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073B1 - 우수 집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우수 집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073B1
KR101319073B1 KR1020120037677A KR20120037677A KR101319073B1 KR 101319073 B1 KR101319073 B1 KR 101319073B1 KR 1020120037677 A KR1020120037677 A KR 1020120037677A KR 20120037677 A KR20120037677 A KR 20120037677A KR 101319073 B1 KR101319073 B1 KR 101319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pipe
housing
water collec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학
안창효
김건태
최경영
서권덕
배승열
김이호
이정훈
문정수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코탑
에레드 주식회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코탑, 에레드 주식회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중원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7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지 및 도로 등에서 유출되는 우수를 효율적으로 집수 및 여과처리한 후에 생태습지, 친수공간, 조경, 친수, 도로용수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우수 집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 관리장치는, 우수를 집수 및 여과처리하는 우수 집수장치; 및 상기 우수 집수장치에서 우수 유입관을 통해 연결되어 우수를 저류하는 관로형 저류조;를 포함하고, 상기 관로형 저류조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로형 저류조의 타측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관이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관로형 저류조 내의 우수를 사용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수 집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관리장치{RAINWATER COLLECTING APPARATUS AND RAINWATER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우수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녹지 및 도로 등에서 유출되는 우수를 효율적으로 집수 및 여과처리한 후에 생태습지, 친수공간, 조경, 친수, 도로용수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우수 집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인구집중과 산업화로 인하여 필요한 물의 수요는 급격하게 증가되어 수자원의 부족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세계 평균치를 웃도는 강수량에도 불구하고 강우의 불균일한 분포와 인구 과밀도로 인하여 물부족의 위험에 처해 있고, 또한 도시 개발로 인하여 지표면의 계속적인 불투수층 면적비율 증가로 물 순환 체계의 왜곡이 가중되어 도시형 침수나 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우수와 함께 유출되는 오염물들이 수계로 유입되면 도시 인근의 하천이나 호소의 수질오염을 발생시키거나 상수원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불투수층 면적 증가는 증발량 및 빗물 침투량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하천 건천화, 지하수 고갈, 열대야 및 열섬현상 가중 등의 문제를 야기하며, 강우의 유출로 인한 도시형 침수와 도로 노면 유출수 및 토사 유출로 인한 하천 생태계 파괴 등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수자원 부족과 도시형 홍수, 그리고 수질오염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수를 모아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즉 강우시 우수를 집수하고 저류하여 생활용수, 비상용수, 조경용수 등으로 활용하여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강우시 빗물을 하수도에 방류하지 않고 지하로 침투시켜 지하생태계를 회복시키는 동시에 지표면으로 유출되는 빗물의 양을 저감시켜 홍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우수 관리시설을 확대 보급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우수 관리시설은 우수 집수장치 측에서 협잡물 등으로 인한 막힘이 심각함과 더불어 우수의 체류시간이 길어져 우수가 유입되지 않고 도로 등으로 흘러내려감에 따라 시스템 내로의 우수 유입 자체가 원활하지 못하고, 이에 우수의 집수효율 및 여과효율이 상당히 저하됨에 따라 실질적인 효과(우수 집수, 오염제어, 치수 효과 등)를 얻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우수 관리시설은 우수 집수장치에서 집수 및 여과처리된 우수를 저류하기 위한 저류조가 복잡하게 구성됨에 따라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분산된 우수의 이용처로 우수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도로, 녹지, 광장, 운동장 등에서 유출되는 우수의 집수효율 및 여과효율을 대폭 향상시킴으로써 우수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우수 집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관리장치는,
우수를 집수 및 여과처리하는 우수 집수장치; 및
상기 우수 집수장치에서 우수 유입관을 통해 연결되어 우수를 저류하는 관로형 저류조;를 포함하고,
상기 관로형 저류조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로형 저류조의 타측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관이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관로형 저류조 내의 우수를 사용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로형 저류조는 생태습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관로형 저류조와 생태습지 사이에는 연통로가 연결되며,
상기 배출관의 도중에는 공급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수 집수장치는 우수를 집수하는 집수부 및 상기 집수부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여과처리하는 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부는 집수 하우징, 상기 집수 하우징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 이물질 침전층, 집수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 우수 가이드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여과부는 상기 집수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여과부는 하나 이상의 배수층, 하나 이상의 여과층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수 가이드하우징과 상기 여과부는 초기우수 유출관 및 월류수 유출관을 통해 서로 소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초기우수 유출관은 상기 월류수 유출관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부는 상부 배수층, 제1여과층, 제2여과층, 하부 배수층이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초기우수 유출관의 일단부 및 상기 월류수 유출관의 일단부는 상기 우수 가이드하우징의 일측에 접속되며, 상기 초기우수 유출관의 타단부 및 월류수 유출관의 타단부는 상기 여과부의 상부 배수층 내에 위치하고, 상기 월류수 유출관의 타단부에는 바이패스 유입관이 접속되며,
상기 하부 배수층에는 우수 유입관이 접속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입관은 상기 우수 유입관의 일측 지점에서 합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집수장치는,
우수 발생원의 일측 가장자리의 토양 내에 매립된 집수부; 및
상기 집수부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여과처리하고, 상기 집수부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토양 내에 매립된 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부는 집수 하우징, 상기 집수 하우징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 이물질 침전층, 집수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 우수 가이드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여과부는 상부 배수층, 하나 이상의 여과층, 하부 배수층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수 하우징의 상부에는 우수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우수 가이드하우징의 상단면 및 측벽은 폐쇄되며, 상기 우수 가이드하우징의 하단면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우수 가이드하우징의 하단 개구 측에는 스트레이너가 배치되고,
상기 우수 가이드하우징은 상기 집수 하우징 보다 작은 사이즈로 이루어져 상기 집수 하우징의 내측 상부 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됨으로써, 우수가 집수 하우징 내에서 상기 이물질 침전층을 통과한 후에 상향류 방식으로 우수 가이드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부는 상부 배수층, 제1여과층, 제2여과층, 하부 배수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여과층은 복솔(bauxsol)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여과층은 제올라이트(zeolite), 활성탄(activated carbon), 펄라이트(perlite)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여과층과 하부 배수층 사이에는 부직포층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수 가이드하우징과 상기 여과부는 초기우수 유출관 및 월류수 유출관을 통해 서로 소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초기우수 유출관은 상기 월류수 유출관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초기우수 유출관의 일단부 및 상기 월류수 유출관의 일단부는 상기 우수 가이드하우징의 일측에 접속되며, 상기 초기우수 유출관의 타단부 및 월류수 유출관의 타단부는 상기 여과부의 상부 배수층 내에 위치하고, 상기 월류수 유출관의 타단부에는 바이패스 유입관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로, 녹지, 광장, 운동장 등에서 유출되는 우수를 집수부에서 집수한 후에 초기우수를 여과처리하여 저류조 측으로 공급하고, 월류수는 저류조 측으로 바이패스시키도록 구성됨에 따라, 우수의 집수효율 및 여과효율을 대폭 향상시킴으로써 우수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로형 저류조를 적용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절약하여 공간활용성을 대폭 향상시킴과 더불어 우수의 사용처로 우수의 공급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관로형 저류조를 수질정화기능을 가진 생태습지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수질정화와 더불어 집중강우 시에 강우유출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우수를 저동력으로 순환 활용함으로써 도심 내 불투수면의 강우유출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관리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관리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집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관리장치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관리장치는 우수를 집수 및 여과처리하는 우수 집수장치(100), 및 우수 집수장치(100) 측에 우수 유입관(21)을 통해 연결된 관로형 저류조(20)를 포함한다.
우수 집수장치(100)는 불투수형 포장도로, 주차장, 녹지, 운동장, 광장 등과 같은 우수 발생원(1)으로부터 우수를 집수 및 여과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 집수장치(100)는 우수 발생원(1)에서 발생된 우수를 집수하는 집수부(110) 및 집수부(110)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여과처리하는 여과부(120)를 포함한다.
집수부(110)는 도로 또는 운동장 등과 같은 우수 발생원(1)의 일측 가장자리의 토양 내에 매립되게 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집수부(110)는 집수 하우징(111), 집수 하우징(111)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 이물질 침전층(113), 집수 하우징(111)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 우수 가이드하우징(115)를 포함한다.
집수 하우징(111)은 그 상부에는 우수 유입부(114)가 형성되고, 우수 유입부(114)에는 그레이팅(114a, grating) 및 그레이팅(114a)의 하부에 배치된 스트레이너(114b, strainer) 등이 설치된다. 스트레이너(114b)는 그레이팅(114a) 보다 미세한 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집수 하우징(111)은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등을 통해 현장시공되는 구조 또는 비교적 큰 사이즈의 기성품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집수 하우징(111)의 측벽에는 미세한 복수의 통수공(111a)이 형성됨으로써 집수 하우징(111) 내에 고인 우수가 서서히 유출될 수 있다.
이물질 침전층(113)은 우수 특히, 초기우수 내에 함유된 고형입자 등과 같은 이물질을 포집하여 침전시키도록 집수 하우징(111)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물질 침전층(113)은 복수의 잔쇄석(113a) 등이 그물망(113b) 내에 수용된 구조로 구성되고, 이를 통해 잔쇄석(113a) 내에 초기우수 내의 고형입자 등이 포집되어 침전될 수 있다.
우수 가이드하우징(115)은 그 상단면 및 측벽이 폐쇄되고, 그 하단면에 개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우수 가이드하우징(115)의 하단 개구 측에는 스트레이너(116, strainer)가 배치되고, 스트레이너(116)는 미세한 메쉬(fine mesh)로 이루어져 우수 내의 미세한 고형입자를 여과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 가이드하우징(115)은 집수 하우징(111) 보다 작은 사이즈로 이루어지고, 특히 도 4와 같이 집수 하우징(111)의 내측 상부 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즉, 우수 가이드하우징(115)은 집수 하우징(111)의 내부에서 집수 하우징(111)의 일측 내면에 인접 또는 밀착되게 배치됨에 따라 우수 가이드하우징(115)의 일측 외면과 집수 하우징(111)의 타측 내면 사이에는 우수가 통과하는 통과부(11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우수 가이드하우징(115)이 집수 하우징(111)의 내부 상측에 치우지게 배치된 구조를 통해 우수는 집수 하우징(111) 내로 유입된 우수는 통과부(112)를 거쳐(화살표 a참조) 이물질 침전층(113)을 통과한 후에 다시 우수 가이드하우징(115)의 하단 개구(특히, 스트레이너(116))를 거쳐 우수 가이드하우징(115) 측으로 흐른다(화살표 b 참조). 즉, 우수는 집수 하우징(111) 내에서 이물질 침전층(113)을 통과(화살표 a 참조)한 후에 상향류(화살표 b 참조) 방식으로 우수 가이드하우징(115) 내로 유입됨으로써 우수는 집수 하우징(111) 내에서 "U"자형으로 흐르게 된다.
우수 가이드하우징(115)에는 초기우수 유출관(131)의 일단부 및 월류수 유출관(132)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여과부(120)에는 초기우수 유출관(131)의 타단부 및 월류수 유출관(132)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이에 우수 가이드하우징(115)과 여과부(120)는 초기우수 유출관(131) 및 월류수 유출관(132)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한편, 초기우수 유출관(131)은 월류수 유출관(132)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우수가 집수 하우징(111) 내에 유입되면 초기우수는 초기우수 유출관(131)을 통해 여과부(120)의 여과층(122, 123)으로 공급되어 여과처리된 후에 관로형 저류조(20) 측으로 유입되고, 월류수는 월류수 유출관(132) 및 후술하는 바이패스 유입관(22)을 통해 관로형 저류조(20)측으로 바로 유입된다.
상대적으로 오염도가 높은 초기우수는 집수 하우징(111) 내에서 이물질 침전층(113)을 통해 이물질이 포집되어 침전(여과)된 후에 우수 가이드하우징(115)의 초기우수 유출관(131)을 통해 여과부(120)로 유출된다.
그리고, 강우가 지속됨에 따라 집수 하우징(111)의 수위가 초기우수 유출관(131) 이상으로 증가하면, 초기우수 이외의 월류수는 집수 하우징(111) 내로 집수된 후에 우수 가이드하우징(115)의 월류수 유출관(132) 및 후술하는 바이패스유입관(22)을 통해 관로형 저류조(20) 측으로 유입된다.
여과부(120)는 집수부(110)로부터 이격되어 토양 내에 배치되고, 특히 여과부(120)와 집수부(110)는 도로 등의 연석(3)를 기준으로 토양 내에 구획되게 시공될 수 있다.
여과부(120)는 상부 배수층(121), 제1여과층(122), 제2여과층(123), 하부 배수층(124)이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부 배수층(121)은 집수부(110)로부터 공급받은 우수를 하부로 효과적으로 배수하도록 쇄석, 모래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초기우수 유출관(131)의 타단부 및 월류수 유출관(132)의 타단부는 여과부(120)의 상부 배수층(121) 내에 위치하고, 이에 초기우수는 초기우수 유출관(131)을 통해 여과부(120)의 상부 배수층(121)으로 유출되며, 월류수는 월류수 유출관(132) 및 후술하는 바이패스 유입관(22)을 통해 관로형 저류조(20)측으로 바로 유입된다.
한편, 상부 배수층(121)에서 월류수 유출관(132)의 타단부에는 바이패스 유입관(22)이 접속되고, 이에 월류수 유출관(132)을 통과한 월류수는 제1 및 제2 여과층(122, 123)을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 유입관(22)을 통해 관로형 저류조(20) 측으로 바로 유입된다. 이는, 월류수의 경우는 초기우수에 비해 그 오염도가 낮으므로 상대적으로 여과처리의 필요성이 낮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월류수를 월류수 유출관(132) 및 바이패스 유입관(22)을 통해 관로형 저류조(20) 측으로 바이패스시킴에 따라 우수를 보다 신속하게 집수하여 관로형 저류조(20)측으로 원활하게 유입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여과층(122)은 복솔(bauxsol)로 이루어져 우수 내의 오염물질 특히, 인과 같은 중금속을 흡착 및 침전 작용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복솔(Bauxsol)은 우수 내의 오염물질 특히 중금속을 제거하는 것으로, 오염물질을 정화시켜 분리 및 방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물질인 것이다. 이에, 우수는 복솔에 의해 우선 산성 상태가 중화되고, 독성의 오염물질인 중금속 원소들이 복솔에 의해 흡착된 후 해리되지 못하도록 하여 오염물질을 우수와 분리하여 걸러내기 용이한 것이다. 즉 이러한 복솔(Bauxsol)은 일종의 현장 중성화(neutralization), 안정화(stabilization), 고형화(solidification) 기술의 특징을 갖는 물질로, 오염된 토양과 수중에 있는 산(acid), 비소(arsenic), 시안화물(cyanide) 그리고 유독 중금속류 등과 같은 환경오염 인자들을 환경 친화적이며 영구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제2여과층(123)은 제올라이트(zeolite), 활성탄(activated carbon), 펄라이트(perlite) 등으로 이루어져 우수 내의 입자성 또는 용존성 오염물질(예컨대, 질소 등)을 이온교환작용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하부 배수층(124)은 쇄석 등으로 이루어져 여과처리된 우수의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배수층(124)에는 초기우수 유입관(21)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이 우수 유입관(21)의 타단부는 관로형 저류조(20) 측에 접속된다.
그리고, 우수 유입관(21)의 일측지점에는 바이패스 유입관(22)이 합류되어 초기우수와 월류수가 함께 관로형 저류조(2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제2여과층(123)과 하부 배수층(124) 사이에는 부직포층(125)이 개재되고, 이 부직포층(125)에 의해 우수 내의 오염물질이 보다 확실하게 여과된다.
또한, 여과부(120)의 상부에는 우수를 별도로 집수할 수 있는 보조 집수하우징(141)이 설치될 수 있고, 보조 집수하우징(141)의 상부는 개방되며, 보조 집수하우징(141)의 개방된 상부에는 스트레이너(14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집수하우징(141)을 통해 우수가 여과부(120) 내로 직접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관로형 저류조(20)는 우수 유입관(21) 및 바이패스 유입관(22)을 통해 우수 집수장치(100)와 소통가능하게 연결되고, 이에 우수 집수장치(100)로부터 공급받은 우수를 저류할 수 있다.
관로형 저류조(2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공간활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로형 저류조(20)가 일정구간에 걸쳐 복수개가 설치될 경우에는 복수의 관로형 저류조(20)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우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관로형 저류조(20)와 같이 관로 형태의 구조물을 통해 우수의 저류 뿐만 아니라 우수의 이송기능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우수관리시스템은 수처리시스템과의 연계작업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관로형 저류조(20)에 의해 실개천 등의 선형구조의 수요처에 용수를 공급할 경우 그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으며, 인공습지 등과 같은 친수공간과의 연계 시에 공간적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관로형 저류조(20)는 생태습지(30)의 하부에 배치되고, 관로형 저류조(20)와 생태습지(30)는 연통로(23)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생태습지(30)에는 식물섬(31) 및 정화장치(미도시)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연통로(23)를 통해 생태습지(30)의 수위가 과도하게 올라갈 경우 연통로(23)를 통해 생태습지(30)의 물이 관로형 저류조(20) 측으로 오버플로우(overflow)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친수공간인 생태습지(30)의 유지용수로서 우수를 활용할 수 있고(저류조와의 순환 연계를 통한 상시 활용), 생태습지(30)의 식물섬(31) 및 기타 정화장치를 이용하여 수질정화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집중 호우 시에 생태습지(30) 측에 우수를 저장함으로써 강우의 유출량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태습지(30)와의 입체적 연동을 통한 용수 내지 동력 등의 절감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관로형 저류조(20)의 타측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관(24a, 24b)이 연결되고, 이러한 배출관(24a, 24b)을 통해 생태습지(30), 그외 도로, 녹지, 운동장, 광장, 주차장 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처로 우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관로형 저류조(20)에 의한 다양한 치수효과를 구현함과 더불어 도로의 살수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각 배출관(24a, 24b)에는 우수를 사용처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펌프(25a, 25b)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배출관(24a)은 생태습지(30) 측으로 우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되고, 제2배출관(24b)은 도로, 녹지, 운동장, 광장, 주차장 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처로 우수를 공급하도로 설치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의 배출관이 관로형 저류조(20) 측에 연결되고, 단일의 배출관에는 공급펌프가 설치되며, 단일의 배출관에서 각 사용처로 복수의 분기관이 분기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 녹지, 광장, 운동장 등에서 유출되는 우수를 집수부(110)에서 집수한 후에 초기우수를 여과부(120) 측에서 여과처리하여 우수유입관(21)을 통해 저류조(20) 측으로 공급하고, 월류수는 바이패스 유입관(22)을 통해 저류조(20) 측으로 바이패스시키도록 구성됨에 따라 우수의 집수효율 및 여과효율을 대폭 향상시킴으로써 우수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로형 저류조(20)를 적용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절약하여 공간활용성을 대폭 향상시킴과 더불어 우수의 사용처로 우수의 공급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관로형 저류조(20)를 수질정화기능을 가진 생태습지(30)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수질정화와 더불어 집중강우 시에 강우유출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우수를 저동력으로 순환 활용을 통해 도심 내 불투수면의 강우유출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우수 발생원 20: 관로형 저류조
30: 생태습지
100: 우수 집수장치 110: 집수부
111: 집수하우징 113: 이물질 침전층
115: 우수 가이드하우징
131: 초기우수 유출관 132: 월류수 유출관
120: 여과부 121: 상부 배수층
122: 제1여과층 123: 제2여과층
124: 하부 배수층

Claims (10)

  1. 우수를 집수 및 여과처리하는 우수 집수장치; 및
    상기 우수 집수장치에서 우수 유입관을 통해 연결되어 우수를 저류하는 관로형 저류조;를 포함하며,
    상기 우수 집수장치는 우수를 집수하는 집수부 및 상기 집수부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여과처리하는 여과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로형 저류조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로형 저류조의 타측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관이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관로형 저류조 내의 우수를 사용처로 공급되며,
    상기 집수부는 집수 하우징과, 상기 집수 하우징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 이물질 침전층과, 상기 집수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 우수 가이드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이물질 침전층은 우수 내에 함유된 이물질을 포집하여 침전시키도록 복수의 잔쇄석이 그물망 내에 수용된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우수 가이드하우징은 상기 집수하우징의 내측 상부에서 일측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우수 가이드하우징의 일측 외면과 상기 집수 하수징의 내면 사이에 우수가 통과하는 통과부가 형성되며,
    상기 여과부는 상기 집수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토양 내에 매립되고, 상기 여과부는 하나 이상의 배수층 및 하나 이상의 여과층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우수 가이드하우징과 상기 여과부는 초기우수 유출관 및 월류수 유출관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초기우수 유출관은 상기 월류수 유출관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관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로형 저류조는 생태습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관로형 저류조와 생태습지 사이에는 연통로가 연결되며,
    상기 배출관의 도중에는 공급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관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부 배수층, 제1여과층, 제2여과층, 하부 배수층이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초기우수 유출관의 일단부 및 상기 월류수 유출관의 일단부는 상기 우수 가이드하우징의 일측에 접속되며, 상기 초기우수 유출관의 타단부 및 월류수 유출관의 타단부는 상기 여과부의 상부 배수층 내에 위치하고, 상기 월류수 유출관의 타단부에는 바이패스 유입관이 접속되며,
    상기 하부 배수층에는 우수 유입관이 접속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입관은 상기 우수 유입관의 일측 지점에서 합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관리장치.
  6. 우수 발생원의 일측 가장자리의 토양 내에 매립된 집수부; 및
    상기 집수부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여과처리하고, 상기 집수부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토양 내에 매립된 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부는 집수 하우징과, 상기 집수 하우징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 이물질 침전층과, 상기 집수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 우수 가이드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이물질 침전층은 우수 내에 함유된 이물질을 포집하여 침전시키도록 복수의 잔쇄석이 그물망 내에 수용된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우수 가이드하우징은 상기 집수하우징의 내측 상부에서 일측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우수 가이드하우징의 일측 외면과 상기 집수 하수징의 내면 사이에 우수가 통과하는 통과부가 형성되며,
    상기 여과부는 상기 집수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토양 내에 매립되고, 상기 여과부는 하나 이상의 배수층 및 하나 이상의 여과층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우수 가이드하우징과 상기 여과부는 초기우수 유출관 및 월류수 유출관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초기우수 유출관은 상기 월류수 유출관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집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집수 하우징의 상부에는 우수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우수 가이드하우징의 상단면 및 측벽은 폐쇄되며, 상기 우수 가이드하우징의 하단면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우수 가이드하우징의 하단 개구 측에는 스트레이너가 배치되고,
    상기 우수 가이드하우징은 상기 집수 하우징 보다 작은 사이즈로 이루어져 상기 집수 하우징의 내측 상부 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됨으로써, 우수가 집수 하우징 내에서 상기 이물질 침전층을 통과한 후에 상향류 방식으로 우수 가이드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집수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부 배수층, 제1여과층, 제2여과층, 하부 배수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여과층은 복솔(bauxsol)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여과층은 제올라이트(zeolite), 활성탄(activated carbon), 펄라이트(perlite)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집수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여과층과 하부 배수층 사이에는 부직포층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집수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초기우수 유출관의 일단부 및 상기 월류수 유출관의 일단부는 상기 우수 가이드하우징의 일측에 접속되며, 상기 초기우수 유출관의 타단부 및 월류수 유출관의 타단부는 상기 여과부의 상부 배수층 내에 위치하고, 상기 월류수 유출관의 타단부에는 바이패스 유입관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집수장치.
KR1020120037677A 2012-04-12 2012-04-12 우수 집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관리장치 KR101319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677A KR101319073B1 (ko) 2012-04-12 2012-04-12 우수 집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677A KR101319073B1 (ko) 2012-04-12 2012-04-12 우수 집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9073B1 true KR101319073B1 (ko) 2013-10-17

Family

ID=4963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677A KR101319073B1 (ko) 2012-04-12 2012-04-12 우수 집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073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133A (ko) 2013-12-30 2015-07-09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빗물 관리시스템용 빗물 분배장치
CN105064449A (zh) * 2015-07-16 2015-11-18 刘洋 一种雨水收集净化装置
CN106638774A (zh) * 2016-12-13 2017-05-10 上海市建工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雨水收集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CN109440862A (zh) * 2018-12-06 2019-03-08 黄河水利委员会黄河水利科学研究院 一种密度差原理的雨水收集装置
KR101959856B1 (ko) * 2017-12-08 2019-03-20 (주)이피에스이앤이 빗물저류조를 활용한 강우시 토양침투율 증대 시스템
CN110067282A (zh) * 2019-04-30 2019-07-30 广东天濠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城市绿地广场雨水收集再利用系统
KR102050045B1 (ko) * 2019-01-07 2019-11-28 주식회사 뉴보텍 저영향개발기법 기반의 생태환경 빗물집수시스템
CN110839515A (zh) * 2019-11-14 2020-02-28 中铁西北科学研究院有限公司 高铁沿线绿化微渗保润维养方法
CN112281980A (zh) * 2020-04-30 2021-01-29 陕西理工大学 一种建筑用具有净化功能的楼顶雨水收集器
CN114086628A (zh) * 2021-11-03 2022-02-25 江苏城归设计有限公司 一种花池储水装置
KR102368531B1 (ko) * 2021-08-05 2022-02-28 경기도 고양시 지하수 및 우수를 활용한 도심 생태축 구축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3680A (ko) * 2007-10-01 2009-04-06 주식회사 뉴보텍 우수처리시스템 및 우수처리방법
KR100943655B1 (ko) 2009-07-02 2010-02-25 (주) 케이 이엔씨 스마트 침사조를 이용한 빗물이용 시스템
KR101032421B1 (ko) 2010-11-30 2011-05-03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빗물 재이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3680A (ko) * 2007-10-01 2009-04-06 주식회사 뉴보텍 우수처리시스템 및 우수처리방법
KR100943655B1 (ko) 2009-07-02 2010-02-25 (주) 케이 이엔씨 스마트 침사조를 이용한 빗물이용 시스템
KR101032421B1 (ko) 2010-11-30 2011-05-03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빗물 재이용 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727B1 (ko) * 2013-12-30 2016-01-06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빗물 관리시스템용 빗물 분배장치
KR20150080133A (ko) 2013-12-30 2015-07-09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빗물 관리시스템용 빗물 분배장치
CN105064449A (zh) * 2015-07-16 2015-11-18 刘洋 一种雨水收集净化装置
CN106638774A (zh) * 2016-12-13 2017-05-10 上海市建工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雨水收集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959856B1 (ko) * 2017-12-08 2019-03-20 (주)이피에스이앤이 빗물저류조를 활용한 강우시 토양침투율 증대 시스템
CN109440862B (zh) * 2018-12-06 2024-03-15 黄河水利委员会黄河水利科学研究院 一种密度差原理的雨水收集装置
CN109440862A (zh) * 2018-12-06 2019-03-08 黄河水利委员会黄河水利科学研究院 一种密度差原理的雨水收集装置
KR102050045B1 (ko) * 2019-01-07 2019-11-28 주식회사 뉴보텍 저영향개발기법 기반의 생태환경 빗물집수시스템
CN110067282A (zh) * 2019-04-30 2019-07-30 广东天濠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城市绿地广场雨水收集再利用系统
CN110839515A (zh) * 2019-11-14 2020-02-28 中铁西北科学研究院有限公司 高铁沿线绿化微渗保润维养方法
CN112281980A (zh) * 2020-04-30 2021-01-29 陕西理工大学 一种建筑用具有净化功能的楼顶雨水收集器
KR102368531B1 (ko) * 2021-08-05 2022-02-28 경기도 고양시 지하수 및 우수를 활용한 도심 생태축 구축 시스템
CN114086628A (zh) * 2021-11-03 2022-02-25 江苏城归设计有限公司 一种花池储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073B1 (ko) 우수 집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관리장치
US11053147B2 (en) Horizontal flow biofilter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0706269B1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1323288B1 (ko)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CA2686415C (en) Pre-assembled flow control structure and related media filtration system
US8940170B2 (en) Triple-chambered wetland biofilter treatment system
KR101356690B1 (ko) 하천형 수류 순환 시스템 및 하천형 수류 순환 관리 방법
KR101410194B1 (ko) 초기우수 처리가 가능한 교량 배수시설, 그 배수시설을 이용한 초기우수유도방법, 그 배수시설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및 저감방법
KR100897258B1 (ko)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
KR101205223B1 (ko) 침투수 처리시스템
KR101239389B1 (ko) 자연형 침투도랑형 재이용수 활용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578551B1 (ko) 우수 오염 방지와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식생체류지
CN108999056B (zh) 海绵城市道路雨水一体化循环处理系统
CN104532942B (zh) 一种雨水净化树箱系统
KR100791965B1 (ko)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수 처리장치
KR100958295B1 (ko) 우수활용이 가능한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20200035535A (ko) 수변공간을 활용한 오염부하 저감 및 차단시스템
KR101066537B1 (ko) 입체형 빗물 관리 시스템 및 빗물 관리 방법
KR101095322B1 (ko) 자연적 물순환 및 비점오염 저감 기능을 겸비한 침투도랑
KR101206857B1 (ko) 비점오염 처리용 다목적 집약형 인공습지
KR101055652B1 (ko) 자연적 물순환 및 여재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침투도랑
KR101720715B1 (ko) 전처리를 통한 비점처리 지하 침투형 집수시스템
KR100949388B1 (ko) 도시형 우수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KR20160148949A (ko) 유량분배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582727B1 (ko) 빗물 관리시스템용 빗물 분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