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835Y1 - 자연유하방식 침지식막분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연유하방식 침지식막분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835Y1
KR200295835Y1 KR2020020025336U KR20020025336U KR200295835Y1 KR 200295835 Y1 KR200295835 Y1 KR 200295835Y1 KR 2020020025336 U KR2020020025336 U KR 2020020025336U KR 20020025336 U KR20020025336 U KR 20020025336U KR 200295835 Y1 KR200295835 Y1 KR 200295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membrane separation
water
sent
mixed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송휴
김태영
황규대
Original Assignee
대한통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통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통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5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8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835Y1/ko

Links

Landscapes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연유하방식 침지식막분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막분리호기조의 전단에 안정화조와 무산소조를 각각 구비하고, 막분리호기조 내로 응집제를 첨가함과 함께 상기 막분리호기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흡인라인에 설치하도록 하여 막분리호기조로부터 반송되는 혼합액에 포함된 유리산소(O2)는 안정화조에서 제거됨과 함께 질소는 무산소조에서 제거되고, 막분리호기조에서는 응집제에 인이 응집되어 제거될 뿐만 아니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에 따라 처리수는 수두차에 의해 흡인라인을 통해 자연유하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유입되는 오·폐수에 포함된 모래나 작은 자갈들이 가라앉도록 하는 침사조(10)에서 보내지는 오·폐수의 조대 협잡물을 걸러내어 제거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스크린(21)을 갖는 스크린조(20)와, 상기 스크린조의 외측에 설치되어 스크린조에서 보내지는 오·폐수가 담겨지는 유량조정조(30)와, 상기 유량조정조의 외측에 설치되어 보내지는 오·폐수의 미세 협잡물을 걸러내어 제거하도록 하는 미세여과 스크린(40)과, 상기 미세여과 스크린의 외측에 설치되어 미세여과 스크린에서 보내지는 오·폐수와 혼합된 혼합액에 포함된 입자(부유물질)을 걸러내는 분리막 유니트(61)를 갖는 막분리호기조(60)와, 상기 막분리호기조의 외측에 설치되어 막분리호기조에서 흡입라인(150)을 통해 보내지는 혼합액이 처리된처리수가 담겨지는 처리수조(70)와, 상기 유량조정조의 외측에 설치되어 막분리호기조에서 보내지는 슬러지가 포함된 혼합액이 담겨지는 슬러지농축저류조(80)가 구비된 침지식막분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호기조(60)의 전단에는 상기 막분리호기조에서 반송되어 유입되는 혼합액에 포함된 산소(O2)를 제거하도록 하는 안정화조(100)가 설치되고, 상기 막분리호기조와 안정화조(100) 사이에는 미세여과 스크린(40)에서 보내지는 오·폐수와 안정화조(100)에서 보내지는 혼합액에 존재하는 질산성 질소를 탈질 미생물로 질소(N2)와 산소로 분리함과 함께 상기의 질소(N2)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여 제거하도록 하는 무산소조(110)가 설치되며, 상기 막분리호기조(60)의 외측에는 혼합액에 포함된 인을 제거하는 응집제(FeCl3또는 Al2(SO4)3등)가 담겨짐과 함께 상기의 응집제를 막분리호기조(60) 내의 혼합액으로 보내도록 하는 약품 탱크(140)가 설치되고, 상기 막분리호기조(60)에는 혼합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130)가 설치되며, 상기 흡인라인(150)에는 수위감지센서(130)와 연결됨과 함께 상기 수위감지센서(130)에서 보내는 감지신호에 따라 막분리호기조(60)에서 처리수조(70) 내로 흡인라인(150)을 통해 처리수가 흐르도록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120)가 설치된 것이다.

Description

자연유하방식 침지식막분리시스템{NATURE FLOWING AND DIPPING TYPE MEMBRANE SEPARATION SYSTEM}
본 고안은 오·폐수를 여과 및 처리하는 침지식막분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오·폐수에서 질소와 인을 완전 제거함과 함께 오·폐수가 깨끗한 상태로 처리된 처리수는 수두차에 의해 자연유하되도록 하는 자연유하방식 침지식막분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지식막분리시스템은 오·폐수의 입자를 걸러내어 여과함과 함께 상기 오·폐수를 깨끗하게 정화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침지식막분리시스템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오·폐수(원수(原水))가 유입되도록 설치되는 침사조(10)는 원수의 급격한 흐름을 막음과 함께 상기 원수에 포함된 모래나 작은 자갈(GRIT)이 가라앉도록 하며, 상기 원수는 침사조(10)의 외측에 설치된 스크린조(20)로 침사조(10)에서 보내진다.
상기 스크린조(20) 내에는 복수개의 스크린(21)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스크린조(20) 내로 유입된 원수에 포함된 조대 협잡물은 각 스크린(20)을 통과하면서 걸러져 제거된다.
상기 스크린조(20)의 외측에는 조대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가 유입되는 유량조정조(3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량조정조(30)의 외부에는 유량조정조(30) 내에서 보내지는 원수에 포함된 미세 협잡물을 걸러내어 제거하는 미세여과 스크린(4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유량조정조(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수펌프(31)가 설치되어있으며, 상기 원수펌프(31)의 구동에 따라 유량조정조(30) 내의 원수는 미세여과 스크린(40)으로 보내짐에 따라 상기 유량조정조(30) 내의 유량은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 때, 유량조정조(30) 내에는 원수펌프(31)에 연결되어 상기 유량조정조(30) 내의 유량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3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위감지센서(33)는 수위의 높고(HIGH) 낮음(LOW)만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된 신호는 원수펌프(31)로 전달되어 상기 원수펌프(31)는 작동 및 멈춰지게 된다.
즉, 수위감지센서(33)가 유량조정조(30) 내 원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원수의 수위가 높은 상태 즉, 유량조정조(30) 내에 원수가 어느정도 차 있으면 원수펌프(31)는 계속해서 작동하여 상기 유량조정조(30) 내의 원수를 미세여과 스크린(40)으로 보내게 되고, 상기 원수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원수펌프(31)는 작동하지 않다.
또한, 상기 유량조정조(30) 내에는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공기를 발생시키는 브로워(3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브로워(32)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유량조정조(30) 내에서는 수류현상이 발생된다.
상기 유량조정조(30)에서 보내져 미세여과 스크린(40)을 통과하면서 미세 협잡물이 걸러진 원수는 상기 유량조정조(30)의 외측에 설치된 폭기조(50) 내로 유입된다.
상기 폭기조(50) 내로 유입된 원수는 폭기조(50) 내의 혼합액 즉, 원수와 미생물이 혼합된 혼합액과 합쳐지게 되며, 상기 원수와 혼합액이 합쳐지게 됨에 따라상기 원수는 혼합액이 된다. 그러므로, 상기 폭기조(50) 내에는 혼합액이 담겨지게 된다.
상기 혼합액은 폭기조(50)의 외부에 설치된 브로워(52)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폭기되면서 수류현상이 발생되고, 이와 동시에 혼합액에 혼합된 미생물이 유기오염물질을 먹으므로 인해 상기 폭기조(50) 내에서는 유기오염물질이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폭기조(50)와 막분리호기조(60) 사이에 형성된 유로 즉, 슬리브를 통해서 상기 폭기조(50)의 외측에 설치된 막분리호기조(60) 내로 혼합액이 유입된다.
상기 막분리호기조(60) 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리막 유니트(6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막분리호기조(60) 내로 유입된 혼합액은 상기 분리막 유니트(61)를 통과하면서 상기 혼합액에 포함된 부유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즉, 막분리호기조(60)의 외부에 흡인펌프(90)가 분리막 유니트(61)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흡인펌프(9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에 따라 막분리호기조(60) 내의 혼합액은 분리막 유니트(61) 내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된 혼합액은 분리막 유니트(61)를 통과하면서 부유물질이 걸리지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막분리호기조(60) 내의 혼합액에는 미생물이 있으므로 인해 상기 미생물에 의해 유기오염물질이 제거됨에 따라 상기 분리막 유니트(61)를 통과한 혼합액은 부유물질과 유기오염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상태인 처리수로 생성된다.
상기 생성된 처리수는 계속해서 작동되는 흡인펌프(90)의 구동에 따라 흡인라인(150)을 통해 흡인펌프(90)를 통과하여 상기 막분리호기조(60)의 외측에 설치된 처리수조(70) 내로 유입된다.
상기 처리수조(70) 내로 유입된 처리수는 상기 처리수조(70) 내로 첨가되는 소독제(71)에 의해 소독됨은 물론 상기 처리수조(70)의 외부에 설치된 브로워(72)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수류현상이 발생되면서 상기 발생되는 수류현상에 의하여 처리수와 소독제(71)가 원활하게 혼합된다.
그리고, 소독처리된 처리수는 상기 처리수조(70)의 외부에 수위감지센서(74)가 설치됨과 함께 상기 처리수조(70)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류펌프(7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위감지센서(74)에서 처리수조(70) 내의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수위가 높으면 방류펌프(73)를 작동시켜 처리수조(70)의 외부로 처리수를 방류하고, 상기 수위가 낮으면 방류펌프(73)의 작동을 멈춤에 따라 상기 처리수가 처리수조(70) 내에 담겨지도록 한다.
한편, 막분리호기조(60) 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송펌프(6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반송펌프(63)에 의해 막분리호기조(60) 내의 혼합액은 폭기조(50) 내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혼합액은 미세여과 스크린(40)을 통과한 원수와 합쳐진 상태에서 미생물에 의해 유기오염물질이 제거된 상태인 혼합액이 막분리호기조(60) 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침지식막분리시스템이 작동되는 동안에 계속해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막분리호기조(60)에는 수위감지센서(6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위감지센서(64)는 막분리호기조(60)의 혼합액 수위를 감지함은 물론 막분리호기조(60) 내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즉, 상기 유량조정조(30)의 수위가 높고 상기 막분리호기조(60) 내의 혼합액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상기 수위감지센서(64)는 유량조정조(30)의 원수펌프(31)로 감지신호를 보내 계속해서 원수를 보내도록 함과 함께 상기 흡인펌프(90)로 감지신호를 보내어 상기 흡인펌프(90)의 작동을 멈추도록 함에 따라 상기 막분리호기조(60)에서 처리수가 처리수조(7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다.
그리고, 상기 유량조정조(30)의 수위가 낮고 상기 막분리호기조(60) 내의 혼합액 수위가 높으면 원수펌프(31)는 중지되며, 흡인펌프(90)가 작동되어 처리수는 막분리호기조(60)에서 처리수조(70)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막분리호기조(60) 내의 혼합액에 존재하는 미생물(MLSS: Mixed Liquor Suspended Solid)의 농도가 일정농도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상기 미생물 농도가 적정농도를 넘어서게 되면(시료 채취에 의한 결과) 수작업을 통해 상기 폭기조(50) 내로 보내지는 라인을 차단함과 동시에 슬러지농축저류조(80) 내로 보내지는 라인을 개방함에 따라 상기 반송펌프(63)에 의해 반송되는 혼합액은 폭기조(50) 내로 유입되지 않고 슬러지농축저류조(80) 내로 유입된다.
상기 슬러지농축저류조(80)의 외부에는 브로워(8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브로워(82)에서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슬러지농축저류조(80) 내에서 수류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슬러지농축저류조(80) 내로 유입된 혼합액에 포함된 슬러지가 슬러지농축저류조(80) 내의 바닥으로 가라앉아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슬러지농축저류조(80) 내의 슬러지의 양이 많아지면 상기 슬러지를 슬러지농축저류조(80)의 외부로 반출하며, 상기 슬러지농축저류조(80)의 상등수는 상기 슬러지농축저류조(80)의 외측에 설치된 유량조정조(30) 내로 슬리브(81)를 통해 보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침지식막분리시스템은 분리막 유니트에 의해서 부유물질과 유기오염물질의 제거에는 탁월하다고 할 수 있으나 방류수수질기준이 강화되는데 반해 상기의 시스템으로는 혼합액에 포함된 수종의 질소 또는 인의 제거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인해 상기의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처리수를 방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분리막 유니트만으로는 오·폐수에 포함된 질소 또는 인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는데, 상기 질소를 완전하게 제거하지 못하므로 인해 질산화만을 일으키게 되어 오히려 수중 미생물이 흡수하기 좋은 형태로 변형되며, 상기 인의 경우에는 미생물이 미량만을 흡수하기 때문에 거의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러므로 인해, 질소와 인 등과 같은 물질이 포함된 처리수가 방류됨에 따라 하천이나 토양을 오염시키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해 동식물도 오염될 뿐만 아니라 이를 섭취하는 사람에게도 많은 해를 끼치게 되고, 자연환경이 파괴되는 등 많은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침지식막분리활성슬러지시스템에서 처리수를 생성하기 위해 분리막 유니트 내로 원수를 유입시키기 위해 흡인펌프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흡인펌프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동력비 및 전력비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설치비가 많이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막분리호기조의 전단에 안정화조와 무산소조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막분리호기조 내로 응집제를 첨가하는 약품탱크를 구비하도록 하여 막분리호기조로부터 반송되는 혼합액에 포함된 유리산소(O2)는 안정화조에서 제거함과 함께 질소는 무산조에서 제거되고, 상기 막분리호기조에서는 응집제와의 반응으로 인해 상기 응집제에 오·폐수에 포함된 인이 응집되어 제거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막분리호기조와 처리수조 사이의 흡인라인에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막분리호기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 막분리호기조의 수위를 감지한 수위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폐됨은 물론 막분리호기조와 처리수조 간의 수두차에 의해 상기 막분리호기조에서 처리수조 내로 흡인라인을 통해 처리수가 자연유하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침지식막분리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침지식막분리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침사조 20: 스크린조
21: 스크린 30: 유량조정조
31: 원수펌프 32,62,72,82: 브로워
33,64,74: 수위감지센서 34,101,111: 수류교반기
40: 미세여과 스크린 60: 막분리호기조
61: 분리막 유니트 63: 반송펌프
70: 처리수조 71: 소독제
73: 방류펌프 80: 슬러지농축저류조
100: 안정화조 110: 무산소조
120: 솔레노이드 밸브 130: 수위감지센서
140: 약품 탱크 150: 흡인라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유입되는 오·폐수에 포함된 모래나 작은 자갈들이 가라앉도록 하는 침사조에서 보내지는 오·폐수의 조대 협잡물을 걸러내어 제거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스크린을 갖는 스크린조와, 상기 스크린조의 외측에 설치되어 스크린조에서 보내지는 오·폐수가 담겨지는 유량조정조와,상기 유량조정조의 외측에 설치되어 보내지는 오·폐수의 미세 협잡물을 걸러내어 제거하도록 하는 미세여과 스크린과, 상기 미세여과 스크린의 외측에 설치되어 미세여과 스크린에서 보내지는 오·폐수와 혼합된 혼합액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분리막 유니트를 갖는 막분리호기조와, 상기 막분리호기조의 외측에 설치되어 막분리호기조에서 흡입라인을 통해 보내지는 혼합액이 처리된 처리수가 담겨지는 처리수조와, 상기 유량조정조의 외측에 설치되어 막분리호기조에서 보내지는 슬러지가 포함된 혼합액이 담겨지는 슬러지농축저류조가 구비된 침지식막분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호기조의 전단에는 막분리호기조에서 반송되어 유입되는 혼합액에 포함된 산소(O2)를 제거하도록 하는 안정화조가 설치되고, 상기 막분리호기조와 안정화조 사이에는 미세여과 스크린에서 보내지는 오·폐수와 안정화조에서 보내지는 혼합액에 존재하는 질산성 질소를 탈질 미생물로 질소(N2)와 산소로 분리함과 함께 상기의 질소(N2)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여 제거하도록 하는 무산소조가 설치되며, 상기 막분리호기조의 외측에는 혼합액에 포함된 인을 제거하는 응집제가 담겨짐과 함께 상기의 응집제를 막분리호기조 내의 혼합액으로 보내도록 하는 약품 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막분리호기조에는 혼합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흡인라인에는 수위감지센서와 연결됨과 함께 상기 수위감지센서에서 보내는 감지신호에 따라 막분리호기조에서 처리수조 내로 흡인라인을 통해 처리수가 흐르도록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유하방식 침지식막분리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침지식막분리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유입되는 오·폐수(원수(原水))의 급격한 흐름을 막음과 함께 원수에 포함된 모래나 작은 자갈(GRIT)이 가라앉도록 하는 침사조(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침사조(10)의 외측에는 침사조(10)에서 보내지는 원수가 유입되는 스크린조(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조(20) 내에는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조대 협잡물을 걸러내어 제거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스크린(2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조(20)의 외측에는 스크린조(20)에서 보내지는 조대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가 유입됨과 함께 상기 유입되는 원수를 교반시키는 즉, 수류현상을 발생시키는 수류 교반기(34)를 갖는 유량조정조(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량조정조(30)에는 유량조정조(30) 내로 유입된 원수의 수위를 감지 즉, 수위의 높고 낮음만을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3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량조정조(30) 내에는 상기 수위감지센서(33)와 연결되어 상기 수위감지센서(33)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작동하면서 원수를 유량조정조(30)의 외측으로 계속해서 배출함과 함께 작동이 중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수펌프(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량조정조(30)의 외부에는 유량조정조(30)의 원수펌프(31)와 연결되어 상기 원수펌프(31)에 의해 유량조정조(30)에서 원수가 보내짐과 함께 상기 보내지는 원수에 포함된 미세 협잡물을 걸러내어 제거하도록 하는 미세여과 스크린(40)이설치되어 있다.
상기 미세여과 스크린(40)의 외측에는 상기 미세여과 스크린(40)에서 라인을 통해 미세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가 유입되는 무산소조(1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무산소조(110)에는 원수와 탈질 미생물이 혼합된 혼합액이 있음에 따라 상기 미세여과 스크린(40)을 통과하여 무산소조(110)로 보내지는 원수는 혼합액과 합쳐짐에 따라 혼합액으로 생성된다.
상기 무산소조(110)의 혼합액에는 탈질 미생물이 있어서, 상기 탈질 미생물은 혼합액에 포함된 유기오염물질을 먹어 일부 제거함과 함께 미세여과 스크린(40)에서 무산소조(110) 내로 유입되는 오·폐수(원수)와 후술할 안정화조(100)에서 보내지는 혼합액에 존재하는 질산성 질소(NO3-N)를 질소(N2)와 산소(O2)로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질소는 대기 중으로 방출되므로 인해 상기 무산소조(110) 내에는 질산성 질소가 제거되는 탈질화현상이 일어난다.
상기 무산소조(110) 내에는 후술할 안정화조(100)에서 보내지는 산소가 제거된 혼합액과 미세여과 스크린(40)을 통과하여 보내지는 원수 그리고, 무산소조(110) 내의 혼합액과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혼합액을 교반 즉, 수류현상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수류 교반기(1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무산소조(110)의 후단에는 질산성 질소가 제거된 혼합액이 유입되어 상기 유입된 혼합액의 입자 즉, 부유물질을 걸러내어 제거함은 물론 미생물에 의해 유기오염물질이 제거되고, 혼합액에 포함된 인성분물질(PO4 3-)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상기 혼합액에 존재하는 암모니아성질소(NH3-N)와 아질산성질소(NO2-N)가 공급되는 공기와 질산화(Nitrification)반응에 의해 질산성질소(NO3-N)로 전환되도록 하는 막분리호기조(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막분리호기조(60) 내에는 막분리호기조(60) 내로 유입된 혼합액을 통과시켜 상기 통과되는 혼합액에서 혼합액의 입자 즉, 부유물질을 걸러내어 제거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막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리막 유니트(6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리막 유니트(61)에 의해 혼합액에 포함된 부유물질과 미생물을 걸러내어 제거하는 과정에 혼합액은 고체(부유물질과 탈질 미생물)와 액체로 분리되어 상기 고체는 분리막 유니트(61)를 통과하므로 인해 생성되는 처리수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막분리호기조(60)의 외측에는 상기 분리막 유니트(61)와 연결되어 상기 분리막 유니트(61)의 각 막에 혼합액의 부유물질이 들러붙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막분리호기조(60) 내에서 혼합액이 교반되게 즉, 수류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미생물에게 공기를 공급하는 브로워(6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막분리호기조(60)의 외측에는 상기 막분리호기조(60) 내로 유입된 혼합액에 포함되어 존재하는 인성분물질(PO4 3-)을 제거하도록 응집제가 담겨짐과 함께 상기 응집제를 막분리호기조(60)의 혼합액에 혼합되도록 상기 응집제를 보내는 즉, 투입하는 약품 탱크(14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약품 탱크(140)에서 막분리호기조(60) 내로 보내지는 응집제에 인성분물질(PO4 3-)이 서로 응집됨에 따라 상기 응집된 응집제와 인은 고형화된다.
상기 응집제로는 인성분물질과의 응집 즉, 서로 뭉쳐지기 쉬운 성분인 FeCl3또는 Al2(SO4)3등을 사용하며, 상기 응집제로는 상기의 물질 뿐만 아니라 인과의 응집이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막분리호기조(60) 내에는 유입되는 혼합액에 포함된 암모니아성질소(NH3-N)와 아질산성질소(NO2-N) 성분이 막분리호기조(60) 내로 공기가 공급되는 즉, 호기성상태에서 질산화(Nitrification)과정을 거치면서 질산성질소(NO3-N)성분으로 전환되고, 상기 전환된 질산성질소가 포함된 혼합액을 막분리호기조(60)의 외측으로 반송시키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송펌프(6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막분리호기조(60)의 분리막 유니트(61)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막분리호기조(60)와 후술할 처리수조(70) 사이에는 상기 막분리호기조(60)에서 처리수조(70)로 처리수가 흐르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흡인라인(15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인라인(150)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흡인라인(150) 내의 처리수 흐름을 진행 및 차단시키도록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1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막분리호기조(60)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20)와 연결되어 상기 막분리호기조(60) 내의 혼합액의 수위를 감지함과 함께 상기 감지된 신호를 솔레노이드 밸브(120)로 전달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하는 수위감지센서(1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위감지센서(130)는 막분리호기조(60)의 혼합액 수위를 낮음(L)과 높음(H) 그리고 더 높음(HH)으로 감지하게 되는데, 상기 무산소조(110)에서 막분리호기조(60)로 계속해서 유입되는 혼합액의 수위를 수위감지센서(130)가 감지한다.
즉, 상기 유량조정조(30)의 수위가 높고 막분리호기조(60)의 혼합액 수위가 낮을 경우(L)에는 원수펌프(31)는 작동됨과 함께 후술할 솔레노이드 밸브(120)를 닫아 처리수조(70)로 처리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유량조정조(30)의 수위가 높고 막분리호기조(60)의 혼합액 수위가 높을 경우(H)에는 원수펌프(31)와 작동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는 열리므로 인해 처리수는 처리수조(70)로 유입된다.
또한, 유량조정조(30)의 수위가 높고 상기 막분리호기조(60)의 혼합액의 수위가 더 높을 경우(HH)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20)를 열어 처리수조(70)로 처리수를 보냄과 동시에 원수펌프(31)를 정지시켜 무산소조(110)로 원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 때, 유량조정조(30)의 수위가 낮을 경우에는 막분리호기조(60) 내의 혼합액 수위가 낮더라도 원수펌프(31)는 작동되지 않는다.
상기 무산소조(110) 전단에는 반송펌프(63)에 의해 반송되는 막분리호기조(60) 내의 질산성질소가 포함된 혼합액이 유입되어 상기 혼합액에 포함된 과량의 유리산소 즉, 산소(O2)를 제거함과 함께 상기 산소가 제거된 혼합액을 무산소조(110)로 보내는 안정화조(1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정화조(100) 내에는 막분리호기조(60)에서 보내지는 혼합액이 안정화조(100) 내에서 침전 및 농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혼합액을 교반되도록 수류현상을 발생시키는 수류 교반기(101)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정화조(100)와 무산소조(110) 및 막분리호기조(60) 내의 혼합액이 흐르는 상태를 간략하게 다시 설명하면, 상기 무산소조(110) 내로 유입된 혼합액은 탈질화가 이루어져서 질소가 제거되고, 상기 질소가 제거된 혼합액은 막분리호기조(60)로 유입되어 상기 막분리호기조(60)에서 인이 제거되며, 상기 인이 제거된 혼합액은 안정화조(100)로 유입되어 상기 안정화조(100)에서 과량의 유리산소(O2)가 제거되고, 상기 유리산소(O2)가 제거된 혼합액은 무산소조(110)로 유입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는 침지식막분리시스템이 작동되는 동안에 계속해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막분리호기조(60)의 외측에는 막분리호기조(60) 내의 분리막 유니트(61)에서 혼합액이 깨끗한 상태로 처리된 즉, 질소와 인이 제거됨은 물론 부유물질과 유기오염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처리수가 유입됨과 함께 상기 유입된 처리수에 소독제(71)를 첨가하여 상기 처리수를 소독하도록 하는 처리수조(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처리수조(70) 내에는 소독된 처리수를 처리수조(70)의 외측로 방류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류펌프(7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류펌프(73)와 연결됨과 함께 처리수조(70)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7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수조(70)의 외측에는 처리수가 교반 즉, 수류현상일 발생됨은 물론 첨가되는 소독제(71)와 처리수와 원활하게 혼합되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브로워(7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막분리호기조(60)의 반송펌프(63)에 의해 반송되는 슬러지가 포함된 혼합액이 유입됨(MLSS농도가 높을 경우)은 물론 상기 혼합액에 포함된 슬러지를 반출하도록 상기 슬러지가 포함된 혼합액이 담겨지는 슬러지농축저류조(8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침지식막분리시스템을 장기간 운영함에 따라 막분리호기조(60) 내의 혼합액의 농도가 증가 즉, 인성분물질이 계속해서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적절한 농도를 유지하도록 응집된 인성분물질은 반송펌프(63)의 펌핑력에 의해 혼합액과 함께 슬러지농축저류조(80)로 보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반송펌프(63)에 의해 막분리호기조(60) 내에서 반송되는 혼합액은 개폐되는 밸브(a)에 의해 무산소조(110)나 슬러지농축저류조(80)로 보내지는 것이 조절된다.
상기 슬러지농축저류조(80)의 외측에는 유입된 혼합액에 포함된 슬러지가 바닥에 가라앉아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슬러지농축저류조(80)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브로워(8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러지농축저류조(80) 내의 상등수즉, 슬러지가 제거된 상태의 혼합액은 슬리브(81)를 통해 유량조정조(30) 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오·폐수(원수(原水))는 침사조(10) 내로 유입되어 상기 침사조(10)에서 원수가 급격하게 흐르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원수에 포함된 모래나 작은 자갈이 가라앉도록 된다.
그런 후에, 침사조(10)에서 스크린조(20)로 원수가 보내짐에 따라 상기 원수는 스크린조(20)의 각 스크린(21)을 통과하면서 원수에 포함된 조대 협잡물은 걸러져 제거되며, 상기 조대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는 유량조정조(30) 내로 유입된다.
상기 유량조정조(30)의 유량은 수위감지센서(33)에 의해 수위가 감지되다가 상기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상기 수위감지센서(33)에서는 감지신호를 원수펌프(31)로 보내게 됨에 따라 상기 원수펌프(31)가 작동되므로 인해 상기 유량조정조(30) 내의 원수는 원수펌프(31)의 펌핑력에 의해 미세여과 스크린(40)으로 보내진다.
상기 미세여과 스크린(40)으로 유입된 원수는 미세여과 스크린(40)을 통과하면서 상기 원수에 포함된 미세 협잡물이 걸러져 제거되며, 상기 미세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는 무산소조(110) 내로 보내진다.
상기 무산소조(110) 내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무산소조(110) 내에 담겨져 있는 혼합액 즉, 탈질 미생물이 포함된 혼합액과 합쳐지면서 혼합액으로 생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무산소조(110)로 유입되는 원수는 무산소조(110) 전단에 설치된 안정화조(100)에서 보내지는 산소(O2)가 제거된 혼합액과 합쳐지게 되고, 상기 합쳐진 혼합액에 포함된 질산성 질소는 무산소조(110) 내에 있는 탈질 미생물에 의해 탈질화가 일어나면서 질소(N2)와 산소(O2)로 분리된다.
상기의 질소는 무산소조(110)의 외측으로 방출됨과 함께 상기 탈질 미생물에 의해 혼합액에 포함된 유기오염물질도 상당부분 제거된다.
이 때, 무산소조(110) 내의 탈질 미생물이 활동하는데 필요한 유기탄소원은 유입되는 원수 내의 유기물질로부터 충분히 충당하게 된다.
여기서, 무산소조(110) 내에는 수류교반기(11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류교반기(111)는 미세여과 스크린(4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원수와 막분리호기조(60)에서 반송되어 안정화조(100)에서 산소가 제거된 상태로 유입되는 혼합액을 적절히 혼합함은 물론 탈질화가 원활하게 일으키도록 상기 혼합액을 교반 즉, 수류현상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유기오염물질과 질소(N2)가 제거된 혼합액은 막분리호기조(60)로 보내지고, 상기 막분리호기조(60) 내로 유입된 탈질화된 혼합액에는 유기오염물질과 부유물질 및 인성분물질, 암모니아성질소(NH3-N), 아질산성질소(NO2-N)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의 물질 및 질소를 제거하여야 하는데, 즉 유기오염물질은 탈질 미생물이 먹어 치움으로 제거되고, 상기 부유물질은 막분리호기조(60) 내에 설치된 분리막 유니트(61)를 통과하면서 상기 분리막 유니트(61)의 각 막에 의해 걸려지면서 제거된다.
상기 암모니아성질소와 아질산성질소는 막분리호기조(60)의 외측에 설치되어 분리막 유니트(61)로 공기를 공급하는 브로워(62)에서 보내지는 공기에 의한 질산화(Nitrification)과정을 거치면서 질산성질소(NO3-N)성분으로 전환된다.
상기의 질산성질소성분이 포함된 혼합액은 반송펌프(63)에 의해 안정화조(100)로 보내지고, 상기 안정화조(100)에서는 안정화조(100) 내로 반송된 혼합액에 포함된 과량의 산소(O2)를 제거한 후 상기 산소가 제거된 혼합액을 무산소조(110)로 보내게 된다.
이 때, 안정화조(100) 내에는 수류교반기(10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류교반기(101)는 혼합액에 포함된 슬러지가 안정화조(100) 내로 침전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안정화조(100)로 반송된 혼합액과 상기 안정화조(100) 내의 혼합액이 서로 원활하게 혼합되도록 상기의 혼합액이 교반되도록 수류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막분리호기조(60) 내의 인성분물질은 대체로 PO4 3-의 형태로 존재하며, 상기 인성분물질은 약품 탱크(140)로부터 막분리호기조(60)로 투입되는 응집제에 의해 상기 인이 제거된다.
다시 말해, 투입되는 응집제에 인성분물질이 붙게 되어 상기 인성분은 응집제에 응집되면서 고형화되어 막분리호기조(60) 내의 바닥에 가라앉게 된다.
여기서, 침지식막분리시스템을 장기간 사용하면 막분리호기조(60) 내의 농도 즉, 응집된 인성분과 탈질 미생물(MLSS)이 농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상기 막분리호기조(60)의 농도를 일정학 유지하기 위해서(5,000~10,000㎎/ℓ) 상기 막분리호기조(60) 내에 설치된 반송펌프(63)를 작동시켜 막분리호기조(60) 내의 인성분이 응집된 고형화된 물질과 슬러지 등이 포함된 혼합액을 슬러지농축저류조(80)로 보낸다.
상기 슬러지농축저류조(80) 내로 유입된 혼합액에 포함된 슬러지는 브로워(82)에서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바닥에 가라앉아 고착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혼합액에 포함된 고형화된 인성분 및 슬러지는 슬러지농축저류조(80)의 외부로 반출됨과 함께 상기 슬러지농축저류조(80) 내의 상부에 위치하는 혼합액인 상등수는 슬리브(81)를 통해 유량조정조(30) 내로 보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막분리호기조(60) 내의 혼합액 즉, 인성분이 제거됨과 함께 질소 및 유기오염물질이 제거된 혼합액은 상기 막분리호기조(60)의 분리막 유니트(61)를 통과하면서 혼합액에 포함된 부유물질이 걸려져 제거되며, 상기의 물질이 제거되어 깨끗하게 처리된 혼합액 즉, 처리수는 흡인라인(150)을 통해 처리수조(70) 내로 보내진다.
이 때, 상기 흡인라인(150)의 소정위치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2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는 막분리호기조(60) 내의 혼합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130)에 의해 개폐된다.
즉, 막분리호기조(60) 내의 혼합액의 수위가 높아지면 수위감지센서(130)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솔레노이드 밸브(120)로 보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를 열도록 하여 상기 막분리호기조(60)에서 처리수조(70)로 처리수가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막분리호기조(60)의 혼합액의 수위가 낮으면 수위감지센서(130)에서는 감지신호를 솔레노이드 밸브(120)로 보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를 닫도록 하여 상기 처리수조(70)로 처리수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막분리호기조(60) 내의 혼합액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H 또는 HH) 이를 감지한 수위감지센서(130)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120)로 감지신호를 보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를 열도록 함에 따라 상기 막분리호기조(60) 내에서 질소와 인과 유기오염물질이 제거된 혼합액이 분리막 유니트(61)로 유입되어 부유물질이 걸러진 깨끗한 상태의 처리수가 흡인라인(150) 내를 흐르면서 솔레노이드 밸브(120)를 통과한 후 처리수조(70) 내로 보내진다.
이는, 상기 수위가 높아진 막분리호기조(60) 내의 혼합액이 상기 수위가 낮은 처리수조(70) 내로 수두차로 인해 자연스럽게 흐르게 즉, 자연유하되는 것이다.
상기 처리수조(70) 내로 처리수가 유입됨과 함께 상기 처리수조(70)의 외부에서 소독제(71)가 첨가됨에 따라 상기 처리수조(70) 내의 처리수는 소독제(71)에 의해 소독된다.
그리고, 상기 소독된 처리수는 처리수조(70)의 수위감지센서(74)에 의해 감지되어 상기 처리수조(70) 내의 처리수의 수위가 높아지면 방류펌프(73)를 작동시켜 상기 소독처리된 처리수를 처리수조(70)의 외부로 방류하게 된다.
상기의 내용을 간략하게 다시 설명하면, 무산소조(110) 내로 유입된 원수는 혼합액으로 생성되고, 상기 혼합액에 포함된 질소는 무산소조(110)에서 탈질 미생물에 의해 제거되고, 상기 질소가 제거된 혼합액은 막분리호기조(60) 내로 유입되어 상기 막분리호기조(60) 내에서 투입되는 응집제에 혼합액에 포함된 인이 고형화상태로 응집되어 제거되며, 상기 질소와 인이 제거된 혼합액은 안정화조(100)로 보내져서 혼합액에 포함된 과량의 산소를 제거한 다음 상기 산소가 제거된 혼합액은 다시 무산소조(110) 내로 보내져서 질소가 제거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는 침지식막분리시스템이 동작되는 동안 계속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막분리호기조(60)에서 미생물에 의해 유기오염물질이 제거됨과 함께 질소와 인이 제거된 혼합액은 분리막 유니트(61)로 유입되어 부유물질이 걸러진 깨끗한 상태의 처리수로 생성되고, 상기 처리수는 수위감지센서(1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120)가 개폐됨과 함께 상기 막분리호기조(60)와 처리수조(70) 간의 수두차에 의해 자연유하방식으로 막분리호기조(60)에서 처리수조(70)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침지식막분리시스템으로 원수가 계속해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원수가 깨끗한 상태로 처리된 처리수를 침지식막분리시스템의 외부로 계속해서 방출되는 과정이 이루어질 때 지속적으로 행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의 자연유하방식 침지식막분리시스템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막분리호기조의 전단에 안정화조와 무산소조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막분리호기조 내로 인을 응집하는 응집제를 첨가하는 약품탱크를 구비함으로써, 안정화조에서는 오·폐수에 포함된 과량의 유리산소(O2)를 제거함과 함께 상기 무산소조에서는 탈질화현상이 일어나면서 오·폐수에 포함된 질소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상기 막분리호기조에서는 투입되는 응집제와 오·폐수에 포함된 인성분물질이 반응되면서 상기 응집제에 인이 응집됨에 따라 침지식막분리시스템에서는 부유물질이나 유기오염물질이 제거됨은 물론 질소와 인성분이 완전히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침지식막분리시스템에 의해 처리된 처리수를 자연으로 방류하여도 하천이나 토양 및 대기가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 및 사람의 건강을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막분리호기조와 처리수조 사이의 흡인라인에 상기 막분리호기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막분리호기조 내의 혼합액의 수위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폐되면서 상기 막분리호기조와 처리수조 간의 수두차에 의해 흡인라인을 통해 처리수가 자연유하되어 처리수조 내로 유입되므로 인해 동력비 및 전력비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침지식막분리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함에 따라 전체적인 유지관리비가 저렴하면서 설치비가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유입되는 오·폐수에 포함된 모래나 작은 자갈들이 가라앉도록 하는 침사조에서 보내지는 오·폐수의 조대 협잡물을 걸러내어 제거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스크린을 갖는 스크린조와, 상기 스크린조의 외측에 설치되어 스크린조에서 보내지는 오·폐수가 담겨지는 유량조정조와, 상기 유량조정조의 외측에 설치되어 보내지는 오·폐수의 미세 협잡물을 걸러내어 제거하도록 하는 미세여과 스크린과, 상기 미세여과 스크린의 외측에 설치되어 미세여과 스크린에서 보내지는 오·폐수와 혼합된 혼합액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분리막 유니트를 갖는 막분리호기조와, 상기 막분리호기조의 외측에 설치되어 막분리호기조에서 흡입라인을 통해 보내지는 혼합액이 처리된 처리수가 담겨지는 처리수조와, 상기 유량조정조의 외측에 설치되어 막분리호기조에서 보내지는 슬러지가 포함된 혼합액이 담겨지는 슬러지농축저류조가 구비된 침지식막분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호기조의 전단에는 막분리호기조에서 반송되어 유입되는 혼합액에 포함된 산소(O2)를 제거하도록 하는 안정화조가 설치되고,
    상기 막분리호기조와 안정화조 사이에는 미세여과 스크린에서 보내지는 오·폐수와 안정화조에서 보내지는 혼합액에 존재하는 질산성 질소를 탈질 미생물로 질소(N2)와 산소로 분리함과 함께 상기의 질소(N2)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여 제거하도록 하는 무산소조가 설치되며,
    상기 막분리호기조의 외측에는 혼합액에 포함된 인을 제거하는 응집제가 담겨짐과 함께 상기의 응집제를 막분리호기조 내의 혼합액으로 보내도록 하는 약품 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막분리호기조에는 혼합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흡인라인에는 수위감지센서와 연결됨과 함께 상기 수위감지센서에서 보내는 감지신호에 따라 막분리호기조에서 처리수조 내로 흡인라인을 통해 처리수가 흐르도록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유하방식 침지식막분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안정화조와 무산소조 내에는 슬러지의 침전이나 농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류교반기가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유하방식 침지식막분리시스템.
KR2020020025336U 2002-08-26 2002-08-26 자연유하방식 침지식막분리시스템 KR200295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336U KR200295835Y1 (ko) 2002-08-26 2002-08-26 자연유하방식 침지식막분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336U KR200295835Y1 (ko) 2002-08-26 2002-08-26 자연유하방식 침지식막분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835Y1 true KR200295835Y1 (ko) 2002-11-22

Family

ID=7307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336U KR200295835Y1 (ko) 2002-08-26 2002-08-26 자연유하방식 침지식막분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83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680B1 (ko) 2009-05-15 2009-11-11 주식회사 한화건설 수위자동제어 수문을 이용한 침지식 막여과 정수처리장치
KR100955799B1 (ko) * 2009-10-26 2010-04-30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수처리를 위한 여과장치
KR101817471B1 (ko) * 2016-06-20 2018-02-21 김승제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KR20190033317A (ko) * 2017-09-21 2019-03-29 주식회사 신우엔지니어링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680B1 (ko) 2009-05-15 2009-11-11 주식회사 한화건설 수위자동제어 수문을 이용한 침지식 막여과 정수처리장치
KR100955799B1 (ko) * 2009-10-26 2010-04-30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수처리를 위한 여과장치
KR101817471B1 (ko) * 2016-06-20 2018-02-21 김승제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KR20190033317A (ko) * 2017-09-21 2019-03-29 주식회사 신우엔지니어링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KR102059988B1 (ko) * 2017-09-21 2019-12-27 주식회사 신우엔지니어링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77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membrane filters
KR101467476B1 (ko) 유기물 함유수의 생물처리방법
AU20012807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membrane filters
KR100784933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유기물 및 질소 처리 장치
KR20000067737A (ko) 물의 정화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4793635B2 (ja) 有機性汚水の再生方法
KR100602151B1 (ko) 바이오블럭 담체를 이용한 음식물 침출수 처리 시스템
KR200295835Y1 (ko) 자연유하방식 침지식막분리시스템
KR101278475B1 (ko) 선회류식 무기슬러지 분리배출장치와 생물반응조를 결합한 슬러지처리장치
KR100453646B1 (ko)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
JPH05169090A (ja) 生物活性炭処理塔の硝化菌供給装置
KR20090052946A (ko) 기름성분 및 염분을 포함한 폐수 처리장치 및 폐수처리방법
JP3456022B2 (ja) 汚水処理設備
KR20040082186A (ko) 오·폐수 고도처리용 침지식막분리시스템
KR200295836Y1 (ko) 질소와 인성분을 제거하는 침지식막분리시스템
KR101679603B1 (ko) 세정분말과 침지형 분리막 모듈을 이용한 수 처리장치
JP2001047089A (ja) 汚水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JP4031597B2 (ja) 排水からの窒素の除去方法
KR100846693B1 (ko) 호기탈질을 이용한 축산폐수처리장치
JP4019277B2 (ja) 漁港や魚市場等から発生する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100469641B1 (ko)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장치
JP2003094088A (ja) 水処理装置
KR20030076549A (ko) 스트루바이트 침전을 이용한 영양염류 처리장치
JP2006305555A (ja) 排水処理装置および排水処理方法
JP2759308B2 (ja) 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