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471B1 -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471B1
KR101817471B1 KR1020170076603A KR20170076603A KR101817471B1 KR 101817471 B1 KR101817471 B1 KR 101817471B1 KR 1020170076603 A KR1020170076603 A KR 1020170076603A KR 20170076603 A KR20170076603 A KR 20170076603A KR 101817471 B1 KR101817471 B1 KR 101817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stewater
flow rate
water level
phospho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916A (ko
Inventor
김승제
Original Assignee
김승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제 filed Critical 김승제
Publication of KR20170142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3Sequencing batch reactors [SB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3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nit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5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denit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3/00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3/006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details of construction, e.g. specially adapted seals, module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입되는 하폐수에 포함된 부유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조와; 상기 스크린조를 거친 하폐수를 저류시켜 유입부하를 균등화하는 유량조정조와; 내부공간이 다수의 격벽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탈질조와 탈인조와 호기조 및 수위조절 침전조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량조정조에서 제공된 하폐수에서 질소와 인을 포함하는 오염물을 제거하는 생물반응조와; 상기 생물반응조에서 상등수를 공급받아 잔여 오염물 및 인을 응집제와 혼합반응시켜 응집시키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에서 하폐수를 제공받아 잔여 오염물과 인을 제거하는 고효율 여과장치와; 상기 고효율 여과장치에서 잔여 오염물과 인이 제거된 하폐수를 제공받아 저류한 후 외부로 방출하는 방류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유량조정조와 상기 탈질조를 연결하는 관로상에는 탈질조로의 유입유량을 측정하는 전자유량계가 설치되고, 상기 수위조절 침전조에는 상기 전자유량계에 의해 측정된 하폐수의 유입유량에 따라 수위조절 침전조의 수위를 조절하는 상등수 배출장치가 설치되어, 하폐수 유입유량의 부하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질소와 인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고 유기물질 및 부유물질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Wastewater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폐수의 유입유량의 부하변동과 유입오염물질의 과부하 및 빈부하에 대응할 수 있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 하천 수질이 급격히 나빠지는 이유 중의 하나는 하폐수 처리과정에서 처리되지 않은 질소(N), 인(P) 등의 영양분이 하천으로 유입되어 수초조류 등이 증가함으로써 물이 탁해지고 바닥에 퇴적물이 쌓이는 등 부영양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부유물질과 유기물질 및 질소와 인 화합물을 하폐수 처리시스템에서 제거하려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시된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들은 하절기와 동절기에 따른 하폐수 유입유량의 부하 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어서 하폐수 처리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출원번호:10-2001-0026824 (공개번호:특2002-0087799, 발명의 명칭:다단 에스 비 알 시스템을 이용한 폐수의 정화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입되는 하폐수의 유량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유량 변동에 따른 하폐수 처리효율 저하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은 유입되는 하폐수에 포함된 부유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조와; 상기 스크린조를 거친 하폐수를 저류시켜 유입부하를 균등화하는 유량조정조와; 내부공간이 다수의 격벽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탈질조와 탈인조와 호기조 및 수위조절 침전조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량조정조에서 제공된 하폐수에서 질소와 인을 포함하는 오염물을 제거하는 생물반응조와; 상기 생물반응조에서 상등수를 공급받아 잔여 오염물 및 인을 응집제와 혼합반응시켜 응집시키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에서 하폐수를 제공받아 잔여 오염물과 인을 제거하는 고효율 여과장치와; 상기 고효율 여과장치에서 잔여 오염물과 인이 제거된 하폐수를 제공받아 저류한 후 외부로 방출하는 방류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유량조정조와 상기 탈질조를 연결하는 관로상에는 탈질조로의 유입유량을 측정하는 전자유량계가 설치되고, 상기 수위조절 침전조에는 상기 전자유량계에 의해 측정된 하폐수의 유입유량에 따라 수위조절 침전조의 수위를 조절하는 상등수 배출장치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생물반응조의 수위조절 침전조에서 슬러지를 제공받아 처리하는 슬러지 저류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탈질조에 설계 유량을 초과하거나 설계 유량 미만으로 하폐수가 유입되었을 때, 상기 상등수 배출장치는 유입된 하폐수가 기(旣) 설정된 체류시간동안 상기 생물반응조 내에 체류할 때까지 상기 여과조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고효율 여과장치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다수의 중공사막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하폐수가 상기 중공사막의 외주면에서 중심쪽을 향해 통과하면서 정화된 다음 상기 중공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방류조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고효율 여과장치는 다수개가 병렬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고효율 여과장치에 설치된 중공사막의 외측면이 오염물질에 의해 폐쇄되었을 때, 인접한 고효율 여과장치의 정화된 물이 역세척수로 공급되어 중공사막을 세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은 탈질조로 유입되는 하폐수의 유량을 전자유량계가 설치되고, 이 전자유량계의 유량 측정값에 따라 상등수 배출장치가 수위조절 침전조의 수위를 조절함으로써 하폐수 유입유량의 부하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질소와 인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고 유기물질 및 부유물질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의 처리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에 설치되는 상등수 배출장치를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의 처리계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에 설치되는 상등수 배출장치를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은 하폐수에 포함된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크린조(10)와, 상기 스크린조(10)를 거친 하폐수가 공급되는 유량조정조(20)와, 상기 유량조정조(20)를 거친 하폐수가 공급되어 탈질 및 탈인공정과 유기물질 분해반응 등이 수행되는 생물반응조(30)와, 상기 생물반응조(30)를 거친 하폐수가 공급되는 여과조(40)와, 상기 여과조(40)를 거친 하폐수가 공급되는 고효율 여과장치(50)와, 상기 생물반응조(30)에서 슬러지를 제공받는 슬러지 저류조(60)와, 상기 고효율 여과장치(50)를 거친 하폐수가 공급되는 방류조(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크린조(10)는 하폐수가 유입되는 시스템의 입구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폐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천조각, 나무조각, 나뭇잎, 비닐 등과 같은 비교적 큰 부유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러한 스크린조(10)에는 유량조정조(20)와 연결되는 가동수로(11)와 예비수로(12)가 구비되어, 가동수로(11)가 오염물에 의해 폐쇄되었을 때 하폐수가 가동수로(11)를 통과하지 않고 예비수로(12)를 통과하여 유량조정조(20)로 공급되며, 각각의 수로에는 다수의 스크린(13)이 직렬 설치되어 하폐수가 순차적으로 스크린(13)을 통과하면서 하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이 제거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가동수로(11)와 예비수로(12)에는 각각 고정스크린(13a)과 시간타이머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는 자동스크린(13b)이 직렬로 설치되는데, 가동수로(11)의 고정스크린(13a) 및 자동스크린(13b)이 하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에 의해 폐쇄되었을 때, 예비수로(12)의 스크린(13)으로 하폐수를 통과시켜 유량조정조(20)로 하폐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가동수로(11)의 스크린(13)이 부유물질에 의해 폐쇄되지 않고 정상 작동중일 경우에는 예비수로(12)는 사용하지 않는다.
상기 유량조정조(20)는 스크린조(10)를 거친 하폐수를 저류시켜 유입되는 하폐수의 유량 및 수질의 급격한 변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처리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유입부하를 균등화하고, 반송슬러지를 유입시켜 생슬러지와 활성슬러지를 혼합하여 악취발생을 최소화하며, 호기-혐기-호기-혐기반응을 반복 진행함으로써 유기물질 및 부유물질과 질소와 인의 제거효율을 극대화하여 운전비용의 절감을 도모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이러한 유량조정조(20)는 호기-혐기-호기-혐기의 반응을 반복하여 질소와 인의 제거 효율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유량조정조(20) 유입의 전 단계에서 분해되지 않은 오염물질과 반송슬러지를 혼합하여 악취발생을 최소화한다.
그리고, 유량조정조(20)는 호기공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내부 하측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산기장치(21)를 구비하고 있고, 혐기공정의 진행 중에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믹서와 같은 교반장치(22)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유량조정조(20)는 후술할 생물반응조(30)의 수위조절 침전조(34)로부터 반송되는 슬러지를 공급받고, 슬러지 저류조(60)의 슬러지를 한번 더 농축하고 남은 상부의 상등수를 이송받아 재처리한다.
상기 생물반응조(30)는 내부공간이 다수의 격벽(30a)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탈질조(31)와 탈인조(32)와 호기조(33) 및 수위조절 침전조(34)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유량조정조(20)에서 제공된 하폐수에서 질소와 인을 포함하는 오염물을 제거한다.
상기 탈질조(31)는 유량조정조(20)를 거친 하폐수와 수위조절 침전조(34)의 반송슬러지를 제공받아 탈질반응에 의해 질소를 제거한다. 부연하면, 탈질조(31)는 유량조정조(20)로부터 공급되는 하폐수의 유기물을 이용하여 수위조절 침전조(34)에서 반송되는 반송슬러지 내의 질산성질소의 탈질을 유도한다. 즉, 반송슬러지에 포함된 질소산화물(NOx)이 무산소 조건에서 탈질미생물에 의해 질소나 산화질소 등의 가스로 환원, 대기 중으로 날아감으로써 최종적으로 질소가 제거되는 공정이 탈질조(31)에서 이루어진다.
한편, 탈질조(31)는 배관을 통하여 유량조정조(20)로부터 하폐수를 공급받는데, 유량조정조(20)와 탈질조(31)를 연결하는 관로상에는 전자유량계(23)가 설치되어 유량조정조(20)에서 탈질조(31)로의 하폐수 유입유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유량조정조(20)에서 탈질조(31)로 하폐수가 공급될 때 이 하폐수는 유량조정조(20)와 탈질조(31) 사이에 설치된 미세스크린(24)을 통과하면서 스크린조(10)에서 제거되지 못한 미세한 부유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탈질조(31)에는 혐기공정의 진행 중에 침전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믹서와 같은 교반장치(31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탈인조(32)는 탈질조(31)를 거친 하폐수를 제공받아 인을 제거한다. 부연하면, 탈인조(32)에 질산성질소가 유입되면 인 제거율이 떨어진다. 즉, 질산성질소가 존재하면 이를 이용하는 탈질미생물과 인 제거 미생물이 쉽게 분해 가능한 용존 유기물의 섭취를 위하여 경쟁하게 되나, 탈질미생물의 증식속도가 빨라 질산성질소가 다 소모될 때까지 휘발성 지방산을 이용하므로, 그 만큼 인 제거 미생물이 이용한 휘발성 지방산이 감소되어 인 제거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탈질 완료 후에 잔여 유기물을 통한 인 방출이 유도되는 것이다. 또한, 탈인조(32)에는 혐기공정의 진행 중에 침전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믹서와 같은 교반장치(32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호기조(33)는 오염물(유기물질)이 함유된 하폐수에 폭기를 하는 곳으로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물 속에 분자 크기로 녹아 있는 가용성 유기물의 제거와 질산화 및 인 과잉섭취를 목적으로 한다. 즉, 오염물(유기물질)이 함유된 하폐수가 호기조(33)에서 폭기됨으로써 호기성 미생물은 미세한 크기의 유기물질과 미생물이 결합된 플록(Floc)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플록은 비중이 물보다 무겁기 때문에 침전시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호기조(33)에는 미생물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산기장치(33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위조절 침전조(34)는 생물반응조(30)의 수위를 조절하는 곳으로서, 이 수위조절 침전조(34)에 상등수 배출장치(35)가 설치된다.
상기 상등수 배출장치(35)는 유량조정조(20)와 탈질조(31)를 연결하는 관로상에 설치된 전자유량계(23)와 연동하여 상하로 움직이므로써 생물반응조(30)의 수위를 조절한다. 즉, 하절기와 동절기에 따라 발생하는 하폐수 유입유량의 부하변동에 따라 상등수 배출장치(35)를 상하로 이동시켜 수위조절 침전조(34)의 수위를 자동 조절함으로써 유량 변동에 따른 처리효율 저하에 수월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등수 배출장치(35)는 탈질조(31)에 설계 유량을 초과하거나 설계 유량 미만으로 하폐수가 유입되었을 때 유입 유량의 비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자동 작동하여, 유입된 하폐수가 기(旣) 설정된 체류시간동안 생물반응조(30) 내에 체류할 때까지 여과조(40)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탈질과 탈인을 포함한 오염물 제거에 최적의 반응을 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최적반응을 위한 시간이 기 설정된 체류시간임)동안 하폐수가 생물반응조(30) 내에 체류할 수 있게 된다.
즉, 설계보다 많은 양의 하폐수가 생물반응조(30) 내부로 유입되어 그 초과 유입된 하폐수가 그대로 외부로 배출된다면 탈질이나 탈인과 같은 공정이 완료되지 않은 채로 배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하폐수의 처리효율이 저하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하폐수가 설계 유량보다 초과 유입이 되는 경우에는 하폐수가 설계 유량보다 많다고 하여 바로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아니고, 이 하폐수를 생물반응조(30) 내부에 더 오래 머물게 함으로써 탈질이나 탈인과 같은 공정이 충분이 완료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부연하면, 도 2에 도시된 상등수 배출장치(35)는 설계 유량에 맞추어 웨어(35a)가 특정 지점에 위치될 수 있도록 수위조절 침전조(34)에 설치되어 있는데, 설계 유량보다 많은 양의 하폐수가 유입된 것을 전자유량계(23)가 측정하면 상등수 배출장치(35)의 웨어(35a)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수위조절 침전조(35)의 상등수가 웨어(35a)를 월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폐수가 웨어(35a) 안쪽으로 유입된 후 주름관(35b)과 이송관(35c)을 거쳐 여과조(40)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설계 유량보다 적은 양의 하폐수가 탈질조(31) 내부로 유입된 것을 전자유량계(23)가 측정하였는데 아무런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다면, 하폐수는 생물반응조(30) 내에서 탈질이나 탈인 공정 등이 충분히 진행 완료되었음에도 세팅된 시간보다 생물반응조(30) 내부에 더 오랫동안 체류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는 상등수 배출장치(35)의 웨어(35a)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수위조절 침전조(34)의 상등수가 웨어(35a)를 월류하여 웨어(35a) 안쪽으로 유입된 후 주름관(35b)과 이송관(35c)을 거쳐 여과조(40)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렇게 상등수 배출장치(35)의 상하 이동에 의해 수위조절 침전조(34)의 수위가 조절되고, 격벽(30a)에 의해 분리되어 있기도 하지만 격벽(30a)에 형성된 하폐수 통과홀(30b)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던 탈질조(31)와 탈인조(32) 및 호기조(33)도 수위도 조절되어 결과적으로 수위조절 침전조(34)와 동일한 수위로 조절된다.
바로 이러한 생물반응조(30) 내부의 수위 조절과정이 서로 연계되어 있는 전자유량계(23)와 상등수 배출장치(35)의 연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만약, 생물반응조(30) 내부에 설치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30a)에 하폐수 통과홀(30b)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탈질조(31), 탈인조(32), 호기조(33), 수위조절 침전조(34)는 서로 완벽하게 격리된 공간을 갖기 때문에 수위조절 침전조(34)의 수위가 조절된다고 하여 탈질조(31)와 탈인조(32) 및 호기조(33)의 수위가 연동되어 조절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때는 전자유량계(23)와 연동되어 움직이는 상등수 배출장치(35)를 수위조절 침전조(34) 뿐만 아니라 탈질조(31)와 탈인조(32) 및 호기조(33)에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탈질조(31), 탈인조(32), 호기조(33) 및 수위조절 침전조(34)는 전자유량계(23)에 의해 측정된 하폐수의 유입유량에 따라 각각 탈질조(31), 탈인조(32), 호기조(33) 및 수위조절 침전조(34)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여과조(40)는 생물반응조(30)의 수위조절 침전조(34)에 설치된 상등수 배출장치(35)의 작동에 의해 상등수를 제공받아 잔여 오염물 및 인을 응집제와 혼합반응시켜 응집시킨다. 생물반응조(30)에서 수행되는 생물학적인 처리 공정에서 어떠한 이유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하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잔류 인 및 잔류 유기물을 응집반응시켜 플록을 형성하여 후에 있을 고효율 여과장치(50)에서의 효율적인 여과를 위해 여과조(40)가 설치된다.
상기 고효율 여과장치(50)는 여과조(40)에서 하폐수를 제공받아 전 처리시설에서 제거되지 못한 잔여 오염물과 인, 유기물질 및 대장균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중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중공사막(51)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하폐수가 중공사막(51)의 외주면에서 중심쪽을 향해 통과하면서 정화된 다음 중공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방류조(70)로 제공된다.
이렇게 중공사막(51)에 의해 하폐수의 필터링이 지속되다 보면 중공사막(51)의 외측면이 하폐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중공사막(51)의 정화능력이 급격히 저하되기 때문에 중공사막(51)의 외측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중공사막(51)에서 떨어뜨리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고효율 여과장치(50)를 통과한 물이 역세척수로서 다시 고효율 여과장치(50)의 중공사막(51)에 공급되어 중공사막(51)을 세정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고효율 여과장치(50)는 다수개가 병렬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다수의 고효율 여과장치(50)가 병렬 설치된 경우에 어느 하나의 고효율 여과장치(50)에 설치된 중공사막(51) 외측면이 오염물질에 의해 폐쇄되면 바로 옆에 인접한 고효율 여과장치(50)의 정화된 물을 역세척수로 공급하여 중공사막(51)을 세정한다.
상기 슬러지 저류조(60)는 상기 생물반응조(30)의 수위조절 침전조(34)에서 생성된 잉여슬러지를 제공받아 외부로 반출 처리한다. 그리고, 슬러지 저류조(60) 내부에서 생성된 상등수는 유량조정조(20)로 이송되어 재처리된다. 또한, 슬러지 저류조(60)에는 침전물 발생 방지와 혐기화 방지를 위해 산기장치(6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방류조(70)는 고효율 여과장치(50)에서 잔여 오염물과 인과 대장균 및 잔류 유기물질과 부유물질 등이 제거된 하폐수를 제공받아 저류한 후 외부로 방출하거나 재활용수로 이용한다.
10: 스크린조 11: 가동수로
12: 예비수로 13: 스크린
13a: 고정스크린 13b: 자동스크린
20: 유량조정조 21: 산기장치
22: 교반장치 23: 전자유량계
24: 미세스크린 30: 생물반응조
30a: 격벽 30b: 하폐수 통과홀
31: 탈질조 31a: 교반장치
32: 탈인조 32a: 교반장치
33: 호기조 33a: 산기장치
34: 수위조절 침전조 35: 상등수 배출장치
35a: 웨어 35b: 주름관
35c: 이송관 40: 여과조
50: 고효율 여과장치 51: 중공사막
60: 슬러지 저류조 61: 산기장치
70: 방류조

Claims (5)

  1. 유입되는 하폐수에 포함된 부유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조(10)와; 상기 스크린조(10)를 거친 하폐수를 저류시켜 유입부하를 균등화하는 유량조정조(20)와; 내부공간이 하폐수 통과홀(30b)이 형성된 다수의 격벽(30a)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탈질조(31)와 탈인조(32)와 호기조(33) 및 수위조절 침전조(34)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미생물에 의해 상기 유량조정조(20)에서 제공된 하폐수에서 질소와 인을 포함하는 오염물을 제거하는 생물반응조(30)와; 상기 생물반응조(30)에서 상등수를 공급받아 잔여 오염물 및 인을 응집제와 혼합반응시켜 응집시키는 여과조(40)와; 상기 여과조(40)에서 하폐수를 제공받아 잔여 오염물과 인을 제거하는 고효율 여과장치(50)와; 상기 생물반응조(30)의 수위조절 침전조(34)에서 슬러지를 제공받아 처리하는 슬러지 저류조(60)와; 상기 고효율 여과장치(50)에서 잔여 오염물과 인이 제거된 하폐수를 제공받아 저류한 후 외부로 방출하는 방류조(70);를 포함하여 구성된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정조(20)와 상기 탈질조(31)를 연결하는 관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탈질조(31)로의 유입유량을 측정하는 전자유량계(23); 및
    상기 수위조절 침전조(34)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유량계(23)에서 측정된 하폐수의 유입유량에 따라 생물반응조(30)의 수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하 이동하면서 수위조절 침전조(34)의 상등수를 월류시켜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웨어(35a)를 포함하는 상등수 배출장치(35)를 더 포함하여,
    하폐수의 유입유량이 설계 유량보다 많은 경우에 상기 웨어(35a)가 상승되어 수위조절 침전조(34)의 상등수가 상기 웨어(35a)를 월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생물반응조(30)의 하폐수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고, 하폐수의 유입유량이 설계 유량보다 적게 유입되는 경우 상기 웨어(35a)가 하강되어 수위조절 침전조(34)의 상등수가 상기 웨어(35a)를 월류하도록 하여 생물반응조(30)의 하폐수의 체류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효율 여과장치(5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다수의 중공사막(51)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하폐수가 상기 중공사막(51)의 외주면에서 중심쪽을 향해 통과하면서 정화된 다음 상기 중공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방류조(70)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효율 여과장치(50)는 다수개가 병렬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고효율 여과장치(50)에 설치된 중공사막(51)의 외측면이 오염물질에 의해 폐쇄되었을 때, 인접한 고효율 여과장치(50)의 정화된 물이 역세척수로 공급되어 중공사막(51)을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KR1020170076603A 2016-06-20 2017-06-16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KR101817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450 2016-06-20
KR20160076450 2016-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916A KR20170142916A (ko) 2017-12-28
KR101817471B1 true KR101817471B1 (ko) 2018-02-21

Family

ID=6094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603A KR101817471B1 (ko) 2016-06-20 2017-06-16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4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361B1 (ko) * 2020-10-08 2021-09-17 (주)세인 복합미생물을 이용한 재순환식 가스세정 장치 및 방법
KR102607197B1 (ko) * 2022-11-01 2023-11-30 주식회사 티엔티 상향류 복합 생물 반응조를 이용한 고농도의 매립장 침출수, 축산폐수, 분뇨,음폐수,산업폐수및저농도의 하폐수처리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835Y1 (ko) * 2002-08-26 2002-11-22 대한통운 주식회사 자연유하방식 침지식막분리시스템
KR100945458B1 (ko) * 2007-09-20 2010-03-05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하/폐수처리장의 질소 및 인 고율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835Y1 (ko) * 2002-08-26 2002-11-22 대한통운 주식회사 자연유하방식 침지식막분리시스템
KR100945458B1 (ko) * 2007-09-20 2010-03-05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하/폐수처리장의 질소 및 인 고율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916A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136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membrane filters
KR100441208B1 (ko) 생물 여과 기술을 이용하는 회분식 폐수처리장치 및 이를이용한 폐수처리방법
CA2682707C (en) Improved infiltration/inflow control for membrane bioreactor
KR20190063615A (ko)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과 신재생 발전기능을 구비하여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 하수 고도처리장치 및 하수 고도처리방법
US7547394B2 (en) Wastewater treatment with aerobic granules
KR101686484B1 (ko) 하수 처리방법
JP2004261711A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及び膜分離活性汚泥処理方法
JP6071997B2 (ja) 微生物反応槽および排水処理方法
KR101471053B1 (ko) 고속 유기물 산화조를 갖는 가축분뇨 처리장치
KR101817471B1 (ko)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KR101292736B1 (ko) 하수고도처리공법
KR20000034519A (ko) 호기성 생물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US80123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clarification and endogenous post denitifrication
JP2006314991A (ja) 畜産廃水及び糞尿等のような高濃度の窒素を含む汚廃水の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JP5743448B2 (ja) 汚水処理装置
JP2006289153A (ja) 汚水浄化方法及び装置
KR101044826B1 (ko) 막 여과 생물반응조의 고도처리 효율을 높이는 운전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고도처리장치
KR101989883B1 (ko)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
KR20140132258A (ko) 생물학적 하수고도처리공법
KR101485500B1 (ko) 연속회분식과 막분리를 결합한 하폐수처리의 재이용 장치 및 방법
CN110392672B (zh) 具有内部固体分离的曝气反应器
KR100655471B1 (ko) 상향류 생물반응조와 가압형 분리막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CN205528260U (zh) 一种污水处理系统
KR20150016775A (ko) 농축 슬러지 처리 효율이 개선된 고도처리시스템
AU2020101380A4 (en) Milking parlour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