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3646B1 -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53646B1 KR100453646B1 KR10-2002-0044569A KR20020044569A KR100453646B1 KR 100453646 B1 KR100453646 B1 KR 100453646B1 KR 20020044569 A KR20020044569 A KR 20020044569A KR 100453646 B1 KR100453646 B1 KR 1004536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membrane separation
- raw water
- immersed
- supplie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1 nitrate nitrogen Chemical compound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1112 coagula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701 coagul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2
- XLYOFNOQVPJJNP-ZSJDYOACSA-N water-d2 Chemical compound [2H]O[2H] XLYOFNOQVPJJNP-ZSJDYOAC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IJGRMHOSHXDMSA-UHFFFAOYSA-N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471 micro-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41000276438 Gadus morhu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516 c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57 persistent organic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CVTZKFWZDBJAHE-UHFFFAOYSA-N [N].N Chemical compound [N].N CVTZKFWZDBJAH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12 1,5-cyclooc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IOVCWXUNBOPUCH-UHFFFAOYSA-N nitrous acid Chemical compound ON=O IOVCWXUNBOPU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QPLMRYTRLFLPF-UHFFFAOYSA-N nitrous oxide Inorganic materials [O-][N+]#N GQPLMRYTRLFLP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38—Liquid-membrane sepa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00—Gravity filters
- B01D23/20—Feed or discharge devi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수로서 오폐수인 원수가 유입되는 침사조(1); 상기 침사조(1)에 유입된 원수가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침사조(1)의 원수를 자연적으로 공급받는 스크린조(2); 상기 스크린조(2)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되어 상기 스크린조(2)에서 여과된 원수를 자연낙하에 의해 공급받는 유량조정조(3); 상기 유량조정조(3)에 유입되어 있는 원수가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유량조정조(3)의 원수를 상기 유량조정조(3) 내에 침지되어 있는 원수펌프(12)에 의해 미세여과스크린(14)을 경유하여 공급받는 혐기조(4); 상기 혐기조(4)에 유입된 원수가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혐기조(4)의 원수를 자연적으로 공급받는 무산소조(5)로서, 무산소조 내의 혼합액을 상기 무산소조(5)에 침지되어 있는 반송펌프(15)에 의해 상기 혐기조(4)에 공급하는 상기 무산소조(5); 상기 무산소조(5)에 저장된 혼합액이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무산소조(5)의 혼합액을 자연적으로 공급받는 막분리호기조(6);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침지된 상기 분리막 유니트(16)에 의해 고액분리되어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남은 질산성질소성분 및 슬러지를 함유한 잔존물이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막분리호기조(6)의 잔존물을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침지되어 있는 반송펌프(15)에 의해 공급받고, 그리고 그 공급받은 잔존물을 상기 무산소조(5)의 측부에 배치되어 자연적으로 상기 무산소조(5)에 이송시키는 안정화조(7);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침지된 분리막 유니트(16)를 통하여 고액분리된 처리수를 흡인펌프(17)에 의해 공급받아 방류펌프(19)에 의해 외부로 방류시키는 처리수조(8);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침지된 상기 분리막 유니트(16)에 의해 고액분리되어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남은 슬러지를 함유한 잔존물이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막분리호기조(6) 내의 MLSS 농도가 높을 시에 상기 막분리호기조(6)의 잔존물을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침지되어 있는 반송펌프(15)에 의해 공급받는 슬러지농축저류조(9); 인성분을 응집시켜 제거하기 위한 응집제를 저장하였다가 그 저장된 응집제를 이송펌프(20)에 의해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공급하는 약품탱크(21); 그리고 에어라인(A)을 통해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침지된 분리막 유니트(16)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산기장치에 공기를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슬러지농축저류조(9) 및 상기 처리수조(8)에 각각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어(18)를 포함하는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폐수를 고효율로 처리할 수 있는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의 부유물질 및 유기물질과 더불어 부영양화(eutrophication)을 일으키는 영양물질인 질소와 인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침지식 막분리 활성슬러지 시스템에서는 하수나 폐수가 침전조, 스크린조, 유량조정조, 호기조, 막분리 호기조, 처리수조를 순서적으로 통과하여 처리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침지식 막분리 활성슬러지 시스템은 오폐수의 부유물질(SS)과 유기오염물질(BOD, COD)의 제거에는 높은 효율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오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질소, 인에 대한 법규제가 점차적으로 강화됨에 따라 질소와 인에 대한 처리대책이 필요되고 있는 현실정에서, 종래의 침지식 막분리 활성슬러지 시스템은, 질소에 대하여 탈질에 의한 질소의 완전제거가 아닌 질산화만을 일으켜 오히려 수중 미생물이 흡수하기에 좋은 형태로 변형시키며, 그리고 인에 대하여 미생물이 단지 미량만을 흡수하기 때문에, 질소와 인의 제거에는 한계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오폐수내에 존재하는 부유물질 및 유기오염물질 뿐만 아니라 질소 및 인을 동시에 고효율로 제거할 수 있는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2는 도 1의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일예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피처리수로서 오폐수인 원수가 유입되는 침사조; 상기 침사조에 유입된 원수가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침사조의 원수를 자연적으로 공급받는 스크린조; 상기 스크린조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되어 상기 스크린조에서 여과된 원수를 자연낙하에 의해 공급받는 유량조정조; 상기 유량조정조에 유입되어 있는 원수가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유량조정조의 원수를 상기 유량조정조 내에 침지되어 있는 원수펌프에 의해 미세여과스크린을 경유하여 공급받는 혐기조; 상기 혐기조에 유입된 원수가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혐기조의 원수를 자연적으로 공급받는 무산소조로서, 무산소조내의 혼합액을 상기 무산소조에 침지되어 있는 반송펌프에 의해 상기 혐기조에 공급하는상기 무산소조; 상기 무산소조에 저장된 혼합액이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무산소조의 혼합액을 자연적으로 공급받는 막분리호기조; 상기 막분리호기조에 침지된 상기 분리막 유니트에 의해 고액분리되어 상기 막분리호기조에 남은 질산성질소성분 및 슬러지를 함유한 잔존물이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막분리호기조의 잔존물을 상기 막분리호기조에 침지되어 있는 반송펌프에 의해 공급받고, 그리고 그 공급받은 잔존물을 상기 무산소조의 측부에 배치되어 자연적으로 상기 무산소조에 이송시키는 안정화조; 상기 막분리호기조에 침지된 분리막 유니트를 통하여 고액분리된 처리수를 흡인펌프에 의해 공급받아 방류펌프에 의해 외부로 방류시키는 처리수조; 상기 막분리호기조에 침지된 상기 분리막 유니트에 의해 고액분리되어 상기 막분리호기조에 남은 슬러지를 함유한 잔존물이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막분리호기조 내의 MLSS 농도가 높을 시에 상기 막분리호기조의 잔존물을 상기 막분리호기조에 침지되어 있는 반송펌프에 의해 공급받는 슬러지농축저류조; 인성분을 응집시켜 제거하기 위한 응집제를 저장하였다가 그 저장된 응집제를 이송펌프에 의해 상기 막분리호기조에 공급하는 약품탱크; 그리고 에어라인을 통해 상기 막분리호기조에 침지된 분리막 유니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산기장치에 공기를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슬러지농축저류조 및 상기 처리수조에 각각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어(18)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침사조(1), 스크린조(2), 유량조정조(3), 혐기조(4), 무산소조(5), 막분리호기조(6), 안정화조(7), 처리수조(8), 슬러지농축저류조(9), 블로어(18), 미세여과 스크린(14), 산기장치를 하부에 구비한 분리막 유니트(16)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침사조(1)는 피처리수로서 오폐수인 원수가 유입되어 있다. 상기 침사조(1)에 유입된 원수가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스크린조(2)는 상기 침사조(1)의 원수를 자연적으로 공급받는다.
상기 유량조정조(3)는 상기 스크린조(2)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되어 상기 스크린조(2)에서 여과된 원수를 자연낙하에 의해 공급받는다.
상기 혐기조(4)는, 상기 유량조정조(3)에 유입된 원수가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유량조정조(3)의 원수를 상기 유량조정조(3) 내에 침지되어 있는 원수펌프(12)에 의해 미세여과스크린(14)을 경유하여 공급받는다.
상기 무산소조(5)는, 상기 혐기조(4)에 유입된 원수가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혐기조(4)의 원수를 자연적으로 공급받고, 그리고 무산소조 내의 혼합액을 상기 무산소조(5)에 침지되어 있는 반송펌프(15)에 의해 상기 혐기조(4)에 공급한다.
상기 막분리호기조(6)는 상기 무산소조(5)에 저장된 혼합액이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무산소조(5)의 혼합액을 자연적으로 공급받는다.
상기 안정화조(7)는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침지된 상기 분리막 유니트(16)에 의해 고액분리되어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남은 질산성질소성분 및 슬러지를함유한 잔존물이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막분리호기조(6)의 잔존물을 자연적으로 공급받고, 그리고 그 공급받은 잔존물을 상기 안정화조(7)에 침지되어 있는 반송펌프(15)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무산소조(5) 또는 상기 슬러지농축저류조(9)에[예를 들면, 통상의 가동시에는 상기 무산소조(5)에 그리고 막분리호기조(6) 내의 MLSS 농도가 높을 시에는 상기 슬러지농축조(9)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처리수조(8)는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침지된 분리막 유니트(16)를 통하여 고액분리된 처리수를 흡인펌프(17)에 의해 공급받아 상기 처리수조(8)에 침지되어 있는 방류펌프(19)에 의해 외부로 방류한다. 상기 처리수조(7)에 유입된 처리수를 중수로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처리수조(7)는 별도의 중수설비(소독설비, 펌프 등)을 구비하고서 상기 처리수를 소독제와 혼합하여 소독처리한 다음 상기 방류펌프(19)에 의해 외부로 방류할 수 도 있다.
상기 슬러지농축저류조(9)는, 막분리호기조(6) 내의 MLSS 농도가 높을 시에, 상기 안정화조(7)에 유입된 슬러지를 함유한 잔존물을 상기 안정화조(7)에 침지되어 있는 반송펌프(15)에 의해 공급받는다.
상기 블로어(18)는 에어라인(A)을 통해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침지된 분리막 유니트(16)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산기장치에 공기를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슬러지농축저류조(9) 및 상기 처리수조(8)에 각각 공기를 공급한다.
여기에서, 상기 스크린조(2) 내에는, 조대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고정 바아 스크린(10)과 자동 바아 스크린(11)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량조정조(3), 혐기조(4) 및 무산소조(5) 각각에는수류교반기(13)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유량조정조(3)에 구비된 수류교반기(13)는 상기 유량조정조(3) 내의 슬러지의 침전 및 농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그리고 상기 혐기조(4) 및 무산소조(5) 각각에 구비된 수류교반기(13)는 유입 원수와 안정화조(7)의 반송수를 적절히 혼합, 탈질화를 원활히 일으키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시스템에 유입되는 오폐수인 원수는 침사조(1)를 거쳐 모래나 석질(石質) 등의 비중이 높은 협잡물이 제거된 후, 스크린조(2)의 고정 바아 스크린(10)과 자동 바아스크린(11)을 거쳐 조대협잡물이 제거되고, 유량조정조(3)로 유입된다.
상기 유량조정조(3)는 일정량의 원수를 혐기조(4)에 공급하는 작용을 하며, 내부에 설치된 레벨스위치가 원수의 일정 수면을 감지하여 원수펌프(12)를 작동시켜 혐기조(4)에 그 원수를 이송시킨다.
이 혐기조(4)로 이송되기 전에 원수는 미세여과스크린(13)에 의해 다시 한번 여과처리된다. 상기 미세여과스크린(13)은 미세한 메시 스크린을 원통형으로 만든 것으로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미세협잡물을 제거한다.
상기 혐기조(4)로 이송된 원수는, MLSS(mixed liquor suspended solids: 미생물; 5000 내지 12000mg/ℓ)농도를 유지하도록, 하류측에 바로 인접한 무산소조(5)에서 반송펌프(15)에 의해 반송되는 반송수와 혼합되고, 그 혼합물은상기 혐기조(4)에 침지된 수류교반기(13)에 의해 교반되어 미생물과 원활하게 접촉하게 되어서, 원수와 반송수에 존재하는 인성분이 용출, 방출되고 유기물질이 일부 제거되고, 그리고 상기 혐기조(4)에서 일정 레벨 이상 이면 하류의 상기 무산소조(5)에 자연적으로 방류된다.
상기 무산소조(5)에서는 상기 혐기조(4)에서 유입된 원수가 하류의 안정화조(7)에서 반송펌프(15)에 의해 반송되는 반송수와 혼합되고, 탈질반응에 의해 상기 혐기조(4)의 원수와 반송수에 함유된 질산성 질소성분이 제거된다.
이는 하류의 안정화조(7)에서 반송펌프(15)에 의해 반송되는 반송수에는 폭기에 의해 질산성 질소로 변형된 질소성분이 다량함유되어 있는 데, 이 질산성 질소가 유리산소가 존재하지 않은 무산소조(5)에 유입되면서 무산소조(5)내의 탈질 미생물에 의해 결합산소와 분리됨으로써 질소가스(N2)로 전환되어 대기중으로 방출되기 때문이다.
이 때, 탈질 미생물이 활동하는데 필요한 유기탄소원은 유입 원수내의 유기물질에서 충당하게 된다. 혐기조(4)에서 유입된 원수와 안정화조(7)에서 반송된 반송수를 적절히 혼합, 탈질화를 원활히 일으키기 위해, 무산소조(5) 내에 수류교반기(13)를 설치하여 원수와 반송수를 혼합시킨다.
상기 무산소조(5)에서 탈질화된 혼합물은 일정 레벨 이상 이면, 막분리호기조(6)에 자연적으로 유입되게 된다. 막분리호기조(6)에 유입된 혼합물에는 유기오염물질과 인성분물질, 부유물질, 암모니아성질소(NH3-N), 아질산성질소(NO2-N)성분이 존재한다.
막분리호기조(6) 내에는 운전조건에 맞는 농도의 MLSS(mixed liquor suspended solids: 미생물; 5000 내지 12000mg/ℓ)가 존재하는 데, 유기오염물질이 MLSS의 기질(substrate)로서 소비 제거된다.
또한, 막분리호기조(6)에 유입된 혼합물에 함유된 암모니아성질소(NH3-N)와 아질산성질소(NO2-N)성분은 막분리호기조(6) 내에 호기성 상태에서 질산화 과정을 거쳐 질산성질소(NO3-N)성분으로 전환된다.
인성분 물질은, 막분리호기조(6)내 미생물에 의해 과량 흡수, 제거된다. 인성분 물질이 제거되면 막분리호기조(6) 내엔 결국 부유물질(SS)과 MLSS와 같은 입자성 물질만이 존재하게 되는 데, 이는 분리막 유니트(16)에 의해 고액분리되게 된다.
이 분리막 유니트(16)는 공지의 분리막 프레임 장치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액분리 수행이 가능한데, 이 분리막프레임장치는 막분리호기조 외부에 존재하는 흡인펌프(17)와 흡인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흡인펌프(17)의 가동으로 발생되는 흡입압에 의해 분리막 외부의 혼합물이 분리막 공극을 통해 분리막 내부로 유입되면서 고액분리가 발생, 결국 깨끗한 처리수가 흡인펌프(17)에 의해 상기 처리수조(8)에 유출되게 된다.
분리막 표면에 발생하는 폐색을 지연, 가동 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분리막프레임장치 하단에 산기장치(공지되어 있어 도시생략됨)를 설치한다. 이 산기장치는 막분리호기조(6) 외부에 존재하는 블로어(18)와 에어라인(A)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블로어(18)의 가동을 통해 공기를 막분리호기조(6) 내부에 공급하게 된다. 이 공기에 의해 막분리호기조(6) 내 수류가 형성되어 분리막 표면의 폐색이 지연됨으로써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설이 장기간 원활히 가동되게 된다.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서 막분리 유니트(16)에 의해 고액분리되고 남은 혼합물은 일정 레벨 이상이 되면 상기 안정화조(7)에 자연적으로 유입된다.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설을 장기간 운영하는 동안 상기 막분리호기조(6) 및 상기 안정화조(7) 내의 MLSS농도와 SS, 인성분물질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막분리호기조(6)내 적절한 MLSS 농도를 유지하고 SS와 인성분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안정화조(7)내 슬러지(MLSS와 SS, 인성분물질이 합쳐진 물질)를 반송펌프(15)에 의해 간헐적으로 슬러지농축저류조(9)에 이송시킨다.
막분리호기조(6)내의 질산성 질소 성분 및 슬러지는 평상시에는 반송펌프(5)에 의해 안정화조(7)를 경우하여 무산소조(5)에 반송되고, 막분리호기조(6)내 MLSS 농도가 매우 높은 경우엔 막분리호기조(6) 내의 슬러지는 반송펌프(15)에 의해 안정화조(7)를 경유하여 슬러지농축저류조(9)에 이송되어 MLSS농도를 조절한다.
슬러지농축저류조(9)내에는 슬러지의 고착화를 방지하기 위해 블로어(18)와 연결된 에어라인(A)을 설치한다.
분리막 유니트(16)로부터 고액분리된 처리수는 흡인펌프(17)에 의해 안정화조(7)의 하류의 처리수조(8)에 이송된다. 이 처리수를 중수로 재이용하고자 할 시에는 별도의 중수설비(소독설비, 펌프 등)를 갖추어 재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의 제 2실시예에 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상기 제 2실시예는 상기 제 1실시예에서 만약 막분리호기조(6)에 미처리된 인성분이 존재할 경우에 이 인성분을 확실하게 제거하기 위한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2실시예의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은, 상기된 제 1실시예와 같이, 전체적으로 침사조(1), 스크린조(2), 유량조정조(3), 혐기조(4), 무산소조(5), 막분리호기조(6), 안정화조(7), 처리수조(8), 슬러지농축저류조(9), 블로어(18), 미세여과 스크린(14), 산기장치를 하부에 구비한 분리막 유니트(16)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제 2실시예의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은 상기 제 1실시예에서 안정화조(7)에 침지되어 있는 반송펌프(15)의 구성을, 막분리호기조(6)에 침지시켜 배치한 반송펌프(15)의 구성으로; 상기 제 1실시예에서 막분리호기조(6)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막분리호기조(6)에서 잔존하는 슬러지를 소정레벨 이상이 되면 자연적으로 유입받고 그리고 그 유입받은 슬러지를 침지되어 있는 상기 반송펌프(15)에 의해 선택적으로 무산소조(5)나 슬러지농축조(9)에 이송시키는 안정화조(7)의 구성을, 무산소조(5)의 측부에 배치되어 막분리호기조(6)에서 잔존하는 잔존물을 소정레벨 이상이 되면 상기 반송펌프(15)에 의해 선택적으로 유입받고 그리고 그 유입받은 슬러지를 소정레벨 이상이 되면 자연적으로 무산소조(5)에 이송시키는 안정화조(7)의 구성으로; 제 1실시예에서 막분리호기조(6)에 유입된 슬러지를 막분리호기조(6) 내의 MLSS 농도가 높을 시에 선택적으로 반송펌프(15)에 의해 안정화조(7)를경유하여 공급받는 슬러지농축저류조(9)의 구성을, 막분리호기조(6)에 유입된 슬러지를 막분리호기조(6) 내의 MLSS 농도가 높을 시에 선택적으로 반송펌프(15)에 의해 공급받는 슬러지농축저류조(9)의 구성으로; 그리고 만약 막분리호기조(6)에 미처리된 인성분이 존재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인성분을 응집시켜 제거하기 위한 응집제를 저장하였다가 그 저장된 응집제를 이송펌프(20)에 의해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공급하는 상기 제 1실시예에 포함되지 않은 약품탱크(21)를 더 포함하고 있는 구성만을 제외하고는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1차 폭기조와 막분리호기조에서 유기오염물질(BOD, COD)과 부유물질(SS)만을 제거할 수 있는 기존의 시스템에 비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은 막분리호기조 상류에 혐기조와 무산소조를 배치시켜 인의 용출 및 과량 흡수, 제거와 질산성질소성분을 탈질화시켜 제거함과 동시에, 막분리호기조내에 존재하는 존재하는 MLSS에 의해 유기오염물질(BOD, COD)을 제거하며, 최종적으로 분리막에 의해 부유물질, MLSS의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깨끗한 처리수를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간단하게 구성되는 본 발명의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은 BOD, COD, SS, 질소, 인과 같은 오염물질을 동시에 고효율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5)
- 피처리수로서 오폐수인 원수가 유입되는 침사조(1);상기 침사조(1)에 유입된 원수가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침사조(1)의 원수를 자연적으로 공급받는 스크린조(2);상기 스크린조(2)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되어 상기 스크린조(2)에서 여과된 원수를 자연낙하에 의해 공급받는 유량조정조(3);상기 유량조정조(3)에 유입되어 있는 원수가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유량조정조(3)의 원수를 상기 유량조정조(3) 내에 침지되어 있는 원수펌프(12)에 의해 미세여과스크린(14)을 경유하여 공급받는 혐기조(4);상기 혐기조(4)에 유입된 원수가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혐기조(4)의 원수를 자연적으로 공급받는 무산소조(5)로서, 무산소조(5) 내의 혼합액을 상기 무산소조(5)에 침지되어 있는 반송펌프(15)에 의해 상기 혐기조(4)에 공급하는 상기 무산소조(5);상기 무산소조(5)에 저장된 혼합액이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무산소조(5)의 혼합액을 자연적으로 공급받는 막분리호기조(6);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침지된 상기 분리막 유니트(16)에 의해 고액분리되어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남은 질산성질소성분 및 슬러지를 함유한 잔존물이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막분리호기조(6)의 잔존물을 자연적으로 공급받고, 그리고 그 공급받은 잔존물을 상기 안정화조(7)에 침지되어 있는 반송펌프(15)에 의해 통상의 가동시에는 상기 무산소조(5)에 그리고 막분리호기조(6) 내의 MLSS 농도가 높을 시에는 상기 슬러지농축조(9)에 공급하는 안정화조(7);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침지된 분리막 유니트(16)를 통하여 고액분리된 처리수를 흡인펌프(17)에 의해 공급받아 방류펌프(19)에 의해 외부로 방류시키는 처리수조(8); 그리고에어라인(A)을 통해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침지된 분리막 유니트(16)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산기장치에 공기를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슬러지농축저류조(9) 및 상기 처리수조(8)에 각각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어(18)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조(2) 내에는, 고정 바아 스크린(10)과 자동 바아 스크린(11)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구비되어 있고;상기 유량조정조(3), 혐기조(4) 및 무산소조(5) 각각에는 수류교반기(13)가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
- 피처리수로서 오폐수인 원수가 유입되는 침사조(1);상기 침사조(1)에 유입된 원수가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침사조(1)의 원수를 자연적으로 공급받는 스크린조(2);상기 스크린조(2)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되어 상기 스크린조(2)에서 여과된 원수를 자연낙하에 의해 공급받는 유량조정조(3);상기 유량조정조(3)에 유입되어 있는 원수가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유량조정조(3)의 원수를 상기 유량조정조(3) 내에 침지되어 있는 원수펌프(12)에의해 미세여과스크린(14)을 경유하여 공급받는 혐기조(4);상기 혐기조(4)에 유입된 원수가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혐기조(4)의 원수를 자연적으로 공급받는 무산소조(5)로서, 무산소조(5)내의 혼합액을 상기 무산소조(5)에 침지되어 있는 반송펌프(15)에 의해 상기 혐기조(4)에 공급하는 상기 무산소조(5);상기 무산소조(5)에 저장된 혼합액이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무산소조(5)의 혼합액을 자연적으로 공급받는 막분리호기조(6);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침지된 상기 분리막 유니트(16)에 의해 고액분리되어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남은 질산성질소성분 및 슬러지를 함유한 잔존물이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막분리호기조(6)의 잔존물을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침지되어 있는 반송펌프(15)에 의해 공급받고, 그리고 그 공급받은 잔존물을 상기 무산소조(5)의 측부에 배치되어 자연적으로 상기 무산소조(5)에 이송시키는 안정화조(7);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침지된 분리막 유니트(16)를 통하여 고액분리된 처리수를 흡인펌프(17)에 의해 공급받아 방류펌프(19)에 의해 외부로 방류시키는 처리수조(8);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침지된 상기 분리막 유니트(16)에 의해 고액분리되어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남은 슬러지를 함유한 잔존물이 소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막분리호기조(6) 내의 MLSS 농도가 높을 시에 상기 막분리호기조(6)의 잔존물을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침지되어 있는 반송펌프(15)에 의해 공급받는 슬러지농축저류조(9);인성분을 응집시켜 제거하기 위한 응집제를 저장하였다가 그 저장된 응집제를 이송펌프(20)에 의해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공급하는 약품탱크(21); 그리고에어라인(A)을 통해 상기 막분리호기조(6)에 침지된 분리막 유니트(16)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산기장치에 공기를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슬러지농축저류조(9) 및 상기 처리수조(8)에 각각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어(18)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조(2) 내에는, 고정 바아 스크린(10)과 자동 바아 스크린(11)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구비되어 있고;상기 유량조정조(3), 혐기조(4) 및 무산소조(5) 각각에는 수류교반기(13)가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
-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조(8)에 유입된 처리수를 중수로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처리수를 소독제와 혼합하여 소독처리한 다음 방류펌프(19)에 의해 방류시키기 위해, 상기 처리수조(8)는 중수설비(소독설비, 펌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4569A KR100453646B1 (ko) | 2002-07-29 | 2002-07-29 |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4569A KR100453646B1 (ko) | 2002-07-29 | 2002-07-29 |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22619U Division KR200293089Y1 (ko) | 2002-07-29 | 2002-07-29 |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11147A KR20040011147A (ko) | 2004-02-05 |
KR100453646B1 true KR100453646B1 (ko) | 2004-10-25 |
Family
ID=3731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44569A KR100453646B1 (ko) | 2002-07-29 | 2002-07-29 |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5364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9304B1 (ko) | 2008-08-19 | 2008-11-18 | (주)대우건설 | 하·폐수 고도 처리장치 |
KR100949077B1 (ko) * | 2009-10-12 | 2010-03-22 | 이길준 | 싱글헤드형 uf침지식중공사막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98717B2 (en) * | 2004-08-26 | 2007-04-03 | Graham John Gibson Juby | Anoxic biological reduction system |
US7850851B2 (en) * | 2005-08-12 | 2010-12-14 | Siemens Water Technologies Corp. |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KR100920176B1 (ko) * | 2007-07-16 | 2009-10-06 | 대한통운 주식회사 |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 장치 |
KR100864806B1 (ko) * | 2008-07-04 | 2008-10-23 | 김성종 | 처리효율을 극대화한 고도수처리시스템 |
KR101018587B1 (ko) * | 2010-11-18 | 2011-03-03 | 김성종 | 질소, 인 제거 막분리 고도처리장치 |
KR101133330B1 (ko) * | 2011-09-28 | 2012-04-06 | 김성종 | 반류수의 인성분과 막폐색 물질 제거를 이용한 막분리 고도수처리 시스템 |
CN102583905B (zh) * | 2012-03-19 | 2014-06-04 | 北京桑德环境工程有限公司 | 污水处理方法 |
-
2002
- 2002-07-29 KR KR10-2002-0044569A patent/KR10045364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9304B1 (ko) | 2008-08-19 | 2008-11-18 | (주)대우건설 | 하·폐수 고도 처리장치 |
KR100949077B1 (ko) * | 2009-10-12 | 2010-03-22 | 이길준 | 싱글헤드형 uf침지식중공사막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11147A (ko) | 2004-0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31366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membrane filters | |
AU2007238520B2 (en) | Method and system for nitrifying and denitrifying wastewater | |
JP2005279447A (ja) | 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 |
KR101967179B1 (ko) | 역삼투막 농축수 처리시설을 구비한 막분리 수처리 시스템 | |
KR100920176B1 (ko) |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 장치 | |
KR100917839B1 (ko) | 양성반응조 및 분리막조를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공법 | |
KR100453646B1 (ko) |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 | |
KR100715020B1 (ko) | 전기분해 장치와 침지형 분리막을 이용한 오수 및 하수의 중수처리 장치 | |
JP4307275B2 (ja) | 汚水の処理方法 | |
JPH05169090A (ja) | 生物活性炭処理塔の硝化菌供給装置 | |
KR20060085770A (ko) | 미생물과 분리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및 방법 | |
JP2006035138A (ja) | 活性汚泥処理装置 | |
KR100414610B1 (ko) | 분리막 생물 반응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 |
KR102108870B1 (ko) | 질소, 인 제거 막분리 고도처리장치 | |
KR100469641B1 (ko) |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장치 | |
KR100435107B1 (ko) | 오.폐수 및 하수의 질소, 인 제거를 위한 고도 처리장치 및 고도처리방법 | |
KR200293089Y1 (ko) |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 | |
KR200294723Y1 (ko) |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시스템 | |
JP3278560B2 (ja) | 水処理装置 | |
KR100710488B1 (ko) | 용존오존부상 및 가압오존산화와 생물처리를 연계한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 |
KR102059988B1 (ko) |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 |
KR100439212B1 (ko) | 산업폐수의 유기물질과 질소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
KR200283062Y1 (ko) | 오.폐수 및 하수의 질소, 인 제거를 위한 고도처리장치 | |
JP7195968B2 (ja) | 有機性排水処理装置の運転方法及び有機性排水処理装置 | |
KR100795072B1 (ko) | 가축분뇨를 포함하는 고농도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810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