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344B1 -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344B1
KR101218344B1 KR1020090100433A KR20090100433A KR101218344B1 KR 101218344 B1 KR101218344 B1 KR 101218344B1 KR 1020090100433 A KR1020090100433 A KR 1020090100433A KR 20090100433 A KR20090100433 A KR 20090100433A KR 101218344 B1 KR101218344 B1 KR 101218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vegetation
cover
rainwater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3355A (ko
Inventor
강두기
김경호
신동수
조덕준
이영도
김홍태
Original Assignee
(주)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웸스 filed Critical (주)웸스
Priority to KR1020090100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344B1/ko
Publication of KR20110043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1차적으로 그레이팅(30) 및 분배판(50)에서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부유물을 걸러내고, 2차적으로 여재통(60)에서 걸러낼 수 있도록 하며, 협잡물 및 부유물이 걸러진 우수가 여재통(60) 및 여과층(70)을 통과하면서 여과되기 때문에 오염을 방지하여 하천 및 생태계의 복원에 일조할 수 있는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는 케이스(20)와 덮개(40)와 분배판(50)과 여재통(60)과 여과층(70) 및 집수통(80)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케이스(20)는 식생(100)의 하측에 설치되고, 바닥면(22)과 측면(24)을 가지며, 상측이 개방되는 내부공간(26)을 갖고, 상측에 초기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그레이팅(30)이 결합되어 진다. 덮개(4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케이스(20)의 상부를 덮고, 초기우수가 유입되도록 유입홀(42)을 갖는다. 분배판(50)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케이스(20)의 내부공간(26)에 위치하여 덮개(40)의 하측에 설치되어 덮개(40)의 유입홀(42) 및 그레이팅(30)을 통해 유입되는 초기우수가 분배되어 통과되도록 분배홀(52)을 갖고, 초기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한 것이다. 여재통(60)은 내부공간(66)을 갖고, 분배판(50)의 하측에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타공(62)이 형성되어 우수의 오염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과층(70)은 여재통(60)의 하측에 설치되어 여재통(60)에서 미처리된 오염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것이고, 집수통(80)은 여과층(70)의 하측에 설치되어 여과층(70)을 통해 여과된 우수를 집수하기 위한 것이 다.
초기우수, 우수처리, 여과장치, 식생여과장치, LID(Low Impact Development)

Description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Vegetative Filter For Primary Stage Rain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로 주변 인도, 중앙분리대 공간등을 이용하여 도로에서 유출되는 초기우수 내 비점오염을 저감시키고 기존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설치 공간이 필요하지 않고, 도시의 조경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서로 다른 물질을 적층시켜 여과층을 형성하므로써 초기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이 적층된 여과층을 통해 여과되기 때문에 오염을 방지하여 하천 및 생태계의 복원에 일조할 수 있는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작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덮개, 분배판 및 여재통을 2식으로 구성하므로써 유지 및 보수 관리가 용이한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질오염원물질의 발생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점오염원은 생활하수·공장폐수·산업폐수와 같이 비교적 일정한 지점에서 일정한 양이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강우시나 비(非)강우시 배출량에 큰 변동이 없는 반면, 비점오염물질은 강우시 지표면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오염물질로서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농지에 살포된 비료 및 농약, 토양 침식물, 축사유출물, 대기강하물 등을 의미하며 넓은 지역에서 유출된다.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은 계절간 배출량의 변화가 크고 예측과 정량화가 어려우며, 기상조건·지형·지질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 조절이 어려운 실정이다. 오염물질 관리와 저감에 있어서도 점오염물질은 처리공법의 발달과 신규 하·폐수처리장의 건설로 많은 오염물질이 저감되고 있으나, 비점오염물질의 처리방법과 장치는 아직 부족한 실정으로, 점오염원에 대한 처리위주의 수질 정책만으로는 더이상의 수질 개선은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도시화에 따라 지역의 불투수율의 증가로 인해 지역의 우수유출 특성이 변화하여 수질적인 면에서 각종 오염물질이 우수유출수와 함께 수계로 유출되어 수질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비점오염원에 의한 하천 및 호소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우수유출수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더불어, 일단 비점오염물질이 지표수나 지하수로 유입되면 관리가 어렵고, 비점오염원 처리는 오염원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처리비용이 증가하고 처리 또한 어렵기 때문에, 비점오염원 관리기술의 적용은 비점오염물질 발생지점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는 주로 배수관 말단에서 오염물질을 집수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비용과 효율에 있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들어 비점오염을 저감키 위한 LID(Low Impact Development)기법이 대두되고 있다.‘06.4월 비점오염원 설치신고제도 도입 이후 '08.6월 현재 총 322개 개발사업 및 사업장에서 비점오염원 설치신고를 하였으나,‘08년 3월 일제조사 시 비점오염저감시설 중 장치형 시설에 대한 유지관리 및 효율에 대한 문제점 등이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비점오염원 관리에 있어 자연친화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조사연구 필요성이 증대되었고,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비점오염원관리를 위해 흙, 돌 등 자연소재 및 침투기능을 활용하는 LID 기법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제안되었는 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05267호 "우수처리장치"에서는 하수관을 통해 하천 등으로 방류되는 우수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우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월(swirl)방식과 여과방식을 단일 장치 내에 함께 결합하는 구조적 분리시스템을 적용하되, 장치의 하부에 퇴적되는 침전물이 와류의 형성에도 부상되지 않도록 부상방지수단을 적용하여 스월방식의 단점인 침전물의 재부상을 방지하는 한편, 와류와 분리된 채 층류형성 이 가능한 층류형성조를 별도로 두고 여과수단을 구비한 여과조를 그 내부에 장착하여 여과층의 처리효율을 극대화하며, 특히 층류형성을 유도하는 유로와, 그 유로에 배치되는 층류형성배플을 통해 와류와 층류의 혼합을 차단하는 경계층을 형성하여 그 유로를 따라 부상하는 침전물을 차단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우수처리장치"는 스월방식과 여과방식을 장치내에 설치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고 까다롭고, 초기 유입된 우수가 하부에서 점차적으로 상부로 올라오면서 여과처리되어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유입되는 우수가 적을 경우 장치내에 유입된 우수가 그대로 남아 있어 우수가 오염되어 악취로 인한 환경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51534호 "연속 침전여과형 초기우수 처리장치"에서는 원통형상으로서 우수관거와 연통된 유입관이 접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초기우수가 유입관으로 유입되어 회전되는 와류조와; 외주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되 와류조의 내측면 둘레에 다수개의 플랜지를 개재해서 고정설치되어, 와류조의 내측면 둘레와 외주부에 의해 형성된 침전유도공을 통해 초기우수에 포함된 침전물질이 와류조의 바닥면으로 침전되도록 유도하는 콘형상의 침전유도판과; 와류조의 상부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미세구멍이 형성되어 침전물질의 부상을 방지하고 초기우수를 통과시키는 격벽과; 격벽을 통과한 초기우수에 포함된 여분의 침전물질 및 유기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층이 구비된 여과조; 및 여과조를 통 과한 초기우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은 장치는 와류조와 여과조를 동시에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유지 및 보수의 어려움이 있고, 초기 유입된 우수가 하부에서 점차적으로 상부로 올라오면서 여과처리되어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유입되는 우수가 적을 경우 장치내에 유입된 우수가 그대로 남아 있어 우수가 오염되어 악취로 인한 환경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최근 대두되고 있는 LID 기법 기술요소를 적용시킨 것으로, 도로 주변 인도, 중앙분리대 공간등을 이용하여 도로에서 유출되는 초기우수 내 비점오염을 저감시키고 기존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설치 공간이 필요하지 않고, 도시의 조경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서로 다른 물질을 적층시켜 여과층을 형성하므로써 초기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이 적층된 여과층을 통해 여과되기 때문에 오염을 방지하여 하천 및 생태계의 복원에 일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작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덮개, 분배판 및 여재통을 2식으로 구성하므로써 유지 및 보수 관리가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키고, 여과된 우수를 식생(100)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초 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생(100)의 하측에 설치되고, 바닥면(22)과 측면(24)을 가지며, 상측이 개방되는 내부공간(26)을 갖고, 상측에 초기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그레이팅(30)이 결합되는 케이스(20)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20)의 상부를 덮고, 초기우수가 유입되도록 유입홀(42)을 갖는 덮개(40)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6)에 위치하여 상기 덮개(4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40)의 유입홀(42) 및 상기 그레이팅(30)을 통해 유입되는 초기우수가 분배되어 통과되도록 분배홀(52)을 갖고, 초기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한 분배판(50)과; 내부공간(66)을 갖고, 상기 분배판(50)의 하측에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타공(62)이 형성되어 우수의 오염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여재통(60)과; 상기 여재통(6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여재통(60)에서 미처리된 오염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층(70) 및; 상기 여과층(7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층(70)을 통해 여과된 우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통(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에서 상기 덮개(40)와 분배판(5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20)의 측면(24)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설계용량을 초과한 초기우수를 기존 우수관로로 유도하기 위한 바이패스관(2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에서 상기 여재통(60)의 내부공간(66)에는 간벌재를 칩화시켜 가공된 목편칩, 비점오염물질 여과·흡착 능력 및 식생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제올라이트 활성탄 등을 포함하는 여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에서 상기 여과층(70)은 모래와 같은 작은 입자로 구성되는 제 1 여과층(72)과, 상기 제 1 여과층(72)에 비해 입자가 큰 쇄석으로 구성되는 제 2 여과층(7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에서 상기 덮개(40), 분배판(50) 및 여재통(60)은 중심측에 상기 식생(100)이 위치되도록 중심홀(44, 54, 64)이 형성되되, 상기 덮개(40) 및 분배판(50)의 중심홀(44, 54)은 상기 식생(100)의 기둥의 굵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여재통(60)의 중심홀(64)은 상기 덮개(40) 및 분배판(50)의 중심홀(44, 54)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식생(100)의 뿌리 부분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에서 상기 덮개(40), 분배판(50) 및 여재통(60)은 중심홀(44, 54, 64)을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게 2식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에 의하면, 도로 주변 인도, 중앙분리대 공간등을 이용하여 도로에서 유출되는 초기우수 내 비점오염을 저감시키고 기존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설치 공간이 필요하지 않고, 도시의 조경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서로 다른 물질을 적층시켜 여과층을 형성하므로써 초기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이 적층된 여과층을 통해 여과되기 때문에 오염을 방지하여 하천 및 생태계의 복원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작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덮개, 분배판 및 여재통을 2식으로 구성하므로써 유지 및 보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바이패스관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 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의 단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10)는 케이스(20), 덮개(40), 분배판(50), 여재통(60), 여과층(70) 및 집수통(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20)는 바닥면(22)과 측면(24)을 갖고, 상측이 개방되어 내부공간(26)을 갖도록 형성되며 일측 측면(24)의 상부에 일부절개되어 초기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한 그레이팅(30)이 결합된다.
한편, 그레이팅(30)은 초기우수가 유입되도록 하고,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부유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초기우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32)가 형성되어 진다.
한편, 케이스(20)의 측면(24) 상부{즉, 후술하는 덮개(40) 및 분배판(50) 사이}에 측면(24)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설계용량을 초과한 우수를 기존 우수관로로 유도하기 위한 바이패스관(23)이 설치되고, 측면(24) 하부{즉, 후술하는 집수통(80)의 배수홀(84)과 대응되는 위치}에 여과된 우수를 우수관로로 보내기 위한 배수관(25)이 설치되어 진다.
덮개(4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케이스(20)의 상부를 덮고, 초기우수가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유입홀(42)이 형성되며, 중심측에 식생의 기둥이 위치되도록 중심홀(44)이 형성되어 진다.
분배판(50)은 케이스(20)의 내부공간(26)에 위치하여 덮개(40)의 하측에 설치되어 케이스(20)의 측면(24)에 결합되는 그레이팅(30) 및 덮개(30)의 유입홀(42)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가 일측으로 형성되지 않고 분배되도록 하고, 초기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레이팅(30) 및 덮개(40)의 유입홀(42)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를 분배하여 보내기 위한 다수개의 분배홀(52)을 갖고, 중심측에 식생의 기둥이 위치되도록 중심홀(54)이 형 성되어 진다. 이때, 상측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부유물이 위치되도록 걸름부(56)가 형성되고, 걸름부(56) 상에 분배홀(52)이 형성되어 진다.
여재통(60)은 분배판(50)의 하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충진된 여재를 통해 우수의 오염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부공간(66)을 갖고,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타공(62)이 형성되며, 중심측에 식생의 뿌리 부분이 위치되도록 중심홀(64)이 형성된다. 이때, 중심홀(64)은 상술한 덮개(40) 및 분배판(50)에 형성되는 중심홀(44, 54)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진다.
한편, 여재통(60)의 내부공간(66)에 충진되는 여재는 간벌재를 칩화시켜 가공된 목편칩, 비점오염물질 여과·흡착 능력 및 식생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제올라이트 활성탄 등을 포함하는 여재가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여재통(60)에 충진되는 여재는 초기우수내의 비점오염물질을 여과, 흡착하여 제거 할 뿐 아니라, 식생에도 영양분을 공급하고 습도를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술한 덮개(40), 분배판(50) 및 여재통(60)은 중심홀(44, 54, 64)을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게 2식으로 나누어져 형성된다.
이와 같이 그레이팅(30), 덮개(40), 분배판(50) 및 여재통(60)을 순차적으로 구성하여 설치하므로써 그레이팅(30) 및 분배판(50)에 의해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부유물을 1차적으로 걸러내고, 여재통(60)에 의해 2차적으로 걸러져 여과된 우수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과된 우수의 일부는 여재통(60)에 형성되는 타공(62)을 통해 식생으로 공급되어 진다.
여과층(70)은 여재통(60)의 하측에 적층되어 여재통(60)에서 미처리된 오염물질이 포함된 우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래와 같은 작은 입자로 구성되는 제 1 여과층(72)과 제 1 여과층(72)에 비해 입자가 큰 쇄석으로 구성되는 제 2 여과층(74)이 적층되어 진다.
이와 같이 여과층(70)을 형성하므로써 1차적으로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재통(60)에서 여과시키고, 2차적으로 여과층(70)에서 여과되기 때문에 우수의 여과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집수통(80)은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여과층(70)의 하측 및 케이스(20)의 바닥면(22)에 설치되어 여과층(70)으로부터 여과된 우수를 집수하는 것으로, 상면에 여과된 우수가 유입되도록 집수홀(82)을 갖고, 여과된 우수를 기존의 우수관로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홀(84)이 측면에 형성되어 케이스(20)의 배수관(25)과 접속되어 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10)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작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덮개(40), 분배판(50) 및 여재통(60)을 2식으로 구성하므로써 유지 및 보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특히, 1차적으로 그레이팅(30) 및 분배판(50)에서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부유물을 걸러내고, 2차적으로 여재통(60)에서 걸러낼 수 있도록 하며, 협잡물 및 부유물이 걸러진 우수가 여재통(60) 및 여과층(70)을 통과하면서 여과되기 때문에 오염을 방지하여 하천 및 생태계의 복원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10)에서 우수가 유입되어 여과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초기우수가 유입되면 1차적으로 그레이팅(30) 및 분배판(50)에서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부유물을 걸러내어 우수를 통과 시키게 된다. 이후, 분배판(50)을 통과한 우수는 여재통(60)에 충진된 여재에 의해 1차적으로 여과되고, 여재통(60)에서 여과된 우수는 여과층(70)에서 한번 더 여과되어 집수통(80)에 집수되어 진다.
한편, 초기에 유입되는 우수가 설계용량을 초과하여 유입되면 케이스(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이패스관(23)을 통해 기존의 우수관로로 유도되어 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10)는 1차적으로 그레이팅(30) 및 분배판(50)에서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부유물을 걸러내고, 2차적으로 여재통(60)에서 걸러낼 수 있도록 하며, 협잡물 및 부유물이 걸러진 우수가 여재통(60) 및 여과층(70)을 통과하면서 여과되기 때문에 오염을 방지하여 하천 및 생태계의 복원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의 단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
20 : 케이스 22 : 바닥면
23 : 바이패스관 24 : 측면
25 : 배수관 26, 66 : 내부공간
30 : 그레이팅 40 : 덮개
42 : 유입홀 44, 54, 64 : 중심홀
50 : 분배판 52 : 분배홀
60 : 여재통 62 : 타공
70 : 여과층 72 : 제 1 여과층
74 : 제 2 여과층 80 : 집수통
100 : 식생

Claims (6)

  1.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키고, 여과된 우수를 식생(100)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생(100)의 하측에 설치되고, 바닥면(22)과 측면(24)을 가지며, 상측이 개방되는 내부공간(26)을 갖고, 상측에 초기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그레이팅(30)이 결합되는 케이스(20)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20)의 상부를 덮고, 초기우수가 유입되도록 유입홀(42)을 갖는 덮개(40)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6)에 위치하여 상기 덮개(4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40)의 유입홀(42) 및 상기 그레이팅(30)을 통해 유입되는 초기우수가 분배되어 통과되도록 분배홀(52)을 갖고, 초기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한 분배판(50)과;
    내부공간(66)을 갖고, 상기 분배판(50)의 하측에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타공(62)이 형성되어 우수의 오염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여재통(60)과;
    상기 여재통(6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여재통(60)에서 미처리된 오염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층(70) 및;
    상기 여과층(7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층(70)을 통해 여과된 우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통(80)을 포함하되;
    상기 덮개(40)와 분배판(5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20)의 측면(24)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설계용량을 초과한 초기우수를 기존 우수관로로 유도하기 위한 바이패스관(2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여재통(60)의 내부공간(66)에는 간벌재를 칩화시켜 가공된 목편칩, 비점오염물질 여과·흡착 능력 및 식생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제올라이트 활성탄 을 포함하는 여재가 충진되며,
    상기 여과층(70)은 모래와 같은 작은 입자로 구성되는 제 1 여과층(72)과, 상기 제 1 여과층(72)에 비해 입자가 큰 쇄석으로 구성되는 제 2 여과층(7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40), 분배판(50) 및 여재통(60)은 중심측에 상기 식생(100)이 위치되도록 중심홀(44, 54, 64)이 형성되되, 상기 덮개(40) 및 분배판(50)의 중심홀(44, 54)은 상기 식생(100)의 기둥의 굵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여재통(60)의 중심홀(64)은 상기 덮개(40) 및 분배판(50)의 중심홀(44, 54)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식생(100)의 뿌리 부분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40), 분배판(50) 및 여재통(60)은 중심홀(44, 54, 64)을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게 2식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
KR1020090100433A 2009-10-21 2009-10-21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 KR101218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433A KR101218344B1 (ko) 2009-10-21 2009-10-21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433A KR101218344B1 (ko) 2009-10-21 2009-10-21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355A KR20110043355A (ko) 2011-04-27
KR101218344B1 true KR101218344B1 (ko) 2013-01-03

Family

ID=4404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433A KR101218344B1 (ko) 2009-10-21 2009-10-21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34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581B1 (ko) 2013-07-31 2013-11-08 주식회사 현진기업 비점오염제거를 위한 수생식물식재용 성장박스 시스템
KR101329767B1 (ko) * 2013-05-16 2013-11-15 조국희 비점오염원 여과를 위한 수목 빗물관리장치
KR101343005B1 (ko) 2013-05-16 2013-12-18 조국희 비점오염원 여과를 위한 수목 빗물관리장치
KR101497967B1 (ko) * 2013-04-17 2015-03-03 주식회사현우그린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목 구조물
KR20160148950A (ko) 2015-06-17 2016-12-27 케이에스테크 주식회사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922669B1 (ko) * 2016-02-29 2018-11-27 홍현진 미생물을 활용하는 카트리지형 수목여과상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988B1 (ko) * 2013-04-04 2014-09-17 주식회사현우그린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을 이용한 침투형 빗물저류 시스템
KR101489248B1 (ko) * 2013-04-17 2015-02-04 주식회사현우그린 정화 필터가 구비된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101480037B1 (ko) * 2013-04-17 2015-01-07 주식회사현우그린 기후변화 적응형 다목적 필터가 구비된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101595805B1 (ko) * 2014-03-17 2016-02-22 주식회사현우그린 저영향개발 방식의 분리형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101644848B1 (ko) * 2014-03-17 2016-08-04 주식회사현우그린 저영향개발 방식의 분리형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PL3681267T3 (pl) * 2017-09-04 2024-01-03 Tree-Tube Ltd. System i sposób zarządzania wzrostem drzew
CN114086631B (zh) * 2021-12-13 2023-11-24 江苏帝井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渗透型雨水收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946Y1 (ko) * 2006-02-01 2006-04-14 (주)웹솔루스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
KR100668479B1 (ko) * 2005-08-10 2007-01-16 (주)웹솔루스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
KR100691763B1 (ko) * 2005-03-29 2007-03-12 진흥기업주식회사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오염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장치
KR100894022B1 (ko) * 2008-09-09 2009-04-17 주식회사 한솔환경산업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763B1 (ko) * 2005-03-29 2007-03-12 진흥기업주식회사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오염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장치
KR100668479B1 (ko) * 2005-08-10 2007-01-16 (주)웹솔루스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
KR200413946Y1 (ko) * 2006-02-01 2006-04-14 (주)웹솔루스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
KR100894022B1 (ko) * 2008-09-09 2009-04-17 주식회사 한솔환경산업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967B1 (ko) * 2013-04-17 2015-03-03 주식회사현우그린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목 구조물
KR101329767B1 (ko) * 2013-05-16 2013-11-15 조국희 비점오염원 여과를 위한 수목 빗물관리장치
KR101343005B1 (ko) 2013-05-16 2013-12-18 조국희 비점오염원 여과를 위한 수목 빗물관리장치
KR101326581B1 (ko) 2013-07-31 2013-11-08 주식회사 현진기업 비점오염제거를 위한 수생식물식재용 성장박스 시스템
KR20160148950A (ko) 2015-06-17 2016-12-27 케이에스테크 주식회사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922669B1 (ko) * 2016-02-29 2018-11-27 홍현진 미생물을 활용하는 카트리지형 수목여과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355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344B1 (ko)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
KR100706269B1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904177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0949325B1 (ko)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691763B1 (ko)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오염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장치
KR100984676B1 (ko) 배수 처리용 초기우수 처리 장치
KR100897258B1 (ko)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
KR100891656B1 (ko) 수로형 인공습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58326B1 (ko) 침투 및 식생을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239389B1 (ko) 자연형 침투도랑형 재이용수 활용 비점오염저감시설
KR20130021598A (ko)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JP4145895B2 (ja) 非点汚染源除去装置
KR100491866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0904081B1 (ko) 바이패스 수로가 부설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WO2006121268A1 (en) Non-point source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KR100814790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100786511B1 (ko) 탄화물을 이용한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1264381B1 (ko)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988864B1 (ko) 수처리 시스템
KR100964596B1 (ko) 다층여재형 우수 정화처리 장치
KR100952117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자연형 비점오염 처리 시스템
JP4618737B2 (ja) 路面排水処理槽
JP2006028844A (ja) 路面排水処理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