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543B1 -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5543B1 KR101335543B1 KR1020130011599A KR20130011599A KR101335543B1 KR 101335543 B1 KR101335543 B1 KR 101335543B1 KR 1020130011599 A KR1020130011599 A KR 1020130011599A KR 20130011599 A KR20130011599 A KR 20130011599A KR 101335543 B1 KR101335543 B1 KR 1013355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bion
- mesh
- groove
- block
- vege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망태의 양측에 형성된 홈이 서로 접해 식생공간부를 형성하여 식생이 용이하고 시공이 쉬운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돌망태의 양측에 형성된 홈이 서로 접해 식생공간부를 형성하여 식생이 용이하고 시공이 쉬운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돌망태에 관한 것은 특허문헌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돌망태는 하천의 제방이나 바닥면을 보호하기 위해서나 도로의 경사면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낙석 등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바, 통상 경사지의 토지를 지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그 내부에 무겁고 큰 돌을 넣어 만들고 있다.
이러한 돌망태는 통상 철망 등으로 만들어진 망태의 내부에 무거운 돌을 넣어 만들기 때문에 돌의 무게로 인하여 취급과 설치가 까다로운 단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돌망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제방 등의 경사면에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여 마감하는 시공방법이 제안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상기에서 돌망태를 이용한 제방의 보호방법은 장마철과 같이 집중호우가 내릴 경우, 돌망태에 담겨진 돌들 사이로 침투된 빗물로 인해 지반이 침하 되거나 붕괴되는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한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빗물의 침투로 인해 지반이 침하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으나, 상기의 돌망태로 시공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없기 때문에 시공 후의 환경이 지나치게 황량할 뿐만 아니라 딱딱하게 느껴져 친자연적인 환경을 조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돌망태나 콘크리트 블록은 그 자체에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두껍고 무거운 돌망태와 콘크리트 블록이 지표면을 완전히 대기와 차단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돌망태나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한 장소에는 돌이나 콘크리트 블록만이 노출되어 황량한 환경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경사지의 흙이나 제방의 둑을 보호하면서도 식물이 생장할 수 있게 하여 친환경적인 환경을 만들 수 있게 한 여러 가지 방안이 제시되어 있다. 예컨데, 한국등록특허 제10-0363435호에 따르면, 철망태 등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의 내부에 제방 등의 흙을 지지보호하기 위한 석재를 채우고, 이 석재층 위에 식물의 생장을 위한 지지부재와 흙을 차례로 덮은 후, 다시 철망으로 이루어진 덮개로 흙을 고정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에 따른 구조는, 돌망태의 내부에 채워진 석재층이 제방 등의 경사면 흙이 유실되지 않게 보호해 줄 수 있는 기능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으나. 이 석재층 위에 덮은 지지부재와 흙이 철망으로 이루어진 덮개로 덮어진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장마철의 많은 빗물이나 개천의 물에 의해 쉽게 쓸려져 나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와 흙에 심어진 식물이 튼튼하게 지탱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922466호에 따른 돌망태(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공간에 차례대로 적층되는 하부 석재층(120)과 상부 석재층(140) 사이에 식물이 착근 되어 지지 되는 보습지지층(130)이 적층된다. 상기 보습지지층(130)은 상기 씨앗이 발아가능하도록 수분 및 영양분을 제공하고, 발아된 씨앗의 뿌리가 착근 되어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보습지지층(130)은 고온(650~850℃)에서 발포 성형된 다공질의 세라믹 경량체(131)를 주재료로 하여 모래(132) 및 배양토(133)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혼합층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습지지층(130)에는 상기 세라믹 경량체(131)들간의 공극 사이에 끼이게 되는 모래(132)와, 상기 세라믹 경량체(131)의 표면에 형성된 기포내로 유입되는 배양토(133)에 의하여 보유하게 되는 수분 및 영양분을 성장조건으로 하여 식생하는 씨앗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습지지층(130)은 라텍스로 이루어진 일정두께의 층구조물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 석재층(120)과 상부 석재층(140)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발아된 씨앗이 착근되는 착근 대상물이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돌망태(100)는 장마철의 많은 빗물이나 개천의 물에 의해 쉽게 쓸려 나가지 않게 된다. 그래서 열악한 외부환경에서도 식물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돌망태(100)는, 돌망태(100) 내부의 보습지지층(130)에서 식물이 자라는 조건을 확보하기 위해 시공 공정이 복잡해진다. 그리고 상기 보습지지층(130)과 상부 석재층(140)의 좁은 틈새에서 생육할 수 있는 크기의 작은 식물로 제한된다. 또한, 보습지지층(130)이 돌망태(100)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파종된 식물을 유지 관리하려면 돌망태를 해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돌망태의 양측에 형성된 홈이 서로 접해 식생공간부를 형성하여 식생이 용이하고 시공이 쉬운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식생형 돌망태는, 돌이 채워지는 망태본체; 상기 망태본체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식생형 돌망태에 있어서, 상기 망태본체는 박스 형상으로서, 바닥망체, 상기 바닥망체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측벽망체 및 전후벽망체, 상기 측벽망체 및 상기 전후벽망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망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홈은, 상기 바닥망체에 형성된 제1홈, 상기 덮개망체에 형성된 제2홈 및 상기 측벽망체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에 연결되는 절곡홈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식생형 돌망태에 있어서, 상기 바닥망체에는 상기 돌의 치우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블록은 상기 망태본체의 내부에 핀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식생형 돌망태 시공방법은, 돌망태의 양측에 형성된 홈이 서로 접해 식생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돌망태들을 시공면에 횡설 및 종설하여 연결하는 단계; 상기 돌망태의 내부에 돌을 채우는 단계; 상기 돌망태의 식생공간부에 흙을 채우고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식생형 돌망태 시공방법은, 상기 돌을 채우기 전에 상기 돌망태에 블록을 놓고 상기 시공면에 고정하여 상기 돌망태 내부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돌망태의 양측에 형성된 홈이 서로 접해 식생공간부를 형성한다. 그래서 식물의 뿌리가 식생공간부의 흙 및 시공면까지 깊이 뿌리내릴 수 있기 때문에 잘 고정되어 유실위험이 적고, 수분 공급이 용이하여 식생에 유리하다.
또한, 식물이 식생되는 위치가 돌망태 외부이기 때문에, 돌망태의 해체없이 파종된 식물을 유지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돌망태 내부의 좁은 틈에서 수분 공급이 이루어지는 식생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필요 없고, 상기 식생공간부의 시공면에 식물을 식재하므로 시공이 쉽고 간단하며, 식재할 수 있는 식물의 종류와 크기도 더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돌망태 내부에 볼록하게 설치된 블록으로 인해 돌들이 돌망태의 한편으로 쓸려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돌망태를 시공면에 더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식생형 돌망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른 식생형 돌망태의 평면도.
도 3은 돌망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덮개망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블록부재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식생형 돌망태의 시공 단면도.
도 7은 도 6a에서 고정핀이 결합된 시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른 식생형 돌망태의 평면도.
도 3은 돌망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덮개망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블록부재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식생형 돌망태의 시공 단면도.
도 7은 도 6a에서 고정핀이 결합된 시공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생형 돌망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돌망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덮개망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블록부재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식생형 돌망태의 시공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a에서 고정핀이 결합된 시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생형 돌망태(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S)이 채워지는 돌망태(10);와, 돌망태(10)가 횡설되어 돌망태(10) 사이에 형성되는 식생공간부(40);로 이루어진다.
돌망태(1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 형상으로서 내부에 돌(S)이 채워지는 망태본체(11)와, 망태본체(11)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홈(2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돌망태(10) 내부에 설치되어 돌(S)의 치우침을 방지하는 블록부재(30)을 더 포함한다.
망태본체(11)는 시공면(G)에 놓이는 바닥망체(12)와, 바닥망체(12)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측벽망체(13a;13b) 및 전후벽망체(14)와, 측벽망체(13a;13b) 및 전후벽망체(14)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망체(15)로 이루어진다.
홈(20)은 바닥망체(12)에 형성된 제1홈(21a)과, 덮개망체(15)에 형성된 제2홈(21c) 및 측벽망체(13a;13b)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1홈(21a) 및 제2홈(21c)에 연결되는 절곡홈(21b)으로 이루어진다.
블록부재(30)는 돌(S)의 치우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닥망체(12) 상측에 설치되는 블록(31)과, 블록(31)에 끼워지고 시공면(G)에 박혀 블록(31)을 망태본체(11) 내부에 위치 고정하는 핀(35)으로 이루어진다.
식생공간부(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망태(10)가 횡설되어 돌망태(10) 사이에 형성되는 사각 형상의 공간이다. 식생공간부(40)에는 흙(E)이 채워지고 식물(P)이 식재된다.
망태본체(1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 형상을 가지며 돌망태(10)의 외형을 이룬다. 망태본체(11)의 각 테두리 틀은 철재봉으로 형성되고, 각 표면은 철망으로 형성된다. 철망은 아연도금을 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철망의 재질은 실시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망태본체(11)의 내부에는 호박돌 또는 깬돌 등의 돌(S)이 채워진다. 망태본체(11)는 시공면(G)에 놓이는 바닥망체(12)와, 바닥망체(12)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측벽망체(13a;13b) 및 전후벽망체(14a;14b)와, 측벽망체(13a;13b) 및 전후벽망체(14a;14b)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망체(15)로 이루어진다.
바닥망체(12)는 망태본체(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시공면(G)에 접하여 놓인다. 바닥망체(12)는 아연도금된 철망으로 형성하고, 전체적으로 I형상을 가진 얇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사각 형상의 얇은 판 형상에서 좌우측 테두리의 중앙단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곡된 제1홈(21a)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1홈(21a)는 ㄷ형상을 가지며, 실시자에 따라 형상과 재질을 변경할 수 있다.
측벽망체(13a;13b)는 바닥망체(12)의 가장자리, 즉 바닥망체(12)의 좌우측 테두리에 접하여 각각 수직하게 설치된다. 측벽망체(13a;13b)는 아연도금된 철망으로 형성된다. 측벽망체(13a;13b)는 바닥망체(12)의 좌우측 테두리에 접하여 수직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ㄷ형상의 제1홈(21a)를 따라서 형성된 절곡홈(21b)를 가진다. 절곡홈(21b)는 좌우 측벽망체(13a;13b)의 중앙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ㄷ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절곡홈(21b)는 제1홈(21a) 형상의 변경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전후벽망체(14a;14b)는 바닥망체(12)의 전후방 테두리에 접하여 각각 수직하게 설치된다. 또한, 좌우 측벽망체(13a;13b)에 접하여 망태본체(11)의 전후방면에 배치된다. 전후벽망체(14a;14b)는 아연도금된 철망으로 형성되고, 사각 형상의 얇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덮개망체(15)는 측벽망체(13a;13b) 및 전후벽망체(14a;14b)의 상부에 놓여, 돌망태(10)를 개폐하게 된다. 덮개망체(15)는 바닥망체(1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바닥망체(12)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아연도금된 철망으로 형성되고, 바닥망체(12)와 동일하게 전체적으로 I형상을 가진 얇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사각 형상의 얇은 판 형상에서 좌우측 테두리의 중앙단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곡된 제2홈(21c)가 형성되어 바닥망체(12)와 상하대칭을 이룬다. 제2홈(21c)도 제1홈(21a)와 마찬가지로 덮개망체(15) 좌우측 테두리의 중앙단에 ㄷ형상으로 형성된다.
홈(20)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망태본체(11)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된다. 홈(20)은 사각형의 박스 형상을 가진 공간이다. 홈(20)은 앞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닥망체(12), 측벽망체(13a;13b) 및 덮개망체(15)의 제1홈(21a), 절곡홈(21b) 및 제2홈(21c)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시공면(G)에 놓이는 바닥망체(12)의 제1홈(21a)과, 제1홈(21a)에 접하여 수직하게 형성된 절곡홈(21b) 및 절곡홈(21b)에 접하여 상부에 놓이는 제2홈(21c)에 의해 형성된다. 돌망태(10)를 횡설하여 서로 연결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20)은 두 개의 돌망태(10) 사이에서 식물(P)이 식재되는 식생공간부(40)를 형성하게 된다.
블록부재(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망체(12)의 상측 중앙에 설치된다. 블록부재(30)의 설치 위치는 시공환경에 따라 실시자가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다. 블록부재(30)는 돌망태(10) 내부에 채워진 돌(S)들이 한편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돌망태(10)의 망태본체(11)를 시공면(G)에 견고히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블록부재(30)는 십자 형상(+)의 블록(31)과, 블록(31) 중앙에 끼워져 블록(31)을 망태본체(11)에 위치 고정시키고 시공면(G)에 고정시키는 핀(35)으로 구성된다.
블록(31)은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사각 판자 형상에서 네 개의 모서리 부분이 사각 형상으로 절취된 형상이다. 그러나 블록(31)의 형상은 실시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블록(31)의 내측 중앙에는 핀(35)이 끼워져 관통되는 삽입구(33)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33)의 주위를 둘러싸고 원형의 볼록한 돌출부(32)가 형성된다. 돌출부(32)는 삽입구(33)에 끼워진 핀(35)의 머리를 돌(S)들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돌망태(10)가 경사면에 설치되면 내부의 돌(S)들이 아랫방향으로 쏠리게 된다. 그러면 돌망태(10)의 철망이 훼손되기 쉽다. 그러나 돌망태(10) 내부에 볼록하게 설치된 블록(31)은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블록(31) 가장자리의 사각공간에 돌(S)들이 채워지고, 돌(S)들이 돌망태(10)의 한편으로 쓸려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핀(35)은 블록(31)의 내측 중앙 삽입구(33)에 끼워져 블록(31)을 관통하여 시공면(G)에 박힌다. 핀(35)의 머리는 삽입구(33)에 삽입되었을 때, 블록(31)의 돌출부(32) 높이와 같거나 더 낮게 배치되어 돌(S)에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핀(35)은 블록(31)의 삽입구(33)를 관통하여 시공면(G)에 깊이 박혀 고정되기 때문에 블록(31)을 돌망태(10)의 망태본체(11)에 위치 고정시켜 돌(S)들이 돌망태(10)의 한편으로 치우치는 것을 막고, 또한 돌망태(10)를 시공면(G)에 더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에는 식생공간부(40)에 대해 상술한다.
식생공간부(4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망태(10)의 양측면에 형성된 홈(20)이 서로 접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식생공간부(40)는 홈(20)의 두 배정도의 크기를 갖는 사각형의 박스 형상을 가진다. 식생공간부(40) 내부에는 식물(P)이 생장할 수 있는 흙(E)이 채워지고 식물(P)이 식재 된다. 식생공간부(40)의 하부에는 시공면(G)이 노출되어 있다. 그래서 식물(P)의 뿌리가 식생공간부(40)의 흙(E) 및 시공면(G)까지 직접 깊이 뿌리내릴 수 있기 때문에 잘 고정되어 유실위험이 적다. 그리고 수분도 시공면(G)으로부터 직접 공급받을 수 있어 식생이 용이하다.
또한, 식생공간부(40)의 위치가 돌망태(10) 외부이기 때문에, 돌망태(10)의 해체없이 파종된 식물(P)을 유지 관리 할 수 있다. 그리고 돌망태(10) 내부에서 수분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식생층을 형성하는 복잡한 공정이 필요없어 공정이 더 쉽고 간단하다.
또한, 돌망태(10) 내부의 좁은 틈에서 자라는 식물(P)에 한정되지 않고, 식재할 수 있는 식물(P)의 종류와 크기도 더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는 전술한 식생형 돌망태(1)의 시공방법에 대해 도 2,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돌망태(10)가 설치될 시공면(G)을 정리한 후, 도 2 및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망태(10)의 양측면에 형성된 홈(20)이 서로 접해서 식생공간부(40)를 형성하도록, 돌망태(10)를 덮개망체(15)가 개방된 상태로 시공면(G)에 횡설 및 종설한다. 즉,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진 시공면(G)의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가면서 돌망태(10)를 횡설하여 식생공간부(40)를 형성한다. 그리고 횡설된 돌망태(10)에 대해 전후벽망체(14a;14b)가 서로 접하도록 돌망태(10)를 종설한다.
그 후, 돌망태(10)의 덮개망체(15)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설된 돌망태(10)에서 서로 접하는 전후벽망체(14a;14b)의 인접한 테두리를 철선(51)으로 권취하여 묶는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설된 돌망태(10)에서 면 접촉하는 측벽망체(13a;13b) 하단 즉, 식생공간부(40) 전후방에 위치한 두 측벽망체(13a;13b) 접촉면 하단의 철망 사이로 문(門) 형상의 고정핀(50)을 끼운 후,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시공면(G)에 박는다. 철선(51)과 고정핀(50)으로 횡설 및 종설된 돌망태(10)를 서로 결속시키고 시공면(G)에 고정하기 때문에, 더 견고하여 내부에 채워진 돌(S)을 효과적으로 지탱한다.
돌망태(10)를 횡설 및 종설하여 연결한 후, 돌망태(10) 내부에 돌(S)을 채우기 전에 바닥망체(12) 상측 중앙에 블록(31)을 설치한다. 블록(31)의 설치 위치는 돌망태(10) 내부에서 시공환경에 따라 실시자가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다. 블록(31)은 중앙의 삽입구(33)에 핀(35)을 끼워 관통시켜 시공면(G)에 고정되도록 설치한다.
그 후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망태(10) 내부에 호박돌 및 깬돌 등의 돌(S)을 채워 넣는다. 돌(S)은 돌망태(10) 내부에서 한편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골고루 채워 넣는다. 돌(S)을 채운 후에 측벽망체(13a;13b) 및 전후벽망체(14a;14b)의 상부를 덮개망체(15)로 덮어 돌망태(10)를 폐쇄한다. 이와 같이 시공된 돌망태(10)는 경사진 시공면(G)에서 매트리스가 깔린 듯한 형상을 이룬다.
그 후 돌망태(10)의 홈(20)이 서로 접해 형성된 식생공간부(40) 내부에 식물(P)이 식생할 수 있는 흙(E)을 채우고, 식물(P)을 식재하여 식생형 돌망태(1)를 완성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 : 식생형 돌망태 10 : 돌망태
11 : 망태본체 12 : 바닥망체
13a,13b : 측벽망체 14a,14b : 전후벽망체
15 : 덮개망체 20 : 홈
21a : 제1홈 21b : 절곡홈
21c : 제2홈 30 : 블록부재
31 : 블록 32 : 돌출부
33 : 삽입구 35 : 핀
40 : 식생공간부 50 : 고정핀
51 : 철선 E : 흙
G : 시공면 P : 식물
S : 돌
11 : 망태본체 12 : 바닥망체
13a,13b : 측벽망체 14a,14b : 전후벽망체
15 : 덮개망체 20 : 홈
21a : 제1홈 21b : 절곡홈
21c : 제2홈 30 : 블록부재
31 : 블록 32 : 돌출부
33 : 삽입구 35 : 핀
40 : 식생공간부 50 : 고정핀
51 : 철선 E : 흙
G : 시공면 P : 식물
S : 돌
Claims (5)
- 삭제
- 삭제
- 돌이 채워지는 망태본체;
상기 망태본체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홈;
상기 망태본체는 박스 형상으로서, 바닥망체, 상기 바닥망체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측벽망체 및 전후벽망체, 상기 측벽망체 및 상기 전후벽망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망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홈은, 상기 바닥망체에 형성된 제1홈, 상기 덮개망체에 형성된 제2홈 및 상기 측벽망체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에 연결되는 절곡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망체에는 상기 돌의 치우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블록은 상기 망태본체의 내부에 핀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블록은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이 끼워지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를 둘러싸고 원형의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된 식생형 돌망태.
- 삭제
- 돌망태의 양측에 형성된 홈이 서로 접해 식생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돌망태들을 시공면에 횡설 및 종설하여 연결하는 단계;
상기 식생공간부 전후방에 위치한 측벽망체 접촉면 하단의 철망 사이로 문(門) 형상의 고정핀을 끼우는 단계;
상기 돌망태에 블록을 놓고 상기 시공면에 고정하여 상기 돌망태 내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돌망태의 내부에 돌을 채우는 단계;
상기 돌망태의 식생공간부에 흙을 채우고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은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이 끼워지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를 둘러싸고 원형의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된 식생형 돌망태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1599A KR101335543B1 (ko) | 2013-02-01 | 2013-02-01 |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1599A KR101335543B1 (ko) | 2013-02-01 | 2013-02-01 |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35543B1 true KR101335543B1 (ko) | 2013-12-02 |
Family
ID=4998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11599A KR101335543B1 (ko) | 2013-02-01 | 2013-02-01 |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554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Z308754B6 (cs) * | 2020-02-21 | 2021-04-28 | Aneta Libosvárová | Prvek pochozí venkovní dlažb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2841Y1 (ko) * | 2001-10-31 | 2002-03-18 |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 방파제의 축조부재 |
KR100406812B1 (ko) | 2002-09-23 | 2003-11-21 |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 격자형 망태블럭 |
KR100427564B1 (ko) * | 2003-05-28 | 2004-04-28 | 대성산업(주) | 초류식생블록 |
KR100755752B1 (ko) * | 2007-03-20 | 2007-09-05 |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돌출형 매트리스 게비온을 이용한 생태환경 호안공법 |
-
2013
- 2013-02-01 KR KR1020130011599A patent/KR1013355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2841Y1 (ko) * | 2001-10-31 | 2002-03-18 |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 방파제의 축조부재 |
KR100406812B1 (ko) | 2002-09-23 | 2003-11-21 |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 격자형 망태블럭 |
KR100427564B1 (ko) * | 2003-05-28 | 2004-04-28 | 대성산업(주) | 초류식생블록 |
KR100755752B1 (ko) * | 2007-03-20 | 2007-09-05 |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돌출형 매트리스 게비온을 이용한 생태환경 호안공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Z308754B6 (cs) * | 2020-02-21 | 2021-04-28 | Aneta Libosvárová | Prvek pochozí venkovní dlažb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3236B1 (ko) | 사면보강을 위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 |
CN103774679B (zh) | 一种岩石边坡挂网的方法 | |
CA2797478C (en) | Structure for creating housings for setting trees into the ground, and method for setting trees into the ground | |
KR20090014058A (ko) |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 |
JP2011144615A (ja) | 組立式親環境植生ブロック | |
KR101025260B1 (ko) |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 |
KR100684542B1 (ko) | 도로용 법면 보호블록 설치구조 | |
KR101429481B1 (ko) | 토목용 블록 | |
KR100899037B1 (ko) | 블록 조립체 | |
KR20100092837A (ko) | 식생블록 및 이 식생블록을 이용한 식생옹벽 시공방법 | |
KR100945473B1 (ko) | 지면 보호용 식생블록 구조물 및 이 식생블록 구조물의 현장 타설 방법 | |
KR101335543B1 (ko) |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 |
KR101029317B1 (ko) | 옹벽용 식생블록 | |
KR20080090718A (ko) | 환경친화적 식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 |
KR100678348B1 (ko) | 수목 생장용기 및 수목 식재방법 | |
KR100329202B1 (ko) | 경사면의 식생층 조성공법 및 조성블럭 | |
KR101860018B1 (ko) |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 | |
CN212561559U (zh) | 一种基于生物桩和藤蔓植物的急陡土坡绿色防护结构 | |
KR200442424Y1 (ko) | 식생용 옹벽블록 | |
CN209368850U (zh) | 一种防护张缩性土路堑边坡 | |
KR200446723Y1 (ko) | 덩굴식물과 관목식물의 식생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 | |
KR20170124388A (ko) |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 | |
KR102015296B1 (ko) |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 |
KR101012655B1 (ko) | 옹벽용 식생블록 | |
KR200384467Y1 (ko) | 축조블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