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989B1 -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3989B1 KR101113989B1 KR1020100058155A KR20100058155A KR101113989B1 KR 101113989 B1 KR101113989 B1 KR 101113989B1 KR 1020100058155 A KR1020100058155 A KR 1020100058155A KR 20100058155 A KR20100058155 A KR 20100058155A KR 101113989 B1 KR101113989 B1 KR 1011139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filtration
- rainwater
- mesh network
- point pollu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 B01D29/5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ewage (AREA)
Abstract
즉, 본 발명은 상부보다 하부가 넓은 상협하광의 밀폐형 구조로 형성되는 침사조와; 상기 침사조의 일측으로 연결설치되면서 밀폐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부 전방에 설치된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침사조로부터 유입된 우수가 저장되는 분배조와 상기 분배조의 격벽으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우수가 유입되는 공간으로서 격벽 후방으로 구획되면서 유입된 우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바닥에 형성된 복수의 배수공이 배수로와 연결된 구조의 여과조로 이루어지는 여과본체와; 상기 침사조의 우수가 분배조로 유입될 수 있도록 침사조 상부와 분배조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여과조의 배수공이 내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여과조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적층되어 복수의 층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된 속이 빈 메시망체와 적층되는 다른 메시망체의 하단부위가 안치될 수 있도록 상단부위가 메시망체의 상부 쪽으로 돌출되도록 메시망체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바와 하단부위가 배수공과 일치하도록 메시망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공형 통수관으로 이루어지는 여과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치부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모듈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모듈의 확대도.
20:여과본체 21:분배조 22:격벽
23:여과조 24:배수공 25:배수로
26:안치부 40:여과모듈 41:메시망체
42:지지바 43:통수관 44:캡
50:연결관 60:위어 61:유입로
Claims (8)
- 상부보다 하부가 넓은 상협하광의 밀폐형 구조로 형성되는 침사조와;
상기 침사조의 일측으로 연결설치되면서 밀폐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부 전방에 설치된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침사조로부터 유입된 우수가 저장되는 분배조와 상기 분배조의 격벽으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우수가 유입되는 공간으로서 격벽 후방으로 구획되면서 유입된 우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바닥에 형성된 복수의 배수공이 배수로와 연결된 구조의 여과조로 이루어지는 여과본체와;
상기 침사조의 우수가 분배조로 유입될 수 있도록 침사조 상부와 분배조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여과조의 배수공이 내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여과조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적층되어 복수의 층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된 속이 빈 메시망체와 적층되는 다른 메시망체의 하단부위가 안치될 수 있도록 상단부위가 메시망체의 상부 쪽으로 돌출되도록 메시망체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바와 하단부위가 배수공과 일치하도록 메시망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공형 통수관으로 이루어지는 여과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사조의 상부 일단에는 침사조의 내부와 연통되는 우수 유입관이 설치되며, 상기 침사조의 상부 타단에는 침사조로 유입된 우수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으로 높아질 경우 우수가 배출되는 월류관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의 내부 바닥에는, 최하단에 설치되는 메시망체의 하단부위가 안치되도록 메시망체의 하단부위에 부합되는 형태의 안치부가 배수공을 중심으로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치부의 상부에는, 최하단에 설치되는 메시망체의 하부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메시망체의 측면에 설치된 지지바와 동일한 지지바가 복수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모듈은 원형 또는 사각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면에는, 격벽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분배조의 우수가 여과조로 고르게 분배되어 흐르게 하는 유입로가 배열형성된 위어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수관의 상부에는 캡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8155A KR101113989B1 (ko) | 2010-06-18 | 2010-06-18 |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8155A KR101113989B1 (ko) | 2010-06-18 | 2010-06-18 |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8050A KR20110138050A (ko) | 2011-12-26 |
KR101113989B1 true KR101113989B1 (ko) | 2012-03-05 |
Family
ID=4550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8155A KR101113989B1 (ko) | 2010-06-18 | 2010-06-18 |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3989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9227B1 (ko) | 2012-08-13 | 2013-03-05 | 쎄파주식회사 | 비점오염 저감장치 |
KR101311903B1 (ko) | 2013-06-07 | 2013-10-14 | 주식회사 에스비씨환경건설 | 비점오염원 여과형 처리장치 |
KR101352088B1 (ko) * | 2012-03-30 | 2014-01-15 | 주식회사 선양엔지니어링 | 우수 여과 처리 장치 |
KR102219755B1 (ko) | 2020-06-11 | 2021-02-24 | 김대현 | 모듈식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8360B1 (ko) * | 2015-09-04 | 2017-03-21 | 서용섭 | 수족관 필터링 시스템 |
KR101655313B1 (ko) * | 2015-12-29 | 2016-09-07 | (주)대일이앤지 |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침투도랑 |
KR102598280B1 (ko) * | 2022-09-16 | 2023-11-03 | (주)엘에스티에스 | 하이브리드형 세라믹 반응조 및 선택적 나노버블을이용한 수처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산업폐수 처리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3574B1 (ko) | 1998-10-16 | 2002-08-08 | (주)태린 | 디스크형필터부재및디스크형필터시스템 |
KR100894022B1 (ko) | 2008-09-09 | 2009-04-17 | 주식회사 한솔환경산업 |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KR100927631B1 (ko) | 2008-10-31 | 2009-11-20 |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 생물막 여재를 이용한 비점 오염물 저감장치 |
KR100951098B1 (ko) | 2009-10-06 | 2010-04-07 | (주)신우이앤씨 |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
-
2010
- 2010-06-18 KR KR1020100058155A patent/KR10111398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3574B1 (ko) | 1998-10-16 | 2002-08-08 | (주)태린 | 디스크형필터부재및디스크형필터시스템 |
KR100894022B1 (ko) | 2008-09-09 | 2009-04-17 | 주식회사 한솔환경산업 |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KR100927631B1 (ko) | 2008-10-31 | 2009-11-20 |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 생물막 여재를 이용한 비점 오염물 저감장치 |
KR100951098B1 (ko) | 2009-10-06 | 2010-04-07 | (주)신우이앤씨 |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2088B1 (ko) * | 2012-03-30 | 2014-01-15 | 주식회사 선양엔지니어링 | 우수 여과 처리 장치 |
KR101239227B1 (ko) | 2012-08-13 | 2013-03-05 | 쎄파주식회사 | 비점오염 저감장치 |
KR101311903B1 (ko) | 2013-06-07 | 2013-10-14 | 주식회사 에스비씨환경건설 | 비점오염원 여과형 처리장치 |
KR102219755B1 (ko) | 2020-06-11 | 2021-02-24 | 김대현 | 모듈식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8050A (ko) | 2011-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00714B1 (ko) | 오염된 물을 정화시키는 장치 | |
KR100894022B1 (ko) |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
KR101113989B1 (ko) |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 |
US7674378B2 (en) | Wetland water treatment system | |
KR100911819B1 (ko) |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
KR100648794B1 (ko) | 하천수 및 호소수 정화 장치 | |
KR100991492B1 (ko) |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 |
US20130048557A1 (en) | Dual-Chambered Wetland Biofilter Treatment System | |
KR101614687B1 (ko) | 우수 정화처리장치에 설치되는 더블유형 스크린장치 | |
KR100897258B1 (ko) |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 | |
KR101815246B1 (ko) | 고효율 복합 인공습지 시스템 | |
KR101186604B1 (ko) | 활성바이오 담체를 이용한 비점오염처리장치 | |
KR101736743B1 (ko) |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 |
KR100951098B1 (ko) |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 |
KR100978075B1 (ko) |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 |
KR101842653B1 (ko) | 유수통공이 형성된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 |
KR101846421B1 (ko) | 비점오염 저감시설 | |
KR101799513B1 (ko) |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 |
KR20050109183A (ko) | 모듈형 습지기반설비와 모듈형 접촉산화·여과설비를 병합한 하천수, 호소수, 또는 유출수 정화방법 및 장치 | |
KR101353280B1 (ko) | 여재카트리지를 결합한 모듈식 침투도랑 | |
KR101224756B1 (ko) | 자연생태형 여과장치 | |
KR200343186Y1 (ko) | 우수받이 기능을 가진 노면 배수 처리장치 | |
KR102318251B1 (ko) | 축산폐수 처리시설의 침전여과장치 | |
KR101151908B1 (ko) | 초기우수와 오염하천수를 동시에 처리 가능한 시설 및 그 처리방법 | |
KR101217869B1 (ko) | 월류수 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