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816Y1 -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816Y1
KR200454816Y1 KR2020100005817U KR20100005817U KR200454816Y1 KR 200454816 Y1 KR200454816 Y1 KR 200454816Y1 KR 2020100005817 U KR2020100005817 U KR 2020100005817U KR 20100005817 U KR20100005817 U KR 20100005817U KR 200454816 Y1 KR200454816 Y1 KR 200454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tank
filtration
water
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326U (ko
Inventor
최진낙
Original Assignee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5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81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3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3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8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42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valves, e.g. rotat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52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by using gas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5Float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01D39/06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fibres, glass beads or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류식 하수도에서 우천시 하수종말처리장에 유입되는 시설용량보다 몇 배 이상 유입되는 합류하수 중 1차로 간이침전 후에 적정하게 처리되지 않은 상태로 월류 및/또는 방류되는 하수를 적정하게 처리하기 위한 고속여과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상치 못한 강우에 의하여 다량으로 발생되는 합류식 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고속으로 처리하는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처리장치는 하수종말처리장치의 시설용량을 초과하는 월류하수를 안내하는 유입부와; 유입된 하수를 응집약품과 교반기를 수단으로 하여 플록(floc)을 형성하는 플록 형성조; 플록을 함유한 하수를 다공성 부상여재(浮上濾材)와 접촉시켜 여과처리하는 상향류식 여과조; 이 여과조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외부 수계로 내보내는 방류부; 여과조에서 걸러진 오염물질을 집결·분리하는 농축조; 및 다공성 부상여재를 역세척하는 역세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 {Filtration apparatus for overflow of sewer}
본 고안은 합류식 하수도에서 우천시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유입되는 합류하수중 적정하게 처리되지 않고 월류·방류되는 월류하수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로서, 특히 여과처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응집제를 사용하여 플록을 형성시킨 후 다공성 부상여재를 사용하여 오염물질을 여과처리하여 유기물질, 인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된 합류식 하수의 처리는 합류식 하수도에서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합류식 하수를 1차 침전지에서 간이침전시킨 하수종말처리장의 시설용량을 초과하는 하수는 완전 처리하지 않은 상태로 월류시켜 공공수역으로 방류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와 같이 1차 간이침전한 후, 월류·방류되는 하수에는 간이침전 과정에서 입자가 큰 고형물만이 침전제거되므로 상당량의 오염물질은 제대로 제거되지 못한 채로 공공수역으로 방류되어 하류 생태계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그 동안 국내 하수종말처리장은 수 차례에 걸친 방류수 수질기준 강화를 통하여 고도처리시설을 설치 운영하여 청천시에는 하수가 적정처리 방류되고 있으나, 우천시에는 하수종말처리장의 시설용량을 초과하는 하수는 완전 처리되지 않은 상태로 월류·방류되어 월류하수로 인한 하류 공공수역의 수질오염 및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적정한 처리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출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합류식 하수도에서 우천시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합류하수 중 1차 간이침전 후 불완전 처리·방류되고 있는 오염물질을 약품응집 및 여과처리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고속여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여과처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공성 부상여재를 구비한 상향류 여과조로 하수를 통과시켜 처리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본 고안은 화학적 응집으로 플록을 형성시켜 오염물질의 여과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응집된 플록을 다공성 부상여재로 구성된 여과조를 통과시켜 여과처리능력을 급격히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고안에 사용하는 다공성 부상여재는 인조자갈로서 무게가 가볍고 공극율이 높아 수중에서 부상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단위면적당 여과능력을 크게 하므로서 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고안은 다공성 부상여재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염물질이 과다하게 포집되어 여과처리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여과조에서 상향류로 유동하는 역세척 공기를 공급하여 다공성 여재에 붙어 있는 포집물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고안은 하수종말처리장의 시설용량을 초과한 월류수를 여과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월류수를 안내하는 유입부와 하나 이상의 혼화지 및 이 혼화지에 응집제를 투여하는 약품공급부를 구비한 플록 형성조와; 상기 플록 형성조와 제1안내관으로 유체연통되고, 이 제1안내관과 연결되는 바닥면에 위치된 개구부와, 이 개구부 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2스크린, 상기 제2스크린 상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제1스크린, 상기 제1스크린과 제2스크린 사이에 수용된 다수의 다공성 부상여재, 및 처리수를 외부 수계로 안내하는 방류부를 구비한 여과조; 및 상기 여과조의 다공성 부상여재를 세척하는 공기를 공급하는 역세척용 설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부상여재는 다공성 인조자갈로서 작은 입자크기를 갖는 유리분말에 발포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고온으로 가열하고 이를 냉각시켜 분쇄한 입상체로 되어 있으며, 이 입상체는 입경이 10~50mm이고, 건조시 용적밀도 0.2~0.6g/㎤, 수분포화시 용적밀도는 1g/㎤ 보다 작게 되어 있고, 공극률이 65~80%로 되어 있고, 상기 여과조의 개구부와 제2안내관으로 유체연통되어 역세척시 분리된 퇴적물과 스컴 등을 포집하는 농축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여과조에서 상향류로 유동하는 역세척 공기를 공급하여 다공성 여재에 붙어 있는 포집물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설명에 의하면, 본 고안은 예상치 못한 강우에 의하여 다량으로 발생되는 합류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고속으로 처리하는 처리장치를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처리장치는 응집제를 매개로 하여 월류수의 오염물질을 플록으로 형성하여 여과처리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본 고안은 여과처리를 위해 다공성 부상여재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다공성 부상여재에 오염물질이 과도하게 포획되어 여과저항이 커지면 본 고안에 구비된 별도의 역세척용 공기를 공급하여 다공성 부상여재에 붙어 있던 퇴적물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고속여과처리장치에 구비된 여과지의 사용예에 따른 운전공정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2a는 여과중인 여과지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세정중인 여과지를 도시한 것이며, 도 2c는 슬러지 배출중인 여과지를 도시한 것이다.
이제, 본 고안에 따른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는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1)는 플록 형성조(10)와 여과조(20) 및 농축조(30)로 이루어져 있다. 이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1)는 우천시와 같이 예상치 못하게 합류하수의 처리량이 하수종말처리장의 시설용량을 초과하여 적절하게 처리되지 못한 상태로 공공수역으로 방류되는 하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은 하수종말처리장(미도시)의 시설용량을 초과한 월류수가 유입부(110)를 매개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1)의 플럭 형성조(10)로 안내된다.
플럭 형성조(10)는 유입부(110)로 안내된 월류수와 응집제를 충분히 교반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데, 이 플럭 형성조(10)는 탁질 입자인 플럭(floc)을 형성할 수 있도록 월류수의 체류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혼화지(120)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 플럭 형성조(10)의 혼화지(120)는 응집제를 월류수에 투여하는 약품공급부(121)와, 이 응집제와 월류수를 혼합교반하는 교반기(122)를 구비한다.
교반작업으로, 플럭이 플럭 형성조(10) 내에서 형성되고 다음 공정을 위해 플럭 형성조(10)의 최종 혼화지(120)에서 뻗어 있는 제1안내관(11)를 따라 여과조(20)로 안내된다. 제1안내관(11)은 플럭 형성조(10)에서 여과조(20)로 안내될 플럭과 월류수의 유동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제1밸브(12)를 구비한다.
여과조(20)는 다공성 부상여재와의 접촉공간을 위해 하류에서 월류수를 공급받아 상류로 여과처리하여 배출토록 설계되되, 그 바닥면의 개구부(210)에 제1안내관(11)와 연통되어 있고, 상부면 근처에는 여과된 처리수를 외부 수계로 내보내는 방류부(220)와 이 방류부(220) 아래에서 여과조(20)를 가로질러 배열된 제1스크린(230) 및 바닥면 위에 여과조(10)를 가로질러 배열된 제2스크린(240)을 구비한 상향류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또한, 여과조(20)는 제1스크린(230)과 제2스크린(240) 사이에 다공성 부상여재(40)를 구비한다.
이 여과조(20)는 다공성 부상여재(40)의 역세척에 사용될 역세척용 설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역세척용 설비는 역세척용 송풍기(251)와 이 송풍기(251)에서 여과조(20) 내부까지 길게 뻗어 있는 배관(252) 및 이 배관(252)에서 분기된 하나 이상의 산기관(253)으로 이루어진다. 배관(252)은 제2스크린(240) 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서, 배관(252)은 밸브(254)를 구비하는바, 이 밸브(254)는 역세척할 경우에는 개방되어 송풍기(251)에서 발생된 기류를 여과조(20)로 안내할 수 있게 하는 반면에, 역세척 이외의 다른 공정, 예컨대 여과중일 때에는 밸브(254)를 폐쇄하여 여과조(20) 내에 수용된 월류수 혹은 처리수가 배관(252)으로 흘러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다공성 부상여재(40)는 부유가능한 소재로 된 다공성 인조자갈로서, 작은 입자를 갖는 유리분말에 발포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고온으로 가열하고 이를 냉각분쇄한 입상체로 되어 있으며, 이 입상체는 입경이 10~50mm이고, 건조시 용적밀도 0.2~0.6g/㎤, 공극률이 65~80%이다. 상기 다공성 부상여재(40)의 수분포화시 용적밀도는 물에 뜨게 되므로 1g/㎤ 보다 작게 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스크린(230)와 제2스크린(240)는 조밀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다공성 부상여재(40)를 개구부(210) 및/또는 방류부(220)로 빠져나가지 않게 한다.
제1안내관(11)으로 안내될 플럭과 월류수는 개구부(210)를 관통해 여과조(20)로 유입된다. 여과조(20)에 유입된 플럭과 월류수는 상향류되면서 다공성 부상여재(40)와 접촉하여 여과처리되고, 여과처리된 처리수는 제1스크린(230)을 지나 방류부(220)를 따라 외부 수계로 내보내진다.
다공성 부상여재(40)의 여과처리 효율이 떨어지게 되면, 산기관(253)을 통해 여과조(20)로 공기를 분사하여 다공성 부상여재(40)를 역세척한다. 역세척과정에서, 다공성 부상여재(40)에 붙어 있던 퇴적물들은 제2스크린(240) 아래로 배출되고 제2안내관(21)를 따라 농축조(30)로 안내된다. 선택가능하기로, 제1안내관(11)의 한쪽 단부와 제2안내관(21)의 한쪽 단부 및 개구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호연통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농축조(30)는 다공성 부상여재(40)에서 분리된 퇴적물과 월류수에 함유된 스컴(scum)을 포집한다.
농축조(30)는 다공성 부상여재(40)에서 분리된 퇴적물 및/또는 플럭 형성조(10)와 여과조(20)에 쌓여 있던 슬러지와 월류수에 부상해 있는 스컴을 분리저장하고서 별도의 처리시설로 유도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점성을 갖는 슬러지와 스컴의 이송을 돕기 위해, 제2안내관에 전동밸브를 구비할 수도 있다.
농축조(30)은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주지관용적 기술로서 여기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참고로, 도 1에 표시된 실선 화살표는 유입부(110)로 유입될 월류수의 처리공정을 따라 플록 형성조(10) 및 여과조(20)로 이동하면서 여과처리되는 경로를 도해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고속여과처리장치에 구비된 여과조의 사용예에 따른 운전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여기서, 플록 형성조를 통과한 후, 본 고안에 따른 하수 월류수의 처리장치가 플록과 월류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경우, 다공성 부상여재를 역세척하는 경우 및 역세척 후에 퇴적물과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경우로 세분하여 설명하는데, 이해를 돕기 위해서 안내관(11,21)을 통해 안내되는 유량의 흐름을 식별할 수 있도록 안내관으로 유량이 흐를 경우에는 배관을 검은색으로 채색한다. 유량의 흐름이 없는 배관은 채색하지 않는다. 여과조(20) 내부에 월류수는 안내관의 충전상태에 대한 이해를 명료하게 할 수 있게 별도로 채색하지 않는다.
도 2a는 여과조(20)에서 월류수와 플럭을 여과하는 단계를 도해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플럭과 월류수가 제1안내관(11)를 따라 여과조(20)의 개구부(210)로 안내된다. 제1안내관(11)은 월류수와 이 월류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탁질의 입자형태로 된 플럭을 플럭 형성조(10;도 1참조)로부터 여과조(20)까지 안내할 수 있게 제1밸브(12)를 개방한다. 이 월류수와 플럭은 여과조(20)의 개구부(210;도 1 참조)를 따라 여과조(20) 내부로 유입되는바, 월류수와 플럭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제2스크린(240; 도 1 참조)을 지나 제1스크린(230; 도 1 참조)을 관통해 상향류되어 방류부(220)로 방류된다. 다시 말하자면, 본 고안에 사용된 여과조(20)는 상향류식 여과조로서 하부에 위치된 개구부로 유입된 월류수가 제1 및 제2스크린 사이에 수용된 다공성 부상여재(40)로 여과처리되어 외부로 방류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과정 속에서, 월류수는 여과조(20) 내부, 더욱 구체적으로 제1스크린(230) 아래에 배열된 다수의 다공성 부상여재(40)와 접촉하면서 여과처리된다. 이렇게 여과처리된 월류수, 즉 처리수는 방류부(220)를 통해 외부 수계로 빠져나가게 된다.
제1안내관(11)으로 안내될 월류수가 여과처리될 수 있게 여과조(20)로만 공급되도록, 여과조(20)의 개구부에서 농축조(30)까지 상호연통하는 제2안내관(21)를 폐쇄해야만 한다. 이와 더불어서, 역세척용 설비 중 배관(252)이 여과조(20) 내부까지 뻗어 있어 월류수가 배관(252)을 따라 역세척용 송풍기(251)까지 흐르지 않게 밸브(254)를 차단해야만 한다. 이렇게 밸브(22,254)를 폐쇄하여, 월류수가 여과조(20) 내부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면서 월류수에 함유된 다양한 오염물질을 다공성 부상여재를 수단으로 하여 고속으로 여과처리할 수 있다.
도 2b는 여과조(20) 내부에 배열된 다공성 부상여재(40)의 세정단계를 도해한 도면이다.
다공성 부상여재 겉표면 상에 오염물질이 과도하게 포획되어 여과저항이 커지게 되어 여과효율이 떨어질 경우 다음의 세정단계를 실시하게 되는바, 다공성 부상여재(40)의 역세척 공정은 우선적으로 월류수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제1안내관(11)의 제1밸브(12)를 차단하고, 여과조(20) 내부에 일정량의 수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제2안내관(21)의 제2밸브(22)를 차단한다. 다시 말하자면, 제1밸브(12)와 제2밸브(22)를 차단하므로써, 여과조(20)에는 소정의 수위만큼 월류수가 채워지게 된다. 소정의 수위는 방류부(220)보다 아래에 놓여져 더 이상 방류부(22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는 물 높이이다.
역세척용 송풍기(251)가 기동하면서 밸브(254)를 개방하여, 송풍기(251)로 공급된 고압의 공기는 배관(252)를 따라 여과조(20) 내부로 안내된다. 특히, 이 공기는 산기관(253)을 수단으로 하여 여과조(20) 전체로 공급된다.
제2스크린 위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산기관(253)이 다공성 부상여재(40)를 향해 다량의 공기를 제공한다. 이 공기는 여과조(20)에 채워져 있던 월류수를 교란 혹은 난류(turbulent flow)를 야기하면서 이 난류흐름으로 다공성 부상여재(40)가 서로 충돌하고 뒤섞이면서 다공성 부상여재(40) 상에 붙어 있던 퇴적물을 분리시킬 수 있다.
도 2c는 여과조(20) 하부에 쌓여진 슬러지의 배출단계를 도해한 도면이다.
다공성 부상여재(40)에서 퇴적물이 충분히 분리된 후에, 역세척용 송풍기(251)의 작동이 중단되므로 밸브(254)를 폐쇄한다. 그런 다음에 제1안내관(11)의 제1밸브(12)가 폐쇄되고 제2안내관(21)의 제2밸브(22)가 개방된다. 여과조(20) 바닥에 쌓여 있던 침전물과 다공성 부상여재(40)에서 분리된 퇴적물 또는 월류수에 휩쓸려 들어온 스컴들이 개방된 제2안내관(21)을 따라 농축조(30;도 1 참조)로 수집된다.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 국한되지 않고 아래의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고속여과처리장치,
10 ----- 플록 형성조,
20 ----- 여과조,
30 ----- 농축조.

Claims (5)

  1. 하수종말처리장의 시설용량을 초과한 월류수를 여과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월류수를 안내하는 유입부(110)와 하나 이상의 혼화지(120) 및 이 혼화지(120)에 응집제를 투여하는 약품공급부(121)를 구비한 플록 형성조(10)와;
    상기 플록 형성조(10)와 제1안내관(11)으로 유체연통되고, 이 제1안내관(11)과 연결되는 바닥면에 위치된 개구부(210)와, 이 개구부(210) 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2스크린(240), 상기 제2스크린(240) 상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제1스크린(230), 상기 제1스크린(230)과 제2스크린(240) 사이에 수용된 다수의 다공성 부상여재(40), 및 처리수를 외부 수계로 안내하는 방류부(220)를 구비한 여과조(20); 및 상기 여과조(20)의 다공성 부상여재(40)를 세척하는 공기를 공급하는 역세척용 설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부상여재(40)는 다공성 인조자갈로서 작은 입자크기를 갖는 유리분말에 발포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고온으로 가열하고 이를 냉각시켜 분쇄한 입상체로 되어 있으며, 이 입상체는 입경이 10~50mm이고, 건조시 용적밀도 0.2~0.6g/㎤, 수분포화시 용적밀도는 1g/㎤ 보다 작게 되어 있고, 공극률이 65~80%로 되어 있고,
    상기 여과조(20)의 개구부(210)와 제2안내관(21)으로 유체연통되어 역세척시 분리된 퇴적물과 스컴 등을 포집하는 농축조(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내관(11)에 제1밸브(12)와, 제2안내관(21)에 제2밸브(22)가 구비되어 역세척시 상기 제1밸브(12)와 제2밸브(22)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역세척용 설비로부터 역세척용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다공성 부상여재(40)가 역세척된 후 분리된 퇴적물과 슬러지가 상기 제2안내관(22)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 형성조(10)는 교반기(122)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용 설비는 송풍기(251)와, 이 역세척용 송풍기(251)로부터 여과조(20) 내부까지 뻗어 있는 배관(252), 상기 배관(252)의 말단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산기관(253), 및 상기 배관(252)을 개폐하는 밸브(2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관(11)은 제1밸브(12)를 구비하고, 상기 제2안내관(21)은 제2밸브(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252)은 상기 제2스크린(240)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
KR2020100005817U 2010-06-04 2010-06-04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 KR200454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817U KR200454816Y1 (ko) 2010-06-04 2010-06-04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817U KR200454816Y1 (ko) 2010-06-04 2010-06-04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717 Division 2009-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326U KR20110006326U (ko) 2011-06-22
KR200454816Y1 true KR200454816Y1 (ko) 2011-07-28

Family

ID=4929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817U KR200454816Y1 (ko) 2010-06-04 2010-06-04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8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320B1 (ko) 2010-06-25 2012-05-09 (주)승영기술공사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20190007819A (ko) 2017-07-13 2019-01-23 주식회사 엔테크이엔지 간이 하폐수 처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18B1 (ko) * 2006-11-20 2008-05-08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수질정화용 여과재
KR20090071017A (ko) * 2007-12-27 2009-07-01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합류식하수도의 월류수 처리장치와, 그에 사용되는부상여재의 제조방법 및 부상여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18B1 (ko) * 2006-11-20 2008-05-08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수질정화용 여과재
KR20090071017A (ko) * 2007-12-27 2009-07-01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합류식하수도의 월류수 처리장치와, 그에 사용되는부상여재의 제조방법 및 부상여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320B1 (ko) 2010-06-25 2012-05-09 (주)승영기술공사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20190007819A (ko) 2017-07-13 2019-01-23 주식회사 엔테크이엔지 간이 하폐수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326U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52938A2 (ko) 다공성 여재를 이용한 고속 여과처리장치와 이의 역세척 방법
KR100978070B1 (ko) 초고속 여과기능 및 역세기능을 구비한 여과장치
KR100999369B1 (ko) 하·폐수 및 오·탁수 처리용 일체형 수처리장치
SE429128B (sv) Forfarande for separering av fororeningar i vattensuspensioner eller -emulsioner
KR20100020867A (ko) 경사판 여과형을 이용한 도로의 친환경적 비점오염 제거장치
KR100808289B1 (ko)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KR101336169B1 (ko) 침전과 부상을 연계한 고도정수처리장치
KR101068551B1 (ko) 고도 수처리가 가능한 나선흐름의 저에너지형 슬러지 블랭킷 형태 고속침전조
KR100955098B1 (ko)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KR101545538B1 (ko) 하이브리드형 상향류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강우 유출수 처리시스템
KR200454816Y1 (ko)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
JP3640285B2 (ja) 凝集沈殿装置
KR100981290B1 (ko) 비점오염원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원처리방법
CN205391828U (zh) 一体式斜管沉淀过滤池
KR100975410B1 (ko) 슬러지 순환기능과 초고속 역세기능의 여과장치
KR100975144B1 (ko) 다공성 여재를 이용한 하천수 여과장치
KR101391903B1 (ko) 오염수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수 처리 방법
KR100960643B1 (ko) 오염수 처리장치
KR102421273B1 (ko) 부유 물질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침전조
KR100978071B1 (ko) 초고속 여과기능 및 역세기능을 구비한 여과장치
KR101416070B1 (ko) 오폐수 정화 설비용 인 회수장치
JP3281161B2 (ja) 浄水処理装置
KR101469634B1 (ko) 관형여과기모듈을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JP4215780B2 (ja) 汚濁水浄化装置
JP2007229658A (ja) 繊維ろ材を用いたろ過処理方法とそのろ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