 산기관(23)을 구비하고,
    상기 부상 여과조(10)에 구비되는 상기 다공성 부상여재(15)는 유리분말을 고온에서 발포제로 발포하여 냉각분쇄한 것으로, 50~80%의 담체 충전율을 가지고 건조시 용적밀도 0.2~0.6g/㎤, 공극율이 50~80%이며, 입경이 20~50mm의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생물막 여과조(20)에 구비되는 상기 부상식 다공성 미생물 담체(25)는 유리분말을 고온에서 발포제로 발포하여 냉각분쇄한 것으로, 20~60%의 담체 충전율을 가지고 건조시 용적밀도 0.2~0.6g/㎤, 공극율이 50~80%이며 입경이 20~50mm의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고도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급속 여과조(30)가 상기 하나 이상의 생물막 여과조(20) 후단에 유체가 이동가능하게 추가로 배치되고, 이 급속 여과조(30)는 다공성 여재(353)를 구비한 여과층부(35)와 응집제를 투여하는 약품투입관(32) 및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31)로 이루어져, 상기 생물막 여과조(20)에서 배출된 처리수를 응집·여과처리할 수 있되, 상기 처리수를 하향류식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고도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층부(35)는 지지대(351)와; 이 지지대(351)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스크린(352); 이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는 굵은 모래층(354); 및 이 굵은 모래층(354) 위에 다공성 여재(353);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 하수고도처리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여과조(10)에 구비된 산기관(16)은 역세척시 공기를 분사시킬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생물막 여과조(20)에 구비된 산기관(23)은 서로 개별적으로 공기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하수고도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여재(353)은 다공성 인조모래로서 작은 입자크기를 갖는 유리분말에 수지 및 발포제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고온으로 가열하고 이를 냉각분쇄하여 입경은 3mm 이하이며, 건조시 용적밀도 0.4~0.6g/㎤, 수분포화시 1.3~1.8g/㎤, 공극률이 65~80%로 되어 있는 하수고도처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 여과조(30)의 바닥과 상기 여과층부(35) 사이에 공기와 역세척수를 공급하는 배관을 구비하는 하수고도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막 여과조(20)의 배출관(30)에서 분지되어 상기 생물막 여과조(20)의 입구까지 뻗어 있는 우회관(22)을 추가로 구비하는 하수고도처리장치.

KR20100025962A 2010-03-23 2010-03-23 하수고도처리장치 KR100980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5962A KR100980464B1 (ko) 2010-03-23 2010-03-23 하수고도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5962A KR100980464B1 (ko) 2010-03-23 2010-03-23 하수고도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464B1 true KR100980464B1 (ko) 2010-09-07

Family

ID=43009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25962A KR100980464B1 (ko) 2010-03-23 2010-03-23 하수고도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46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503B1 (ko) * 2011-08-30 2012-05-25 정수환 계곡수용 정수 처리 장치
KR101173780B1 (ko) 2010-10-29 2012-08-16 윤종석 상향류식 여과방법과 하향류식 여과방법을 이용한 다단계 비점오염저감시설
KR20160053542A (ko) * 2014-11-05 2016-05-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조류 및 이취미물질을 동시에 제거하는 용존공기부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방법
KR101765377B1 (ko) * 2014-12-31 2017-08-0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830902B1 (ko) * 2017-02-23 2018-03-30 주식회사 부강테크 암모늄 산화 박테리아 그래뉼 생성조를 연계한 회분식 부분 아질산화 반응조 및 혐기성 암모늄 산화를 이용한 고농도 질소 오폐수 처리장치
KR101830896B1 (ko) * 2017-02-23 2018-03-30 주식회사 부강테크 암모늄 산화 박테리아 그래뉼을 이용한 부분 아질산화 및 혐기성 암모늄 산화를 이용한 단축질소제거 공정의 오폐수 처리장치
KR20190124080A (ko) * 2018-04-25 2019-11-04 (주)토텍 사계절 다목적 중수도 정화장치
GB2591280A (en) * 2020-01-24 2021-07-28 Hydrolize Ltd Filter
WO2022108005A1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부강테크 고농도 질소폐수를 처리하는 회분식 반응조의 유리암모니아 및 유리아질산 농도를 조절하여 최적 부분아질산 반응을 유도하는 운전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006A (ko) * 2001-07-04 2003-01-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공성여재를 이용한 하수의 3차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497546B1 (ko) 2002-07-23 2005-06-29 고명한 오폐수 정화처리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006A (ko) * 2001-07-04 2003-01-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공성여재를 이용한 하수의 3차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497546B1 (ko) 2002-07-23 2005-06-29 고명한 오폐수 정화처리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780B1 (ko) 2010-10-29 2012-08-16 윤종석 상향류식 여과방법과 하향류식 여과방법을 이용한 다단계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146503B1 (ko) * 2011-08-30 2012-05-25 정수환 계곡수용 정수 처리 장치
KR20160053542A (ko) * 2014-11-05 2016-05-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조류 및 이취미물질을 동시에 제거하는 용존공기부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방법
KR101691641B1 (ko) * 2014-11-05 2017-01-0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조류 및 이취미물질을 동시에 제거하는 용존공기부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방법
KR101765377B1 (ko) * 2014-12-31 2017-08-0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830896B1 (ko) * 2017-02-23 2018-03-30 주식회사 부강테크 암모늄 산화 박테리아 그래뉼을 이용한 부분 아질산화 및 혐기성 암모늄 산화를 이용한 단축질소제거 공정의 오폐수 처리장치
KR101830902B1 (ko) * 2017-02-23 2018-03-30 주식회사 부강테크 암모늄 산화 박테리아 그래뉼 생성조를 연계한 회분식 부분 아질산화 반응조 및 혐기성 암모늄 산화를 이용한 고농도 질소 오폐수 처리장치
WO2018155802A1 (ko) * 2017-02-23 2018-08-30 주식회사 부강테크 암모늄 산화 박테리아 그래뉼을 이용한 부분 아질산화 및 혐기성 암모늄 산화를 이용한 단축질소제거 공정의 오폐수 처리장치
WO2018155803A1 (ko) * 2017-02-23 2018-08-30 주식회사 부강테크 암모늄 산화 박테리아 그래뉼 생성조를 연계한 회분식 부분 아질산화 반응조 및 혐기성 암모늄 산화를 이용한 고농도 질소 오폐수 처리장치
US10899642B2 (en) 2017-02-23 2021-01-26 Bkt Co., Lt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shortcut nitrogen removal using anaerobic ammonium oxidation and partial nitritation using ammonium oxidizing bacteria granules
KR20190124080A (ko) * 2018-04-25 2019-11-04 (주)토텍 사계절 다목적 중수도 정화장치
KR102046833B1 (ko) * 2018-04-25 2019-11-21 (주)정수 사계절 다목적 중수도 정화장치
GB2591280A (en) * 2020-01-24 2021-07-28 Hydrolize Ltd Filter
WO2022108005A1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부강테크 고농도 질소폐수를 처리하는 회분식 반응조의 유리암모니아 및 유리아질산 농도를 조절하여 최적 부분아질산 반응을 유도하는 운전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464B1 (ko) 하수고도처리장치
EP2254842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treatment of waste water
CN109264932A (zh) 一种达标地表准四类水的城镇污水处理工艺
KR100741019B1 (ko) 습지와 접촉산화여과설비를 병합한 습지병합형 수처리장치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KR101686484B1 (ko) 하수 처리방법
US9951509B2 (en) Water treatment system
KR101714446B1 (ko) 생물여과 및 가중응집침전을 이용한 초고도 수처리 장치
CN103582615A (zh) 复合微生物反应槽和利用该反应槽的水处理装置及方法
CN108101316A (zh) 一种沥青生产废水处理工艺
CN101746931A (zh) 一种脱氮除磷生物处理与过滤一体化的污水处理系统及其方法
KR100443407B1 (ko) 미생물 접촉여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KR100956120B1 (ko)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CN206127066U (zh) 一种磁加载沉淀与曝气生物滤池复合污水处理系统
CN105347613B (zh) 一种市政污水深床脱氮除磷处理工艺
CN105439286B (zh) 一种垂直流污水生态处理系统
KR101300466B1 (ko) 하·폐수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 제거방법
KR20170074401A (ko) 친환경 발포 인공여재를 이용하여 침전지와 생물막 여과조를 개선한 하이브리드형 하수 고도처리장치
KR101044826B1 (ko) 막 여과 생물반응조의 고도처리 효율을 높이는 운전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고도처리장치
CN209161788U (zh) 一种达标地表准四类水的城镇污水处理系统
KR100880535B1 (ko) 습지조를 이용한 여과조
KR101817471B1 (ko)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CN109650652A (zh) 生化池mbbr工艺耦合反硝化深床滤池脱氮除磷系统及方法
CN209583901U (zh) 生化池mbbr工艺耦合反硝化深床滤池脱氮除磷系统
JP2611148B2 (ja) 2系統並列式酸化処理施設
KR100381901B1 (ko) 접촉산화방법을 이용한 오염심화 하천수 및 하수, 오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