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560B1 - 비점오염원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점오염원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560B1
KR102229560B1 KR1020190173299A KR20190173299A KR102229560B1 KR 102229560 B1 KR102229560 B1 KR 102229560B1 KR 1020190173299 A KR1020190173299 A KR 1020190173299A KR 20190173299 A KR20190173299 A KR 20190173299A KR 102229560 B1 KR102229560 B1 KR 102229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purification
purification tank
tank
septic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영
Original Assignee
민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영 filed Critical 민병영
Priority to KR1020190173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빗물이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차오름과 동시에 여과재에 의해 정화된 깨끗한 물을 토양에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비점오염원 처리 시스템{NON-POINT POLLUTION SOURCE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저영향개발(LID) 기술을 활용한 비점오염원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직오염원물질의 발생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점오염원은 생활하수, 공장폐수, 산업폐수와 같이 비교적 일정한 지점에서 일정한 양이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강우 시 또는 비(非)강우 시 배출량에 큰 변동이 없는 반면, 비점오염물질은 강우 시 지표면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오염물질로서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농지에 살포된 비료 및 농약, 토양 침식물, 토사 유출물, 대기 강하물 등을 의미하며, 넓은 지역에서 유출된다.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은 계절 간 배출량의 변화가 크고 예측과 정화가 어려우며, 기상조건, 지형, 지질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 조절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개발사업 등으로 비점오염원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날로 커지고 있으며, 각종 개발압력으로 토지이용이 고도화되고, 아스팔트 포장 등으로 빗물이 지하로 스며들지 못하는 면적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오염물질 관리와 저감에 있어서도 점오염물질은 처리공법의 발달과 신규 하수, 폐수 처리장의 건설로 많은 오염물질이 저감되고 있으나, 비점오염물질의 처리방법과 장치는 아직 부족한 실정으로 점오염원에 대한 처리위주의 수질 정책만으로는 더 이상의 수질개선은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도시화에 따라 지역의 불투수율의 증가로 인해 지역의 우수유출 특성이 변화하여 수질적인 면에서 각종 오염물질이 우수유출수와 함께 수계로 유출되어 수질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비점오염원에 의한 하천 및 호소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우수유출수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비점오염원의 관리방법은 각종 처리시설 및 구조물을 설치하여 관리하는 물리적인 방법과 토지이용 규제와 같은 비물리적인 기법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구분되며, 전자의 경우, 침투지, 침투 트렌치 등의 유지관리가 많이 필요한 침투형과 비교적 넓은 부지가 소요되는 인공습지, 저류연못과 같은 저류형 및 식생여과대, 식생수로 등의 식생형과 초고속 응집, 침전시설과 같은 하수처리형이 있는데 이들은 상대적으로 비점오염원 규제능력이 큰 반면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처리시설 설치에 필요한 소요면적이 처리시설선정에 있어 주요 제한요인이 되는 우리자라에서는 넓은 시설설치 면적의 토지를 수용하는 데 따른 어려움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 비용은 적게 소요되지만 효율이 낮고 민월발생의 소지가 높다.
더불어, 일단 비점오염물질이 지표수나 지하수로 유입되면 관리가 어렵고, 비점오염원 처리는 오염원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처리비용이 증가하고 처리 또한 어렵기 때문에, 비점오염원 관리기술의 적용은 비점오염물질 발생지점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는 주로 배수관 말단에서 오염물질을 집수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비용과 효율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3946호(이하 ‘문헌 1’)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에서, 초기강우 유도턱에서 월류하는 강우를 격벽에 의해 토양 여재층으로 공급하여 토양을 통항 여과 및 흡착작용과 식물 및 미생물에 의행 생물학적, 화학적 처리방법을 동시에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1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유역 전체를 균등하게 관리하여 비점오염물질로 인한 공공수역과 지하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 있으나, 유도턱의 높이에 의해 큰 이물질이 월류하여 격벽에 막힘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오수가 유입되면, 정화되지 못한 오수가 그대로 토양에 유입되어 식물의 생장을 저해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2749호(이하 ‘문헌 2’)의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에서, 식재토양이 적층된 침투여과부를 통과한 우수가 하부저류부에 저류되어 우수관거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2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도로변 등에 구축되는 식생시설을 유지한 상태로 개방형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집중호우가 발생되면 우수의 여과속도에 의해 홍수 등의 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3288호(이하 ‘문헌 3’)의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에서, 도로 일측에 형성된 빗물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우수가 침전조, 1차 침투지, 2차 침투지를 통과시킴으로써 여과시키는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3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침전성 오염물질 및 부유성 오염물질을 단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오염물질의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집중호우로 인해 침전조의 용량을 벗어난 비가 내리게 되어 오수가 토양에 유입되면 식물의 생장을 저해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9827호(이하 ‘문헌 4’)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에서, 식물이 식재된 콘크리트 박스에 유출수가 경사면을 거쳐 유입되어 정화되고, 제1 및 제2 유공배수관에 의해 공공수역으로 이동되는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4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구성이 간단하여 무동력, 무인 시스템으로 제작 및 설치비용이 절감되어 유지관리가 효율적인 장점이 있으나, 집중호우 발생 시 바이패스관의 역류가 발생하여 홍수 등의 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394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274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328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9827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2물넘이부를 통과한 빗물이 제3정화조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차오름과 동시에 여과재에 의해 정화되어 깨끗한 물이 토양여재에 공급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여과재에 의해 여과가 수행된 다음, 토양에 의해 여과가 수행되어 배출됨으로써 효율적으로 정화가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제2정화조에 제2물넘이부를 통과한 빗물이 저장되어 집중호우가 발생하더라도 충분한 양의 빗물을 수용하여 홍수와 같은 집중호우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빗물이 유입되어 통과함과 동시에 정화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정화부; 정화부 우측 외측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유도관; 정화부의 좌측 외측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유도관; 및 제1유도관 또는 제2유도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말단에 빗물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연결 형성된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화부 우측에 형성되어 상측에 식물이 형성되고, 하측에 토양여재가 포함된 제1정화조; 제1정화조 좌측에 형성된 제1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빗물이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제2정화조; 및 제2정화조 타측에 형성된 제2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빗물이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흐름으로써 여과재에 의해 정화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3정화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제1정화조는 내측에 내주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4정화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제1정화조 하측에 형성된 토양여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지지부; 및 제2지지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측에 여과재가 포함되어 빗물이 통과함으로써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3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화부의 하측면에 관통되어 하나 이상 형성된 통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2물넘이부를 통과한 빗물이 제3정화조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차오름과 동시에 여과재에 의해 정화되어 깨끗한 물이 토양여재에 공급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유지시키고, 여과재에 의해 여과가 수행된 다음, 토양에 의해 여과가 수행되어 배출됨으로써 효율적으로 정화가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정화조에 제2물넘이부를 통과한 빗물이 저장되어 집중호우가 발생하더라도 충분한 양의 빗물을 수용하여 홍수와 같은 집중호우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제2정화조의 부피보다 많은 양의 빗물이 수용될 경우, 제2유도관에 의해 우수관로로 배출되거나, 수용부의 재질에 의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형성되어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장치 구축을 위한 부지확보가 어려운 조건에서 부지확보에 대한 큰 부담 없이 초기 우수의 오염물질처리, 우수침투 및 저류를 통합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A-A’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B-B’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지지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A’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A’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A’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정화부
110: 제1정화조, 111: 제1물넘이부, 112: 제1격벽, 113: 제2지지부, 114: 제1관통부, 115: 제3지지부, 116: 관통부
120: 제2정화조, 121: 제2물넘이부, 122: 제2격벽
130: 제3정화조, 131: 제3물넘이부, 132: 제1지지부, 132-1: 제1지지대, 133: 여과재, 134: 제4물넘이부
140: 배출부, 141: 제4-1격벽, 142: 제4-2격벽, 143: 유도로
150: 통공부
200: 배수관, 210: 제1유도관, 220: 제2유도관, 230: 제3유도관
300: 태양전지모듈, 310: 제1지지관, 320: 축전지, 330: 제어부
400: 배출관, 410: 개폐부, 420: 송풍장치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부(100) 및 배수관(20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정화부(100)는 빗물이 유입되어 통과함과 동시에 정화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1정화조(110), 제2정화조(120) 및 제3정화조(1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정화조(110)는 정화부(100) 우측에 형성되어 상측에 식물이 형성되고, 하측에 토양여재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1정화조(110) 상측에 형성된 식물의 성장을 저해하지 않도록 상측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빗물이 제1정화조(110) 상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유입되거나, 차도 또는 인도 등에서 흐르는 빗물이 제1정화조(110) 상측 일측에 관통되도록 하나 이상 형성된 제1물넘이부(111)를 관통함으로써 제1정화조(11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1물넘이부(111)는 빗물에 포함된 부피가 큰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기 위해 내측에 거름망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거름망이 형성될 경우, 부피가 큰 이물질을 용이하게 걸러내기 위하여 메시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100mesh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5mesh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비점오염원에 포함되는 크기가 큰 이물질이 제1정화조(110) 내부로 유입되어 식물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100mesh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메시 크기에 의해 막힘 현상이 발생되어 유지 및 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더욱이, 토양여재에 흡수되는 빗물의 흡수속도보다 빗물이 많이 유입될 경우, 빗물은 제2물넘이부(121) 또는 제1유도관(210)으로 흐름으로써 제1정화조(11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1정화조(110)로 유입된 빗물이 연속적으로 정화될 수 있도록 토양여재의 상측면은 제2물넘이부(12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중력에 의해 제1유도관(210)보다 많은 양의 빗물이 제2물넘이부(121)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토양여재는 제2물넘이부(12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제1정화조(110) 내측에 부피가 큰 이물질을 포함하는 빗물이 제2정화조(120)에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토양여재의 상측면은 제2물넘이부(121)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토양여재의 상측면보다 높은 위치에 제2물넘이부(121)가 형성됨으로써 중력에 의해 토양과 같은 부피가 큰 이물질은 제1정화조(110) 내측에 머무르고, 부피가 큰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는 빗물이 제2물넘이부(121)를 관통함으로써 제2정화조(120)에 유입되는 것이다.
더욱이, 제1유도관(210)은 정화부(100)의 우측 외측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유도관(210)은 제1정화조(110)의 우측 외측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정화조(110) 내측에 형성된 빗물이 토양여재를 통과하는 속도 또는 제2정화조(120)의 용량보다 많은 양의 비가 내릴 경우, 제1정화조(110) 내측에 형성된 빗물이 넘치지 않고 제1유도관(210)으로 흐르게 되어 배수관(200)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정화조(120)는 제1정화조(110) 좌측에 형성된 제1격벽(112)에 의해 분리되어 빗물이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정화조(120)에 의해 제1정화조(110)로부터 유입된 빗물의 유속을 저하시키고, 중력에 의해 부유물이 가라앉음으로서 1차 정화가 수행될 수 있다.
제2정화조(120)의 상측은 제1정화조(110)를 거친 빗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측이 막혀 있거나, 빗물을 상측으로부터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빗물을 상측으로부터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경우, 제2정화조(120)의 상측은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추락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격벽(112)이 형성됨으로써 제2정화조(120) 및 제3정화조(130)를 제1정화조(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격벽(112)에 의해 제1정화조(110) 내측에 형성된 토양여재 및 빗물의 유입이 차단되어 빗물의 정화가 유연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제1정화조(110)로부터 유입된 빗물을 용이하게 정화하기 위해서 상측 일측에 제2물넘이부(12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물넘이부(121)는 제2정화조(120) 우측 상측에 형성되어 제1정화조(110)로부터 유입된 빗물이 관통함으로써 제2정화조(12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2물넘이부(121)는 제1정화조(110) 내부에 형성된 식물 또는 토양 등과 같은 부피가 큰 이물질이 제2정화조(120)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내측에 제1물넘이부(111)와 같은 거름망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거름망은 삼투막, 필터 또는 메시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물넘이부(111)와 같이 5~200mesh로 형성된 메시망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만약, 5mesh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비점오염원에 포함되는 크기가 큰 이물질이 제2정화조(120)로 유입되어 유연하게 정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200mesh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메시 크기에 의해 정화 속도가 현저하게 느리게 수행됨으로써 홍수 등의 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제2정화조(120)에 제2물넘이부(121)를 통과한 빗물이 저장되어 집중호우가 발생하더라도 충분한 양의 빗물을 수용하여 홍수와 같은 집중호우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정화부(100)의 좌측 외측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유도관(22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제2정화조(120) 또는 제3정화조(1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연동되어 제1유도관(210)과 같이, 제2정화조(120) 또는 제3정화조(1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부피에 비해 빗물의 유입이 많을 경우, 제2유도관(220)에 의해 배수관(200)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정화조(120)와 연동되도록 형성되어 제1정화조(110)로부터 유입된 많은 양의 빗물이 범람하지 않고 제3정화조(130)에 유입되어 여과재(133)에 의해 용이하게 여과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3정화조(130)는 제2정화조(120) 타측에 형성된 제2격벽(122)에 의해 분리되어 빗물이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흐름으로써 하측 내측에 포함된 여과재(133)에 의해 정화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정화조(130)의 상측은 제2정화조(120)를 통과한 빗물이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흐름으로써 여과가 수행되어 제1정화조(110)에 유입될 수 있도록 막혀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2격벽(122)이 형성됨으로써, 제3정화조(130)가 제2정화조(120)로부터 분리되어 제2정화조(120)로부터 배출되는 빗물의 2차 정화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2정화조(120)에 의해 1차 정화된 빗물은 제3물넘이부(131)에 의해 제3정화조(130)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제3물넘이부(131)는 제2격벽(122) 하측에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제2정화조(120)를 거친 빗물이 제3정화조(130)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2차 정화가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제3물넘이부(131)를 관통하는 빗물이 제3정화조(130) 유입 시 빗물 내에 포함된 부유물이 걸러질 수 있도록 제3물넘이부(131) 내측에 삼투막, 필터 또는 메시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메시망으로 형성될 경우, 100~500mesh로 형성된 메시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100mesh 미만으로 형성되면, 빗물 내에 포함된 부유물이 제3정화조(130) 내부로 유입되어 부유물에 의해 빗물이 제3정화조(13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유연하게 이동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500mesh 이상으로 형성되면, 제3물넘이부(131)의 막힘 현상에 의해 정화가 용이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제2정화조(120)를 통과한 빗물은 제3정화조(130) 하측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여과재(133)를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통과함으로써 정화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여과재(133)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지지부(1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제1지지부(132)는 제3정화조(130) 상측 내주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부(132)는 판, 띠 또는 돌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과재(133)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132)가 띠 또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경우, 여과재(133)가 중력에 의해 가라앉음으로써 제3정화조(130) 하측면에 닿지 못하도록 제1지지부(132)를 가로질러 형성된 제1지지대(132-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지지부(132)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판 형태로 형성될 경우, 내측에 관통 형성된 하나 이상의 통공이 포함되거나, 빗물이 통과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여과재(133)는 스펀지 필터, 링 타입, 그래뉼 타입 또는 볼 타입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는데, 제2정화조(120)를 거친 빗물에 포함된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한 것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정형화 되지 않는 여과재(133)가 적용될 경우, 여과재(133)가 제1지지부(132)에 의해 제3정화조(130) 하측면과 이격되어 층을 이룸으로써 빗물의 여과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그물망 등에 충전되어 제1지지부(132)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제3정화조(130)에 의해 정화된 빗물은 하나 이상 형성된 제4물넘이부(134)를 관통함으로써 제1정화조(110)에 유입될 수 있다.
제4물넘이부(134)는 제2물넘이부(121)와 타측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제3정화조(130)로부터 정화된 빗물이 제4물넘이부(134)를 관통함으로써 제1정화조(110)에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물넘이부(134)는 여과재(133)의 상측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여과재(133)에 의해 정화된 빗물이 제1정화조(110)에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정화조(130)에 의해 정화된 빗물이 토양여재에 직접 공급되기 위해 토양여재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정화조(130)를 거친 빗물이 제1정화조(110)에 유입됨으로써 제1정화조(110) 내측에 형성된 토양여재의 각 층에 직접 유입됨으로써 토양여재의 상측에 유입되는 빗물보다 빠르게 식물 뿌리에 빗물이 공급되어 식물이 용이하게 성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4물넘이부(134) 내측에는 삼투막, 필터 또는 메시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제1정화조(110) 내측에 형성된 토양여재가 제3정화조(130)에 유입되지 못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메시망이 형성될 경우, 50mesh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50mesh 이하로 형성될 경우, 제1정화조(110) 내측에 포함된 토양여재가 제3정화조(13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토양여재를 통과한 빗물은 정화부(10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정화부(100)는 콘크리트, 합성수지, 생분해성 고분자 또는 투수콘크리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하여 물과 이산화탄소 및 미량의 무기염류로 완전 분해되는 수지로서, 제품의 사용단계에서 통상의 수지와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으나, 사용 후 매립 또는 퇴비화 조건에서 생분해되는 고분자를 말한다.
생분해성 고분자는 PCL(polycaprolactone), PLA(poly lactic acid), PLLA(poly-L-lactide), PDLLA(poly-DL-lactide), PDLA(poly-D-lactide), PLGA(poly(lactic-co-glycolic acid)) 또는 PGA(poly(glycolic acid))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생분해성 고분자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원가절감 및 시공의 편의를 위해 콘크리트 또는 투수콘크리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소재로 형성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부(100)의 하측면에 관통되어 하나 이상 형성된 통공부(150)에 의해 정화된 빗물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통공부(150)는 제1정화조(110) 하측에 형성되어 제1정화조(110) 내지 제3정화조(130)를 거친 깨끗한 빗물이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빗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배수관(200)은 제1유도관(210) 또는 제2유도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말단에 빗물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수관(200)이 형성됨으로써 빗물이 배수관(200)에 의해 정화조, 강 또는 하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유입되어 방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빗물 흐름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빗물은 제1물넘이부(111) 또는 제1정화조(110) 상측으로부터 제1정화조(110) 내측의 토양여재로 유입된다.
그 다음, 토양여재의 빗물 흡수속도 보다 많은 양의 빗물이 유입되면, 빗물이 제2물넘이부(121)를 관통하여 제2정화조(120)로 유입된다.
만약, 제2정화조(120)로 유입되는 속도보다 많은 양의 비가 내릴 경우, 빗물은 제1유도관(21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어서, 제2정화조(120)로 유입된 빗물은 제3물넘이부(131)를 관통하여 제3정화조(130)로 유입된다.
만약, 제2정화조(120)의 부피보다 많은 양의 빗물이 유입될 경우, 빗물은 제2유도관(22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 다음, 빗물은 제3정화조(130)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흐름과 동시에 제3정화조(130) 내측에 형성된 여과재(133)를 관통하여 정화가 수행된다.
이어서, 제3정화조(130)에 의해 정화된 빗물은 제4물넘이부(134)에 의해 제1정화조(110) 내측에 형성된 토양여재에 공급된다.
만약, 제3정화조(130)로부터 제1정화조(110)에 공급되는 빗물의 속도가 제3정화조(130)를 거친 빗물이 토양여재에 흡수되는 속도보다 빠를 경우, 빗물은 제1정화조(110) 하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비점오염원 처리 시스템은 제2물넘이부(121)를 통과한 빗물이 제3정화조(130)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차오름과 동시에 여과재(133)에 의해 정화되어 깨끗한 물이 토양여재에 공급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유지시키고, 여과재(133)에 의해 여과가 수행된 다음, 토양에 의해 여과가 수행되어 배출됨으로써 효율적으로 정화가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제2정화조(120)의 부피보다 많은 양의 빗물이 수용될 경우, 제2유도관(220)에 의해 우수관로로 배출되거나, 정화부(100)의 재질에 의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형성되어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장치 구축을 위한 부지확보가 어려운 조건에서 부지확보에 대한 큰 부담 없이 초기 우수의 오염물질처리, 우수침투 및 저류를 통합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화조(110) 내측에 내주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제4-1격벽(141) 및 제4-2격벽(142)을 포함하여 돌출 형성된 제4정화조(1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4정화조(140)는 제1정화조(1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3정화조(130)로부터 정화된 빗물이 제4정화조(140)로 수용되어 토양여재의 다양한 방향으로 빗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3정화조(130)를 거친 빗물이 토양여재에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이 보완됨으로써, 단시간에 빠르게 토양여재에 수분을 공급하여 식물이 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제4정화조(140)에 의해 제3정화조(130)를 거친 빗물을 임시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많은 양의 빗물을 수용하여 홍수와 같은 집중호우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3정화조(130)를 거친 빗물이 제4정화조(14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3물넘이부(131)는 제3정화조(130)와 제4정화조(140)가 연동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제3물넘이부(131)가 제4정화조(140)의 상측에 더 형성되어 제3물넘이부(131)에 의해 제4정화조(140)로 유입되는 빗물의 유속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4-1격벽(141)은 제1정화조(110) 내측에 내주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4-1격벽(141)은 제3정화조(130)에 의해 정화된 빗물이 제4정화조(140)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폭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4-1격벽(141)은 제1정화조(110) 내측에 형성된 토양여재의 상측과 같거나 높은 높이에 형성되어 토양여재가 빗물과 섞여 제2물넘이부(121)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2물넘이부(12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빗물이 제1정화조(110)로부터 제2정화조(120)로 흐르는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4-2격벽(142)은 제4-1격벽(141) 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4-2격벽(142)이 형성됨으로써, 제1정화조(110) 내측에 제4정화조(14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4-격벽(142)은 제4-1격벽(141) 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제1정화조(110) 하측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3정화조(130)에 의해 정화된 빗물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제4-2격벽(142)이 제1정화조(1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제4정화조(140) 내측 즉, 제4-2격벽(142) 외측에는 제3정화조(130)를 거친 빗물이 유입되고, 제1정화조(110) 내측 즉, 제4-2격벽(142) 내측에는 토양여재가 포함될 수 있다.
제4-1격벽(141) 및 제4-2격벽(142)은 정화부(100)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제3정화조(130)로부터 정화된 빗물이 용이하게 토양여재에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4정화조(140)의 부피보다 많은 양의 빗물이 유입될 경우, 제3유도관(230)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3유도관(230)은 제1유도관(210)과 타측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정화부(1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유도관(230)은 제4정화조(140)와 연동되도록 형성되어 제4정화조(140)의 부피보다 많은 양의 빗물이 수용될 경우, 제3유도관(23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더욱이, 제3유도관(230)의 단부는 배수관(200)과 연동되도록 형성되어 제4정화조(140)를 거친 빗물이 정화조, 강 또는 하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유입되어 방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1격벽(141) 상측에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유도로(14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유도로(143)가 더 포함됨으로써, 제1정화조(110)로 유입되는 빗물이 제1물넘이부(111) 또는 제1유도관(2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유연하게 유입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물넘이부(121)의 하측과 연계되어 제1정화조(110)로 유입된 빗물이 제2정화조(12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제2물넘이부(121)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중력에 의해 빗물이 제2정화조(12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유도로(143)가 형성됨으로써, 빗물이 유도로(143)를 흐름과 동시에 중력에 의해 크기가 큰 이물질이 유도로(143) 하측에 머무르도록 형성되어 정화부(100)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실시예 4>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화조(110) 하측에 제2지지부(113) 및 제3지지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2지지부(11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화조(110) 하측에 형성된 토양여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113)가 포함됨으로써 토양여재의 최하측면과 제1정화조(110)의 하측 내측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토양여재와 제1정화조(1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제3지지부(115)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더욱이, 토양여재의 이탈을 예방하기 위해 제2지지부(113)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에 하나 이상의 제1관통부(114)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관통부(114)에 의해 토양여재를 통과한 빗물이 제2지지부(113) 하측에 형성된 여과재(133) 및 제3지지부(115)를 막힘없이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지지부(115)는 제2지지부(113)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고, 여과재(133)가 포함되어 빗물이 통과함으로써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여과재(133)는 제2지지부(113) 및 제3지지부(115)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포함되어 제2지지부(113)를 통과한 빗물이 여과재(133)에 의해 여과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여과재(133)는 제3정화조(130) 내측에 포함되는 여재와 동일한 여과재(133)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지지부(115)는 제3정화조(130)의 제1지지부(132)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2지지부(113)와 하측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되며, 제1정화조(110) 내측에 내측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지지부(115)는 띠 또는 돌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과재(133)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3지지부(115)가 판, 띠 또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경우, 여과재(133)가 중력에 의해 가라앉지 못하도록 제3지지부(115)를 가로질러 형성된 제1지지대(132-1)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지지부(115)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판 형태로 형성될 경우, 내측에 관통하여 형성된 하나 이상의 통공이 포함되거나, 빗물이 통과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빗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지지부(115)가 형성됨으로써 제1정화조(110) 하측면과 제3지지부(115) 사이에 공간인 관통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3지지부(115)에 의해 관통부(116)가 형성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지지부(115)를 관통한 여과재(133)에 의해 여과된 빗물이 관통부(116) 내부에 머무름과 동시에, 관통부(116) 하측에 형성된 통공부(150)를 관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깨끗한 물을 지면 깊숙이 단시간에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제1정화조(110) 내측에 포함된 토양여재를 통과한 빗물이 제2지지부(113), 여과재(133), 제3지지부(115)에 의해 흐름이 제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5>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300), 제1지지관(310), 축전지(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태양전지모듈(300)은 정화부(100)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는데, 태양열을 태양전지모듈(300)에 의해 모아야 하므로 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정화조(110) 내측에 형성된 토양여재의 상측에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태양전지모듈(300)에 의해 태양열을 이용하여 축전지(320) 및 제어부(3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지지관(310)은 태양전지모듈(300) 하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토양여재의 상측에 태양전지모듈(300)이 형성될 경우, 제1지지관(310)은 토양여재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관(310)에 의해 태양전지모듈(300)과 축전지(320)가 연결되어 전력을 저장함으로써 제어부(33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이다.
축전지(320)는 제1지지관(310) 일측 단부와 연결되어 정화부(100)와 연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축전지(320)가 포함됨으로써 태양전지모듈(300)에서 발생되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축전지(320)와 연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330)에 의해 정화부(100) 내측에 형성되는 장치들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 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정화조(120) 또는 제3정화조(1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측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배출관(4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배출관(400)이 더 포함됨으로써 갈수기 시 제2정화조(120) 또는 제3정화조(1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잔류하고 있는 빗물 및 이물질이 배출관(400)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거나, 우수관로로 이동됨으로써 정화부(100) 내측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정화조(120) 또는 제3정화조(1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내측 즉, 배출관(400)의 단부에 개폐부(410)가 더 포함됨으로써, 빗물이 유입될 경우, 개폐부(410)는 닫힘을 유지하고, 갈수기의 일정기간이 지난 후 개폐부(410)가 개방됨으로써 이물질이 배출관(400)을 따라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부(410)의 개폐에 의해 제2정화조(120) 또는 제3정화조(1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측에 고여 있는 빗물이 부패되지 않고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다.
더욱이, 개폐부(410)의 개폐는 제어부(330)가 제2정화조(120) 또는 제3정화조(1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내측에 개폐부(410)와 연동되도록 형성된 센서를 제어함으로써 개폐될 수 있다.
또한, 갈수기 시 제2정화조(120) 또는 제3정화조(1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내측에 형성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송풍장치(4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송풍장치(420)는 제어부(330)의 신호에 의해 온/오프 되며, 내측에 팬이 형성되어 바람에 의해 여과재(133)를 건조함과 동시에 제2정화조(120) 또는 제3정화조(1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내측에 형성된 이물질을 배출관(400)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빗물이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차오름과 동시에 여재에 의해 정화되어 깨끗한 물을 토양에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5)

  1. 빗물이 유입되어 통과함과 동시에 정화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정화부(100);
    정화부(100) 우측 외측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유도관(210);
    정화부(100)의 좌측 외측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유도관(220); 및
    제1유도관(210) 또는 제2유도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말단에 빗물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연결 형성된 배수관(200);을 포함하고,
    정화부(100) 우측에 형성되어 상측에 식물이 형성되고, 하측에 토양여재가 포함된 제1정화조(110);
    제1정화조(110) 좌측에 형성된 제1격벽(112)에 의해 분리되어 빗물이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제2정화조(120); 및
    제2정화조(120) 타측에 형성된 제2격벽(122)에 의해 분리되어 빗물이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흐름으로써 여과재(133)에 의해 정화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3정화조(130);를 포함하며,
    제1정화조(110)는 내측에 내주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4정화조(140)가 형성되고,
    제1정화조(110) 하측에 형성된 토양여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지지부(113); 및
    제2지지부(113)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측에 여과재(133)가 포함되어 빗물이 통과함으로써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3지지부(115);를 포함하고,
    정화부(100)의 하측면에 관통되어 하나 이상 형성된 통공부(150)를 포함하며,
    정화부(100), 제4-1격벽(141) 및 제4-2격벽(142)은 투수콘크리트로 형성되고,
    제4정화조(140)는
    제3정화조(130)에 의해 정화된 빗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제2물넘이부(121)보다 낮은 위치에 제1정화조(110) 내측에 내주면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4-1격벽(141);
    제4-1격벽(141) 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속적으로 토양여재 전면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4-2격벽(142); 및
    제4정화조(140)의 부피보다 많은 양의 빗물이 유입될 경우, 제4정화조(140) 우측 상측에 단부가 배수관(200)과 연동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3유도관(230);을 포함하며,
    제3정화조(130)에 의해 정화된 빗물이 관통하여 제4정화조(140)에 유입될 수 있도록 제2물넘이부(121)와 타측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제4물넘이부(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73299A 2019-12-23 2019-12-23 비점오염원 처리 시스템 KR102229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299A KR102229560B1 (ko) 2019-12-23 2019-12-23 비점오염원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299A KR102229560B1 (ko) 2019-12-23 2019-12-23 비점오염원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560B1 true KR102229560B1 (ko) 2021-03-17

Family

ID=75243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299A KR102229560B1 (ko) 2019-12-23 2019-12-23 비점오염원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5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755B1 (ko) * 2021-06-22 2022-01-03 (주)보선워터텍 식생대를 활용한 도로용 우수처리장치
CN115559409A (zh) * 2022-09-05 2023-01-03 国合绿材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智慧海绵城市用雨水高效收集净化回用工艺、装置
KR102594556B1 (ko) * 2022-12-16 2023-10-26 주식회사 우원이엔지 우수를 식생수로 이용하는 식물재배화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946Y1 (ko) * 2006-02-01 2006-04-14 (주)웹솔루스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
KR20100068518A (ko) * 2008-12-15 2010-06-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점오염원 저감시스템
KR20110011858U (ko) * 2010-06-17 2011-12-23 주식회사두합크린텍 점·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식물포트 여과 시스템
KR101323288B1 (ko) * 2013-07-17 2013-10-29 주식회사 이피에스이앤이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946Y1 (ko) * 2006-02-01 2006-04-14 (주)웹솔루스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
KR20100068518A (ko) * 2008-12-15 2010-06-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점오염원 저감시스템
KR20110011858U (ko) * 2010-06-17 2011-12-23 주식회사두합크린텍 점·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식물포트 여과 시스템
KR101323288B1 (ko) * 2013-07-17 2013-10-29 주식회사 이피에스이앤이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755B1 (ko) * 2021-06-22 2022-01-03 (주)보선워터텍 식생대를 활용한 도로용 우수처리장치
CN115559409A (zh) * 2022-09-05 2023-01-03 国合绿材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智慧海绵城市用雨水高效收集净化回用工艺、装置
CN115559409B (zh) * 2022-09-05 2023-08-29 国合绿材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智慧海绵城市用雨水高效收集净化回用工艺、装置
KR102594556B1 (ko) * 2022-12-16 2023-10-26 주식회사 우원이엔지 우수를 식생수로 이용하는 식물재배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1698B2 (en) Hybrid artificial wetl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sewage treatment device using same, and natural nonpoint purification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purifying river and lake water
KR100691566B1 (ko) 우수 저류 및 지하 침투를 유도하는 시스템
KR101012749B1 (ko)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
KR102229560B1 (ko) 비점오염원 처리 시스템
KR100691763B1 (ko)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오염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장치
KR101923926B1 (ko)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KR101030860B1 (ko) 저류조를 이용한 인공습지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94715B1 (ko)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410194B1 (ko) 초기우수 처리가 가능한 교량 배수시설, 그 배수시설을 이용한 초기우수유도방법, 그 배수시설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및 저감방법
KR101728208B1 (ko) 빗물 침투에 의한 저류 및 증발로 식생 성장이 가능토록 한 확장형 침투 화분 시설물
KR100897258B1 (ko)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
KR20130048884A (ko) 자연순환형 나무화분여과시스템
US9175463B1 (en) Methods for modular catch basins
KR200413946Y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
KR100668479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
KR100437075B1 (ko) 저류지를 이용한 빗물 정화방법 및 장치
KR100601908B1 (ko) 우수저류연못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정화 및 친수시설활용방법과 그 장치
US9593477B1 (en) Modular catch basins
KR200416507Y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0909352B1 (ko) 자연친화형 빗물 처리 활용 시스템
KR20080101132A (ko) 녹지대용 빗물 저류 화단
CN108951829A (zh) 一种带有分层过滤结构的雨水净化生态树池系统
KR20030066574A (ko) 초기우수유출수 비점오염물질 정화처리시스템
KR100491867B1 (ko) 초기우수유출수 비점오염물질 정화처리장치
US9162169B1 (en) Flexible filter hand bags for catch bas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