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424Y1 - 식생용 옹벽블록 - Google Patents

식생용 옹벽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424Y1
KR200442424Y1 KR2020060032609U KR20060032609U KR200442424Y1 KR 200442424 Y1 KR200442424 Y1 KR 200442424Y1 KR 2020060032609 U KR2020060032609 U KR 2020060032609U KR 20060032609 U KR20060032609 U KR 20060032609U KR 200442424 Y1 KR200442424 Y1 KR 2004424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lock
retaining wall
soil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289U (ko
Inventor
정윤호
Original Assignee
정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호 filed Critical 정윤호
Priority to KR2020060032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424Y1/ko
Publication of KR200800022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2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4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38Evacuating water from cavity walls, e.g. by using weep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변 비탈면, 제방, 해안, 단지 조경 벽면 등 토목공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절개지의 경사면 등에 시공 설치되는 식생용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의 고정핀 삽지공이 구비되고, 격벽을 통해 토사나 자갈을 채워 수용할 수 있게 하되, 전방에 배수공이 천공된 채움재 수용공간부와 격리되는 상태로, 해면체 형태의 보습구가 수용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포트부를 블록의 내부에 마련함으로써, 토양의 유실억제와 습도 저장, 영양분 공급기능을 통해 식물이 안정되게 식생할 수 있는 식생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블록간의 전후 적층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광범위하고 다양한 경사면에 충분하게 적용 가능한 맞춤시공이 가능하며, 블록간의 결속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식생용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식생용 옹벽블록, 보습구, 식재포트부, 고정핀 삽지공.

Description

식생용 옹벽블록{THE BLOCK FOR A BREAST WALL WITH GRASS GROWING STRUCTURE}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성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적층예를 보이는 평면 예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적층예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적층예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적층예를 보이는 정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블록
2:요입부
3:채움재 수용공간부
4:지지벽
10:식재포트부
삭제
11:격벽
12:배수공
20:보습구
30:고정핀 삽지공
본 고안은 도로변 비탈면, 제방, 해안, 단지 조경 벽면 등 토목공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절개지의 경사면 등에 시공 설치되는 식생용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의 고정핀 삽지공이 구비되고, 격벽을 통해 토사나 자갈을 채워 수용할 수 있게 하되, 전방에 배수공이 천공된 채움재 수용공간부와 격리되는 상태로, 해면체 형태의 보습구가 수용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포트부를 블록의 내부에 마련함으로써, 토양의 유실억제와 습도 저장, 영양분 공급기능을 통해 식물이 안정되게 식생할 수 있는 식생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블록간의 전후 적층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광범위하고 다양한 경사면에 충분하게 적용 가능한 맞춤시공이 가능하며, 블록간의 결속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고 자연적인 식생용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블록은 도로변 비탈면, 제방, 해안, 단지 조경 벽면 등 토목공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절개지의 경사면이나 벽면을 지탱하여 토사가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한 구조물로, 지형적 요인과 시공 후 옹벽에 가해지는 압력 분포 등을 고려하여 시공하게 된다.
이는 전방 측에 옹벽블록을 설치하고 블록의 뒷면에 모래, 자갈, 조약돌 등을 사용하여 뒷 채움을 한 후, 충분한 다짐을 통해 토압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옹벽블록의 형상 및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블록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옹벽은 설치구조에 따라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는 중력식 옹벽 및 반중력식 옹벽, T형 옹벽, L형 옹벽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며, 그 외에도 수직 적층식 옹벽블록과 계단 적층식 옹벽블록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계단식 옹벽블록은 비탈면의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되는 적층식 옹벽블록과, 비탈면의 무너짐을 방지하면서 식물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식생용 옹벽블록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상기 식생용 옹벽블록은 블록의 내부에 단순히 관통된 형태의 식생공을 두고 이에 식생토를 수용한 후 식물을 식재토록 하는 것이었으나, 상기 구조의 식생공은 단지 내부에 수용된 식생토를 일시적으로 담아 두는 역할로 한정될 뿐 수용된 식생토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전무한 실정이어서, 식재포트로의 기능이 매우 미비하여 폭우나 홍수 시 식생공 내의 식생토가 빠른 유속에 의해 쓸려나가거나, 지반이 유실되면서 밑으로 식생토가 빠져나가 유실되는 문제가 초래되었던 것이다.
이로 인해 식재된 식물이 잔존되었다 하더라도, 식생토의 유실로 인해 수분과 영양분의 공급이 부족하게 되어 식물이 고사되거나 제대로 생육할 수 없어, 재 식재가 요구되는 관계로 많은 시간과 인력, 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식물이 안정되게 착생하여 녹화시키기 까지는 장기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초래되는 것이었다.
또한 상, 하면이 평면으로 구성되는 블록의 경우는 시공면의 경사도에 따라 자유로운 각도로 계단식의 들여쌓기가 가능하게 되나, 종횡으로 연결되는 블록 간의 결속구조가 없어 단지 블록의 중량이나 뒷 채움재를 통한 결속력에 의지할 수밖에 없으므로, 우천 또는 지중에서 발생되는 토압 등으로 인하여 비탈면의 하부 또는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후방으로 함몰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블록의 시공상태가 변형, 와해되는 문제가 초래되는 것이며,
또한 상, 하면에 상하 적층시 서로 끼워져 걸리는 요철구조의 상하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블록의 경우는, 구조상 계단식의 들여쌓기가 불가능하며, 들여쌓기를 위한 걸림턱을 두는 구조의 경우도 들여쌓는 깊이가 일정하게 한정되는 것이어서 다양한 시공면의 경사도를 모두 충족하여 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어, 많은 뒷채움재가 요구되거나 시공면의 추가적으로 깍아 내는 등의 시공 준비작업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초래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토양의 유실억제와 습도 저장, 영양분 공급 기능을 통해 식물이 안정되게 식생할 수 있는 식재포트부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블록간의 전후 적층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광범위하고 다양한 경사면에 충분하게 적용 가능한 맞춤시공이 가능하며, 블록간의 결속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고 자연적인 식생용 옹벽블록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격벽을 통해 토사나 자갈을 채워 수용할 수 있는 공간과 격리되는 상태로 해면체 형태의 보습구가 수용되고, 바닥에 배수공이 마련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포트부를 블록의 내부에 마련함과 아울러, 블록의 적소에 종방향으로 관통되는 다단의 고정핀 삽지공을 구비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성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
본 고안은 양측에 요입부(2)가 구비되고, 채움재 수용공간부(3)가 종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채움재 수용공간부(3)의 좌, 우측으로 구성되는 양 지지벽(4)(4)이 구성되고, 상호 대향되는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2열로 배열되는 다단의 고정핀 삽지공(30)이 구비되는 공지의 블록(1)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 수용공간부(3)의 전방으로 격벽(11)을 통해 상호 격리되어지며, 내부 바닥에 배수공(12)이 천공되고, 내부에 천연섬유소재의 보습구(20)가 충진된 식재포트부(10)이 구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블록(1)은 도 5에서와 같이 도로변 비탈면, 제방, 해안, 단지 조경 벽면 등 토목공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절개지의 경사면상에 조립 시공되는 것으로, 옹벽을 시공하고자 하는 시공면의 전방 하부에 기초 터파기 공사를 진행한 후, 기초 터파기부에 횡열로 다수의 블록을 설치한다.
이때, 채움재 수용공간부(3)에 토사나 자갈 등을 메우는 채움 과정이 요구되며, 상기 식재포트부(10)의 내부 바닥에는 보습구(20)를 깔고 그 위에 식생토를 충입시켜 자연 식생을 유도하거나 인위적인 식재를 행하게 된다.
다음, 하부에 횡열로 설치된 블록의 상부에 블록들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각층을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들을 상호 교차되게 올려놓는 엇갈림 방식과 더불어, 도 3 및 도 4(a)내지 도 4(b)에서와 같이 윗층의 블록이 밑층의 블록 보다 상대적으로 안으로 들어가게 적층, 시공하는 계단형으로 시공하면서, 비탈면과 블록의 사이 또는 채움재 수용공간부(3)에 토사나 자갈 등을 메우는 채움 과정을 통해 옹벽 시공을 완성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계단형 시공시, 시공면의 경사각도에 따라 상하 블록의 고정핀 삽지공(30)을 도 4(a)에서와 같이 상호 한 칸씩 또는 도 4(b)와 같이 2칸씩 엊갈리게 일치시킨 후, 일치된 고정핀 삽지공(30)에 임의의 철재의 고정핀(미 도시함)을 꽂아 지지시키면서 시공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블록의 적층 단차깊이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경사의 시공면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핀 삽지공(30)에 의해 계단형으로 시공된 상하의 블록이 상호 일체로 결속됨은 물론, 위층의 블록 하나에 의해 횡으로 접하는 밑층의 블록 2개 역시 상호 결속되는 것이므로, 지반에 변형이 생기거나 후방에서의 외력이 가해지더 라도 블록이 밀려나거나 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블록들을 계단형과 엇갈림식으로 시공하게 되면, 도 5에서와 같이 각 블록의 전방에 형성된 식재포트부(10)가 전방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식물의 성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식재포트부(10)의 내부 바닥에는 야자섬유와 같은 천연섬유소재의 보습구(20)가 깔려짐으로써, 식재포트부(10)하부의 지반이 유실되는 경우에도 내부에 수용된 식생토의 유실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음은 물론, 장기간 습기를 저장 공급할 수 있고 지속적인 영양분의 공급이 가능하여 식물이 안정되게 식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보습구를 갖는 식재포트부를 통해 내부에 수용된 식생토의 유실억제와 습도 저장, 영양분 공급 기능을 통해 식물이 안정되게 식생할 수 있으며,
또한, 고정핀삽지공을 통해 블록간의 전후 적층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광범위하고 다양한 경사면에 충분하게 적용 가능한 맞춤시공이 가능하며, 블록간의 결속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양측에 요입부(2)가 구비되고, 채움재 수용공간부(3)가 종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채움재 수용공간부(3)의 좌, 우측으로 구성되는 양 지지벽(4)(4)이 구성되고, 상호 대향되는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2열로 배열되는 다단의 고정핀 삽지공(30)이 구비되는 공지의 블록(1)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 수용공간부(3)의 전방으로 격벽(11)을 통해 상호 격리되어지며, 내부 바닥에 배수공(12)이 천공되고, 내부에 천연섬유소재의 보습구(20)가 충진된 식재포트부(10)이 구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옹벽블록.
KR2020060032609U 2006-12-27 2006-12-27 식생용 옹벽블록 KR200442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609U KR200442424Y1 (ko) 2006-12-27 2006-12-27 식생용 옹벽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609U KR200442424Y1 (ko) 2006-12-27 2006-12-27 식생용 옹벽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289U KR20080002289U (ko) 2008-07-02
KR200442424Y1 true KR200442424Y1 (ko) 2008-11-10

Family

ID=4132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609U KR200442424Y1 (ko) 2006-12-27 2006-12-27 식생용 옹벽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4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42B1 (ko) 2009-10-23 2010-06-15 한흥순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
KR100991703B1 (ko) * 2010-07-09 2010-11-03 일광콘크리트공업 (주) 시공이 용이한 식생 옹벽블록
KR101293188B1 (ko) * 2011-06-30 2013-08-16 주식회사 배둔콘크리트 식생형 옹벽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42B1 (ko) 2009-10-23 2010-06-15 한흥순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
KR100991703B1 (ko) * 2010-07-09 2010-11-03 일광콘크리트공업 (주) 시공이 용이한 식생 옹벽블록
KR101293188B1 (ko) * 2011-06-30 2013-08-16 주식회사 배둔콘크리트 식생형 옹벽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289U (ko) 200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5965B2 (en) Retaining wall blocks and retaining walls constructed from such blocks
CN117926849A (zh) 一种高强度重力式挡土墙的施工方法及应用
KR100536620B1 (ko) 어소 및 옹벽용 블록
CN210104786U (zh) 一种可绿化的路肩挡土构件
KR200442424Y1 (ko) 식생용 옹벽블록
CN212865809U (zh) 一种生态护坡
CN110777842A (zh) 一种装配式生态挡土结构
KR20100092836A (ko) 식생블록 및 이 식생블록을 이용한 식생옹벽 시공방법
CN211006526U (zh) 一种适合于生态敏感区的公路土质边坡绿色生态防护结构
KR20100092837A (ko) 식생블록 및 이 식생블록을 이용한 식생옹벽 시공방법
KR100794221B1 (ko) 친환경 식생옹벽
CN211228536U (zh) 岩质路堑边坡的支护结构
KR101046650B1 (ko) 초목 식재를 위한 축조형 화분과, 이 화분이 설치된 옹벽과, 옹벽의 시공방법
JP4606980B2 (ja) 緑化擁壁ブロック
JPH08120693A (ja) 擁 壁
KR101105407B1 (ko)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KR100946224B1 (ko) 전면식생 보강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
JP2007303251A (ja) 緑化促進擁壁の構築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バイパス部材
KR100777386B1 (ko) 건축물의 외벽 녹화구조
CN210537679U (zh) 一种边坡用种植槽及边坡植被修复装置
KR200357964Y1 (ko) 옹벽 블록
KR101225457B1 (ko) 식생상자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15380156U (zh) 边坡斜插式新型生态桩板结合防护体系
KR101335543B1 (ko)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KR101041683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