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088B1 - 우수 여과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우수 여과 처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2088B1 KR101352088B1 KR1020120033298A KR20120033298A KR101352088B1 KR 101352088 B1 KR101352088 B1 KR 101352088B1 KR 1020120033298 A KR1020120033298 A KR 1020120033298A KR 20120033298 A KR20120033298 A KR 20120033298A KR 101352088 B1 KR101352088 B1 KR 1013520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filtration
- tank
- layer
- rainwat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162 Cocos nuc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0011 Cocos nuc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40 industri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010 microb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562 pear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76 precipit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57 radio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여과조 내에 여과 카트리지들을 다층으로 분할 형성함으로써 유입되는 우수량에 따라 여과 처리 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여과 카트리지를 다층 구조로 형성함과 아울러 각층의 여과 카트리지들을 서로 간격을 두고 교번하며 격자 형상으로 적층시켜 여과 카트리지의 표면 막힘을 최소화하고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우수 여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여과처리부의 여과 카트리지들을 다층으로 분할 형성함으로써 유입되는 우수량에 따라 여과 처리 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여과 카트리지를 다층 구조로 형성함과 아울러 각층의 여과 카트리지들을 서로 간격을 두고 교번하며 격자 형상으로 적층시켜 여과 카트리지의 표면 막힘을 최소화하고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우수 여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나 현재 물부족 국가로 분류되어 있으며 이러한 물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방면으로 효율적인 물의 관리와 확보 및 활용 방안을 찾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물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연적으로 내리는 우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들이 다양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수는 대기중의 여러 오염물질에 노출되어 이를 포함한 채 내리게 되며, 지표면에서도 각종 오염물질과 함께 하천 등으로 스며들게 되므로, 이러한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하천 등의 수질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우수정화시설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은 생활우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원(點汚染源)으로부터 배출되는 점오염물질과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벌채지, 폐기물처리장, 쓰레기매립장, 도심지,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로 나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로는 중금속, 병원성 미생물, 유기화합물, 방사성물질, 유독물질 및 기타 염류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들은 통상 우천시에 빗물에 쓸려 빗물과 함께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흘러 들어가게 되어 수질오염을 야기시킴은 물론, 이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와 함께 최종적으로는 인간에게까지 매우 큰 폐해를 주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오염물질 가운데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가정이나 공장, 축산농가 등에 별도의 정화장치나 폐수처리시설 이 설치되어 오염물질의 정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비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배출지역이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지표면에 잔존해 있다가 우천시 빗물과 함께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유입되어 수질오염을 야기시키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비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우천시 특히 초기우수시 내리는 빗물과 함께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유입되므로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정화되지 않은 채로 흘러 보내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의 제거를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은 저류형 처리방법, 침투형 처리방법, 식생형 처리방법, 장치형 처리방법 등이 있다.
오염물질의 제거를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 중에서 현재 주로 사용되는 저류형 처리방법은 초기우수에 함유된 입자상 물질을 침전하여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입자상 물질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에는 효과적이지만, 용존성 오염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고, 비교적 대규모의 토지가 소요되므로 이미 개발된 지역에서 적용하는 것이 곤란하며, 저류된 수질의 악화로 인하여 해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침투형 처리방법은 강우 유출수의 지하 침투능력을 향상시켜서 우수유출 저감과 아울러 지하 침투 과정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인데, 토사, 부유물 및 오염물의 지속적인 유입으로 인한 공극 막힘 현상이 발생하여 유지관리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식생형 처리방법은 식생수로와 식생여과대가 형성되어 주로 전처리에 사용되는 방법인데, 일정한 규모 이상의 토지, 및 식생이 유지될 수 있는 이상적인 환경이라는 까다로운 조건이 요구된다.
따라서, 우수처리용 관거에 설치되어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오염물질의 처리효율이 [0007] 비교적 우수한 장치형 처리 방법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오염물질의 제거를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형 처리방법에 의거한 우수 정화처리 장치는 우수 여과 처리 장치, 와류형 우수 처리 장치, 스크린형 우수 처리 장치 등으로 구분된다.
종래의 우수 여과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일정한 부피의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 일층으로 배치되며 펄라이트, 활성탄, 제올라이트, 폴리에틸렌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여과체, 상기 처리조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직 방향의 입수 유로, 상기 처리조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는 배수 유로가 포함되어, 상기 입수 유로에서 입수된 우수를 상 방향으로 진행시켜서 여과체에서 정화처리하고, 정화 처리된 처리수를 배수 유로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우수 여과 처리 장치는 일정한 체적의 여과체에 상향류 또는 하향류를 투과시켜서 여과하기 때문에, 여과효율이 우수하고, 여과체가 쉽게 폐색되지 않으며, 발생 및 배출량이 강우량 등의 기상조건에 크게 좌우되는 우수의 정화처리에 적합하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우수 여과 처리 장치가 처리조의 내부에 여과체가 일층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므로 장치 구조가 매우 간단한 대신, 다른 종류의 우수 정화처리 장치에 비해 장치의 설치면적이 크게 증가되어 경제성, 실용성이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여재형 우수 정화처리 장치의 경제성, 실용성을 확보하려면 설치면적을 대폭 감소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여재형 우수 정화처리 장치의 단위면적당 우수의 처리유량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여과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여과체의 표면의 막힘 현상을 없애 여과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처리부의 여과 카트리지들을 다층으로 분할 형성함으로써 유입되는 우수량에 따라 여과 처리 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여과 카트리지를 다층 구조로 형성함과 아울러 각층의 여과 카트리지들을 서로 간격을 두고 교번하며 격자 형상으로 적층시켜 여과 카트리지의 표면 막힘을 최소화하고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우수 여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수 여과 처리 장치는,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우수를 담아 저장하도록 제1 수직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며, 유입되는 우수량에 따라 상기 제1 수직 구획벽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분배공들을 통해 분배 공급하도록 하는 분배조; 상기 분배조와 제1 수직 구획벽을 사이에 두고 구획되며, 상기 분배공들을 통해 분배 공급되는 우수를 여과하도록 복층 구조를 이루며 구획되며 여과 카트리지들이 설치되는 여과조; 및 상기 여과조와 제2 수직 구획벽을 사이에 두고 여과조 내에 구획되며, 상기 각층의 상기 여과 카트리지들을 통과해 여과된 후 상기 제2 수직 구획벽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배출공들을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를 집수한 후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여과 카트리지는 망체로 이루어지며 내부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케이스; 및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 내부에서 수납되며, 각층이 서로 교번하며 간격을 두고 격자 형상을 이루도록 적층 형성되는 여과체:를 포함하는 구성된다.
또한, 상층의 상기 여과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상기 여과체보다 하층의 상기 여과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여과체의 여과제 입자가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배공들은 상기 각층의 여과 카트리지 보다 더 높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들은 상기 각층의 여과 카트리지 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배공들은 상기 각층의 여과 카트리지 보다 더 낮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들은 상기 각층의 여과 카트리지 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관은 최상측 상기 분배공 보다 더 높게 상기 분배조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은 최하측 상기 배출공 보다 더 낮게 상기 배출조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우수 여과 처리 장치에 따르면, 여과처리부의 여과 카트리지들을 다층으로 분할 형성함으로써 유입되는 우수량에 따라 여과 처리 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여과 카트리지를 다층 구조로 형성함과 아울러 각층의 여과 카트리지들을 서로 간격을 두고 교번하며 격자 형상으로 적층시켜 여과 카트리지의 표면 막힘을 최소화하고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우수 여과 처리 장치가 적용된 우수 처리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여과 처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여과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3의 여과체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 여과 카트리지 내의 여과체 적층 상태를 도한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우수 여과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여과 처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여과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3의 여과체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 여과 카트리지 내의 여과체 적층 상태를 도한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우수 여과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우수 여과 처리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우수 여과 처리 장치(200)는 침전 처리부(100)과 함께 우수 처리 장치(1)를 이루는 여과 처리부에 적용되어 것을 예시한다.
상기한 침전 처리부(100)는 유입된 우수 중에서 1차적으로 조대 부유물들을 원심력을 이용해 침전시켜 분리하도록 하고, 여과 처리부는 여과 카트리지(221)에 적층 형성되는 여과체들(223)을 통과시켜 미세 부유물 또는 오염 물질들을 2차적으로 여과 처리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우수 여과 처리 장치(200) 즉, 여과 처리부는 우수 처리 장치(1)의 침전 처리부(100)와는 별도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우수 중에 포함된 미세 부유물 및 오염 물질들을 여과 처리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여과 처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본 측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여과 처리부(200)는 분배조(210), 여과조(220) 및 배출조(230)로 구획되어 구성된다.
분배조(210)는 유입관(215)을 통해 상기한 침전 처리부(100)로부터 조대 부유물들이 걸러진 후 유입되는 우수의 수량에 따라 분배하도록 제1 수직 구획벽(201)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분배공들(211, 212, 213)을 통해 상기 여과조의 각층의 여과 카트리지(221(a), 221(b), 221(c))로 분배 공급하도록 한다.
한편, 분배조(210)의 상측에는 걸름판(216)이 구비되며, 이 걸름판(216)은 상기한 침전 처리부(100)으로부터 유입관(215)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 중에 포함된 조대 부유물들을 한번 더 걸러 주는 역할을 한다.
여과조(220)는 상기 분배조(210)와 제1 수직 구획벽(201)을 사이에 두고 별도의 공간으로 분할 구획되며, 상기 분배공들(211, 212, 213)을 통해 분배 공급되는 우수를 흘러 여과하도록 수평 구획벽(225, 226)들에 의해 복층(다단) 구조로 구획되는 각각의 여과 공간들 내에 각각의 여과 카트리지들(221(a), 221(b), 221(c))이 수납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수평 구획벽(225, 226)에 의해 구획되는 세 개의 여과 공간들 내부에 각각의 여과 카트리지들(221(a), 221(b), 221(c))이 설치되어 3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우수 여과 처리량에 따라 여과 카트리지(221)가 2층 이상의 다층(다단) 형태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배출조(230)는 상기 여과조(220)와 제2 수직 구획벽(202)을 사이에 두고 상기한 여과조(220)와 별도의 공간을 이루며 구획되며, 상기 각층의 상기 여과 카트리지들((221(a), 221(b), 221(c)))을 통과해 여과된 후 상기 제2 수직 구획벽(202)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배출공들(231, 232, 233)을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가 집수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조 내부에 집수된 여과수들은 배출관을 통해 우수 정화 장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유입관(215)을 통해 분배조(210)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면 유입되는 우수량에 따라 분배조(210) 내부로 차올라 일정 수위 이상을 이루면 제1 수직 구획벽(201)에 형성되는 분배공들(211, 212, 213)을 통해 여과조(220) 내에 구획되는 1층 여과 공간, 2층 여과 공간 및 3층 여과 공간으로 각각 분배 공급된다.
즉, 유입 우수량이 적은 경우 우수 여과 처리 과정은 최저층을 이루는 1층 여과 공간 내에 설치되는 1층 여과 카트리지(221(a))를 통과하며 미세 부유물과 오염 물질들의 여과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후 유입되는 우수량이 점차 증가되는 경우 우수량의 증가량에 따라 1층 여과 카트리지(221(a))와 함께 추가로 2층 및 3층 여과 공간 내에 설치되는 2층 및 3층 여과 카트리지(221(b), 221(c))를 통과하여 우수 여과 처리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배공들(211, 212, 213)은 상기 각층의 여과 카트리지(221(a), 221(b), 221(c)) 보다 더 높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들(231, 232, 233)은 상기 각층의 여과 카트리지들(221(a), 221(b), 221(c)) 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분배공들(211, 212, 213)을 통해 여과조(220)의 각층 여과 공간들 상측으로 유입된 우수는 각층의 여과 카트리지들(221(a), 221(b), 221(c))의 카트리지 케이스(222) 내에 적층된 여과체들(223)을 하향류 방식으로 통과하며 여과된 후, 여과 카트리지들(221(a), 221(b), 221(c))의 하측에서 제2 수직 구획벽(202)에 형성되는 배출공들(231, 232, 233)을 통해 배출된 여과수는 배출조(230)에 집수된 후는 배출관(235)을 통해 외부로 방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 처리 장치(200'는 상기 분배공들(211, 212, 213)이 상기 각층의 여과 카트리지들(221(a), 221(b), 221(c)) 보다 더 낮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들(231, 232, 233)은 상기 각층의 여과 카트리지들(221(a), 221(b), 221(c)) 보다 더 높게 형성되도록 변형되어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분배공들(211, 212, 213)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는 여과조(220)의 각 여과 공간의 여과 카트리지들(221(a), 221(b), 221(c)) 하측으로 유입된 후, 점차 차오르며 여과 카트리지들(221(a), 221(b), 221(c))의 카트리지 케이스(222) 내에 적층된 여과체들(223)을 상향류 방식으로 통과하며 여과된다.
상기한 하향류 방식으로 여과 카트리지들(221(a), 221(b), 221(c))을 통과시켜 여과하는 경우 중력에 의해 일정한 압력이 가하지면서 여과 카트리지(221(a), 221(b), 221(c))들 내에 구비된 여과체들(223)을 통과하기 때문에 일정 여과 수량을 유지할 수 있는 반면에, 우수가 차오르며 상향류 방식으로 여과 카트리지들(221(a), 221(b), 221(c))을 통과시켜 여과하는 경우 설정된 수량 이상이 유입된 이후에 여과 카트리지들(221(a), 221(b), 221(c)) 내의 여과체들(223)을 통과하기 때문에 유속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미세 부유물 및 오염물질의 여과 및 처리가 용이해지는 특징들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우수 여과 특성에 따라 상기한 하향류 또는 상향류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설계하여 사용 가능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수직 구획벽(201) 및 제2 수직 구획벽(202)에 형성되는 분배공들(211, 212, 213) 및 배출공들(231, 232, 233)의 높이 조절 만으로도 설계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때, 우수의 유입 및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유입관(215)은 최상측 상기 분배공(213) 보다 더 높게 상기 분배조(210)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235)은 최하측 상기 배출공(231) 보다 더 낮게 상기 배출조(23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여과조(220) 내에 여과 카트리지들(221(a), 221(b), 221(c))을 다층(다단)으로 분할 형성함으로써 유입되는 우수량에 따라 여과 처리 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의 여과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층의 상기 여과 카트리지(221(b) 또는 221(c))에 사용되는 상기 여과체들(223)보다 하층의 상기 여과 카트리지(221(a))에 사용되는 여과체들(223)의 여과제(223b; 도 4 참조) 입자가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우수량이 적거나 초기 우수에 비점 오염 물질들이 더 많이 섞여 유입되는 경우 들이 많기 때문에 주로 우수량이 적거나 초기 우수들을 여과하는 최적층 즉, 1층 여과 카트리지(221(a)) 내에 구비되는 여과체(223b)의 여과제 입자들을 작게 구성함으로써 이들의 여과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의 여과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3의 여과체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 여과 카트리지 내의 여과체 적층 상태를 도한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한 여과 카트리지(221)는 카트리지 케이스(222) 및 카트리지 케이스(222) 내부에 적층 형성되는 블록 형태의 여과체들(223)로 이루어진다.
카트리지 케이스(222)는 망체로 이루어지며 내부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우수 여과를 위해 적층되는 여과체들(223)을 적층된 상태로 담아 수용하여 일체로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카트리지 케이스(222)의 상면에는 여과체들(223)의 수납 및 교체를 위한 개방 도어(222a)가 개폐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 좀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여과체들(223)은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222) 내부에서 수납되며, 각층이 서로 교번하며 서로 간격을 두고 격자 무늬 형태를 이루며 블록 형태로 적층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여과체들(223)은 직사각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면 다공성의 섬유 재질의 망체(223a) 내부에 서로 다른 크기의 여과제 입자들(223b)이 채워져 구성된다.
여기서, 다공성 섬유 재질의 망체(223a)는 인공적으로 합성된 성분이 아닌 코코넛 섬유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여과제 입자들(223b)은 높은 교환 능력과 여과 효과가 뛰어난 엄선된 광물 성분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이처럼, 카트리지 케이스(222) 내에 적층되는 여과체들(223)을 각층이 서로 교번하며 서로 간격을 두고 격자 형태로 적층 형성함으로써, 우수가 통과하는 여과체들(223)의 표면적이 상면 및 하면 국한되지 않고 전, 후 측면 및 좌, 우 측면까지 확장할 수 있어 여과되는 미세 부유 물질들에 의해 표면 막힘이 발생하여 여과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동일 층 내에 서로 인접하는 여과체들(223)의 이격 거리는 여과체(223)의 폭과 같거나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우수 여과 처리 장치(200)는 여과조(220) 내에 여과 카트리지들(221(a), 221(b), 221(c))을 각각 다층으로 분할 형성함으로써 유입되는 우수량에 따라 여과 처리 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여과 카트리지를 다층 구조로 형성함과 아울러 각층의 여과 카트리지들(221(a), 221(b), 221(c)) 내에 여과체들(223)을 서로 간격을 두고 교번하며 격자 형상으로 적층시켜 여과 카트리지의 표면 막힘을 최소화하고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우수 처리 장치 100: 침전 처리부
200, 200' 우수 여과 처리 장치(여과 처리부) 201: 제1 수직 구획벽
202: 제2 수직 구획벽 210: 분배조
211, 212, 213: 분배공 215: 유입관
216: 걸름판 220: 여과조
221: 여과 카트리지 (a), (b), (c): 층간 구분 기호
222: 카트리지 케이스 222a: 개폐 도어
223: 여과체 223a: 다공성 재질의 망체
223b: 여과제 입자 230: 배출조
231, 232, 233: 배출공 235: 배출관
200, 200' 우수 여과 처리 장치(여과 처리부) 201: 제1 수직 구획벽
202: 제2 수직 구획벽 210: 분배조
211, 212, 213: 분배공 215: 유입관
216: 걸름판 220: 여과조
221: 여과 카트리지 (a), (b), (c): 층간 구분 기호
222: 카트리지 케이스 222a: 개폐 도어
223: 여과체 223a: 다공성 재질의 망체
223b: 여과제 입자 230: 배출조
231, 232, 233: 배출공 235: 배출관
Claims (6)
- 유입된 우수를 침전 처리부로부터 부유물을 침전 처리한 후, 여과 처리부를 통해 오염 물질을 여과 처리하는 여과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 처리부는,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우수를 담아 저장하도록 제1 수직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제1 수직 구획벽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분배공들을 통해 분배 공급하도록 하는 분배조;
상기 분배조와 제1 수직 구획벽을 사이에 두고 구획되며, 상기 분배공들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량에 따라 분배 공급되는 우수를 여과하도록 다층 구조를 이루며 구획되며 여과 카트리지들이 설치되는 여과조; 및
상기 여과조와 제2 수직 구획벽을 사이에 두고 구획되며, 상기 각층의 상기 여과 카트리지들을 통과해 여과된 후 상기 제2 수직 구획벽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배출공들을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를 집수한 후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조;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 카트리지는,
망체로 이루어지며 내부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케이스; 및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 내부에서 수납되며, 각층이 서로 교번하며 서로 간격을 두고 격자 형태로 적층 형성되는 여과체:를 포함하고,
상층의 상기 여과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상기 여과체보다 하층의 상기 여과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여과체의 여과제 입자가 더 작게 형성되는 우수 여과 처리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분배공들은 상기 각층의 여과 카트리지 보다 더 높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들은 상기 각층의 여과 카트리지 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우수 여과 처리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분배공들은 상기 각층의 여과 카트리지 보다 더 낮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들은 상기 각층의 여과 카트리지 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우수 여과 처리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유입관은 최상측 상기 분배공 보다 더 높게 상기 분배조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은 최하측 상기 배출공 보다 더 낮게 상기 배출조에 연결되는 우스 여과 처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3298A KR101352088B1 (ko) | 2012-03-30 | 2012-03-30 | 우수 여과 처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3298A KR101352088B1 (ko) | 2012-03-30 | 2012-03-30 | 우수 여과 처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0941A KR20130110941A (ko) | 2013-10-10 |
KR101352088B1 true KR101352088B1 (ko) | 2014-01-15 |
Family
ID=4963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3298A KR101352088B1 (ko) | 2012-03-30 | 2012-03-30 | 우수 여과 처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208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9308B1 (ko) * | 2015-11-05 | 2016-06-10 | 안병기 | 상·하향류식 비점 오염 저감 장치 |
CN106149853A (zh) * | 2016-08-18 | 2016-11-23 | 中泰国际高新技术有限公司 | 一种箱式收集回用蓄水池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1534B1 (ko) | 2007-04-17 | 2007-08-22 | (주)다산컨설턴트 | 연속 침전여과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
KR100955098B1 (ko) | 2009-10-26 | 2010-04-27 |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
KR101113989B1 (ko) * | 2010-06-18 | 2012-03-05 | 이문기 |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
-
2012
- 2012-03-30 KR KR1020120033298A patent/KR1013520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1534B1 (ko) | 2007-04-17 | 2007-08-22 | (주)다산컨설턴트 | 연속 침전여과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
KR100955098B1 (ko) | 2009-10-26 | 2010-04-27 |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
KR101113989B1 (ko) * | 2010-06-18 | 2012-03-05 | 이문기 |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0941A (ko) | 2013-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40170B2 (en) | Triple-chambered wetland biofilter treatment system | |
US9409805B2 (en) | Horizontal flow biofilter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 |
KR100991492B1 (ko) |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 |
KR100911819B1 (ko) |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
US9273457B2 (en) | Partitioned separator water treatment system with multiple upflow filters | |
KR100949325B1 (ko) |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 |
CA2686415C (en) | Pre-assembled flow control structure and related media filtration system | |
KR101218344B1 (ko) |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 | |
KR100987316B1 (ko) |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 |
KR200417011Y1 (ko) |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의 내부 침전조 | |
KR101579235B1 (ko) | 유분 흡착 스크린을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 |
KR101010048B1 (ko) | 우수 처리 장치 | |
KR20120095767A (ko) |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 |
KR20150114224A (ko) |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 |
JP4145895B2 (ja) | 非点汚染源除去装置 | |
KR100904081B1 (ko) | 바이패스 수로가 부설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 |
WO2006121268A1 (en) | Non-point source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 |
KR100814790B1 (ko) |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 |
KR100978075B1 (ko) |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 |
KR101056115B1 (ko) |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 |
KR101471180B1 (ko) | 유분 흡착 스크린이 적용된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시설 | |
KR100750495B1 (ko) |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 |
KR101352088B1 (ko) | 우수 여과 처리 장치 | |
KR20150070996A (ko) | 비점오염 저감 시설용 유분 흡착 스크린 | |
KR100719944B1 (ko) |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