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523B1 -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 - Google Patents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523B1
KR102447523B1 KR1020210015517A KR20210015517A KR102447523B1 KR 102447523 B1 KR102447523 B1 KR 102447523B1 KR 1020210015517 A KR1020210015517 A KR 1020210015517A KR 20210015517 A KR20210015517 A KR 20210015517A KR 102447523 B1 KR102447523 B1 KR 102447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aphragm
fiber layer
iv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2028A (ko
Inventor
서재호
Original Assignee
서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재호 filed Critical 서재호
Priority to KR1020210015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523B1/ko
Publication of KR20220112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부를 에워싸도록 측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에는 배수공이 형성된 장방형의 케이스의 내부에 배양토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와 인접하여 격자형 철망 프레임이 형성되는 담쟁이 화분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투수 섬유층; 부분적으로 격판홀이 형성되어 상기 투수 섬유층과 맞닿도록 하부에 구비되어 배양토의 하중을 지지하는 격판; 및 상기 격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분을 조절하는 전면 섬유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불필요한 물의 공급은 신속히 배수하면서도 투수 섬유층과 전면 섬유층이 수분을 함유한 상태로 지속적인 수분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Description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Ivy Flowerpot for easy Moisture Supply}
본 발명은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양토를 구비하기 위한 케이스와 인접하여 격자형 철망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부로부터 통로가 형성된 투수 섬유층, 배양토의 하중을 지지하고 격판홀이 형성된 격판, 수분을 전체적으로 조절하는 전면 섬유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도시팽창에 따라 도심지의 녹지는 점진적으로 감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도시에서 녹지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은 제한되어 있어 충분한 녹지 공간의 확보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한편, 도로변의 경우 주행 차량에 의하여 질소 산화물(NOx)이 다량으로 발생함에 따라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유발의 주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산화 부식을 유발하는 인자로도 알려져 있다.
또한, 도로변은 차량의 주행에 따라 소음이 발생함에 따라 주거지역을 관통하는 도로의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방음벽과 같은 수직 구조물이 설치될 수밖에 없으며, 터널 구조물이나 레벨 차이로 인해 형성되는 옹벽 등 도심지에는 다수의 수직 구조물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에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 아파트 등에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던 벽면을 이용한 녹화는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부족한 녹지를 대체하고 녹지 공간을 수직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율적인 대체방안으로 제안되고 있으며, 넝쿨 식물을 활용한 벽면 녹화는 환경적 측면 뿐만 아니라, 경관적, 심리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안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33235호의 "띠녹지 수벽"(2017. 04. 27.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본체(1)에 벽체(2)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박스본체(1)가 조립식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이 확보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박스본체(1)와 벽체(2)의 결합성과 조립성 확보에 주안점을 둠에 따라 담쟁이와 같은 넝쿨식물에 대한 생육조건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은 한계가 있었으며, 일조가 강한 곳에서는 오히려 수분이 증발됨에 따라 고사하거나, 제대로 성장하지 못함에 따라 오히려 주변 경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담쟁이와 같은 넝쿨식물의 생육 조건이 최적화되도록 수분 공급을 조절하며, 급격한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고, 직사광선의 유입을 차단하여 넝쿨식물의 고사를 방지하여 이상적인 생육조건을 제공하며,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뿌리의 생육에 제약이 되지 않는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A)은, 바닥부(11)를 에워싸도록 측벽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1)에는 배수공(11a)이 형성된 장방형의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양토(S)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와 인접하여 격자형 철망 프레임(20)이 형성되는 것으로, 부분적으로 통로(31)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되는 투수 섬유층(30); 부분적으로 격판홀(41)이 형성되어 상기 투수 섬유층(30)과 맞닿도록 하부에 구비되어 배양토(S)의 하중을 지지하는 격판(40); 및 상기 격판(40)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분을 조절하는 전면 섬유층(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는 다수의 경사 커버(6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측벽부(12) 장변측의 대향하는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경사홈(12a)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홈(12a)에 경사 커버(60)가 끼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측벽부(12) 장변측의 대향하는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지지홈(12b)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40)의 하부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지지돌부(42)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홈(12b)에 지지돌부(42)가 끼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12)의 내주면에 형성된 지지홈(12b)은 상기 경사홈(12a)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12b)의 폭(w2)이 경사홈(12a)의 폭(w1) 보다 작아 걸림턱(12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수 섬유층(30)은 제1 투수 섬유층(30a)과 그 하부로 일정 간격 이격된 제2 투수 섬유층(30b)를 포함하고, 상기 격판(40)은 제1 투수 섬유층(30a)과 맞닿도록 하부에 구비되어 배양토(S)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 격판(40a)과 상기 제2 투수 섬유층(30b)과 맞닿도록 하부에 구비되어 배양토(S)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2 격판(40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수 섬유층(30)의 통로(31)는 상기 격판(40)의 격판홀(41)과 부분적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A)에 의하면, 통로가 형성된 투수 섬유층이 우수 등 불필요한 물의 공급은 신속히 배수하면서도 투수 섬유층과 전면 섬유층이 수분을 함유한 상태로 지속적인 수분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격판이 상부 배양토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하분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전체적인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복수의 격판홀이 형성되어 배수와 뿌리의 생육에 제약이 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상기 격판은 상부 하중을 수용함으로써 하부에 구비되는 섬유층의 변형을 방지하고, 이로써 전체적인 섬유층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는 다수의 경사 커버가 구비되어 다습한 음지에서 생육이 유리한 넝쿨식물의 성장을 도모하고, 직사광선에 의한 고사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경사 커버는 직사광선의 직사광선을 차단하면서도 우수나 수분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며, 지속적으로 습윤한 조건이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이상적인 생육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배양토의 종류와 수분 함량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격판의 위치를 유연하게 가변할 수 있으며, 복수의 격판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적절히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경량화하여 케이스를 걸이식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케이스의 자중에 따라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넝쿨식물용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쟁이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쟁이 화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 커버의 결합 원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쟁이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담쟁이 화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담쟁이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 커버의 결합 원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쟁이 화분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A)은, 바닥부(11)를 에워싸도록 측벽부(12)가 형성되는 장방형 형상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격자형 철망 프레임(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장방향의 케이스(10)와 철망 프레임(20)은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단지 인접 배치되도록 분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담쟁이 화분(A)의 케이스(10)는 전체적으로 경량화하여 걸이식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케이스(10)의 소재나 자중에 따라 지면에 지지되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넝쿨식물이 서식하기 위한 배양토(S)가 구비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화분과 마찬가지로 바닥부(11)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공(11a)이 형성된다.
다만, 담쟁이(Ivy)와 같은 넝쿨식물은 일반적인 식물과는 달리 직사광선이 비치지 않는 습윤한 음지에서 생육이 더욱 유리한 특성을 지닌다. 이에 본 발명의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A)은,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내부에 상부에서 하부로 투수 섬유층(30), 격판(40) 및 전면 섬유층(50)이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투수 섬유층(30)과 전면 섬유층(50)은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배양토(S)에 지속적인 수분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능한다. 상기 투수 섬유층(30)과 전면 섬유층(50)이 흡수할 수 있는 수분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하부로 배수되어진다. 상기 섬유층은 함수 기능이 우수한 다공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투수 섬유층(30)과 전면 섬유층(50)은 동일한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동일한 소재로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투수 섬유층(30)은 배양토(S)의 하부에 구비되어 흡수하고 있는 수분을 배양토(S)로 제공함으로써 수분 조절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투수 섬유층(30)은 부분적으로 통로(31)가 형성되어 우수와 같이 급격하게 유입되는 물은 하부로 배수되도록 한다.
상기 투수 섬유층(30)의 전체적인 형상은 케이스(1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 섬유층(30)의 외측을 따라 사각형의 통로(31)가 형성될 수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관통 형성되거나, 불규칙적인 형상과 위치에 형성되도록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투수 섬유층(30)과 맞닿는 하부에는 격판(40)이 구비된다. 상기 격판(40)은 상부에 구비되는 배양토(S)와 수분을 머금은 투수 섬유층(30)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격판(40)의 전체적인 형상도 케이스(1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격판(40)에도 부분적으로 격판홀(41)이 형성되어 과다하게 유입되어 불필요한 물의 하방 배수와 담쟁이 뿌리가 하방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여 생육에 제약이 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격판(40)에 형성된 격판홀(4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40)의 구조적 지지 기능이 상실되지 않는다면 그 위치와 형상이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으나, 도 5 및 도 8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와 뿌리의 생육을 고려하여 상기 투수 섬유층(30)의 통로(31)는 상기 격판(40)의 격판홀(41)과 부분적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판(40)의 하부에는 배양토(S)의 전체적인 수분 조절기능을 수행하는 전면 섬유층(50)이 구비된다. 상기 투수 섬유층(30)은 배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수의 통로(31)가 형성되고, 비교적 상부에 위치함에 따라 외기의 환경에 따라 수분 흡수량이 쉽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전면 섬유층(50)은 비교적 외기의 환경과 무관하게 수분 흡수량을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고, 상부에 구비된 격판(40)에 의하여 수분 증발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전제적인 배양토(S)의 수분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격판(40)에 형성된 다수의 격판홀(41)은 단순히 상부에서 하부로 물을 배수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전면 섬유층(50)의 수분이 상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의 기능도 함께 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A)은 보다 안정적인 수분 공급을 위하여 배양토(S)를 이중층(S1)(S2)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투수 섬유층(30)도 제1 투수 섬유층(30a)과 그 하부로 일정 간격 이격된 제2 투수 섬유층(30b)를 포함하도록 이중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격판(40)은 제1 투수 섬유층(30a)과 맞닿도록 하부에 구비되어 상부 배양토(S1)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 격판(40a)과 상기 제2 투수 섬유층(30b)과 맞닿도록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 배양토(S2)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2 격판(40b)을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투수 섬유층(30a)(30b)을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수분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복수의 격판(40a)(40b)을 바탕으로 구조적으로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A)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직사광선이 차단되도록 다수의 경사 커버(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 커버(60)는 상기 케이스(10)에 상응하는 규격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사 커버(60)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직사광선을 차단하면서도 인접 경사 커버(60) 사이에는 우수나 물이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므로 수분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로써, 수분의 증발을 최소화하고, 담쟁이(Ivy)와 같은 넝쿨식물의 생육에 유리한 습윤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측벽부(12) 장변측의 대향하는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경사홈(12a)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홈(12a)에 경사 커버(60)가 끼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홈(12a)에 경사 커버(60)를 안착시키는 것만으로도 경사지게 배치된 경사 커버(6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경사홈(12a)의 단부에 걸려서 정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필요시에는 상기 경사 커버(60)를 분리한 후 재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판(40)은 상부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적인 역할을 수행하므로 배양토(S)나 흡수된 수분에 의한 하중을 케이스(10)로 전달하게 된다. 만일 상기 격판(40)이 단순히 전면 섬유층(50)의 상부에 거치된다면 상부 하중이 고스란히 전면 섬유층(50)으로 전달됨으로써 전면 섬유층(50)의 변형이 유도되고, 수분 흡수율도 낮아질 뿐만 아니라, 결국 전체적인 섬유층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A)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측벽부(12) 장변측의 대향하는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지지홈(12b)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40)의 하부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지지돌부(42)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홈(12b)에 지지돌부(42)가 끼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격판(40)에 가해지는 상부 하중을 케이스(10)의 측벽(12)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하부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12)의 내주면에 형성된 지지홈(12b)은 상기 경사홈(12a)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12b)의 폭(w2)이 경사홈(12a)의 폭(w1) 보다 작아 걸림턱(12c)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홈(12b)이 경사홈(12a)과 연속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격판(40)에 형성된 지지돌부(42)가 최초 경사홈(12a)을 따라 삽입되어 슬라이드된 후, 상기 지지홈(12b)에 다다르면 하부로 슬라이드되어 단부에 안착됨으로써 고정되어진다.
다만, 상기 경사홈(12a)에 고정되는 경사 커버(60)는 지지홈(12b)의 폭(w2)이 경사홈(12a)의 폭(w1) 보다 작아 걸림턱(12c)이 형성되므로, 상기 걸림턱(12c)에 안착 고정되어진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판(40)에 형성된 지지돌부(42)는 상하방향 위치가 가변적으로 선택될 수 있도록 텔레스코핑부(43)가 구비되어 지지돌부(42)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하부 전면 섬유층(50)의 두께가 변경되거나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격판(40)의 하부에도 배양토(S)를 구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격판(40)의 위치를 조절하여야 하므로 상기 지지돌부(42)의 하부에 형성된 텔레스코핑부(43)를 통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텔레스코핑부(43)의 하부는 지지홈(12b)의 단부에 지지되어진다.
또한, 복수의 격판(40)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상기한 텔레스코핑부(43)를 이용하여 격판(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길이의 스페이서바(44)를 상기 지지돌부(42) 사이에 구비하여 지지홈(12b)에 안착시킴으로써 복수의 격판(40)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A)은 경사 커버(60)의 각도가 유연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각도를 달리하는 복수의 경사홈(12a)이 형성되어 시공현장의 향과 일조조건을 고려하여 선택적인 경사홈(12a)에 경사 커버(60)가 구비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A)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 기술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담쟁이 화분
Ivy:담쟁이 S:배양토
10:케이스 11:바닥부
12:측벽부 12a:경사홈
20:철망 프레임 30:투수 섬유층
31:통로 40:격판
41:격판홀 42:지지돌부
43:텔레스코핑부 44:스페이서바
50:전면 섬유층 60:경사 커버

Claims (7)

  1. 바닥부(11)를 에워싸도록 측벽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1)에는 배수공(11a)이 형성된 장방형의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양토(S)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와 인접하여 격자형 철망 프레임(20)이 형성되는 담쟁이 화분(A)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통로(31)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되는 투수 섬유층(30);
    상기 케이스(10)의 측벽부(12) 장변측의 대향하는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지지홈(12b)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홈(12b)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 구비되도록 복수의 지지돌부(42)가 형성되고, 부분적으로 격판홀(41)이 형성되어 상기 투수 섬유층(30)과 맞닿도록 하부에 구비되어 배양토(S)의 하중을 지지하는 격판(40);
    상기 격판(40)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분을 조절하는 전면 섬유층(50); 및
    상기 케이스(10)의 측벽부(12) 상부에는 장변측의 대향하는 내주면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경사홈(12a)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홈(12a)에 각각 끼움 구비되는 다수의 경사 커버(60);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12)의 내주면에 형성된 지지홈(12b)은 상기 경사홈(12a)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12b)의 폭(w2)이 경사홈(12a)의 폭(w1) 보다 작아 걸림턱(12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섬유층(30)은 제1 투수 섬유층(30a)과 그 하부로 일정 간격 이격된 제2 투수 섬유층(30b)를 포함하고,
    상기 격판(40)은 제1 투수 섬유층(30a)과 맞닿도록 하부에 구비되어 배양토(S)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 격판(40a)과 상기 제2 투수 섬유층(30b)과 맞닿도록 하부에 구비되어 배양토(S)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2 격판(4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섬유층(30)의 통로(31)는 상기 격판(40)의 격판홀(41)과 부분적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
KR1020210015517A 2021-02-03 2021-02-03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 KR102447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517A KR102447523B1 (ko) 2021-02-03 2021-02-03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517A KR102447523B1 (ko) 2021-02-03 2021-02-03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028A KR20220112028A (ko) 2022-08-10
KR102447523B1 true KR102447523B1 (ko) 2022-09-26

Family

ID=8284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517A KR102447523B1 (ko) 2021-02-03 2021-02-03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5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978B1 (ko) 2007-03-20 2008-06-27 박상희 식생매트리스의 제조 및 시공 방법
KR101127630B1 (ko) * 2008-07-03 2012-03-23 박병훈 도로분리대 겸용 입체 조경 식생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849B1 (ko) * 2015-04-01 2017-02-23 장청일 천연잔디 식재용 조립식 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978B1 (ko) 2007-03-20 2008-06-27 박상희 식생매트리스의 제조 및 시공 방법
KR101127630B1 (ko) * 2008-07-03 2012-03-23 박병훈 도로분리대 겸용 입체 조경 식생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028A (ko) 202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8429B2 (ja) 緑化装置
JP5142498B2 (ja) 草木用の植栽装置と植栽構造
KR101963203B1 (ko) 식물 트레이
JP2006262712A (ja) 緑化構造および緑化方法
KR101315283B1 (ko)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WO2020204737A1 (en) Panel-modular layered wall system for shaping spatial structures
KR101315287B1 (ko)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KR102447523B1 (ko)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
KR101228003B1 (ko) 녹화용의 용기 유닛과, 그 용기 유닛을 사용한 녹화 공법
KR101889419B1 (ko) 반지하형 온실
KR102048147B1 (ko) 화분 모듈
JP5108225B2 (ja) 緑化容器
JP2003116356A (ja) 植栽トレー
JP4828928B2 (ja) 植栽コンテナ、植栽ユニット及び植栽設備
KR200367577Y1 (ko) 조경용 화분
JP3911677B2 (ja) 壁面緑化体及び壁面緑化帳壁
KR20220133367A (ko) 식물 공중 식재장치
JP2006101812A (ja) 植物育成構造体及び緑化システム
KR20100055039A (ko) 녹화 장치
KR102500450B1 (ko) 벽면 녹화용 격자형 모듈 구조체
KR200278170Y1 (ko)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
KR101484641B1 (ko) 옥상 녹화구조물
JP4027165B2 (ja) 植栽設置構造
KR102292123B1 (ko) 가로수 보호 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 시스템
JP3836781B2 (ja) 屋上緑化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