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098B1 -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098B1
KR100955098B1 KR1020090101661A KR20090101661A KR100955098B1 KR 100955098 B1 KR100955098 B1 KR 100955098B1 KR 1020090101661 A KR1020090101661 A KR 1020090101661A KR 20090101661 A KR20090101661 A KR 20090101661A KR 100955098 B1 KR100955098 B1 KR 100955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tank
porous
rainwater
phosphorus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낙
Original Assignee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1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우수와 함께 유입될 협잡물을 제거하면서 우수를 집수하고 이 우수를 다공성 부상여재와의 접촉공간을 제공하는 제1여과조와; 이 제1여과조에서 1차 처리된 처리수를 다공성 여재와의 접촉으로 2차 여과처리하는 제2여과조; 및 이 제2여과조에서 처리된 우수를 외부 수계로 내보내는 배출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TREATMENT APPARATUS FOR PHOSPHORUS REMOVAL FROM RAIN WATER}
본 발명은 우수(빗물)과 같은 유수와 함께 유입되는 다양한 유형의 수중 오염물질과 인(P)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로서, 특히 다공성 입자를 여재(濾材)로 사용하여 수중 오염물질을 여과 혹은 분리할 수 있는 초기우수에서 인을 제거할 수 있는 처리장치이다.
종래에 사용된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우수로부터 부유물과 고형물들을 분리하기 위해서 우수를 나선형으로 와류시켜 원심분리하거나 중력작용으로 바닥으로 떨어뜨려 분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와 같이 원심분리 혹은 중력작용으로 부유물 혹은 고형물들을 제거하였던 종래의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미세한 입자로 된 고형물 또는 화합물질들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한 채로 수계로 방류되어 생태계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는 한다.
일반적으로, 초기우수에는 다양한 오염물질과 인을 함유하고 있어 초기우수에 의한 인 부하가 매우 높아지는 편이다. 방류수역으로 유입된 인은 영양염류로서 부영영화를 일으키는 수역에 다량의 조류 발생을 야기시켜 수서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빗물과 같은 유수를 통해 비점오염원에 쌓여 있던 다양한 유형의 오염물질, 특히 인(P)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종래의 수중 오염물질 처리장치에 비해서 여과처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공성 여재를 구비하여 하향류로 우수를 흘려보내 여과처리하는 제2여과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리적 여과처리방식을 수단으로 하여 우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유형의 물리적 여과처리방식와 함께 침강효과를 통해 우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은 협잡물제거용 스크린과 다공성 여재(모래)를 매개로 우수에 휩쓸려 유입될 오염물질들을 걸러내는 여과처리방식 뿐만 아니라 제1여과조 내에 체류되는 동안에 우수에 함유된 침강성 물질을 가라앉히는 침전처리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입자를 이용한 우수 처리능력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저하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2여과조에서 상향류로 유동하는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다공성 여재에 붙어 있던 이물질들을 분리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인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초기우수 중에 함유 된 협잡물 및 부유물질을 전처리공정(제1여과조)에서 제거하고 제2여과조에서 응집제를 혼합하여 인을 응집시켜 다공성 여재를 이용하여 분리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강우가 끝나고 청천시가 되면 제1여과조에 고여 있는 오염물질이 부패되고 악취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1여과조 하단에 구멍을 뚫은 후 외부에 자잘 또는 다공성 여재를 포설하여 오염물질ㅇ르 여과처리한 후 지하로 침투시키는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우수와 함께 휩쓸려오는 다양한 유형의 오염물질이 직접 수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은 초기우수에는 다양한 오염물질과 방류수역에서 다량의 조류 발생을 야기하는 인을 수역에 유입하기 전에 확실하게 제거하여 수서생태계에 파급될 악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여과조에 다공성 여재로 충전된 여과지를 구비하고, 이 여과지에 하향류로 우수를 안내하도록 설계되어 미세한 오염물질을 다공성 여재와 접촉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여과지의 처리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역세척수 공급으로 여재들 간의 공극에 퇴적되어 있던 오염물질을 다공성 여재에서 탈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는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는 우수를 공급받아 다공성 부상여재로 여과처리할 수 있는 제1여과조(10)와, 상기 제1여과조(10)에 집수된 우수를 공급받아 2차 처리할 수 있는 제2여과조(20), 및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출조(30)로 구성된다.
제1여과조(10)는 우수를 공급하는 유입관(11)과 협잡물제거용 스크린(12)을 구비한다. 이 협잡물제거용 스크린(12)은 유입관(11)으로 공급될 우수의 흐름과 함께 유입될 상대적으로 입자의 크기가 큰 협잡물 혹은 부유물들을 제1여과조(10)로 유입되지 않게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제1여과조(10)는 1차 처리조로서, 제1여과조(10)로 유입된 우수가 집수되어 바닥으로 침전물 혹은 침사물을 침전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렇게 1차 처리된 처리수는 제1여과조(10)와 격벽(15)으로 구획된 제2여과조(20)로 안내된다. 격벽(15)은 제1여과조(10)와 제2여과조(20)를 구획하는바, 도시되었듯이 격벽(15)의 상부는 개방되어 다음 공정으로 처리수를 원활하게 흘려보내는 유동통로로서 제공되는 동시에, 제1여과조(10)의 수면 상에 떠 있는 다공성 부상여재의 이송을 차단할 수 있는 스크린(151)을 구비한다.
다공성 부상여재(16)는 부유가능한 소재로 만들어지되, 10~50mm의 크기로 되어 있다. 협잡물제거용 스크린(151)으로 걸러진 우수가 제1여과조(10)에 일시적으로 체류하고서 다시 스크린(151)을 관통해 제2여과조(20)로 월류하는 중에 우수에 함유된 다양한 오염물질들이 다공성 부상여재(16)를 매개로 하여 여과처리된 후 제2여과조(20)로 월류하게 되어 있다.
제1여과조(10)는 그 하부에 하나 이상의 산기관(14)을 구비하여 제1여과조(2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공기는 제1여과조(10) 수면상에 떠 있는 다공성 부상여재(16)에 붙어 있는 퇴적물을 떨어뜨린다.
이렇게 제2여과조(20)로 유입된 1차 처리수는 제2여과조(20) 하부 근처에 위치된 여과지(21)를 관통하여 여과처리된다. 특히 1차 처리수는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하향류로 여과지(21)를 관통한다. 바람직하기로, 여과지(21)는 제2여과조(2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편, 다공성 여재(214)로 충전되어 있다. 여과지(21)의 구조는 도 1의 원호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유입된 1차 처리수는 여과지(21)를 관통하기 전에 협잡물, 특히 인(燐, phosphorus)을 응집처리할 수 있는 응집제와 혼합된다. 회전 교반기(23)는 모터(M) 등의 다양한 수단으로 제2여과조(20)로 유입된 1차 처리된 우수와 약품주입기(22)로 공급된 응집제를 잘 혼합하여 인의 응집을 돕는다. 약품주입기(22)는 우수에 함유된 인의 양과 처리수의 유량을 고려하여 응집제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처리수의 조성에 따라 다양한 응집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명반(Alum) 혹은 PAC(Poly Aluminum Chloride)를 사용할 수 있다.
원호를 참조로, 여과지(21)는 지지대(211)와, 와이어 메쉬(212), 굵은 모래층(213), 및 다공성 여재(214)로 이루어진다. 지지대(211)는 격벽(15)과 제2여과조(20)의 측벽(25) 사이에 배치되어 그 상에 안착될 와이어 메쉬, 굵은 모래층 뿐만 아니라 다공성 여재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와이어 메쉬(212)는 도시되었듯이 지지대(211) 상에 배열된다. 와이어 메쉬(212)는 그 위에 안착될 구성부재, 예컨대 굵은 모래가 여과지(21) 아래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촘촘한 구조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 메쉬(212)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굵은 모래의 유실방지를 목적으로 할 뿐만 아니라 여과지(21)를 역세척할 경우 역세척수의 상향류 이동을 돕는다.
더욱 효과적으로 굵은 모래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와이어 메쉬(212)가 적층될 수 있다.
다공성 여재(214)는 와이어 메쉬(212) 위에 배열된 굵은 모래층(213) 상에 안착되어, 제2여과조(20)에서 하향류하는 우수를 여과한다. 선택가능하기로, 다공성 여재(214)는 3mm 이하의 크기를 갖는다.
이렇게 여과지(21)로 여과된 2차 처리수는 제2여과조(20)와 측벽(25)으로 구획된 배출조(30)로 안내된다. 측벽(25)은 제2여과조(20)와 배출조(30)를 구획하는바, 도시되었듯이 측벽(25)의 하부가 개방되어 처리수의 유동통로로서 제공되는데, 이 개방부(251)를 통해 제2여과조(20)에서 2차 처리된 처리수가 측벽(25) 아래로 지나가면서 배출조(30)로 이동할 수 있다.
배출조(30)는 제1여과조(10)와 제2여과조(20)로 오염물질을 충분히 제거 및 여과한 처리수를 유출관(31)을 수단으로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구조의 우수를 여과하는 처리장치에서, 제2여과조(20)에서 다공성 여재의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면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다공성 여재(214)에 붙어 있던 퇴적물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역세척수의 공급과 배출을 위해 역세척수 공급관(32)과 제1배출관(13) 및 제2배출관(33)을 추가로 구비한다. 여기서, 제1배출관(13)과 제2배출관(33)으로 빠져나갈 역세척수는 자갈 및/또는 다공성 여재를 통해 또는 다른 여과처리를 거쳐 방출될 수 있다.
역세척시, 유입관(11)를 폐쇄하여 우수의 추가 유입을 차단한다. 그런 다음에, 제1여과조(10) 하부에 구비된 산기관(14)이 다공성 부상여재(16)를 향해 다량의 공기를 제공한다. 이 공기는 제1여과조(10)에 채워져 있던 협잡물제거용 스크린(12)으로 걸러진 우수를 교란 혹은 난류(turbulent flow)를 야기하면서 이 난류흐름으로 다공성 부상여재(16)가 서로 충돌하고 뒤섞이면서 다공성 부상여재(16) 상에 붙어 있던 퇴적물을 분리시킬 수 있다. 충분히 분리된 후에, 제1여과조(10) 바닥에 쌓여 있던 침전물과 다공성 부상여재(16)에서 분리된 퇴적물을 제1배출관(13)을 개방하여 제1여과조(10)에 채워져 있던 우수를 외부로 방출하면서 이 우수의 흐름에 편승하여 침전물과 퇴적물도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함께 여과지(21)의 역세척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배출조(30)에 구비된 유출관(31)과 함께 제2배출관(33)을 폐쇄상태로 유지한다. 도시되었듯이, 유 출관(31)은 별도의 밸브(35)를 매개로 하여 유출관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역세척수가 배출조(30)로 공급될 수 있게 역세척수 공급관(32)을 개방한다. 역세척수는 유출관(31)으로 배출될 여과 처리수의 일부를 재사용하거나 별도의 역세척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역세척수가 배출조(30)에 차오르면서 측벽(25)의 하부 개방부(251)를 통해 제2여과조(20)로도 유입되어 배출조(30)와 함께 제2여과조(20)에서 역세척수의 수위가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차오르는 역세척수는 제2여과조(20)의 여과지(21)를 상향류되게 관통하게 되는데, 역세척수가 여과지(21)를 아래에서 위로 통과하면서 역세척수의 난류성 흐름으로 여과지(21)의 다공성 여재(214)에 붙어 있던 퇴적물을 분리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역세척수가 상향류되면서 여과지(21)에 배치된 다공성 여재(214)를 교란시키는 과정을 통해 다공성 여재(214) 상에 붙어 있던 다양한 퇴적물이 분리된다. 물론 역세척수의 공급이 중단되면, 다공성 여재(214)는 굵은 모래층(213) 위에 가라앉게 된다. 역세척수의 상향류에도 불구하고 굵은 모래층(213)의 불필요한 이동은 그 자체 무게에 의해 제한될 것이다. 역세척수의 상승으로 떠오르는 퇴적물은 제2여과조(20)에서 격벽(15)의 스크린(151)을 지나 제1여과조(10)로 이동하거나 제2여과조(20)에 구비된 별도의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내보낼 수 있다.
다공성 여재(214)에서 퇴적물이 충분히 분리되고 이 부유상태의 퇴적물이 제1여과조(10)로 이동한 후에는, 역세척수 공급관(32)을 폐쇄하여 역세척수의 공급을 차단한다. 그런 후에, 제1여과조(10)의 하부에 있는 제1배출관(13)과 배출조(30)의 하부에 있는 제2배출관(33)이 개방되어 역세척수와 퇴적물을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에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덧붙여서, 제1여과조(10)의 바닥면은 경사져 있어 제1배출관(13)을 개방할 경우 역세척수와 다공성 여재들에서 분리된 오염물질 뿐만 아니라 제1여과조(10) 바닥면에 가라앉아 있던 침전물이 제1배출관(13)으로 더욱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배출관의 내·외부에는 다공질의 여과재(직경 15~50mm)가 포설되도록 하여 침전물 중 고형성 오염물질은 포집되고 여과된 물은 지하로 침투되며, 제1여과조 내부에 축적된 고형성 오염물질은 강우종료시 흡입준설차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배출조(30)의 제2배출관(33)도 개방되어 제2여과조(20)와 배출조(30)에 수용되었던 역세척수 및/또는 처리수를 본 발명의 초기우수 처리장치로부터 방출한다.
제1배출관(13)과 제2배출관(33)으로 빠져나갈 역세척수는 자갈 및/또는 다공성 여재를 통해 또 다른 여과처리를 거쳐 방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1배출관(13)은 다공성 부상여재(21)의 불필요한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스크린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2여과조(20)의 하류에 위치된 배출조(30)를 대신하여 역세척 공급수단을 갖춘 배출부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는 배제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우수를 공급받아 다공성 부상여재로 처리하는 제1여과조(10)와, 상기 제1여과조(10)에 집수된 우수를 공급받아 2차 처리할 수 있는 제2여과조(20), 처리수를 배출하는 유출관(34), 및 이 유출관(34)과 상호연통되어 역세척수를 공급하는 역세척수 펌프(P)로 구성된다. 제2여과조(20)로 여과처리된 처리수는 제1실시예에서 배출조(30;도 1 참조)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대신에 유출관(34)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제2여과조(20)는 격벽(15)과 측벽(25)으로 구획되되, 격벽(15)의 스크린(151)를 통해 다공성 부상여재로 처리된 우수가 월류하여 제2여과조(20)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측벽(25)의 하부 개방부(251)는 여과지(21)로 처리된 처리수를 외부 수계로 내보내는데 배출수를 조절 또는 제어하기 위해 유출관(34)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유출관(34)은 여과지(21)의 설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낮게 위치되어 배출수의 배출을 돕는다.
유출관(34)은 개폐밸브(참조부호 없음)를 구비하여, 역세척시 제2여과조(20)에 역세척수를 채울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역세척수 펌프(P)는 유출관(34)에서 분지되어 뻗어 있는 배관을 매개로 유출관(34)과 유체연통되어 역세척수를 유출관(34)으로 공급할 수 있다. 선 택가능하기로, 역세척수 펌프(P)를 구비한 배관이 개방부(251)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역세척시, 우선적으로 제2여과조(20) 내부에 있던 우수 혹은 처리수를 유출관(34)을 통해 완전히 배출하고나서 개폐밸브를 잠근다. 그런 다음에, 역세척수 펌프(P)의 구동으로 역세척수가 배관을 따라 개방부(251)에 구비된 유출관(34)을 통과하고 제2여과조(20) 하부로 안내된다. 연속적으로 역세척수를 공급하면서, 제2여과조(20)는 역세척수로 점차적으로 채워지게 된다.
이렇게 차오르는 역세척수는 제2여과조(20)의 여과지(21)를 상향류되게 관통하게 되는데, 역세척수가 여과지(21)를 아래에서 위로 통과하면서 여과지(21)의 다공성 여재(214)에 붙어 있던 퇴적물을 분리시킬 수 있다. 역세척수의 상승으로 떠오르는 퇴적물은 제2여과조(20)에서 격벽(15)의 스크린(151)을 범람하여 제1여과조(10)로 이동하거나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2여과조(20)에 구비된 별도의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내보낼 수 있다.
다공성 여재(214)에서 퇴적물이 충분히 분리되고 이 부유상태의 퇴적물이 제1여과조(10)로 이동한 후에는, 역세척수 펌프(P)를 정지시켜 역세척수의 공급을 차단한다. 그런 후에, 제1여과조(10)의 하부에 있는 제1배출관(13)이 개방되어 역세척수와 퇴적물을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에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서 제1여과조(10)에 격벽(17)을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는 배제할 것이다.
제1여과조(10)는 그 상부에서 아래로 길게 뻗은 격벽(17)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 격벽(17)은 제1여과조(10)를 2개로 분할하는데, 이를 통해 우수의 체류시간을 길게 할 뿐만 아니라 다공성 부상여재(16)를 제1여과조(10)의 하류, 격벽(17)과 격벽(15) 사이의 공간에 배열한다. 바람직하기로, 격벽(17)은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유입관(11)으로 유입된 우수가 후속 공정으로 유동할 수 있게 연통된다.
산기관(14)은 다공성 부상여재(16)에 공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격벽(15)과 격벽(17) 사이에서 제1여과조(10) 바닥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여과재로 사용될 다공성 여재는 다공성 인조모래로서 작은 입자크기를 갖는 유리분말에 발포제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고온(예컨대, 800~1,100℃)으로 가열하고 이를 냉각분쇄하여 사용하는데, 제1여과조(10)의 부상여재(16)는 입경이 10~50mm로 이루어지고 다공성이어서 내부의 공극이 유지되어 부상하게 되며, 제2여과조(20)의 여재(214)는 입경이 3mm 이하이며, 건조시 용적밀도 0.4~0.6g/㎤, 수분포화시 1.3~1.8g/㎤이고, 공극률이 65~80%로 되어 있으나 작게 분쇄되면 수분포화시 가라앉게 되어 침전형태의 여재로 사용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초기우수 처리장치략적인 단면도로, 도면에 표시된 실선 화살표는 유입관(11)로 유입된 우수의 처리공정을 따라 유출관(31) 및/또는 유출관(34)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보여주고 있는 한편, 점선 화살표는 역세척 수의 유입과 이의 배출에 대한 경로를 도해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국한되지 않고 아래의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의 인제거용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부호의 설명 >
10 ----- 제1여과조,
20 ----- 제2여과조,
30 ----- 배출조,
31, 34 ----- 유출관,
32 ----- 역세척수 공급관,
P ----- 역세척수 펌프.

Claims (9)

  1. 초기우수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우수의 유입을 돕는 유입관(11)과, 이 유입관(11)에 근접하게 위치된 협잡물제거용 스크린(12), 바닥에 배치된 산기관(14), 및 다공성 부상여재(16)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관(11)으로 유입된 우수를 집수하여 상기 다공성 부상여재(16)로 처리할 수 있는 제1여과조(10)와;
    격벽(15)과 측벽(25)으로 구획되며, 상기 격벽(15) 상의 스크린(151)과 상기 측벽(25) 아래에 구비된 개방부(251)로 우수의 유동통로를 제공하고, 다공성 여재로 충진된 여과지(21)를 바닥면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여과조(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여과조(20)에 인 처리를 위한 약품주입기(22)와 회전 교반기(23)를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여과조(20)와는 측벽(25)으로 구획되고, 상기 측벽(25) 아래의 개방부(251)를 통해 우수의 유동통로를 제공하고, 역세척수를 공급하는 역세척수 공급관(32)과 여과처리된 우수를 외부 수계로의 배출을 돕는 유출관(31)을 구비하는 배출조(30)를 상기 제2여과조(20) 하류에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조(10)와 배출조(30) 하부에 배출관(13,33)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지(21)는 상기 격벽(15)과 측벽(25) 사이에 배치된 지지대(211)와; 이 지지대(211)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와이어 메쉬(212); 굵은 모래층(213); 및 다공성 여재(214);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부상여재(16)와 다공성 여재는 다공성 인조모래로서 작은 입자크기를 갖는 유리분말에 발포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고온으로 가열하고 이를 냉각분쇄한 입상체로 되어 있으며, 이렇게 분쇄된 입상체로서 상기 제1여과조(10)의 다공성 부상여재(16)는 입경이 10~50mm로서 부상형으로 사용되고, 상기 제2여과조(20)의 다공성 여재의 입경은 3mm 이하이고 건조시 용적밀도 0.4~0.6g/㎤, 수분포화시 1.3~1.8g/㎤이고, 공극률이 65~80%로서 수분포화시 침전형태의 여재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251)는 외부 수계로 길게 뻗어 있는 유출관(3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34)은 개폐밸브와 이 유출관(34)에서 분지된 배관으로 연결된 역세척수 펌프(P)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조(10)는 그 상부에서 바닥을 향해 뻗은 격벽(17)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격벽(17) 하부는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9. 삭제
KR1020090101661A 2009-10-26 2009-10-26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KR100955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661A KR100955098B1 (ko) 2009-10-26 2009-10-26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661A KR100955098B1 (ko) 2009-10-26 2009-10-26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098B1 true KR100955098B1 (ko) 2010-04-27

Family

ID=4222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661A KR100955098B1 (ko) 2009-10-26 2009-10-26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09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410B1 (ko) * 2010-04-21 2010-08-12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슬러지 순환기능과 초고속 역세기능의 여과장치
KR101177477B1 (ko) 2010-07-22 2012-08-28 주식회사 한국이엔시 친환경적인 초기우수처리 및 빗물의 재이용 방법
KR101272619B1 (ko) * 2012-10-17 2013-06-11 코오롱워터텍 주식회사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352088B1 (ko) 2012-03-30 2014-01-15 주식회사 선양엔지니어링 우수 여과 처리 장치
KR101426930B1 (ko) * 2013-02-06 2014-08-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690298B1 (ko) * 2016-09-05 2016-12-28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초기우수 처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161A (ko) * 1999-12-09 2001-07-12 이준상 질소, 인 제거용 바이오 세라믹 담체의 제조방법 및 그를이용한 오, 하수처리 공정
KR200366209Y1 (ko) 2004-08-10 2004-11-03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상향식 여과를 이용한 우수 침투 및 저류 촉진 장치
KR100883959B1 (ko) 2008-05-26 2009-02-19 이문기 초기 빗물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
KR100905693B1 (ko) 2008-12-30 2009-07-03 (주)낙동수환경방재기술원 초기 우수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161A (ko) * 1999-12-09 2001-07-12 이준상 질소, 인 제거용 바이오 세라믹 담체의 제조방법 및 그를이용한 오, 하수처리 공정
KR200366209Y1 (ko) 2004-08-10 2004-11-03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상향식 여과를 이용한 우수 침투 및 저류 촉진 장치
KR100883959B1 (ko) 2008-05-26 2009-02-19 이문기 초기 빗물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
KR100905693B1 (ko) 2008-12-30 2009-07-03 (주)낙동수환경방재기술원 초기 우수 처리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410B1 (ko) * 2010-04-21 2010-08-12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슬러지 순환기능과 초고속 역세기능의 여과장치
KR101177477B1 (ko) 2010-07-22 2012-08-28 주식회사 한국이엔시 친환경적인 초기우수처리 및 빗물의 재이용 방법
KR101352088B1 (ko) 2012-03-30 2014-01-15 주식회사 선양엔지니어링 우수 여과 처리 장치
KR101272619B1 (ko) * 2012-10-17 2013-06-11 코오롱워터텍 주식회사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426930B1 (ko) * 2013-02-06 2014-08-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690298B1 (ko) * 2016-09-05 2016-12-28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초기우수 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1669B2 (en) Dissolved air flotation device
KR100978070B1 (ko) 초고속 여과기능 및 역세기능을 구비한 여과장치
KR100605267B1 (ko) 우수처리장치
KR100955098B1 (ko)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KR101142345B1 (ko) 비점오염 저감 종합처리장치
KR101820864B1 (ko) 섬유볼을 내장한 용존 공기 부상형 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존 공기 부상형 수처리 방법
KR100955909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334884B1 (ko)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KR20090112501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RU2310726C1 (ru) Плавающий водозабор-осветлитель
KR101138988B1 (ko) 자연친화적으로 설계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894646B1 (ko)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
KR101575581B1 (ko) 터널굴착 폐수처리용 상향식 여과조
JP2006043626A (ja) 水処理装置
KR101053995B1 (ko) 유수분리기
KR100981290B1 (ko) 비점오염원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원처리방법
KR100975144B1 (ko) 다공성 여재를 이용한 하천수 여과장치
KR100975410B1 (ko) 슬러지 순환기능과 초고속 역세기능의 여과장치
KR102373598B1 (ko) 처리수를 활용한 역세척 기능이 구비되는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JP2003080007A (ja) 凝集沈殿方法並びに沈殿装置
KR200471174Y1 (ko) 초고속 여과기능과 미세여재의 회수기능을 구비한 여과장치
KR100985170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978071B1 (ko) 초고속 여과기능 및 역세기능을 구비한 여과장치
KR200454816Y1 (ko)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
KR100894645B1 (ko)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