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877B1 - 잔디보호용 매트 - Google Patents
잔디보호용 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4877B1 KR101884877B1 KR1020170067104A KR20170067104A KR101884877B1 KR 101884877 B1 KR101884877 B1 KR 101884877B1 KR 1020170067104 A KR1020170067104 A KR 1020170067104A KR 20170067104 A KR20170067104 A KR 20170067104A KR 101884877 B1 KR101884877 B1 KR 1018848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t
- main body
- lawn
- mat main
- support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디보호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매트 본체가 잔디가 심어진 부분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잔디의 성장공간을 확보하고 매트 위를 밟더라도 잔디의 생장점에 하중이 전해지지 않도록 하여 잔디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침하방지 구조를 갖도록 하면서 지형의 굴곡 변화에 따라 매트 본체가 용이하게 구부러지도록 하여 시공성을 높인 잔디보호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다수의 통공부가 형성되도록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매트본체와, 상기 매트 본체의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토양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하부지지돌기와, 상기 매트 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보행자의 발이 매트본체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한 상부지지돌기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지지돌기의 돌출길이는 상부지지돌기의 돌출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매트본체 하부에 잔디의 뿌리층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다수의 통공부가 형성되도록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매트본체와, 상기 매트 본체의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토양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하부지지돌기와, 상기 매트 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보행자의 발이 매트본체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한 상부지지돌기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지지돌기의 돌출길이는 상부지지돌기의 돌출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매트본체 하부에 잔디의 뿌리층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잔디보호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매트 본체가 잔디가 심어진 부분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잔디의 성장공간을 확보하고 매트 위를 밟더라도 잔디의 생장점에 하중이 전해지지 않도록 하여 잔디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침하방지 구조를 갖도록 하면서 지형의 굴곡 변화에 따라 매트 본체가 용이하게 구부러지도록 하여 시공성을 높인 잔디보호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잔디는 실내 또는 실외에 녹색 조경으로 사용되거나, 사람이 뛰거나 걷는 곳에 사용되어 흙먼지가 날리지 않도록 하면서 넘어져도 다치지 않도록 심어지는 것이다.
특히 학교운동장, 각종(축구,야구,골프 등) 운동경기장, 관람구역, 이벤트 행사장 등과 같이 사람들이 잔디 위에서 뛰거나 걷는 곳에 해당되는 경우, 답압에 의해 잔디의 잎뿐만 아니라 뿌리의 생장점까지 훼손되어 잔디가 쉽게 죽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잔디가 심어지는 부분에 설치되어 답압이 잔디의 생장점까지 전달되지 않도록 한 보호매트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잔디보호 기술로서 특허 제10-1064535호(잔디보호블록)에는 상부로 받침봉이 형성된 식재파렛트 위에 잔디와 흙으로 구성된 식재층이 올려지는 구조의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식재파렛트가 잔디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어 잔디를 보호할 수 있는 구성이 받침봉 밖에 없기 때문에 원활한 보호가 어렵고 잔디 및 식재층의 높이가 너무 낮게 형성될 경우 상대적으로 받침봉의 돌출길이가 많아져 보행에 지장을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식재파렛트를 먼저 설치한 다음 잔디 및 식재층을 올리기 때문에 잔디 시공이 완료된 장소에는 적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기존의 잔디보호매트는 잔디가 설치되는 장소의 높낮이가 불규칙하거나 심하게 굴곡진 지형일 경우, 잔디보호매트의 재질 특성상 굴곡진 부분에 위치한 특정부위가 원활히 지지가 되지 않고 바닥과 이격된 형태로 설치되어 시공완성도를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만약,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잔디보호매트의 재질 자체를 연질[軟質]의 재질로 잘 구부러지게 형성할 경우 매트의 전반적인 지지능력이 저하되고 보행자의 답압[踏壓]에 의해 매트가 쉽게 변형되어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매트 본체를 잔디의 뿌리가 위치한 성장공간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잔디의 성장공간을 확보하고 잔디를 보호할 수 있는 지지면적을 넓히고, 침하방지 구성을 부가하여 하중에 의해 매트가 바닥으로 파묻히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 잔디보호용 매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설치장소의 굴곡에 따른 지형변화에 맞게 매트 본체가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여 시공완성도를 높이고자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통공부가 형성되도록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매트본체와, 상기 매트 본체의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토양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하부지지돌기와, 상기 매트 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보행자의 발이 매트본체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한 상부지지돌기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지지돌기의 돌출길이는 상부지지돌기의 돌출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매트본체 하부에 잔디의 뿌리층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돌기와 상부지지돌기는 매트본체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교차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트본체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교차되는 지점의 하단에 판상의 확장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트본체의 상단부에 일정깊이까지 절개부가 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의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매트본체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부지지부를 통해 매트 본체가 잔디의 뿌리가 위치한 생장점보다 높은 위치에 오도록 하여, 지지면적이 넓은 매트 본체 전체가 잔디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트 본체의 하단부에 확장지지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하부 지지면적을 넓혀주어 보행자의 답압에 의해 토양층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매트본체가 토양층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트 본체에 더 절개부를 형성하여 시공장소의 굴곡에 따른 지형변화에 맞게 매트 본체를 구부린 상태로 설치하여 시공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잔디보호용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잔디보호용 매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잔디보호용 매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디보호용 매트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시공장소의 지형변화에 맞게 구부려서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절개부에 형성된 응력분산홈에 별도의 보강심재를 끼우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확장지지부에 돌출부를 더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확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잔디보호용 매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잔디보호용 매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디보호용 매트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시공장소의 지형변화에 맞게 구부려서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절개부에 형성된 응력분산홈에 별도의 보강심재를 끼우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확장지지부에 돌출부를 더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확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잔디보호용 매트(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통공부가 형성되도록 가로프레임(110)과 세로프레임(120)이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매트 본체(100)와, 상기 매트 본체(10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토양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하부지지돌기(200)와, 상기 매트 본체(100)의 상부에 돌출되어 보행자의 발이 매트 본체(1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한 상부지지돌기(300)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지지돌기(200)의 돌출길이는 상부지지돌기(300)의 돌출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매트 본체(100) 하부에 잔디의 뿌리층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매트 본체(1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가로프레임(110)과 세로프레임(120)이 엇갈리는 형태로 형성되어 간격만큼 사각형태의 통공부가 복수로 형성된다. 즉, 상기 통공부를 통해 토양에 심어진 잔디가 매트 본체(100)의 상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상기 매트 본체(100)에는 하부지지돌기(200)와 상부지지돌기(300)가 각각 형성된다. 도 2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지지돌기(200)와 상부지지돌기(300)는 매트 본체(100)의 가로프레임(110)과 세로프레임(120)의 교차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지지돌기(200)는 매트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하여 토양에 삽입되는 형태로 지지가 되고, 상기 상부지지돌기(300)는 매트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보행자의 발이 매트 본체(100)로부터 상부지지돌기(300) 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잔디의 생장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부지지돌기(200)의 돌출길이는 상부지지돌기(300)의 돌출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여 매트 본체(100) 하부에 잔디의 뿌리층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매트 본체(100)의 상부에는 잔디 잎만 노출되어, 잔디의 뿌리층을 상부지지돌기(300)뿐만 아니라 매트 본체(100)도 함께 보호하는 구조가 된다. 상기 하부지지돌기(200)의 돌출길이는 바람직하게 상부지지돌기(300)보다 약 3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고, 상부지지돌기(300)의 돌출길이는 0.5cm ~ 1cm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잔디보호용 매트(10)는 잔디가 심어진 토양의 윗부분에서 눌러서 설치되며, 이러한 잔디보호용 매트(10)가 시공 면적에 따라 복수로 구비되어 바둑판 형태로 붙여서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기존에 잔디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얼마든지 시공이 가능하며 종래와 같이 매트 상부에 식생토를 올려서 높이를 맞추고 잔디를 심는 번거로운 작업이 제외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매트 본체(100)의 가로프레임(110)과 세로프레임(120)이 교차되는 지점의 하단에 판상의 확장지지부(400)가 더 형성될 경우, 매트 본체(100)의 하부 지지면적을 넓혀주어 보행자의 답압에 의해 토양층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매트 본체(100)가 토양층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확장지지부(400)는 매트 본체(10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매트 본체(100)의 바닥면을 넓혀주는 효과를 갖으며, 하단부에 대한 지지만 이루어지면 되기 때문에 매트 본체(100)의 프레임 두께보다 확장지지부(400)의 두께를 더 얇게 형성하여 경량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지지부(40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지지부(400)의 테두리 하부방향으로 돌출부(410)를 더 형성하여 침하방지 효과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즉, 확장지지부(400)의 테두리 부분이 판상으로만 이루어질 경우 하중에 의해 확장지지부(400)의 하부에 위치한 흙들이 밀려나면서 매트 전체가 침하될 우려가 있지만, 돌출부(410)를 형성하게 되면 뒤집어놓은 컵과 같은 형상이 되기 때문에 흙이 밀려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매트 본체(100)의 상단부에 일정깊이까지 절개부(500)가 일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 지역의 지형굴곡에 따라 매트 본체(100)의 형태를 구부려 설치함으로써 시공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절개부(500)는 가로프레임(110)과 세로프레임(120)의 교차지점 사이에 위치하여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한다. 도면상에는 교차지점 사이의 정중앙에만 형성되어 있으나, 구부러짐을 더욱 자연스럽게 하기 위해 절개부(500)의 개수를 더 늘릴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절개부(500)의 형상은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의 역삼각형으로 형성되어 매트 본체(100)가 구부러질 수 있는 각도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개부(500)의 깊이는 매트 본체(100)의 전체 두께를 기준으로 중간 정도의 깊이만큼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절개부(500)의 깊이가 너무 짧게 형성되면 매트 본체(100)가 원활히 구부러지지 않게 되고, 반대로 너무 깊게 형성될 경우 구부러지는 과정이나 지지하는 과정에서 절개부(500)가 형성된 부분이 절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500)는 가로프레임(110)과 세로프레임(120) 모두 형성되어 방향에 관계없이 구부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 본체(100)의 가로프레임(110)과 세로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만 형성되어 한 방향에 대해서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고 다른 방향은 잘 구부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시공과정에서 작업자가 매트 본체(100)를 운반할 때 구부러지지 않는 방향을 잡고 들어올림으로써, 매트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면상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통해 상기 절개부(500)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매트 본체(10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방향에 해당하는 가로프레임(110)에는 절개부(500)가 형성되고 길이가 짧은 방향에 해당하는 세로프레임(120)에는 절개부(500)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운반시에는 매트 본체(100)의 길이가 짧은 방향의 양옆을 잡고 들어올려 매트가 쳐지지 않고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매트 본체(100)의 길이가 긴 방향은 설치과정에서 지형의 굴곡을 따라 구부려 설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500)의 깊이방향 끝 부분에는 원형의 응력분산홈(510)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력분산홈(510)은 절개부(500)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과정에서 깊이방향의 끝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절개부(500)의 하단부가 깊이방향으로 더 갈라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5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응력분산홈(510)에 봉상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보강심재(600)가 더 끼워질 경우 더욱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강심재(600)는 철사와 같은 형태의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지지돌기(200)를 토양에 삽입하여 매트 본체(100)가 지형에 맞게 구부러진 상태에서 끼움으로써 매트 본체(100)의 구부러진 형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매트 자체의 지지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보강심재(600)는 매트 본체(100)의 측부분에서 응력분산홈(510)을 일렬로 관통하는 형태로 끼울 수 있으나, 작업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가 완료된 매트 본체(100)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끼우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직으로 끼울 경우, 보강심재(600)를 누르는 과정에서 절개부(500)가 양옆으로 벌어지면서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보강심재(600)가 완전히 끼워지게 되면 절개부(500)의 형상이 복원되면서 보강심재(600)가 쉽게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잔디보호용 매트 100 : 매트 본체
110 : 가로프레임 120 : 세로프레임
200 : 하부지지돌기 300 : 상부지지돌기
400 : 확장지지부 410 : 돌출부
500 : 절개부 510 : 응력분산홈
600 : 보강심재
110 : 가로프레임 120 : 세로프레임
200 : 하부지지돌기 300 : 상부지지돌기
400 : 확장지지부 410 : 돌출부
500 : 절개부 510 : 응력분산홈
600 : 보강심재
Claims (6)
- 다수의 통공부가 형성되도록 가로프레임(110)과 세로프레임(120)이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매트 본체(100)와, 상기 매트 본체(10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토양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하부지지돌기(200)와, 상기 매트 본체(100)의 상부에 돌출되어 보행자의 발이 매트 본체(1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한 상부지지돌기(300)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지지돌기(200)의 돌출길이는 상부지지돌기(300)의 돌출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매트 본체(100) 하부에 잔디의 뿌리층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매트 본체(100)의 상단부에 일정깊이까지 절개부(500)가 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500)의 깊이방향 끝부분에는 응력분산홈(510)이 구비되어 그에 보강심재(6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보호용 매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돌기(200)와 상부지지돌기(300)는 매트 본체(100)의 가로프레임(110)과 세로프레임(120)의 교차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보호용 매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본체(100)의 가로프레임(110)과 세로프레임(120)이 교차되는 지점의 하단에 판상의 확장지지부(40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보호용 매트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7104A KR101884877B1 (ko) | 2017-05-30 | 2017-05-30 | 잔디보호용 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7104A KR101884877B1 (ko) | 2017-05-30 | 2017-05-30 | 잔디보호용 매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4877B1 true KR101884877B1 (ko) | 2018-08-02 |
Family
ID=6325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7104A KR101884877B1 (ko) | 2017-05-30 | 2017-05-30 | 잔디보호용 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4877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9823B1 (ko) | 2018-10-08 | 2019-03-20 | (주)하이탑 | 웨이브 구조를 형성하여 충격흡수 및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잔디보호매트 |
KR101967608B1 (ko) | 2018-10-08 | 2019-04-11 | (주)하이탑 | 탄성선재를 적용한 잔디보호용 매트 |
KR101980084B1 (ko) | 2018-10-08 | 2019-05-20 | (주)하이탑 | 내부와 외부로 구분되어 서로 다른 탄성을 갖도록 제조된 조립식 잔디보호매트 |
KR20190123903A (ko) * | 2018-04-25 | 2019-11-04 | 어스그린코리아(주) | 조립식 식생 수로 |
KR102048147B1 (ko) * | 2018-06-21 | 2019-11-22 | 김영문 | 화분 모듈 |
KR20200109992A (ko) * | 2019-03-15 | 2020-09-23 | 어스그린코리아(주) | 이중 사출 잔디 보호 매트 블록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1257Y1 (ko) * | 2005-01-05 | 2005-04-14 | 손창섭 | 잔디 보호 매트 |
KR20100113771A (ko) * | 2009-04-14 | 2010-10-22 | 이호석 | 조립식 잔디 |
-
2017
- 2017-05-30 KR KR1020170067104A patent/KR1018848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1257Y1 (ko) * | 2005-01-05 | 2005-04-14 | 손창섭 | 잔디 보호 매트 |
KR20100113771A (ko) * | 2009-04-14 | 2010-10-22 | 이호석 | 조립식 잔디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3903A (ko) * | 2018-04-25 | 2019-11-04 | 어스그린코리아(주) | 조립식 식생 수로 |
KR102141237B1 (ko) * | 2018-04-25 | 2020-08-05 | 어스그린코리아(주) | 조립식 식생 수로 |
KR102048147B1 (ko) * | 2018-06-21 | 2019-11-22 | 김영문 | 화분 모듈 |
KR101959823B1 (ko) | 2018-10-08 | 2019-03-20 | (주)하이탑 | 웨이브 구조를 형성하여 충격흡수 및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잔디보호매트 |
KR101967608B1 (ko) | 2018-10-08 | 2019-04-11 | (주)하이탑 | 탄성선재를 적용한 잔디보호용 매트 |
KR101980084B1 (ko) | 2018-10-08 | 2019-05-20 | (주)하이탑 | 내부와 외부로 구분되어 서로 다른 탄성을 갖도록 제조된 조립식 잔디보호매트 |
KR20200109992A (ko) * | 2019-03-15 | 2020-09-23 | 어스그린코리아(주) | 이중 사출 잔디 보호 매트 블록 |
KR102257452B1 (ko) * | 2019-03-15 | 2021-05-31 | 어스그린코리아(주) | 이중 사출 잔디 보호 매트 블록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4877B1 (ko) | 잔디보호용 매트 | |
US20090038214A1 (en) | Golf course bunker boundary protection system | |
EP2590717B1 (en) | Golf course bunker | |
KR101793875B1 (ko) | 완충구조를 갖는 잔디보호용 매트 | |
JP2017063780A (ja) | 蔦返し部材、及び防草蔦返しユニット | |
US5584602A (en) | Method for landscape and hardscape edging | |
KR100899037B1 (ko) | 블록 조립체 | |
KR100443037B1 (ko) | 법면보호블록 | |
JP2007104940A (ja) | 獣類の侵入防止方法及び緑化構造物 | |
KR101556605B1 (ko) | 천연 잔디의 식재판과 이를 이용한 잔디밭 시공방법 | |
US20200230483A1 (en) | Golf course bunker | |
JP6338167B2 (ja) | 盛土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 |
AU2017100245A4 (en) | Improved paver tray for growing spreading plants or grass | |
KR200448578Y1 (ko) | 잔디 파종 겸용 잔디보호블럭 | |
KR20100113771A (ko) | 조립식 잔디 | |
KR101335543B1 (ko) |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 |
KR102186554B1 (ko) | 나선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하여 식생 사면을 조성하는 방법 | |
KR102181287B1 (ko) | 잔디 보호용 이중 매트 | |
JP2014177828A (ja) | 縁石における防草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JP7317391B2 (ja) | 防草ブロック及び防草ブロックの設置方法 | |
KR200271898Y1 (ko) | 법면보호블록 | |
KR100423257B1 (ko) | 법면보호블록 | |
JP3217502U (ja) | ティーグラウンドの構造 | |
JP3459810B2 (ja) | 人工地盤 | |
KR101989951B1 (ko) | 방근, 방초 기능을 갖는 수목보호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