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147B1 - 화분 모듈 - Google Patents

화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147B1
KR102048147B1 KR1020180071198A KR20180071198A KR102048147B1 KR 102048147 B1 KR102048147 B1 KR 102048147B1 KR 1020180071198 A KR1020180071198 A KR 1020180071198A KR 20180071198 A KR20180071198 A KR 20180071198A KR 102048147 B1 KR102048147 B1 KR 102048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dule
lower frame
rear surfa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문
Original Assignee
김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문 filed Critical 김영문
Priority to KR1020180071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면에 복수 개의 지지 돌기와 저면 외주부를 따라 복수 개의 하부 배수 홀수이 형성되며, 측면 상부에 복수 개의 측면 배수 홀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배수 홀 내측 상면에 구비되는 사각의 저장 프레임이 결합하되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하부 프레임; 및 저면에 복수 개의 상부 배수홀이 형성되고 저면 외주부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에 결합하는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되, 하측에 각각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저장 프레임 내측에 횡 또는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돌기는 하부 프레임 저면의 외주부에서 중심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저면이 상기 격벽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격벽 상측 중앙에 각각 'v'자 형상의 격벽 절개 홈을 더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과 용적의 도심 화단 또는 정원 시설을 조성할 수 있으며, 화분에서 재배되는 관상용 식물이나 식용 작물 등이 원활하게 생장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수분 공급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분 모듈{Folwerpot Modume}
본 발명은 화분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또는 실외의 크기나 구조에 따라 규격화된 화분 모듈을 용이하게 결합 분해하여 설치가 용이하며, 수분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관상용 식물이나 식용 작물 등을 재배할 수 있는 화분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건물의 옥상, 다양한 구조물의 빈 공간 등을 활용하여 관상용 식물이나 식용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도심 조경을 개선하기 위한 디자인적 기능까지 도심 화단 또는 정원 시설이 활발하게 설치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도심 화단 또는 정원 시설은 설치 장소의 크기나 구조에 따라 전체적인 크기나 형상의 변형이 필요하므로 주문 제작하거나 다양한 규격의 화분 또는 플랜터 등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는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것은 물론 상이한 디자인과 크기로 인하여 미관까지 저해되는 한계가 따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795,164호에는 조립식 모듈에 의해 구성되는 식재용 플랜트에 있어서, 조인트부 일단이 상기 패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조인트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레일부 및 상기 패널, 조인트부 및 레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플랜트의 저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레일부의 하단에 볼트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밑판을 포함하는 조립식 모듈형 플랜트가 공지되어 있다.
이는 규격화된 조립 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과 용적의 도심 화단 또는 정원 시설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관상용 식물이나 식용 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수분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조 등은 누락되어 있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795,16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규격화된 조립 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과 용적의 도심 화단 또는 정원 시설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관상용 식물이나 식용 작물 등이 원활하게 생장할 수 있는 화분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넓게 형성된 도심 화단 또는 정원 시설을 관리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화분 모듈을 밟고 작업하는 경우 작업자의 하중으로 인한 화분 모듈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분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저면에 복수 개의 지지 돌기와 저면 외주부를 따라 복수 개의 하부 배수 홀수이 형성되며, 측면 상부에 복수 개의 측면 배수 홀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배수 홀 내측 상면에 구비되는 사각의 저장 프레임이 결합하되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하부 프레임; 및 저면에 복수 개의 상부 배수홀이 형성되고 저면 외주부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에 결합하는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화분 모듈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측에 각각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저장 프레임 내측에는 횡 또는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 각 측면에는 모듈 결합 돌기와 모듈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 프레임의 내부 공간과 상부 배수홀을 지나 상기 상부 프레임 내측 상면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심지와 부직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 돌기는 하부 프레임 저면의 외주부에서 중심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저면이 상기 격벽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격벽 상측 중앙에 각각 'v'자 형상의 격벽 절개 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측면 배수 홀과 결합하여 하부 프레임 일 측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관형의 모듈 관과 타 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모듈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모듈은 규격화된 모듈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과 용적의 도심 화단 또는 정원 시설을 조성할 수 있으며, 화분에서 재배되는 관상용 식물이나 식용 작물 등이 원활하게 생장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수분 공급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넓게 형성된 도심 화단 또는 정원 시설을 관리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화분 모듈을 밟고 작업하는 경우 작업자의 하중으로 인한 화분 모듈의 파손을 최소화할 있으며, 하나의 화분 모듈에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 결합되어 있는 다른 화분 모듈에도 물을 공급할 수 있어 도심 화단 또는 정원 시설 관리의 편이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모듈 하부 프레임의 상면도 및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모듈 하부 프레임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모듈 하부 프레임의 사시도.
도 6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모듈의 결합 시 상면도 및 측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모듈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모듈 하부 프레임의 상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모듈의 측단면도로서 이를 참고하여 본원발명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저면에 복수 개의 지지 돌기(11)와 저면 외주부를 따라 복수 개의 하부 배수 홀수(12)이 형성되며, 측면 상부에 복수 개의 측면 배수 홀(13a)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배수 홀(12) 내측 상면에 구비되는 사각의 저장 프레임(13)이 결합하되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하부 프레임(10); 및 저면에 복수 개의 상부 배수홀(21)이 형성되고 저면 외주부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10);에 결합하는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상부 프레임(20);을 포함하는 화분 모듈이다.
그리고, 하측에 각각 유로(14a)가 형성되어 상기 저장 프레임(13) 내측에는 횡 또는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격벽(1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10) 각 측면에는 모듈 결합 돌기(15)와 모듈 결합 홈(15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 프레임(13)의 내부 공간과 상부 배수홀(21)을 지나 상기 상부 프레임(10) 내측 상면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심지(22)와 부직포(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원 발명에 따른 화분 모듈의 설치 예는 하기와 같다.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20)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저장 프레임(13) 내에 물이 저장되고 이는 심지(22)를 따라 상부 프레임(20)으로 이송되어 부직포(23)를 젖은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때, 심지(22)와 부직포(23)는 각각 물을 잘 흡수하는 직물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23) 상측에는 흙(E)이 덮여지고 부직포(23)의 습기에 의하여 흙(E)도 젖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흙(E)은 상부 프레임(20) 내측에 일정 높이로 적재되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심지(22)는 상기 상부 배수홀(21)을 관통하여 상기 저장 프레임(13) 내부 공간과 상부 프레임(20) 내측 공간을 연결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배수홀(21)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20) 내측 저면 중앙에 상기 상부 배수홀(21) 보다 크게 형성되는 심지 홀(21a)이 구비되어 보다 많은 심지(22)가 상부 프레임(20) 내측 저면에 놓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화분 모듈은 관상용 식물이나 식용 작물도 재배가 가능하며 실내는 물론 건물의 옥상이나 야외 등 다양한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비나 호스 등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20)을 통하여 공급된 물은 상부 배수홀(21)을 통하여 하부 프레임(10) 측으로 이동되며, 이는 저장 프레임(13) 내측에 저장된다. 이때, 저장 프레임(13)에 물이 과도하게 공급되는 경우 측면 배수 홀(13a)을 통하여 하부 프레임(10)과 저장 프레임(13)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되고 이는 하부 배수홀(12)을 통하여 하부 프레임(10)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화분 모듈에 과도하게 저장되어 관상용 식물이나 식용 작물 등에 과도하게 공급되어 성장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화분 모듈은 모듈 결합 돌기(15)와 모듈 결합 홈(15a)에 의하여 복수 개가 병렬 또는 직렬, 양측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화분 모듈이 비교적 넓게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에 있는 화분 모듈의 관상용 식물이나 식용 작물을 관리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화분 모듈은 발로 밟게 되는 경우 작업자의 하중으로 인하여 화분 모듈이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화분 모듈의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20)은 물이 흡수되지 않으며 동시에 일정 이상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모듈 하부 프레임의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 돌기(11)는 하부 프레임(10) 저면의 외주부에서 중심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저면이 상기 격벽(14)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격벽(14) 상측 중앙에 각각 'v'자 형상의 격벽 절개 홈(14b)을 더 포함하여 상부 프레임(20)에 중앙부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부 프레임(20)이 휘어지면서 격벽(14) 역시 내측으로 격벽 절개 홈(14b)의 각도에 따라 일부 접혀지며, 지지 돌기(11) 역시 하부 프레임(10) 저면의 외주부에서 중심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하부 프레임(10) 저면 중앙부가 바닥에 근접 또는 밀착되어 화분 모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모듈의 결합 시 상면도 및 측단면도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모듈 2개가 횡으로 결합한 경우 상부 프레임을 생략한 상면도이며, 도 6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모듈 2개가 횡으로 결합한 경우의 측 단면도이다. 이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측면 배수 홀(13a)과 결합하여 하부 프레임(10) 일 측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관형의 모듈 관(16)과 타 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모듈 홀(16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화분 모듈 복수 개가 병렬 및 직렬로 결합되어 설치된 경우 일부 화분 모듈이 차양막이나 구조물 등에 의하여 상부가 막혀 빗물이나 호스 등에 의한 물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그렇치 않은 이웃하는 화분 모듈의 저장 프레임(13)에 저장된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어느 한 측 화분 모듈의 저장 프레임(13)에 저장된 물이 과하고, 이웃하여 결합된 화분 모듈의 저장 프레임(13)에 물이 부족한 경우 상기 모듈 관(16)을 통하여 물의 흐름이 발생되어 결합한 화분 모듈 전체에 골고루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스 등으로 물을 공급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화분 모듈에 공급하는 것으로 결합된 복수 개의 화분 모듈에도 고루 물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듈 관(16) 및 모듈 홀(16a)은 복수 개의 측면 배수 홀(13a) 중 1개 또는 2개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의 a, b에는 일 측면에 각각 모듈 관(16)과 모듈 홀(16a)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 모듈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모듈 관(16)과 모듈 홀(16a)은 화분 모듈의 결합에 따라 다양한 방향에 추가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E. 흙
W. 물
10. 하부 프레임
11. 지지 돌기
12. 하부 배수 홀
13. 저장 프레임
13a. 측면 배수 홀
14. 격벽
14a. 격벽 유로
14b. 격벽 절개 홈
15. 모듈 결합 돌기
15a. 모듈 결합 홈
16. 모듈 관
16a. 모듈 홀
20. 상부 프레임
21. 상부 배수 홀
21a. 심지 홀
22. 심지
23. 부직포

Claims (7)

  1. 저면에 복수 개의 지지 돌기와 저면 외주부를 따라 복수 개의 하부 배수 홀이 형성되며, 측면 상부에 복수 개의 측면 배수 홀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배수 홀 내측 상면에 구비되는 사각의 저장 프레임이 결합하되,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하부 프레임; 및
    저면에 복수 개의 상부 배수홀이 형성되고 저면 외주부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에 결합하는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은 일정의 강도를 갖는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저장 프레임 내측에는, 하부에 단면이 사각형태인 복수개의 유로가 일정 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저장 프레임 내측에 횡 또는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의 상부 중앙에는 각각 'v'자 형상의 격벽 절개 홈이 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해 상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격벽의 중앙부가 하부로 유연성있게 절곡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저면을 상기 격벽의 상면이 접촉하여 지지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 돌기는 하부 프레임 저면의 외주부에서 중심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해 상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지지 돌기가 바닥면에 접촉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각 측면에는 복수개의 하부 프레임이 병렬, 직렬 또는 양측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모듈 결합 돌기와 모듈 결합 홈이 형성되되, 상기 하부 프레임의 각 측면 중, 전면과 우측면에는 복수개의 모듈 결합 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후면과 좌측면에는 복수개의 모듈 결합 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측면에는 저장 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측면 배수 홀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측면 배수 홀과 결합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 일 측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관형의 모듈 관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 측면에는 저장 프레임의 타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측면 배수 홀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측면 배수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모듈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 프레임의 내부 공간과 상부 배수홀을 지나 상기 상부 프레임 내측 상면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심지와 부직포를 더 포함하되, 심지와 부직포는 각각 물을 잘 흡수하는 직물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건물의 옥상 조경에 화분 모듈 설치 시, 옥상의 제한적인 공간 내에서, 작업자가 필연적으로 화분 모듈을 밟아 작업을 해야하는 경우, 화분 모듈이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71198A 2018-06-21 2018-06-21 화분 모듈 KR102048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198A KR102048147B1 (ko) 2018-06-21 2018-06-21 화분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198A KR102048147B1 (ko) 2018-06-21 2018-06-21 화분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147B1 true KR102048147B1 (ko) 2019-11-22

Family

ID=68730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198A KR102048147B1 (ko) 2018-06-21 2018-06-21 화분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1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338B1 (ko) * 2021-06-14 2021-11-15 이상곤 수경 재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경 재배 타워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288A (ja) * 1993-07-20 1995-02-03 Meiwa Kk 園芸用トレー
KR20050066768A (ko) * 2003-12-27 2005-06-30 주식회사 오륙개발 녹지조성용 블록
JP2009513132A (ja) * 2005-10-25 2009-04-02 ハウジング・アンド・ディヴェロップメント・ボード 屋上緑化システムに使用する容器及び該容器を使用した屋上緑化システム
KR20090040980A (ko) * 2007-10-23 2009-04-28 변문기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KR101315287B1 (ko) * 2013-07-17 2013-10-08 주식회사 가드닝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KR20150064509A (ko) * 2013-12-03 2015-06-1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지바이오믹스 식물재배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재배기
KR101795164B1 (ko) 2015-11-05 2017-11-08 정윤섭 조립식 모듈형 플랜터
KR101884877B1 (ko) * 2017-05-30 2018-08-02 문희강 잔디보호용 매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288A (ja) * 1993-07-20 1995-02-03 Meiwa Kk 園芸用トレー
KR20050066768A (ko) * 2003-12-27 2005-06-30 주식회사 오륙개발 녹지조성용 블록
JP2009513132A (ja) * 2005-10-25 2009-04-02 ハウジング・アンド・ディヴェロップメント・ボード 屋上緑化システムに使用する容器及び該容器を使用した屋上緑化システム
KR20090040980A (ko) * 2007-10-23 2009-04-28 변문기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KR101315287B1 (ko) * 2013-07-17 2013-10-08 주식회사 가드닝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KR20150064509A (ko) * 2013-12-03 2015-06-1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지바이오믹스 식물재배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재배기
KR101795164B1 (ko) 2015-11-05 2017-11-08 정윤섭 조립식 모듈형 플랜터
KR101884877B1 (ko) * 2017-05-30 2018-08-02 문희강 잔디보호용 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338B1 (ko) * 2021-06-14 2021-11-15 이상곤 수경 재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경 재배 타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891B1 (ko) 조립식 화단
JP4165841B2 (ja) 植栽マット用貯水槽トレー及びその設備
US8978300B2 (en) Post or wall mounted stackable plant pot
US99866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vertical planter
JP2009523444A (ja) モジュール容器装置
ES2538785T3 (es) Invernadero de interior montable
KR20160022968A (ko) 가변형 모듈러 텃밭
JP2007000063A (ja) 屋上緑化用植栽コンテナー
KR102048147B1 (ko) 화분 모듈
KR200386097Y1 (ko) 급수장치가 설치된 조립식 식재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JP4987294B2 (ja) 植栽設備、植栽コンテナ及び敷設方法
KR100479212B1 (ko) 조립식 식재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KR20100098492A (ko) 녹화용의 용기 유닛과, 그 용기 유닛을 사용한 녹화 공법
KR101940697B1 (ko) 벽면 설치형 식물재배장치
JP2002360076A (ja) 芝生等植栽用の連結据置式緑化ユニット
JP2006246830A (ja) 緑化エリアの仕切材及び仕切構造、緑化設備
JP4535471B2 (ja) 給水システム
KR20200114719A (ko) 조립식 이중 화분
KR101641680B1 (ko) 식물 재배장치
JP4226296B2 (ja) ビルの屋上等に設置される緑化用容器
KR102447523B1 (ko)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
US20220279729A1 (en) Modular planting system for roof applications
JP4342593B2 (ja) 植栽マット用貯水槽トレー及びその設備
JP2003310060A (ja) 屋上集合ガーデンプランター
JP4747135B2 (ja) 植栽用マット及びその敷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