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280B1 - 여재카트리지를 결합한 모듈식 침투도랑 - Google Patents

여재카트리지를 결합한 모듈식 침투도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280B1
KR101353280B1 KR1020110097603A KR20110097603A KR101353280B1 KR 101353280 B1 KR101353280 B1 KR 101353280B1 KR 1020110097603 A KR1020110097603 A KR 1020110097603A KR 20110097603 A KR20110097603 A KR 20110097603A KR 101353280 B1 KR101353280 B1 KR 101353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tank
filtration
purification layer
tan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3738A (ko
Inventor
구본경
Original Assignee
(주)하이드로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드로코어 filed Critical (주)하이드로코어
Priority to KR1020110097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280B1/ko
Publication of KR20130033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38Feed or discharge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침투형 수처리 장치에 대한 것으로, 특히 측벽을 가지고, 상단에 여재 카트리지가 구비되며, 하단에 쇄석이나 모래를 포함하는 정화층이 구비된 제1여과조와 제2여과조; 및 상기 제1여과조의 정화층을 통과한 처리수가 상기 제2여과조의 정화층으로 이송되게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여과형 저감시설과 침투형 저감시설의 장점을 모두 가지기 때문에, 토양 침투 기능을 유지하는 동시에 오염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여재가 카트리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바 보수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여재카트리지를 결합한 모듈식 침투도랑{Modular infiltration trench combined with filter cartridges}
본 발명은 강우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초기 유출수에 의한 수질오염부하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침투도랑 또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과형 저감시설과 침투형 저감시설의 장점을 모두 가지면서 보수 관리가 용이한 여과침투형 모듈식 침투도랑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점오염물질과 도시, 도로, 농지 등과 같이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로 나눌 수 있다.
이에, 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가정이나 공장, 축산농가 등에 별도의 정화장치 또는 폐수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오염물질의 정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비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배출지역이 불분명하고 광범위한 지표면 상에 잔존해 있다가 우천시 빗물과 함께 하천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유입되어 수질오염을 야기하는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
비점오염물질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비점오염물질 처리방법이 제공되어 왔는데, 습지나 저류지를 이용한 방법은 일정 범위 내의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비점오염물질과 함께 흘러내리는 초기 강우를 수용하고 정화할 수 있는 정도로 비교적 큰 규모가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설치함에 있어서 장소와 공간의 확보가 매우 어렵다.
이에 따라, 종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방법은 비교적 토지 이용에 제한이 적은 침전식 처리시설이나, 여과형 시설, 또는 토양층에 침투시켜 정화하는 침투형 시설 등의 처리장치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침전식 처리시설은 토사에 의해 매몰되거나 초기ㆍ 후기 우수가 구분되지 않고 지속된 우수 유입으로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가 발생되었고, 여과형 시설은 여과망의 공극이 토사류에 의해 폐쇄되거나 사후 관리 부족으로 여과 기능을 상실함으로써 초기 우수의 비점오염원의 정화 효과에 효율성이 미미하였으며, 토양층을 경유한 침투형 시설 또한 지속적인 토사류와 사후관리의 어려움이 있고, 미세 고형물의 제거에 있어 큰 효율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물리적인 처리에 국한되기 때문에 영양염류 등 다양한 종류의 수용상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1-0011506호(발명의 명칭 : 자연적 물순환 및 비점오염 저감 기능을 겸비한 침투도랑)에는 여재부 내부에 다수의 유공관을 수평 배치하고 비점오염원이 제거된 우수 등을 지하로 유도하는 자연적 물순환 및 비점오염 저감 기능을 구비한 침투도랑이 개시되어 있으나, 여전히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재 카트리지에 의한 여과형 저감시설의 장점과 정화층에 의한 침투형 저감시설의 장점을 모두 가짐으로써, 토양 침투 기능을 유지하는 동시에 오염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여재를 사용함으로써 오염부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여재의 보수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수를 여과조 내부에 고르게 흘려 내려보냄으로써, 유입수가 앞쪽으로 치우침이 없이 여과조 내부에서 고르게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침투형 수처리 장치는, 측벽을 가지고, 상단에 제1여재 카트리지가 구비되며, 하단에 쇄석이나 모래를 포함하는 제1정화층이 구비된 제1여과조; 측벽을 가지고, 상단에 제2여재 카트리지가 구비되며, 하단에 쇄석이나 모래를 포함하는 제2정화층이 구비된 제2여과조; 및 상기 제1여과조의 정화층을 통과한 처리수가 상기 제2여과조의 정화층으로 이송되게하는 이송수단으로써 상기 제1여과조와 제2여과조 사이의 격벽 하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재 카트리지는 다각형 측면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바닥에 형성된 다공성막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여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블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여재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 블럭이 2개 이상 적층된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침투형 수처리 장치는 측벽을 가지고, 상단에 여재 카트리지가 구비되며, 하단에 쇄석이나 모래를 포함하는 정화층이 구비된 제1여과조와 제2여과조; 상기 제1여과조의 정화층을 통과한 처리수가 상기 제2여과조의 정화층으로 이송되게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제1여과조 상부에 구비되어 유입수를 상기 여재 카트리지 상부로 흘려보내는 다중분류관을 포함하고, 상기 다중분류관은, 바닥에 나란하게 형성된 홀(hole)과 물결 무늬 형상의 측면을 가지는 반원통형관 다수개가 상기 유입수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것일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1여과조 상부에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구비된 메쉬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제2여과조에서 바이패스(bypass)된 처리수를 전달받아 배출하는 것으로, 측벽을 가지고, 상단에 여재 카트리지가 구비되며, 하단에 쇄석이나 모래를 포함하는 정화층이 구비된 제3여과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여과조의 정화층 내부에는 다공성 막으로 둘러싸인 유공관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유공관의 일단은 제3여과조의 외부로 관통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여재 카트리지에 의한 여과형 저감시설의 장점과 정화층에 의한 침투형 저감시설의 장점을 모두 가지기 때문에, 토양 침투 기능을 유지하는 동시에 오염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여재를 사용함으로써 오염부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 여재를 카트리지 구조 안에 포함하여 장착시킴으로써 보수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조 상부에 반원통형관 다수개가 나란하게 배열된 다중분류관을 가지는바, 유입수를 여과조 내부에 고르게 흘려 내려보낼 수 있어서, 앞쪽으로 치우침이 없이 여과조 내부에서 고르게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침투형 수처리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침투형 수처리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침투형 수처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재 카트리지의 구성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분류관의 구성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침투형 수처리 장치의 제1여과조와 제2여과조 사이에서 처리수가 이송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침투형 수처리 장치의 제1여과조와 제2여과조 사이에서 유입수가 바이패스(bypass)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침투형 수처리 장치에서 침전조, 제1여과조, 제2여과조 및 제3여과조가 배치되는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배치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침투형 수처리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여과침투형 수처리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여과침투형 수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본 발명은 비점오염이 하천에 유입되거나 호소 등에 유입되기 전 정화처리하는 침투도랑 또는 거기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위적인 시설물의 지표면이 산업 활동으로 오염되어 쌓여있는 오염 물질을 초기 우천 시 빗물에 씻겨 내리는 비점오염물질을 하천, 호소 공공수역에 유입되기 전에 정화함으로써, 수질 오염을 사전에 방지함은 물론 자연 생태계의 수생식물을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침투도랑 또는 비점오염 여과침투형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여과침투형이라 함은 여재 또는 모래를 포함하는 토양층에 의한 여과 기능을 가지면서 동시에 여과된 처리수가 땅속으로 침투되는 토양 침투 기능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여과침투형 수처리 장치는, 제1여과조(100)와 제2여과조(200); 및 상기 제1여과조(100)와 제2여과조(200) 사이에 위치하는 처리수 이송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여과조(100)와 제2여과조(200)는 땅속에 매설되는 처리조일 수 있고, 상기 제1여과조(100) 앞단에는 강우 유출수가 유입되는 침전조(10)가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2여과조(200) 후단에는 제3여과조(3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래서, 상기 침전조(10)에서 바이패스(bypass)된 유입수는 상기 제1여과조(100)로 유입되고, 제2여과조(200) 및 제3여과조(300)를 거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침전조(10), 제1여과조(100), 제2여과조(200) 및 제3여과조(300) 순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유출수를 처리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여과조(100)와 제2여과조(200)를 포함한 각각의 처리조는 별도의 챔버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나의 챔버 안에서 격벽에 의해 구분된 공간인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여과조(100)와 제2여과조(200)는 각각 측벽을 가지고, 그 내부 상단에는 여재 카트리지(110, 210)가 구비되며, 하단에는 쇄석이나 모래를 포함하는 정화층(120, 220)이 구비된다.
그래서, 상기 제1여과조(100)의 상부로 유입된 유입수는 제1여재 카트리지(110)와 제1정화층(120)을 순차적으로 거쳐 통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다. 상기 제1여과조(100)와 제2여과조(200)는 상부벽 또는 덮개를 가질 수도 있고, 하부는 정화층(120, 220)을 통과한 처리수가 땅속으로 침투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여과조(100)와 제2여과조(200)의 하부에는 상기 정화층(120, 220)의 쇄석이나 모래가 땅속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스크린이나 망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여과조(100)와 제2여과조(2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30, 23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여재 카트리지(110, 210)는 카트리지 또는 케이스 내부에 다공질의 재료, 예를 들어 작은 구멍이 많이 뚫려 있는 헝겊이나 종이, 금속 망, 모래, 숯 따위와 같은 여재가 포함된 구조를 가지고, 그 중에서도 모래, 미사, 자갈, 점토와 같은 미립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부는 여재가 유출되지 않도록 부직포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여과조 상단에 이와 같은 여재 카트리지(110, 210)를 포함하여, 상기 여재에 의해 오염물질 정화능력을 증가시키거나 오염부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 여재를 카트리지 구조 안에 포함하여 장착시킴으로써 보수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재 카트리지(110, 210)를 포함하고, 이것이 모듈식으로 결합 가능한 수처리 장치 또는 그것을 포함하는 침투도랑인 것이 특징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재 카트리지(110, 210)의 구성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재 카트리지(110, 210)는, 다각형 측면 지지대(111)와 상기 지지대(111) 바닥에 형성된 다공성막(112)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여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블럭(113)이 2개 이상 적층된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2개 이상의 카트리지 블럭(113)을 가지는 경우, 상기 카트리지 블럭(113)의 적층 개수를 다르게 하여 여과수준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고, 각각의 카트리지 블럭(113) 마다 여재의 종류 및 크기를 달리하여 순차적인 여과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여과조(100)와 제2여과조(200) 각각의 내부 하단, 즉 상기 여재 카트리지(110, 210) 아래에 쇄석이나 모래를 포함하는 정화층(120, 2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화층(120, 220)은 쇄석이나 모래 이외에 미사, 점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정화층(120, 220)은 미세 부유 고형물을 물리적으로 여과하고 기타 오염물질을 상기 쇄석이나 모래 등에 흡착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입자성 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생물학적 질산화반응 및 탈질반응을 통해 암모니아성 질소 및 질산성 질소를 제거할 수도 있다.
특별히, 본 발명은 상기 제1여과조(100)와 제2여과조(200) 사이에 위치하는 처리수 이송수단(400);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수 이송수단(400)은 상기 제1여과조(100)의 제1정화층(120)을 통과한 처리수를 상기 제2여과조(200)의 제2정화층(220) 아래 또는 옆으로 이송되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이송수단(400)은, 상기 제1여과조(100)와 제2여과조(200) 사이의 격벽 하단에 형성된 개구부 또는 구멍이나 홀(hole)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여과조(100)와 제2여과조(200)가 별도의 챔버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제1정화층(120)과 제2정화층(220)의 하단 측면을 연결하는 관로 또는 통로일 수도 있다.
그래서, 상기 제1여과조(100) 상부로 분산 유입된 강우 유출수는 제1여재 카트리지(110)와 제1정화층(120)을 차례대로 하향 통과하면서 1차 정화과정을 거친다. 그래서, 이와 같이 정화된 처리수는 자연적 침투과정을 통해 상기 제1정화층(120) 아래의 땅으로 침투되고, 상기 정화된 처리수의 일부는 상기 이송수단(400)을 통하여 제2여과조(200) 하부로 유입된다. 그런 다음, 제2여과조(200) 하부에 유입된 유출수는 일부가 자연적 침투과정을 통해 제2정화층(220) 아래의 토양으로 침투되며, 다른 일부 초과수는 상기 제2정화층(220)과 제2여재 카트리지(210)를 상향통과하면서 2차 정화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여과조(100)와 제2여과조(200) 사이 하단에 처리수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400)을 가짐으로써, 제1여과조(100)로 갑자기 많은 양의 강우 유출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도 많은 유출수를 정화층(120, 220)에 담을 수 있고, 보다 넓은 땅속 동시 침투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여과조(200)에서는 제1정화층(120)에서 넘어온 침투 초과수를 제2정화층(220)과 제2여재 카트리지(210)으로 상향 통과시킴으로써, 점토나 미사에 의한 폐색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재 카트리지(110, 210)에 의한 여과형 저감시설의 장점과 정화층(210, 220)에 의한 침투형 저감시설의 장점을 모두 가지기 때문에, 토양 침투 기능을 유지하는 동시에 오염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제2여과조(200) 상부에서 바이패스(bypass)된 처리수를 전달받아 배출하는 제3여과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여과조(300) 역시 측벽을 가지고, 상단에 제3여재 카트리지(310)가 구비되며, 하단에는 쇄석이나 모래를 포함하는 제3정화층(320)이 구비된다. 상기 제3여과조(300)를 지지하는 지지부(33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구체예로써, 상기 제3여과조(300)의 제3정화층(320) 내부에는 다공성 막으로 둘러싸인 유공관(perforated pipe, 70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유공관(700)의 일단은 제3여과조(300)의 외부로 관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2여과조(200)가 가득 차면 강우 유출수는 제3여과조(300) 상부로 바이패스되어 제3여과조(300) 내부로 분산 유입된다. 분산 유입된 강우 유출수는 제3여재 카트리지(310)와 제3정화층(320)을 차례대로 하향 통과하면서 3차 정화과정을 거친다. 제3정화층(320) 하부에 이른 유출수는 자연적 침투과정을 통해 토양으로 침투되고, 일부 침투 초과수는 상기 제3정화층(320)에 설치된 유공관(7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분류관의 구성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여과조(100) 상부에 구비되어 유입수를 제1여재 카트리지(110) 상부로 고르게 흘려보내는 다중분류관(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중분류관(multiple flow divider, 500)은, 관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형성된 다수의 홀(510, hole)과 물결 무늬 형상의 측면(520)을 가지는 반원통형관이 다수개 측면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것이다. 이러한 반원통형관은 유입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를 양 끝단에 가지고,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는 상기 유입수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다중분류관(500)을 통하여, 유입수를 여과조(100, 300) 내부 상단에 고르게 흘려 내려보낼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유입수가 여과조(100, 300) 앞쪽으로 치우침이 없이 내부에서 고르게 분산되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여재 카트리지(110, 310)와 정화층(120, 320)에서도 고른 정화가 가능하고, 땅속으로도 고르게 침투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다중분류관(500)이 제3여과조(300) 상부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도 1,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여과조(100) 상부에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구비된 메쉬망(6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쉬망(600)은 침전조(10)에서 제1여과조(100) 상부로 바이패스되어 유입되는 강우 유출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스크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즉,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발생한 강우 유출수가 침전조(10)에 유입되면 비중이 큰 퇴적물 입자들은 1차로 침전되고, 물이 계속 차오름에 따라 초과 유출수는 제1여과조(100)로 넘어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부유 협잡물이 상기 메쉬망(600)을 통해 걸러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침투형 수처리 장치의 제1여과조와 제2여과조 사이에서 처리수가 이송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상기 여과침투형 수처리 장치의 제1여과조와 제2여과조 사이에서 유입수가 바이패스(bypass)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제1, 2여과조(100, 200)에서의 지하침투유량(Qi)과 제3여과조(300)로의 유입유량(Qf)을 합한 양이 강우 유출수 유입량(Qr)보다 큰 경우에는, 유입된 유출수가 상기 제1, 2여과조(100, 200) 사이의 개구부를 통하여 이송됨으로써, 1차 및 2차 정화과정을 거친다.
그런데, 제1, 2여과조(100, 200)에서의 지하침투유량(Qi)과 제3여과조(300)로의 유입유량(Qf)을 합한 양보다 강우 유출수 유입량(Qr)이 큰 경우에는, 초과수가 상기 제1, 2여과조(100, 200) 사이의 격벽을 넘어 바이패스되도록 함으로써, 강우 유출수가 메쉬망(600)을 월류하거나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입되는 강우 유출수를 가능한 한 많이 지하로 침투되도록 하고, 미처 침투되지 못하는 침투 초과수는 3개의 여과조(100, 200, 300)를 차례대로 거치면서 각 여과조(100, 200, 300)의 여재 카트리지(110, 210, 310) 및 정화층(120, 220, 320)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도록 하여, 강우 유출수에 의한 오염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침투형 수처리 장치에서 침전조(10, T0), 제1여과조(100, T1), 제2여과조(200, T2) 및 제3여과조(300, T3)가 배치되는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배치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상기 침전조(10, T0), 제1여과조(100, T1), 제2여과조(200, T2) 및 제3여과조(300, T3)는 각각 별도의 처리조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주변 지형에 맞추어 시설 배치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시 장소에 의한 제한이 적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0 : 침전조 100, 200, 300 : 여과조
110, 210, 310 : 여재 카트리지 111 : 지지대
112 : 다공성막 113 : 카트리지 블럭
120, 220, 320 : 정화층 130, 230, 330 : 지지부
400 : 이송수단 500 : 다중분류관
510 : 홀(hole) 520 : 측면
600 : 메쉬망 700 : 유공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측벽을 가지고, 상단에 여재 카트리지가 구비되며, 하단에 쇄석이나 모래를 포함하는 정화층이 구비된 제1여과조와 제2여과조;
    상기 제1여과조의 정화층을 통과한 처리수가 상기 제2여과조의 정화층으로 이송되게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제1여과조 상부에 구비되어 유입수를 상기 여재 카트리지 상부로 흘려보내는 다중분류관을 포함하고,
    상기 다중분류관은, 바닥에 나란하게 형성된 홀(hole)과 물결 무늬 형상의 측면을 가지는 반원통형관 다수개가 상기 유입수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침투형 수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조 상부에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구비된 메쉬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침투형 수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여과조에서 바이패스(bypass)된 처리수를 전달받아 배출하는 것으로, 측벽을 가지고, 상단에 여재 카트리지가 구비되며, 하단에 쇄석이나 모래를 포함하는 정화층이 구비된 제3여과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여과조의 정화층 내부에는 다공성 막으로 둘러싸인 유공관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유공관의 일단은 제3여과조의 외부로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침투형 수처리 장치.
KR1020110097603A 2011-09-27 2011-09-27 여재카트리지를 결합한 모듈식 침투도랑 KR101353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603A KR101353280B1 (ko) 2011-09-27 2011-09-27 여재카트리지를 결합한 모듈식 침투도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603A KR101353280B1 (ko) 2011-09-27 2011-09-27 여재카트리지를 결합한 모듈식 침투도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738A KR20130033738A (ko) 2013-04-04
KR101353280B1 true KR101353280B1 (ko) 2014-01-22

Family

ID=4843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603A KR101353280B1 (ko) 2011-09-27 2011-09-27 여재카트리지를 결합한 모듈식 침투도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2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64B1 (ko) 2015-12-18 2016-09-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카트리지 모듈식 침투도랑 전처리조, 이를 이용한 카트리지 모듈식 침투도랑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수의 여과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697B1 (ko) * 2015-12-18 2016-12-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과 우수 처리 방법
KR101674110B1 (ko) * 2016-03-21 2016-11-08 주식회사 에코스타 전처리용 팬이 거치된 침투도랑
CN110404330B (zh) * 2018-04-27 2024-02-20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复合滤芯及净水设备
CN109603231A (zh) * 2019-01-31 2019-04-12 吴时福 一种渗透式饮用水净化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163B1 (ko) * 2010-01-15 2010-10-11 신강하이텍(주)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와 처리잔류수의 자동방류가 가능한 여과형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20110011506A (ko) * 2010-02-04 2011-02-08 신강하이텍(주) 자연적 물순환 및 비점오염 저감 기능을 겸비한 침투도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163B1 (ko) * 2010-01-15 2010-10-11 신강하이텍(주)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와 처리잔류수의 자동방류가 가능한 여과형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20110011506A (ko) * 2010-02-04 2011-02-08 신강하이텍(주) 자연적 물순환 및 비점오염 저감 기능을 겸비한 침투도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64B1 (ko) 2015-12-18 2016-09-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카트리지 모듈식 침투도랑 전처리조, 이를 이용한 카트리지 모듈식 침투도랑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수의 여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738A (ko)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819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706269B1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US8940170B2 (en) Triple-chambered wetland biofilter treatment system
KR100691763B1 (ko)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오염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장치
KR100958326B1 (ko) 침투 및 식생을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KR200417011Y1 (ko)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의 내부 침전조
KR100891656B1 (ko) 수로형 인공습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KR101353280B1 (ko) 여재카트리지를 결합한 모듈식 침투도랑
KR100648794B1 (ko) 하천수 및 호소수 정화 장치
KR101349613B1 (ko) Lid 기법적용 선진모래여과장치
KR102248461B1 (ko) 자동 역세척 시스템을 갖는 비점오염 처리장치
KR101334884B1 (ko)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KR101656664B1 (ko) 카트리지 모듈식 침투도랑 전처리조, 이를 이용한 카트리지 모듈식 침투도랑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수의 여과 방법
KR101113989B1 (ko)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KR100912708B1 (ko) 비점오염 침전분리 침투형 정화장치
WO2006121268A1 (en) Non-point source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KR100791965B1 (ko)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수 처리장치
KR20120009030A (ko) 비점오염수 정화장치
KR101775225B1 (ko) 초기 우수시의 하천 수질 개선을 위한 카트리지필터 여과장치
KR101621030B1 (ko) 우·오수 및 빗물 재이용 여과형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와 역세 방법
JP2611148B2 (ja) 2系統並列式酸化処理施設
KR200392662Y1 (ko)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
KR100949388B1 (ko) 도시형 우수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KR20170063126A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