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227B1 - 비점오염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비점오염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227B1
KR101239227B1 KR1020120088409A KR20120088409A KR101239227B1 KR 101239227 B1 KR101239227 B1 KR 101239227B1 KR 1020120088409 A KR1020120088409 A KR 1020120088409A KR 20120088409 A KR20120088409 A KR 20120088409A KR 101239227 B1 KR101239227 B1 KR 101239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ainwater
treatment tank
ball
natural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재
Original Assignee
쎄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쎄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쎄파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8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using pure oxygen or oxygen rich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연 발생적인 우수 및 오수에 의하여 지표면의 오염물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집수하여 정화시킴으로써 하천의 수질 오염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된 제1 웨어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순차적으로 여과하는 제1 및 제2 처리조와, 상기 제1 및 제2 처리조를 통해 여과처리된 여과수를 배수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저류조와, 상기 유입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처리조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부유성 비점오염물질을 1차로 여과하는 제1 스트레나와, 상기 제1 처리조의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트레나를 통해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침전성 비점오염물질을 1차로 분리시켜 상기 제1 처리조의 바닥부로 침전시키는 다수의 세라믹볼을 포함하는 제1 자연청소 침전볼과, 상기 제1 웨어와 상기 제1 처리조의 천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자연청소 침전볼이 세라믹볼들이 상기 제2 처리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스트레나와, 상기 제2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자연청소 침전볼을 통해 상기 제2 처리조로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하여 여과수를 추출하는 분리판을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저감장치의 상류에 자연청소 침전볼을 설치하여 우수에 섞인 침전성 비점오염물질(슬러지)을 1차로 제거함으로써 침전성 비점오염물질 등이 중류의 분리판으로 다량 유입되어 분리판의 성능 저하를 유발시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점오염 저감장치{NONPOINT POLLUTION DECREASE APPARATUS}
본 발명은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연 발생적인 우수 및 오수에 의하여 지표면의 오염물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집수하여 정화시킴으로써 하천의 수질 오염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질오염원은 크게 점오염원(點汚染源)과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점오염원은 주로 일반가정이나 영업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 공장에서 배출하는 산업폐수, 대단위 축산시설에서 발생하는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발생지역과 발생량의 추적이 비교적 용이한 반면, 비점오염원은 불특정지역의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벌채지, 폐기물처리장, 쓰레기 매립장, 도심지,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발생지역과 발생량의 추적이 용이하지 않다.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은 점오염물질에 비해 배출지역이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지표면에 잔존해 있다가 초기 우수(빗물)와 함께 하천 등의 공공 수역이나 지하수로 유입되어 수질오염을 일으키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은 우천시 초기 우수에서 비교적 높은 오염농도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으로 초기 발생 오염원을 제거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기존의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기술로는 수평으로 격벽을 설치하여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세목 스크린을 설치하고 각종 제올라이트 또는 활성탄과 같은 여재층을 통과시켜 오염원을 제거하는 기술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외에도 모래, 활성탄, 제올라이트와 같은 여재층를 형성시켜 우수가 상부에서 하부로 여재층을 통과시키거나 하부에서 상부로 여재층을 통과시켜 유출 되도록 하는 기술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기술들은 여재층의 비중이 물 보다 크고, 여재층이 고정식으로 충전되어 있어 우수가 유입시 미세 탁도에 의해서 여재층이 막히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87316호(등록일 : 2010. 10. 06)에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선행기술은 초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다단 처리를 통해 효율적으로 정화함에 있어, 특히 기름을 포함한 부유성 비점오염물질을 여과장치로 유입되기에 앞서 대부분 분리될 수 있도록 한 다음, 유동성 여재를 이용한 상향여과 방식에 의해 정화되도록 함으로써 정화 장치의 성능 향상 및 여과기의 수명 연장이 가능하도록 한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처럼 상기한 선행기술에서는 기름 등의 부유성 비점오염물질의 대부분이 유수분리 침전조에서 초기에 우수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각종 여과기가 설치된 정화장치로의 유입을 감소시켜 정화장치의 성능 향상 및 여과기의 수명 연장 효과를 얻을 수는 있으나, 우수에 섞인 침전성 비점오염물질(슬러지)을 초기에 여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침전성 비점오염물질 등이 중류의 정화장치로 다량 유입되어 정화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한편, 여과기의 수명을 단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등의 문제가 여전히 발생하였다.
KR 10-0987316 B1, 2010. 10. 06.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저감장치의 상류에 자연청소 침전볼을 설치하여 우수에 섞인 침전성 비점오염물질(슬러지)을 1차로 제거하여 침전성 비점오염물질 등이 중류의 분리판으로 다량 유입되어 분리판의 성능 저하를 유발시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감장치의 중류에 전판, 중판 및 후판으로 이루어진 3겹 구조의 분리판을 설치하여 자연청소 침전볼을 통해 제거되지 않고 유입되는 침전성 비점오염물질를 다단으로 처리하여 침전성 비점오염물질의 처리율을 개선시켜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루에 담긴 세라믹볼을 포함하는 자연청소 침전볼을 추가로 설치하여 앞단의 자연청소 침전볼을 통해 여과된 우수 및 오수를 재차 여과시켜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된 제1 웨어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순차적으로 여과하는 제1 및 제2 처리조와, 상기 제1 및 제2 처리조를 통해 여과처리된 여과수를 배수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저류조와, 상기 유입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처리조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부유성 비점오염물질을 1차로 여과하는 제1 스트레나와, 상기 제1 처리조의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트레나를 통해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침전성 비점오염물질을 1차로 분리시켜 상기 제1 처리조의 바닥부로 침전시키는 다수의 세라믹볼을 포함하는 제1 자연청소 침전볼과, 상기 제1 웨어와 상기 제1 처리조의 천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자연청소 침전볼이 세라믹볼들이 상기 제2 처리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스트레나와, 상기 제2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자연청소 침전볼을 통해 상기 제2 처리조로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하여 여과수를 추출하는 분리판을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우수 및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된 제1 및 제2 웨어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우수 및 오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순차적으로 여과하는 제1 내지 제3 처리조와, 상기 제1 내지 제3 처리조를 통해 여과처리된 여과수를 배수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저류조와, 상기 유입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처리조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 및 오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부유성 비점오염물질을 1차로 여과하는 제1 스트레나와, 상기 제1 처리조의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트레나를 통해 유입된 우수 및 오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침전성 비점오염물질을 1차로 분리시켜 상기 제1 처리조의 바닥부로 침전시키는 다수의 세라믹볼을 포함하는 제1 자연청소 침전볼과, 상기 제1 웨어와 상기 제1 처리조의 천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자연청소 침전볼이 세라믹볼들이 상기 제2 처리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스트레나와, 상기 제2 처리조의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자연청소 침전볼을 통해 상기 제2 처리조로 유입된 우수 및 오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침전성 비점오염물질을 2차로 분리시켜 상기 제2 처리조의 바닥부로 침전시키는 다수의 세라믹볼이 채워진 복수개의 자루를 포함하는 제2 자연청소 침전볼과, 상기 제2 웨어와 상기 제2 처리조의 천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자연청소 침전볼이 세라믹볼들이 상기 제3 처리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스트레나와, 상기 제3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자연청소 침전볼을 통해 상기 제3 처리조로 유입된 우수 및 오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하여 여과수를 추출하는 분리판을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된 제1 웨어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순차적으로 여과하는 제1 및 제2 처리조와, 상기 제1 및 제2 처리조를 통해 여과처리된 여과수를 배수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저류조와, 상기 유입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처리조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부유성 비점오염물질을 1차로 여과하는 제1 스트레나와, 상기 제1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트레나를 통해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하는 분리판과, 상기 제2 처리조의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판을 통해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침전성 비점오염물질을 분리시켜 상기 제2 처리조의 바닥부로 침전시키는 다수의 세라믹볼을 포함하는 제1 자연청소 침전볼을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자연청소 침전볼의 세라믹은 흩뿌려진 상태로 존재하거나, 하우징 내에 수용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리판은 전판, 중판 및 후판이 순차적으로 겹쳐진 3겹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판은 일방향 물결형판으로 형성된 마루부와, 우수에 섞여 있는 슬러지가 가라앉아 쌓이는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루부에는 우수에 포함된 부유물이 배출되도록 다수의 부유물분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골부에는 조립부재를 매개로 소정 간격을 갖고 적층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조립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판과 상기 후판은 각각 복수의 행렬과 산과 골로 이루어진 다방향 주름판이 적층되어 마련되는 적층팩을 포함하고, 상기 산의 꼭지점에는 우수에 섞여 있는 부유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부유물분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골의 꼭지점에는 우수에 섞여 있는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슬러지분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방향 주름판은 일측방향으로 산과 골을 형성하고, 상기 산과 골이 형성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산과 골을 형성시킨 달걀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팩은 복수의 상기 다방향 주름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되, 상부측 다방향 주름판의 산과 산을 잇는 산등성이 부분의 하부에 하부측 다방향 주름판의 산이 배치되어 적층되고, 상기 다방향 주름판의 산과 산을 잇는 산등성이 부분 중 일부에는 상기 복수의 다방향 주름판을 적층 결합시키기 위하여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상기 제2 처리조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분리판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지지벽과, 상기 분리판으로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블로워와, 상기 지지벽과 상기 배수구 사이에 상기 제2 처리조의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분리판을 통해 여과처리되어 추출된 여과수를 다시 여과하기 위하여 다수의 세라믹볼을 포함하는 제2 자연청소 침전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상기 제3 처리조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분리판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지지벽과, 상기 분리판으로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블로워와, 상기 제2 처리조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자연청소 침전볼로 공기방울을 발생하는 용존산소발생기와, 상기 지지벽과 상기 배수구 사이에 상기 제3 처리조의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분리판을 통해 여과처리되어 추출된 여과수를 다시 여과하기 위하여 다수의 세라믹볼을 포함하는 제3 자연청소 침전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웨어는 상기 제2 자연청소 침전볼을 통과한 우수 및 오수가 상기 제3 처리조로 유입되도록 하부에 유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감장치의 상류에 자연청소 침전볼을 설치하여 우수에 섞인 침전성 비점오염물질(슬러지)을 1차로 제거함으로써 침전성 비점오염물질 등이 중류의 분리판으로 다량 유입되어 분리판의 성능 저하를 유발시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감장치의 중류에 전판, 중판 및 후판으로 이루어진 3겹 구조의 분리판을 설치하여 앞단의 자연청소 침전볼을 통해 제거되지 않고 유입되는 침전성 비점오염물질를 다단으로 처리함으로써 침전성 비점오염물질의 처리율을 개선시켜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앞단의 자연청소 침전볼과 분리판 사이에 자루에 담긴 세라믹볼을 포함하는 자연청소 침전볼을 추가로 설치하여 앞단의 자연청소 침전볼을 통해 여과된 우수 및 오수를 재차 여과시켜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에서 우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에서 우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판의 중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판이 전판 및 후판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정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저류조(10)와, 제1 스트레나(21)와,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과, 분리판(24)을 포함한다.
저류조(10)는 상부에 설치되어 우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우수맨홀(31, 32, 33)이 마련되어 있으며, 일측부에는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설치되어 있다.
저류조(10)에는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제1 웨어(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제1 웨어(13)를 통해 저류조(10)는 분할되어 그 내부에 제1 및 제2 처리조(10a, 10b)가 마련된다.
저류조(10)는 타측부에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이 제1 및 제2 처리조(10a, 10b)를 통해 여과되어 추출된 여과수를 배수하는 배수구(12)가 설치된다.
제1 스트레나(21)는 스크린(망)으로, 유입구(11)에 대응하는 제1 처리조(10a)의 일측부에 유입구(11)를 막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1 스트레나(21)는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부유성 비점오염물질, 예를 들면 나뭇가지, 낙엽, 쓰레기 등과 같이 비교적 부피가 큰 부유물질들을 1차로 여과한다.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은 제1 처리조(10a)의 바닥부로부터 이격되어 일정 높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은 제1 스트레나(21)를 통해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침전성 비점오염물질, 예를 들면 슬러지를 1차로 분리시켜 제1 처리조(10a)의 바닥부로 침전시키는 다수의 세라믹볼을 포함한다.
제1 스트레나(21)를 통해 유입된 우수는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로 유입되고,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로 유입된 우수는 세라믹볼들 사이의 공극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우수에 포함된 침전성 비점오염물질, 예를 들면 슬러지는 세라믹볼들 사이의 공극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슬러지의 점착성으로 인해 세라믹볼들 표면에 흡착된다.
세라믹볼들은 표면에 슬러지가 흡착됨에 따라 그만큼 중량이 증가하게 되어 제1 처리조(10a)의 바닥부로 가라앉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세라믹볼들이 회전을 하게 되면 세라믹볼들의 표면에 흡착된 슬러지는 세라믹볼들의 회전력에 의해 탈리된다. 이후, 슬러지가 탈리된 세라믹볼들은 중량이 가벼워져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은 흡착과 탈취효과가 우수한 다수의 세라믹볼들을 포함하며, 세라믹볼은 대략 1mm~30mm를 사용한다. 이러한 세라믹볼들은 제1 처리조(10a) 내에서 흩뿌려진 상태로 존재하거나, 상하로 여유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내에 수용된 상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즉 슬러지 흡착에 따른 중량 증가로 인해 세라믹볼들이 가라앉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내에 수용된 상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의 세라믹볼들은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미생물 담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세라믹볼들에서 서식하는 미생물들은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자연적으로 분해하여 정화시킬 수 있다.
분리판(24)은 제2 처리조(10b)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을 통해 제2 처리조(10b)로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하여 여과수를 추출한다.
분리판(2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판(24a), 중판(24b) 및 후판(24c)이 순차적으로 겹쳐진 3겹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략 계란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전판(24a), 중판(24b) 및 후판(24c)은 각각 복수개가 상하로 중첩된 적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판(24a)과 후판(24c)은 상층과 하층이 일정 피치로 이격된 구조를 가지고, 중판(24b)은 상층과 하층이 동일한 위상차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중판(24b)의 우수 이동 경로는 협소하고, 전판(24a)과 후판(24c)의 우수 이동 경로는 중판(24b)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어 전판(24a)은 분배 및 큰 슬러지를 처리하고, 중판(24b)은 미세한 슬러지를 처리하며, 후판(24c)은 분배 및 응집과 침전 기능을 한다.
이러한 분리판(24)은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의 세라믹볼들과 마찬가지로 그 표면에 미생물이 안착되어 서식이 가능함에 따라 미생물 담체로서 기능하여 정화 기능도 할 수 있다.
도 7은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중판(24b)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중판(24b)은 복수개가 상하로 중첩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각은 일방향 물결형판으로 형성된다. 각 층은 마루부(24b-1)와 골부(24b-2)를 포함한다. 마루부(24b-1)에는 우수에 포함된 부유물이 배출되도록 다수의 부유물분리공(24b-1a)이 형성되고, 골부(24b-2)에는 우수에 섞여있는 슬러지가 가라앉아 쌓이게 된다. 골부(24b-2)에는 각 층을 조립부재(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적층 조립될 수 있도록 다수의 조립 구멍(24b-2a)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전판(24a) 및 후판(24c)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판(24a)과 후판(24c)은 각각 복수의 행렬로 산(3-1)과 골(3-2)로 이루어진 다방향 주름판(3)이 적층되어 마련되는 적층팩(원형안 참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방향 주름판(3)은 도 8에서와 같이 일측방향으로 산(3-1)과 골(3-2)을 형성하고, 상기 일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시 산(3-1)과 골(3-2)을 형성시킨 형태의 달걀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산(3-1)의 꼭지점에는 우수에 섞여 있는 부유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부유물분리공(3-1a)이 형성되어 있고, 골(3-2)의 꼭지점에는 우수에 섞여 있는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슬러지분리공(3-2a)이 형성되어 있다.
다방향 주름판(3)이 적층되어 마련된 적층팩은 복수의 다방향 주름판(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되, 상부측 다방향 주름판이 산(3-1)과, 산(3-1)을 잇는 산등성이 부분(3-3)의 하부에 하부측 다방향 주름판의 산(3-1)이 배치되어 적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팩은 상부측 다방향 주름판의 산(3-1)과, 산(3-1)을 잇는 산등성이 부분(3-3)의 하부에 하부측 다방향 주름판의 산(3-1)이 배치되어 있고, 적층된 다방향 주름판이 결합부재(4)에 의해 상호 결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다방향 주름판(3)은 동일한 외형으로 마련되어 있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포개어 적층되는 형태가 아닌 하부에 배치되는 주름판이 일정 피치로 이격(상부 주름판이 산등성이 부분 하부에 하부 주름판의 산이 배치되는 구조)되어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각 다방향 주름판의 간격을 상하로 상호 이격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이들 간의 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복수의 다방향 주름판(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걀판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산(3-1)과 골(3-2)이 이루는 격벽은 부드러운 유선형태로 마련되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격벽이 유선형태로 마련됨에 따라 혼합물의 흐름이 부드럽게 되어 와류가 방지됨과 동시에 슬러지의 침전과 부유물의 부상의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다방향 주름판(3)에 다수 형성되는 부유물분리공(3-1a) 및 슬러지분리공(3-2a)은 어느 하나의 분리공에서 수많은 분리공으로 연결되므로 다방향 주름판(3)에 접촉되는 슬러지와 부유물의 침전과 부상시간이 최대화되어 비점오염물질의 분리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에 의한 비점오염물질의 다방향 분리효과로 인하여 침전된 슬러지가 슬러지분리공(3-2a)을 통해 하방으로 침전되면서 서로 뭉쳐 덩어리가 되면서 비점오염물질의 유속의 흐름에 휩쓸려 나가지 않으며, 부유물분리공(3-1a)을 통해 상방으로 부상된 부유물 또한 부상되면서 서로 뭉쳐짐으로써, 비점오염물질의 유속의 흐름에 최대한 휩쓸려 나가지 않게 된다.
또한, 복수의 다방향 주름판(3)이 적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각 다방향 주름판(3)에서 분리된 슬러지의 적체가 방지되고, 분리된 슬러지가 슬러지분리공(3-2a) 및 하부의 주름판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됨으로써 정화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이렇게 각 다방향 주름판(3)이 적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그 사이의 공간으로 우수가 흐름으로써, 적층된 복수의 다방향 주름판(3)이 모두 향상된 우수분리 효율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방향 주름판(3)은 후술할 결합공(3-4)에 삽입되는 결합부재(4)를 이용하여 복수의 다방향 주름판(3)을 결합시키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결합공(3-4) 및 결합부재(4)에 의해 적층되는 복수의 다방향 주름판(3)은 견고한 결합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다방향 주름판(3)의 산(3-1)과, 산(3-1) 사이의 각 산등성이 부분(3-3)에는 다수의 다방향 주름판(3)이 적층 조립될 경우, 볼트(미도시)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3-4)이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공(3-4)에 결합부재(4)가 삽입되어 적층된 복수의 층을 구비하는 다수의 다방향 주름판(3)이 일체로 연결된 후, 볼트 또는 너트 등의 체결수단이 체결됨으로써, 다수의 다방향 주름판(3)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방향 주름판(3)의 골(3-2)에 형성된 슬러지분리공(3-2a)의 직경은 산(3-1)에 형성된 부유물분리공(3-1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러지가 부유물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슬러지의 분리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달걀판 형태의 다방향 주름판(3)들을 순차적으로 적층 결합시킨 적층팩을 이용한 저감장치에서 비점오염물질이 순차적으로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적층팩 사이로 비점오염물질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달걀형 곡선의 유선형의 흐름은 난류나 와류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스톡법칙(stoke's law)에 따라 비점오염물질의 비중차이에 의하여, 우수에 섞여있는 미세한 부유물은 상부로 떠오르게 된다.
이어 미세한 부유물은, 각 다방향 주름판(3) 벽에 부딪히면서 상호 결합하여 적층팩으로의 유입 이전보다 큰 부력을 갖게 되며, 이 큰 부력을 갖는 부유물은 산(3-1)의 부유물분리공(3-1a)을 통해 수면위로 부상하게 된다. 또한, 비점오염물질이 적층팩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비점오염물질에 섞여있는 슬러지가 스톡법칙(stoke's law)에 의한 비중차이로 골(3-2)로 서서히 가라앉으면서 그의 자중에 의해 다방향 주름판(3)의 골(3-2)에 형성된 슬러지분리공(3-2a)을 통해 하부로 침전된다.
따라서, 상기 적층팩을 통과한 비점오염물질은 복수의 다방향 주름판(3)에 의해 물과 부유물 및 슬러지로 분리되어 깨끗한 물로 정화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적층팩을 통과하는 비점오염물질은 어느 방향으로 유입되더라도 전술한 분리동작과 동일 방식으로 비점오염물질의 분리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3-1) 또는 골(3-2)이 우수가 흐르는 방향을 바라보며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분리된 슬러지가 산(3-1)과 골(3-2)을 이루는 격벽에 따라 하방으로 용이하게 침전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된 부유물이 산(3-1)과 골(3-2)을 이루는 격벽에 따라 상방으로 용이하게 부유됨과 동시에 분리동작에 방해가 되는 와류의 형성 없이 비점오염물질의 분리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판(24)은 제2 처리조(10b)의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제2 처리조(10b)의 바닥부에 침전물이 쌓이는데, 이러한 침전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분리판(24)의 하부는 받침부(16)의 상부에 안착되어 받침부(16)의 높이만큼 바닥부로부터 이격 설치된다.
분리판(2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 예를 들면 후판(24c)의 배면이 지지벽(14)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벽(14)은 하부가 받침부(16)의 상부에 지지된 상태로 일정 높이로 설치되며, 분리판(24)의 길이방향, 즉 신장된 방향으로 지지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제2 스트레나(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레나(23)는 제1 스트레나(21)와 동일하게 스크린(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 웨어(13)와 제1 처리조(10a)의 천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의 세라믹볼들이 제2 처리조(10b)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부피가 큰 부유성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분리판(24)으로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블로워(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로워(41)는 하부에서 상방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방울을 이용하여 분리판(24)을 청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판(24)의 후단에 설치된 여과제(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과제(25)는 지지벽(14)과 배수구(12) 사이에 제2 처리조(10b)의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분리판(24)을 통해 여과처리되어 추출된 여과수를 다시 여과하여 배수구(12)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벽(14)과 배수구(12) 사이에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여과제(25)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여과제 대신에 전술한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과 동일하게 다수의 세라믹볼을 포함하는 제2 자연청소 침전볼(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지지벽(14)과 배수구(12) 사이에 상기 제2 자연청소 침전볼이 설치된 경우에는 제1 처리조(10a)에 설치된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은 생략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에서 우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수관(1)을 통해 흐르는 우수는 월류웨어(2)를 통해 저류조(10)의 유입구(11)로 유입된다.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부피가 큰 부유성 비점오염물질은 1차로 제1 스트레나(21)에 의해 여과된다.
제1 스트레나(12)를 통과한 우수는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로 유입되고,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로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침전성 비점오염물질, 예를 들면 슬러지는 세라믹볼들 사이의 공극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슬러지의 점착성으로 인해 세라믹볼들의 표면에 흡착된다.
슬러지가 표면에 흡착된 세라믹볼들은 중량이 증가하여 제1 처리조(10a)의 바닥부로 하강한 후, 세라믹볼들의 회전에 의해 세라믹볼들의 표면으로부터 탈리된다. 세라믹볼들의 표면으로부터 탈리된 슬러지는 제1 처리조(10a)의 바닥부에 침전된다.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을 통과한 우수는 제1 웨어(13)를 넘어 제1 웨어(13)와 제1 처리조(10a)의 천정부 사이에 설치된 제2 스트레나(23)를 통해 제2 처리조(10b)로 유입된다.
제2 처리조(10b)로 유입된 우수는 분리판(24)으로 유입되어 전판(24a), 중판(24b) 및 후판(24c)을 통해 여과된다. 이후, 분리판(24)을 통해 여과된 여과수는 최종적으로 여과제(25)에 의해 여과된 후 배수구(12)를 통해 하수관(1)으로 배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정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실시예1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실시예2에서는 우수뿐만 아니라, 우수 및 오수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저류조(10)와, 제1 스트레나(21)와,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과, 제2 자연청소 침전볼(27), 분리판(24)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제1 스트레나(21),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 분리판(24)은 실시예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짐에 따라 그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저류조(10)는 우수 및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된 제1 및 제2 웨어(13, 15)에 의해 분리되어 우수 및 오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순차적으로 여과하는 제1 내지 제3 처리조(10a, 10b, 10c)와, 제1 내지 제3 처리조(10a, 10b, 10c)를 통해 여과처리된 여과수를 배수하는 배수구(12)를 포함한다.
제2 자연청소 침전볼(27)은 제2 처리조(10b)의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을 통해 제2 처리조(10b)로 유입된 우수 및 오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침전성 비점오염물질을 2차로 분리시켜 제2 처리조(10b)의 바닥부로 침전시키는 다수의 세라믹볼이 채워진 복수개의 자루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스트레나(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스트레나(28)는 제2 스트레나(23)와 동일하게 스크린(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 웨어(15)와 제2 처리조(10b)의 천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제2 자연청소 침전볼(27)의 세라믹볼들이 담겨진 자루가 제3 처리조(10c)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부피가 큰 부유성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용존산소발생기(26)를 더 포함한다. 용존산소발생기(26)는 제2 자연청소 침전볼(27)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원공급부(42)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용존산소를 발생한다. 용존산소발생기(26)로부터 발생된 용존산소에 의해 제2 자연청소 침전볼(27)에는 공기방울이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방울은 자루에 담긴 세라믹볼들에 공급된다.
제2 처리조(10b)로 유입된 우수 및 오수는 제2 자연청소 침전볼(27)의 자루에 담긴 세라믹볼들의 공극을 통해 이동하면서 여과된다. 이렇게 여과된 우수 및 오수는 제2 웨어(15)의 하부에 형성된 유출구(15a)를 통해 제3 처리조(10c)로 유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지지벽(14)과 배수구(12) 사이에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여과제(25)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여과제 대신에 전술한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과 동일하게 다수의 세라믹볼을 포함하는 제3 자연청소 침전볼(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지지벽(14)과 배수구(12) 사이의 제3 처리조(10c)에 상기 제3 자연청소 침전볼이 설치된 경우에는 제1 처리조(10a)에 설치된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은 생략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에서 우수 및 오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수관(1)을 통해 흐르는 우수 및 오수는 월류웨어(2)를 통해 저류조(10)의 유입구(11)로 유입된다.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우수 및 오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부피가 큰 부유성 비점오염물질은 1차로 제1 스트레나(21)에 의해 여과된다.
제1 스트레나(12)를 통과한 우수 및 오수는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로 유입되고,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로 유입된 우수 및 오수에 포함된 슬러지는 세라믹볼들 사이의 공극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슬러지의 점착성으로 인해 세라믹볼들의 표면에 흡착된다.
슬러지가 표면에 흡착된 세라믹볼들은 중량이 증가하여 제1 처리조(10a)의 바닥부로 하강한 후, 세라믹볼들의 회전에 의해 세라믹볼들의 표면으로부터 탈리된다. 세라믹볼들의 표면으로부터 탈리된 슬러지는 제1 처리조(10a)의 바닥부에 침전된다.
제1 자연청소 침전볼(22)을 통과한 우수 및 오수는 제1 웨어(13)를 넘어 제1 웨어(13)와 제1 처리조(10a)의 천정부 사이에 설치된 제2 스트레나(23)를 통해 제2 처리조(10b)로 유입된다.
제2 처리조(10b)로 유입된 우수 및 오수는 제2 자연청소 침전볼(27)의 자루에 담긴 세라믹볼들의 공극 사이를 통과하면서 세라믹볼들의 표면에 흡착된 후 세라믹볼들의 회전에 의해 탈리되어 침전된다. 이때, 용존산소발생기(26)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방울에 의해 제2 자연청소 침전볼(27)에 흡착된 유기물은 산화분해되어 정화된다. 즉, 제2 처리조(10b)로 유입된 우수 및 오수는 제2 자연청소 침전볼(27)에 의해 다시 여과된 후 제2 웨어(15)의 하부에 설치된 유출구(15a)를 통해 제3 처리조(10c)로 유입된다.
제3 처리조(10c)로 유입된 우수 및 오수는 분리판(24)으로 유입되어 전판(24a), 중판(24b) 및 후판(24c)을 통해 여과된다. 이후, 분리판(24)을 통해 여과된 여과수는 최종적으로 여과제(25)에 의해 여과된 후 배수구(12)를 통해 하수관(1)으로 배수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저류조 11 : 유입구
12 : 배수구 13 : 제1 웨어
14 : 지지벽 15 : 제2 웨어
16 : 받침부 21 : 제1 스트레나
22 : 제1 자연청소 침전볼 23 : 제2 스트레나
24 : 분리판 25 : 여과제
26 : 용존산소발생기 27 : 제2 자연청소 침전볼
28 : 제3 스트레나 31, 32, 33 : 우수맨홀
41 : 블로워 42 : 전원공급부

Claims (8)

  1.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된 제1 웨어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순차적으로 여과하는 제1 및 제2 처리조와, 상기 제1 및 제2 처리조를 통해 여과처리된 여과수를 배수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저류조;
    상기 유입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처리조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부유성 비점오염물질을 1차로 여과하는 제1 스트레나;
    상기 제1 처리조의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트레나를 통해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침전성 비점오염물질을 1차로 분리시켜 상기 제1 처리조의 바닥부로 침전시키는 다수의 세라믹볼을 포함하는 제1 자연청소 침전볼;
    상기 제1 웨어와 상기 제1 처리조의 천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자연청소 침전볼이 상기 제2 처리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스트레나; 및
    상기 제2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자연청소 침전볼을 통해 상기 제2 처리조로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하여 여과수를 추출하는 분리판
    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판은 전판, 중판 및 후판이 순차적으로 겹쳐진 3겹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판은 일방향 물결형판으로 형성된 마루부와, 우수에 섞여 있는 슬러지가 가라앉아 쌓이는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루부에는 우수에 포함된 부유물이 배출되도록 다수의 부유물분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골부에는 조립부재를 매개로 소정 간격을 갖고 적층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조립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판과 상기 후판은 각각 복수의 행렬과 산과 골로 이루어진 다방향 주름판이 적층되어 마련되는 적층팩을 포함하고, 상기 산의 꼭지점에는 우수에 섞여 있는 부유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부유물분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골의 꼭지점에는 우수에 섞여 있는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슬러지분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방향 주름판은 일측방향으로 산과 골을 형성하고, 상기 산과 골이 형성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산과 골을 형성시킨 달걀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팩은 복수의 상기 다방향 주름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되, 상부측 다방향 주름판의 산과 산을 잇는 산등성이 부분의 하부에 하부측 다방향 주름판의 산이 배치되어 적층되고, 상기 다방향 주름판의 산과 산을 잇는 산등성이 부분 중 일부에는 상기 복수의 다방향 주름판을 적층 결합시키기 위하여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비점오염 저감장치.
  2. 우수 및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된 제1 및 제2 웨어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우수 및 오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순차적으로 여과하는 제1 내지 제3 처리조와, 상기 제1 내지 제3 처리조를 통해 여과처리된 여과수를 배수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저류조;
    상기 유입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처리조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 및 오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부유성 비점오염물질을 1차로 여과하는 제1 스트레나;
    상기 제1 처리조의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트레나를 통해 유입된 우수 및 오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침전성 비점오염물질을 1차로 분리시켜 상기 제1 처리조의 바닥부로 침전시키는 다수의 세라믹볼을 포함하는 제1 자연청소 침전볼;
    상기 제1 웨어와 상기 제1 처리조의 천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자연청소 침전볼이 상기 제2 처리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스트레나;
    상기 제2 처리조의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자연청소 침전볼을 통해 상기 제2 처리조로 유입된 우수 및 오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침전성 비점오염물질을 2차로 분리시켜 상기 제2 처리조의 바닥부로 침전시키는 다수의 세라믹볼이 채워진 복수개의 자루를 포함하는 제2 자연청소 침전볼;
    상기 제2 웨어와 상기 제2 처리조의 천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자연청소 침전볼이 상기 제3 처리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스트레나; 및
    상기 제3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자연청소 침전볼을 통해 상기 제3 처리조로 유입된 우수 및 오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하여 여과수를 추출하는 분리판
    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판은 전판, 중판 및 후판이 순차적으로 겹쳐진 3겹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판은 일방향 물결형판으로 형성된 마루부와, 우수에 섞여 있는 슬러지가 가라앉아 쌓이는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루부에는 우수에 포함된 부유물이 배출되도록 다수의 부유물분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골부에는 조립부재를 매개로 소정 간격을 갖고 적층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조립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판과 상기 후판은 각각 복수의 행렬과 산과 골로 이루어진 다방향 주름판이 적층되어 마련되는 적층팩을 포함하고, 상기 산의 꼭지점에는 우수에 섞여 있는 부유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부유물분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골의 꼭지점에는 우수에 섞여 있는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슬러지분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방향 주름판은 일측방향으로 산과 골을 형성하고, 상기 산과 골이 형성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산과 골을 형성시킨 달걀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팩은 복수의 상기 다방향 주름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되, 상부측 다방향 주름판의 산과 산을 잇는 산등성이 부분의 하부에 하부측 다방향 주름판의 산이 배치되어 적층되고, 상기 다방향 주름판의 산과 산을 잇는 산등성이 부분 중 일부에는 상기 복수의 다방향 주름판을 적층 결합시키기 위하여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비점오염 저감장치.
  3.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된 제1 웨어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순차적으로 여과하는 제1 및 제2 처리조와, 상기 제1 및 제2 처리조를 통해 여과처리된 여과수를 배수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저류조;
    상기 유입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처리조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부유성 비점오염물질을 1차로 여과하는 제1 스트레나;
    상기 제1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트레나를 통해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하는 분리판; 및
    상기 제2 처리조의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판을 통해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침전성 비점오염물질을 분리시켜 상기 제2 처리조의 바닥부로 침전시키는 다수의 세라믹볼을 포함하는 제1 자연청소 침전볼
    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판은 전판, 중판 및 후판이 순차적으로 겹쳐진 3겹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판은 일방향 물결형판으로 형성된 마루부와, 우수에 섞여 있는 슬러지가 가라앉아 쌓이는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루부에는 우수에 포함된 부유물이 배출되도록 다수의 부유물분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골부에는 조립부재를 매개로 소정 간격을 갖고 적층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조립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판과 상기 후판은 각각 복수의 행렬과 산과 골로 이루어진 다방향 주름판이 적층되어 마련되는 적층팩을 포함하고, 상기 산의 꼭지점에는 우수에 섞여 있는 부유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부유물분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골의 꼭지점에는 우수에 섞여 있는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슬러지분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방향 주름판은 일측방향으로 산과 골을 형성하고, 상기 산과 골이 형성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산과 골을 형성시킨 달걀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팩은 복수의 상기 다방향 주름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되, 상부측 다방향 주름판의 산과 산을 잇는 산등성이 부분의 하부에 하부측 다방향 주름판의 산이 배치되어 적층되고, 상기 다방향 주름판의 산과 산을 잇는 산등성이 부분 중 일부에는 상기 복수의 다방향 주름판을 적층 결합시키기 위하여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비점오염 저감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연청소 침전볼의 세라믹은 흩뿌려진 상태로 존재하거나, 하우징 내에 수용된 상태로 존재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조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분리판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지지벽;
    상기 분리판으로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블로워; 및
    상기 지지벽과 상기 배수구 사이에 상기 제2 처리조의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분리판을 통해 여과처리되어 추출된 여과수를 다시 여과하기 위하여 다수의 세라믹볼을 포함하는 제2 자연청소 침전볼
    을 더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처리조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분리판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지지벽;
    상기 분리판으로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블로워;
    상기 제2 처리조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자연청소 침전볼로 공기방울을 발생하는 용존산소발생기; 및
    상기 지지벽과 상기 배수구 사이에 상기 제3 처리조의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분리판을 통해 여과처리되어 추출된 여과수를 다시 여과하기 위하여 다수의 세라믹볼을 포함하는 제3 자연청소 침전볼
    을 더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웨어는 상기 제2 자연청소 침전볼을 통과한 우수 및 오수가 상기 제3 처리조로 유입되도록 하부에 유출구가 마련된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20120088409A 2012-08-13 2012-08-13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239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409A KR101239227B1 (ko) 2012-08-13 2012-08-13 비점오염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409A KR101239227B1 (ko) 2012-08-13 2012-08-13 비점오염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9227B1 true KR101239227B1 (ko) 2013-03-05

Family

ID=48181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409A KR101239227B1 (ko) 2012-08-13 2012-08-13 비점오염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2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908A (ko) 2013-10-25 2015-05-06 한영해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20160012652A (ko) 2014-07-25 2016-02-03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점오염 저감 처리장치
KR101959508B1 (ko) * 2018-07-26 2019-03-18 (주)랜드로드 우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68908A (ko) * 2017-12-11 2019-06-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반응성 여과설비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959B1 (ko) 2008-05-26 2009-02-19 이문기 초기 빗물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
KR100931522B1 (ko) * 2008-12-24 2009-12-14 에이네스트(주) 미생물접촉재와 메쉬망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984676B1 (ko) * 2009-12-11 2010-10-01 (주) 한국엔피기술 배수 처리용 초기우수 처리 장치
KR101113989B1 (ko) 2010-06-18 2012-03-05 이문기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959B1 (ko) 2008-05-26 2009-02-19 이문기 초기 빗물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
KR100931522B1 (ko) * 2008-12-24 2009-12-14 에이네스트(주) 미생물접촉재와 메쉬망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984676B1 (ko) * 2009-12-11 2010-10-01 (주) 한국엔피기술 배수 처리용 초기우수 처리 장치
KR101113989B1 (ko) 2010-06-18 2012-03-05 이문기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908A (ko) 2013-10-25 2015-05-06 한영해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20160012652A (ko) 2014-07-25 2016-02-03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점오염 저감 처리장치
KR20190068908A (ko) * 2017-12-11 2019-06-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반응성 여과설비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KR101992279B1 (ko) * 2017-12-11 2019-06-2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반응성 여과설비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KR101959508B1 (ko) * 2018-07-26 2019-03-18 (주)랜드로드 우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US11352280B2 (en) 2018-07-26 2022-06-07 Landroad Inc Rainwater filter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316B1 (ko)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KR100905693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0904177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KR101249741B1 (ko) 미생물 처리조를 포함한 통합 장치형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처리 방법
KR101218344B1 (ko)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
KR100648794B1 (ko) 하천수 및 호소수 정화 장치
KR101288471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CN102464413A (zh) 一种船舶含油废水处理工艺
KR101239227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113989B1 (ko)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JP4145895B2 (ja) 非点汚染源除去装置
KR100912708B1 (ko) 비점오염 침전분리 침투형 정화장치
KR100621193B1 (ko) 오염수정화장치 및 오염수정화장치의 오염수정화방법
JP2004050145A (ja) 微細な浮遊物質を含むビルジ用油水分離装置
KR100542338B1 (ko) 눈금판 필터 모듈이 구비된 유수분리장치
KR100964596B1 (ko) 다층여재형 우수 정화처리 장치
JP2020505228A (ja) パッシブ重力フィルタセル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60116098A (ko)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
CN207891089U (zh) 餐饮废水油水分离装置及烟气一体化除油废水回用装置
KR101352088B1 (ko) 우수 여과 처리 장치
RU82211U1 (ru) Установка очистки ливневых стоков "дамба"
CN2651233Y (zh) 隔油池
KR100923234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정화 방법
CN1231390C (zh) 舱底用分离微小浮游物质的油水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