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381B1 -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381B1
KR101264381B1 KR1020130038190A KR20130038190A KR101264381B1 KR 101264381 B1 KR101264381 B1 KR 101264381B1 KR 1020130038190 A KR1020130038190 A KR 1020130038190A KR 20130038190 A KR20130038190 A KR 20130038190A KR 101264381 B1 KR101264381 B1 KR 101264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inflow
eccentric
control unit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남열
박상욱
Original Assignee
박상욱
백남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욱, 백남열 filed Critical 박상욱
Priority to KR1020130038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3Downstream control, i.e. outlet monitoring, e.g. to check the treating agents, such as halogens or ozone, leaving the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단지나 도로 등과 같은 곳에서 우천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우수관을 통하여 최종 방류구인 하천변이나 바다로 방류하기 전 설치하여 평상시에 발생하는 우수 또는 최초 강우시에 발생하는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도록 하는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산업단지나 도로에서 우천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우수관을 통하여 최종 방류구인 하천변이나 바다로 방류하기 전 설치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오염물질을 유입시켜 비점오염을 저감하기 위해 일정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프리케스팅 콘크리트로로 이루어지는 바디본체와, 상기 바디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우천시 유입되는 우수의 유속을 감속시키고, 유입되는 입자성 고형물 또는 토사를 1차로 침전시키기 위한 유속감속 및 토사분리판과, 상기 유속감속 및 토사분리판의 후단에 배치되어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oil)의 기름성분을 유흡착제를 통해 흡착하기 위한 오일흡착판과, 상기 오일흡착판을 통과한 우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되, 평상시 우수의 유입량이 적을 경우에는 통과시키고, 강우(폭우)시에는 우수 유입량을 차단하기 위해 '┏'형태의 원통형상 내부에 편심디스크와 부력통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편심 유입량조절부와, 상기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통과하여 유입된 우수인 유입수에 대하여 와류를 형성시키기 위해 방사형의 하부날개를 구비시킨 와류가속판과, 상기 와류가속판의 중앙에 관통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봉으로 이루어지되, 상단부는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표시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일정량의 토사 및 슬러지를 받도록 하기 위한 중성부력통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부력체크바와, 상기에서 유입된 우수인 유입수를 최종 방류구인 하천변이나 바다로 방류하기 전에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 오일의 기름성분, 토사 및 슬러지 각각을 여과할 수 있도록 특성에 맞도록 여과제를 충진할 수 있기 위해 2개 이상 이루어지고, 상하에 타공망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필터쉘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NONPOINT POLLUTION SOURCE REDUCING APPARATUS}
본 발명은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산업단지나 도로 등과 같은 곳에서 우천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우수관을 통하여 최종 방류구인 하천변이나 바다로 방류하기 전 설치하여 평상시에 발생하는 우수 또는 최초 강우시에 발생하는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도록 하는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의 배출원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원(點汚染源)과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쓰레기매립장,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의 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점오염물질은 유출지점이 명확하여 수집이 쉽고, 계절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만큼 연중 발생량 예측이 가능하여 오폐수처리시설과 같이 관거 및 처리장 등 처리시설의 설계와 유지관리가 용이한 관계로 오염물질의 유출로 인한 수질오염의 염려가 없으나, 반면에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은 발생원인이 인위적 및 자연적이고 배출지점이 불특정, 불명확하며, 희석 및 확산되면서 넓은 지역으로 배출되고, 강우 등 자연적 요인에 따른 배출량의 변화가 심하여 예측이 곤란하며, 수집이 어렵고 처리 효율이 일정치 않다는 특징을 갖고 있어 처리시설의 설계 및 유지관리가 어렵다.
비점오염에는 농작물에 흡수되지 않고 농경지에 남아있는 비료와 농약, 초지에 방목된 가축의 배설물, 가축사육 농가에서 배출되는 미처리 축산폐수, 빗물에 섞인 대기오염물질, 도로 노면의 퇴적물, 합류식 하수관거에서 강우시 설계량을 초과하여 월류되는 오수, 하수와 빗물의 혼합수 등이 있는데, 이와 같은 오염물질이 지표면에 잔존해 있다가 강우시 빗물과 함께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흘러 들어가게 되어 수질오염과 아울러 생태계의 파괴를 야기시키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체 수질오염원중 비점오염원이 42 ~ 69%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65 ~ 7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수질관리에 있어 비점오염원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종래에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는 시설로는 강우유출수를 저류하여 침전시키는 저류시설과 지하로 침투시켜 토양의 여과, 흡착작용을 이용하는 침투시설 등의 자연형 시설이 있고, 여과재를 통하여 걸러내어 비점오염물질을 줄이는 여과형 시설과 중앙의 와류형성으로 협잡물과 부유성물질을 분리시키는 와류형 시설, 망의 여과. 분리작용으로 비점오염물질을 줄이는 스크린형 시설과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생물학적 처리형 시설 등의 장치형 시설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키기 위한 종래의 시설은 자연형 시설의 경우 처리시설의 부지가 차지하는 면적이 큰 관계로 토지매입에 있어 비용적인 면이나 구입에 어려운 점이 있고, 종래의 일반 장치형 시설은 처리방법이 주로 물리적인 방법에 의존하기 때문에 초기우수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을 포함한 여러 형태의 비점오염물질의 처리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며, 특히 용량이 초과되어 유입되는 우수가 월류되는 경우에는 그 월류수의 처리에 어려움이 있음으로 인해 처리시설의 기능이 저하되는 등 그에 대한 마땅한 대처 방안이 없는 것이 종래 시설의 실정이다.
또한, 고도산업이 발달하면서 생기는 수질오염, 즉 환경부에서 공장 및 오·폐수등 특정 지점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에 대하여, 점오염이라 정의하여 현재 99.9%까지 관리하였으나, 수질오염은 해가 갈수록 더 심해지며, 원인분석 결과 비점오염물질로 인하여 수질오염이 극심하게 됨으로 인해 대통령령이 정하는 일정규모이상의 사업에 대하여 수질 및 생태계 관한 법령을 제도적으로 도입하여 현재에 이르러 도로·항만·철도·산업단지 등 여러 방면에 걸쳐 비점오염저감 대책을 마련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가 도입되어 수질오염 저감에 많은 해결을 주고 있으나, 복잡한 내부 구조와 유지관리의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초기 우수를 정화하여 정화처리된 빗물만을 하천으로 유출되도록 하기 위한 정화시설이 많이 개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종래의 예로서, 국내특허등록 제10-0800559호가 제시되어 있다.
즉,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는 종래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수로(1), 유량조절조(2) 및 초기우수 처리조(3)를 포함하며, 상기 수로(1)는 우수가 하천으로 유도되는 통로이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웨어(1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량조절조(2)는 상기 수로(1)의 가변웨어(1a) 내측에 유입구(2a)로 연결되어 가변웨어(1a)에 의해 집수된 초기우수가 유도되어 저류 및 차집하는 공간이며,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하수처리장으로 안내되도록 유출구(2b)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2b)에는 일정량 이상의 초기우수가 공급되면 자동 차단되도록 하는 부표식 자동 차단밸브(2c)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초기우수 처리조(3)는 수로와 연통된 우수 유도로를 통해 초기우수를 유도하고, 내부에 설치된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3a)에 의해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의 성상에 따라 처리가 가능하되, 상기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3a)은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 내면과 외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외면 사이에는 충진물이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내면은 나선형으로 이루어져 초기우수의 흐름을 유도하며, 상기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3a)의 하부에는 침전물 적층부(3b)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초기우수처리장치는, 수로(1)을 따라 유동되는 우수 중에서 비점오염물질이 많이 포함된 초기우수는 상기 수로(1)에 형성된 가변웨어(1a)에 집수되어 유입구(2a)를 통해 유량조절조(2)로 유입된다.
상기 유량조절조(2)로 유입된 초기우수는 다량의 토사를 포함하며, 상기 토사는 토사분리벽(2d)에 의해 유량조절조(2)의 일측 공간에 쌓이게 되고, 이를 준설용 배관(4)에 의해 상부에서 준설차로 주기적으로 준설한다.
상기 토사분리벽(2d)을 월류한 우수는 스크린(2e)에 의해 부유성 오염물이 제거되고, 부표식 자동 차단밸브(2c)를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차집되어 초기우수에 포함된 고농도의 비점오염물질을 정화시키게 된다.
한편, 지속된 강우로 인해 유량이 증가하게 되면 부표식 자동차단밸브(2c)가 폐쇄되고 이에 따라 초기우수 처리조(3)로 저농도의 우수가 안내되는데 이때 우수는, 우수 유도로(3c)를 통해 와류를 형성하면서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3c)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3c)은 내면과 외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부유물을 제외한 침전성 오염물질은 침전물 저장부(3b)로 침전되고, 이를 준설용 배관(4)에 의해 상부에서 준설차로 주기적으로 준설하게 되며, 상기 내면과 외면 사이에 설치된 충진물의 종류에 따라 용해성 또는 용존성 오염물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초기우수 처리조(3)에서 처리된 우수는 다시 수로(1)로 유동되어 하천으로 방류되는 것이다.
또한, 비가 그쳐 초기우수 처리조(3) 및 유량조절조(2)의 수위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유량조절조(2) 측에 설치된 부표식 자동차단밸브(2c)가 개방되면서 초기우수 처리조(3)의 내부의 침전성 오염물과 혼합된 우수를 유량조절조(2) 측으로 바이패스 시키도록 하여 초기우수 처리조(3)에 체류되는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초기우수 처리조(3)에 유입되는 유량을 차단하거나 조절하지 못해 처리계획수량 이상으로 초기우수 처리조(3)로 우수가 유입되어 과부하현상에 의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없어 처리 효율이 저하되거나 역류현상이 일어나는 등 문제점이 있다.
즉, 하수와 오수가 각각의 관거로 유입되는 분류식 관거에서 고농도의 초기우수를 하수 처리장으로 배출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 초기우수 처리조(3)에 유입되는 초기우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지 못한 것이다.
또한, 초기우수 처리조(3)의 내부에 설치된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3a)의 내부로 부유성 오염물질이 원심력에 의하여 스크린의 여과 면이 좁고 처리조의 구체 크기가 대형화되며, 폐색되는 시점이 빨리 도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초기우수 처리조(3)에 유입유도로(3c)가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토목구조물이 커짐으로서, 초기우수 처리조(3)의 부피가 확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량조절조(2)의 내부의 스크린(2e)에 의해 차단된 협잡물 등을 처리하기 위하여 인력이나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게 됨으로 인해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산업단지나 도로 등과 같은 곳에서 우천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우수관을 통하여 최종 방류구인 하천변이나 바다로 방류하기 전 설치하여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도록 하는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요자의 유지관리의 편의를 위하여 중성부력 체크바를 이용한 슬러지 체크판에 의해 언제든지 육안점검을 가능하게 하고, 해마다 지속적인 폭우로 인한 우수의 유입에 대하여 편심 유입량 조절부를 설치하여 유입량을 일정하게 유입시켜 필터(여과제)의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쉘에 유입수에 맞는 여과제를 충진할 수 있어 오염처리에 대한 효율성을 증대하도록 하고, 장기간 지속으로 인한 유지관리 비용을 최대한 절감시키게 하는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산업단지나 도로에서 우천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우수관을 통하여 최종 방류구인 하천변이나 바다로 방류하기 전 설치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오염물질을 유입시켜 비점오염을 저감하기 위해 일정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프리케스팅 콘크리트로로 이루어지는 바디본체와, 상기 바디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우천시 유입되는 우수의 유속을 감속시키고, 유입되는 입자성 고형물 또는 토사를 1차로 침전시키기 위한 유속감속 및 토사분리판과, 상기 유속감속 및 토사분리판의 후단에 배치되어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oil)의 기름성분을 유흡착제를 통해 흡착하기 위한 오일흡착판과, 상기 오일흡착판을 통과한 우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되, 평상시 우수의 유입량이 적을 경우에는 통과시키고, 강우(폭우)시에는 우수 유입량을 차단하기 위해 '┏'형태의 원통형상 내부에 편심디스크와 부력통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편심 유입량조절부와, 상기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통과하여 유입된 우수인 유입수에 대하여 와류를 형성시키기 위해 방사형의 하부날개를 구비시킨 와류가속판과, 상기 와류가속판의 중앙에 관통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봉으로 이루어지되, 상단부는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표시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일정량의 토사 및 슬러지를 받도록 하기 위한 중성부력통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부력체크바와, 상기에서 유입된 우수인 유입수를 최종 방류구인 하천변이나 바다로 방류하기 전에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 오일의 기름성분, 토사 및 슬러지 각각을 여과할 수 있도록 특성에 맞도록 여과제를 충진할 수 있기 위해 2개 이상 이루어지고, 상하에 타공망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필터쉘을 포함한다.
이에, 상기 편심 유입량조절부의 원통형상 하부 입구는 유입된 우수의 수위보다 밑에 형성하여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挾雜物) 또는 오일의 기름성분을 2차로 걸러지도록 하기 위해 스크린망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부력체크바 상단부의 외측 둘레에는 부력체크바가 평상시에 부력에 의해 상승해 있기 때문에 상단부의 이탈방지와, 상단부에 표시된 눈금을 육안으로 잘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진 슬러지체크판이 더 구비된다.
상기 바디본체의 내부 하부면에 쌓여있는 토사 및 슬러지를 준설차량을 이용하여 진공흡입에 의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준설파이프로 이루어진 준설소켓이 더 구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산업단지나 도로 등과 같은 곳에서 우천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우수관을 통하여 최종 방류구인 하천변이나 바다로 방류하기 전에 설치되어 평상시에 발생하는 우수 또는 최초 강우시에 발생하는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요자 또는 관리자의 유지관리의 편의를 위하여 중성부력 체크바를 이용한 슬러지 체크판에 의해 언제든지 육안점검을 가능하게 하고, 해마다 지속적인 폭우로 인한 우수의 유입에 대하여 편심 유입량 조절부를 설치하여 유입량을 일정하게 유입시켜 필터(여과제)의 과부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쉘에 유입수에 맞는 여과제를 충진할 수 있어 오염처리에 대한 효율성이 증대되고, 장기간 지속으로 인한 유지관리 비용이 최대한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에 실시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실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되고 있는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발명에 의해 실시되는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쉘을 보여주기 위한 실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체크판을 보여주기 위한 실시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는 평상시 우수 또는 최초 강우시 우수가 방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는 편심 유입량조절부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서 지속적인 강우시 우수 또는 폭우시 우수가 방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100)는 산업단지나 도로에서 우천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우수관을 통하여 최종 방류구인 하천변이나 바다로 방류하기 전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최초 강우시에 발생하는 우수 또는 강우량이 적은 우수일 경우에 이미 도로 등의 바닥면에 쌓여 있는 입자성 고형물, 협잡물, 오일(oil)의 기름성분, 토사 및 슬러지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우수에 포함되어 흐르게 되고, 이때 상기의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하천변이나 바다로 방류되지 전에 오염물질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도로 등의 바닥면에 쌓여 있는 오염물질이 최초 발생한 강우시의 우수 또는 강우량이 적은 우수에 포함되어 흐르게 되고, 이때 흐르는 우수가 하천변이나 바다로 방류하기 전에 오염물질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인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100)는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비점오염을 저감시키기 위해 일정한 형태인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바디본체(110)를 구성하되, 상기 바디본체(110)는 안정적인 구성물을 이루기 위해 프리케스팅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게 되고, 특히 중간의 격벽에 의해 나누어진 상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의 바닥면은 경사지게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본체(110)의 내부에 토사분리판(120)이 설치되는데, 이는 강우시 유입되는 우수의 유속을 감속시키고, 유입되는 입자성 고형물 또는 토사를 1차로 침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유속감속 및 토사분리판(120)의 후단에 배치되는 오일흡착판(130)은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oil)의 기름성분을 유흡착제를 통해 흡착되게 되다.
상기의 오일흡착판(130)을 통과한 우수는 편심 유입량조절부(140)를 거치게 되는데, 상기 편심 유입량조절부(140)는 유입되는 우수의 유입량을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편심 유입량조절부(140)는 '┏'형태의 원통형상 내부에 편심디스크(141)와 부력통(142)이 구비되어 있기에 평상시 우수의 유입량이 적을 경우에는 우수를 통과시키고, 폭우시에는 우수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된다.
이는, 상기 편심디스크(141)의 일측 끝단부에 부력통(142)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편심디스크(141)의 중간부분에는 '┏'형태의 원통형상 내부에서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힌지(143) 결합되어 있기에, 평상시 우수의 유입량이 적을 경우 또는 최초 강우시에는 편심디스크(141)와 부력통(142)이 회전 이동하지 않아 유입되는 우수의 유입량이 통과될 수 있으나, 지속적인 강우(폭우)시에는 바디본체(110)의 격벽 일측에 수위가 상승되고, 이에 따른 수위 상승으로 인해 부력통(142)이 상승되게 되고, 상기 부력통(142)의 상승 동작으로 편심디스크(141) 또한 회전되어 원통형 내부를 차단할 수 있기에 유입된 우수는 바디본체(110)의 중간에 위치한 격벽의 타측으로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바디본체(110)의 격벽 일측의 수위가 낮아지고, 이로 인한 편심 유입량조절부(140)의 원통내부 또한 수위가 낮아지면 다시 편심디스크(141)와 부력통(142)이 회전되어 내부가 연리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한 평상시 우수, 최초 강우시 또는 강우(폭우)시에 대한 것은 10mm를 기준으로 하여 10mm이하일 경우에는 평상시 우수 또는 최초 강우시에 내리는 우수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이고, 10mm가 넘어 지속적으로 우수관을 통해 흐를 경우에 편심디스크(141)와 부력통(142)에 의해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100)를 통해서는 우수가 흐르지 않게 되는 것이며, 상기 10mm에 대한 기준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한정하지 않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편심 유입량조절부(140)의 원통형상 하부 입구에는 스크린망(144)이 구비되는데, 이는 하부 입구가 유입된 우수의 수위보다 밑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挾雜物) 또는 오일의 기름성분을 2차로 걸러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편심 유입량조절부(140)를 통과하여 유입된 우수는 와류가속판(150)의 회전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게 되는데, 이는 흐르는 우수가 와류가속판(150)의 방사형 하부날개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 회전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게 되고, 이때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용이하게 퍼져 무거운 물질은 내부 하부로 가라앉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바디본체(110)의 중앙에 형성된 격벽의 타측에는 와류가속판(150)이 구비되고, 상기 와류가속판(150)의 중앙에 관통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봉으로 이루어진 부력체크바(160)가 구비되는데, 상기 부력체크바(160)의 상단부는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표시가 되어있고, 하단부에는 일정량의 토사 및 슬러지를 받도록 하기 위한 중성부력통(16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른, 상기 부력체크바(160)는 중성부력통(161)에 일정량의 토사 및 슬러지를 받게 되는데, 이때 평상시에는 떠올라 있다가 토사 및 슬러지가 점차 쌓이게 되면 쌓이는 양에 따라 점차적으로 하부로 내려가게 되고, 전체적으로 부력체크바(160)가 하부로 내려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부력체크바(160)가 하부로 내려가게 되면 상단부에 표시된 눈금을 관리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에, 비점오염 저감장치(100)의 유지관리에 대한 시기를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상기에서 유입된 우수인 유입수를 최종 방류구인 하천변이나 바다로 방류하기 전에 필터쉘(170)을 거치게 되는데, 이는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 오일의 기름성분, 토사 및 슬러지 각각의 오염물질에 대해서 효율적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특성에 맞는 여과제를 충진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필터쉘(170)은 2개 이상 구성되고, 각각의 상하부에는 타공망으로 형성되고, 테두리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게 되며, 내부에 충진된 여과제를 2개 이상 혼합하여 전체적인 기능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부력체크바(170) 상단부의 외측 둘레에는 슬러지체크판(180)이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부력체크바(170)가 평상시에 부력에 의해 상승해 있기 때문에 상단부의 이탈방지와, 상단부에 표시된 눈금을 육안으로 잘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투명 아크릴판에도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바디본체(110)의 내부에는 준설파이프로 이루어진 준설소켓(190)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바디본체(110)의 하부면에 쌓여있는 토사 및 슬러지를 준설차량을 이용하여 진공흡입에 의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준설파이프로 이루어진 준설소켓(190)은 바디본체(110)의 격벽을 중심으로 각각 하나씩 구비시키는 것으로, 유지관리시 또는 비상시에 바디본체(110)의 내부 하부에 포집된 토사 및 슬러지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바디본체(110)는 격벽을 중심으로 일측은 침전조이고, 타측은 처리조인 것이다.
첨부도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이는 평상시 우수 또는 최초 강우시 우수가 본 발명인 비점오염 저감장치(100)를 통해 방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우수관에 구비된 월류웨어 구조물(200)에 의해 유입되는 우수는 월류웨어 구조물(200)에 막혀 우수관을 따라 흐르지 못하고, 바로 비점오염 저감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때 편심 유입량조절부(140)의 편심디스크(141)와 부력통(142)이 회전 작동되지 않아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오염물질의 비점오염을 저감시키는 후에 방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이는 지속적인 강우시 우수 또는 폭우시 우수가 방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최초 강우시 또는 최초 폭우시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비점오염 저감장치(100)를 통해 방류될 수 있으나, 지속적인 강우인 경우와 많이 양이 내리는 폭우시에는 비점오염 저감장치(100)를 통하지 않고 직접 우수관에 구비된 월류웨어 구조물(200)을 넘어서 방류되게 된다.
이때, 지속적인 강우시 우수와 폭우시 우수가 비점오염 저감장치(100)의 내부로 많은 양이 유입되게 되면 바디본체(110)의 내부 일측에 우수 유입량이 많아져 수위가 상승하게 되고, 이때 상기 편심 유입량조절부(140)의 편심디스크(141)에 연결된 부력통(142)이 상승된 수위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편심 유입량조절부(140)의 원통형상 내부가 편심디스크(141)에 의해 차단되며, 이로 인한 비점오염 저감장치(100)를 통해서는 유입된 우수가 방류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바디본체(110)의 내부에 유입된 우수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부력통(142)도 하부로 이동하게 되어 편심디스크(141)의 차단이 해제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비점오염 저감장치 110 : 바디본체
120 : 유속감속 및 토사분리판 130 : 오일흡착판
140 : 편심 유입량조절부 141 : 편심디스크
142 : 부력통 143 : 힌지
144 : 스크린망 150 : 와류가속판
160 : 부력체크바 161 : 중성부력통
170 : 필터쉘 180 : 슬러지체크판
190 : 준설소켓

Claims (4)

  1. 산업단지나 도로에서 우천시 또는 강우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우수관을 통하여 최종 방류구인 하천변이나 바다로 방류하기 전 설치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오염물질을 유입시켜 비점오염을 저감하기 위해 일정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프리케스팅 콘크리트로로 이루어지는 바디본체;
    상기 바디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우천시 유입되는 우수의 유속을 감속시키고, 유입되는 입자성 고형물 또는 토사를 1차로 침전시키기 위한 유속감속 및 토사분리판;
    상기 유속감속 및 토사분리판의 후단에 배치되어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oil)의 기름성분을 유흡착제를 통해 흡착하기 위한 오일흡착판;
    상기 오일흡착판을 통과한 우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되, 평상시 우수의 유입량이 적을 경우에는 통과시키고, 강우(폭우)시에는 우수 유입량을 차단하기 위해 '┏'형태의 원통형상 내부에 편심디스크와 부력통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편심 유입량조절부;
    상기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통과하여 유입된 우수인 유입수에 대하여 와류를 형성시키기 위해 방사형의 하부날개를 구비시킨 와류가속판;
    상기 와류가속판의 중앙에 관통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봉으로 이루어지되, 상단부는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표시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일정량의 토사 및 슬러지를 받도록 하기 위한 중성부력통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부력체크바; 및
    상기에서 유입된 우수인 유입수를 최종 방류구인 하천변이나 바다로 방류하기 전에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 오일의 기름성분, 토사 및 슬러지 각각을 여과할 수 있도록 특성에 맞도록 여과제를 충진할 수 있기 위해 2개 이상 이루어지고, 상하부에는 타공망으로 이루어지고, 테두리에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필터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유입량조절부의 원통형상 하부 입구는 유입된 우수의 수위보다 밑에 형성하여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挾雜物) 또는 오일의 기름성분을 2차로 걸러지도록 하기 위해 스크린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크바 상단부의 외측 둘레에는 부력체크바가 평상시에 부력에 의해 상승해 있기 때문에 상단부의 이탈방지와, 상단부에 표시된 눈금을 육안으로 잘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진 슬러지체크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본체의 내부 하부면에 쌓여있는 토사 및 슬러지를 준설차량을 이용하여 진공흡입에 의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준설파이프로 이루어진 준설소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20130038190A 2013-04-08 2013-04-08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264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190A KR101264381B1 (ko) 2013-04-08 2013-04-08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190A KR101264381B1 (ko) 2013-04-08 2013-04-08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4381B1 true KR101264381B1 (ko) 2013-05-14

Family

ID=4866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190A KR101264381B1 (ko) 2013-04-08 2013-04-08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3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859B1 (ko) * 2013-04-04 2013-12-20 주식회사 동인 비점오염 저감 장치
CN104370384A (zh) * 2014-02-26 2015-02-25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无动力集成式雨水旋流处理装置及其方法
KR102248461B1 (ko) 2020-09-25 2021-05-06 에코이앤티 주식회사 자동 역세척 시스템을 갖는 비점오염 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063B1 (ko) 2007-02-08 2008-03-17 (주) 디아이엔바이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015625B1 (ko) 2010-09-17 2011-02-16 (주)상원기술개발 와류 및 2단 여과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163520B1 (ko) 2009-08-18 2012-07-09 (주)예일엔지니어링 초기우수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063B1 (ko) 2007-02-08 2008-03-17 (주) 디아이엔바이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163520B1 (ko) 2009-08-18 2012-07-09 (주)예일엔지니어링 초기우수 분리장치
KR101015625B1 (ko) 2010-09-17 2011-02-16 (주)상원기술개발 와류 및 2단 여과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859B1 (ko) * 2013-04-04 2013-12-20 주식회사 동인 비점오염 저감 장치
CN104370384A (zh) * 2014-02-26 2015-02-25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无动力集成式雨水旋流处理装置及其方法
KR102248461B1 (ko) 2020-09-25 2021-05-06 에코이앤티 주식회사 자동 역세척 시스템을 갖는 비점오염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819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706269B1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949325B1 (ko)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KR101382006B1 (ko)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및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218344B1 (ko)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
KR100897258B1 (ko)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
KR100854314B1 (ko) 초기우수 처리시설
KR100865253B1 (ko)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891656B1 (ko) 수로형 인공습지 및 이의 시공방법
JP3148921U (ja) 雨水濾過器
KR100491866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1207293B1 (ko) 초기우수의 지하침투 처리시설
KR100912708B1 (ko) 비점오염 침전분리 침투형 정화장치
KR101264381B1 (ko)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WO2006121268A1 (en) Non-point source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JP2006316529A (ja) 非点汚染源除去装置
KR101067699B1 (ko) 와류와 여과기능을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931522B1 (ko) 미생물접촉재와 메쉬망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WO2019061869A1 (zh) 一种一体化雨水处理装置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1760902B1 (ko) 블록식 결합형태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CN105920915A (zh) 一种低影响开发雨水系统的设计方法
KR101221687B1 (ko) 에너지자립형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제거장치
KR101271740B1 (ko) 비점오염물질 정화를 통한 우수 재이용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