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142B1 -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 - Google Patents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142B1
KR100963142B1 KR1020090100955A KR20090100955A KR100963142B1 KR 100963142 B1 KR100963142 B1 KR 100963142B1 KR 1020090100955 A KR1020090100955 A KR 1020090100955A KR 20090100955 A KR20090100955 A KR 20090100955A KR 100963142 B1 KR100963142 B1 KR 100963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rainwater
acid rain
landsca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흥순
이종석
Original Assignee
한흥순
이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흥순, 이종석 filed Critical 한흥순
Priority to KR1020090100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3Evacuating water from walls made from hollow bri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1Ceram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경사면의 흐름을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 없이 산성의 빗물을 중화시킴으로서 경제적임은 물론, 토양의 산성화 방지 및 조경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경사면에 1차로 고정되는 제1 옹벽 블록 및 제1 옹벽 블록에 적층되는 제2 옹벽 블록을 포함하는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을 사용하면, 내리는 빗물의 산성을 중화시켜 산성비로 인한 토양의 산성화 및 이로 인한 조경수의 성장 억제 및 성장의 불균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의 자연스런 흐름을 이용함에 따라 산성비의 중화를 위한 별도의 소비 전력이 발생치 않아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RETAINING WALL SYSTEM FOR LANDSCAPE ARCHITECTURE HAVING ACID RAIN NEUTRALIZE FUNCTION}
본 발명은 조경용 옹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리는 산성비를 중화시킴으로서,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함은 물론, 토양의 산성화 방지로 인한 조경수를 보호할 수 있는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 블록은 공사로 인하여 형성된 절개면, 강가나 호수 주위의 수직면 또는 경사면 등의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되는 옹벽을 구성하는 단위블록을 말한다. 또한, 동네 야산 등에 조성되어 일정한 경사면이 있는 근린공원에 시공되는 단위블록을 일컫는다.
옹벽 블록의 경우 수직 또는 경사면을 가지면서 적층되는 방식으로 축조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시공되는 옹벽은 현재 강가나 호수의 경사면 또는 산사태가 일어 날 수 있는 지역의 경사면에 주로 축조되고 있다.
이처럼 경사면 등에 축조되는 옹벽은 최초에는 단순히 콘크리트와 같은 무거운 블록을 강가나 호수의 경사면에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여 축조되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순히 유속에 의해 경사면의 토사가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목적에서 더 나아가 시각적인 디자인을 고려하여 조경용 역할까지 할 수 있는 옹벽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8850호(2003년11월26일 등록)에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경사옹벽 뿐만 아니라, 수직옹벽을 보강하는 기존의 상, 하층 블록의 자중과 교합구조로 안정적인 결속 및 기본블록과 그 사이의 지오그리드의 견고한 파지로 보강토 옹벽구조를 견고하게 함으로써 옹벽으로서의 기본적 기능인 안전성을 우선적으로 확보하면서, 조경블록 및 빗물받이에 의한 식생의 녹화기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9936호(2006년10월24일 등록)에 "수직 적층식 옹벽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전방 내부에 관통되게 구비된 조립공간과, 조립공간의 후방에 경계벽을 경계로하여 상, 하가 관통되게 구비된 관통공간, 및 상부 양측에 구비되어 상부에 엇갈리게 적층되는 양측 두개의 타 옹벽블록에 구비된 조립공간의 경계벽의 전방에 걸리게 삽입됨에 따라 상부에 적층되는 옹벽블록의 전방 이동을 막아주도록 한 수직 적층식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옹벽블록에 관련된 기술들은 강가나 하천의 경사면에 축조되 어 유속에 의한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기능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고, 또는 경사면이 급해 산사태 발생 위험이 높은 산간도로의 좌우 경사면에 축조되어 산사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기능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각각의 옹벽블록에 식생공간을 구비함으로써 미관상으로도 조경효과를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위에서 언급한 옹벽블록에 관련된 기술들은 식생공간의 구비로 인해 콘크리트 블록으로 축조된 옹벽에 비해 어느 정도의 조경효과를 기대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식생공간의 구비로 인한 조경효과는 시각적인 효과에 한정될 뿐, 식생공간을 구비한 옹벽블록이 동네 야산등에 조성되어 일정한 경사면이 있는 근린공원에 축조될 경우 시각적인 조경효과 이외에는 별다른 조경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 공장, 및 자동차 등으로부터 나오는 각종 유해한 가스로 인해 과거와는 달리 현재 내리는 비는 산성을 띄고 있으며, 산성비로 인해 근린공원의 토양이 산성화가 되고, 이로 인해 조경수가 정상적인 성장이 불가능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위에서 언급한 옹벽블록으로는 해결하기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서 경사면이 있는 근린공원 등에 축조되는 옹벽에 있어서, 내리는 산성비로부터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하고, 조경수의 정상적인 성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경용 옹벽 블록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면의 흐름을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 없이 내리는 산성의 빗물을 중화시킴으로서 경제적임은 물론, 토양의 산성화 방지 및 조경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빗물이 바로 흘러내리지 않고 상단에 고일 수 있도록 가운데가 잘록한 형태로 가공된 경사면에 1차로 고정되는 제1 옹벽 블록; 및 상기 제1 옹벽 블록과 동일한 형태로 가공되어 제1 옹벽 블록에 적층되는 제2 옹벽 블록을 포함하는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을 사용하면, 내리는 빗물의 산성을 중화시켜 산성비로 인한 토양의 산성화 및 이로 인한 조경수의 성장 억제 및 성장의 불균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의 자연스런 흐름을 이용함에 따라 산성비의 중화를 위한 별도의 소비 전력이 발생치 않아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나 아가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의 자연스런 흐름을 이용함에 따라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에 적합한 옹벽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옹벽블록 하부에 저수조를 위치시킴으로써 폭우가 쏟아져 많은 양의 빗물이 옹벽블록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려 발생될 수 있는 홍수의 위험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옹벽 시스템은 동네 야산 등에 조성되어 일정한 경사면이 있는 근린공원에 축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조경관리 즉, 내리는 산성비의 중화를 통해 토양의 산성화 방지 및 이로 인한 조경수의 정상적인 성장 관리가 필요한 곳이라면 어느 곳이든 축조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옹벽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은 제1 옹벽 블록(100)과 제2 옹벽 블록(200)을 포함하며, 제1 옹벽 블록(100) 및 제2 옹벽 블록(200)은 그 형상이 동일하게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옹벽 블록(100)은 내리는 빗물이 바로 흘러내리지 않고 상단에 고일 수 있도록 가운데가 잘록한 형태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표현으로 상기 제1 옹벽 블록(100)은 일측이 소위 나비넥타이와 유사한 형상이 되도록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옹벽 블록(100)은 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사면에 1차로 설치되며, 내리는 산성비가 상기 제1 옹벽 블록(100)의 표면을 흐르거나 또는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을 통해 중화되어 토양으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산성비가 상기 제1 옹벽 블록(100) 표면 또는 내부를 흐르면서 중화되기 위해서는 제1 옹벽 블록(100)이 산성을 중화시킬 수 있는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옹벽 블록(100)은 활성탄 또는 자철광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목재, 갈탄, 이탄 등을 활성화제인 염화아연이나 인산과 같은 약품으로 처리하여, 건조시키거나 목탄을 수증기로 활성화시켜 제조되고, 일반적으로 분말 상태로 제조된다. 활성탄은 단위 체적당 표면적이 대단히 크고 흡착 능력이 탁월하여 주로 흡착제로서 사용되며, 그 밖에도 용제의 회수제와 가스의 정제용 또는 탈색제로 쓰이는 등 용도가 다양하다.
그리고 상기 자철광은 물의 산화를 억제하고 환원을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물의 정수 및 산화 억제 기능을 지니고 있는 활성탄 또는 자철 광을 상기 제1 옹벽 블록(100)으로 제조하여 내리는 빗물 즉, 산성비의 정화 및 알칼리화를 통해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양의 산성화 방지를 통해 조경수의 정상적인 성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옹벽 블록(100)은 활성탄 또는 자철광 이외에도 오염된 물질을 정화시키는데 사용되는 견운모 또는 화강암 등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견운모 또는 화강암은 치밀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관계로 상기 제1 옹벽 블록(100)을 견운모 또는 화강암으로 제조할 경우 빗물이 내부로 스며들지 않고 표면을 따고 흘러내리게 된다.
이에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의 양이 많을 경우를 대비해서 상기 제1 옹벽 블록(100) 하부에 제1 저수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저수조는 상부 일측에 빗물 넘침 방지용 배수구(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 넘침 방지용 배수구의 위치는 최초 설계 목적에 따라 그 높이가 정해질 것이나, 일예로 측면 상부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1 저수조는 상기 제1 옹벽 블록(100) 하부에 위치하되, 다수개로 적층된 제1 옹벽 블록(100)들의 최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는 다수 개로 적층된 제1 옹벽 블록(100)들의 중간 중간에 하나 이상으로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저수조를 제1 옹벽 블록(100)들의 중간 중간에 하나 이상 위치시키는 이유는 많은 양의 빗물이 제1 옹벽 블록(100)을 타고 흐를 경우 한꺼번에 많은 양의 빗물이 흘러내려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추가로 상기 빗물 넘침 방지용 배수구를 통해 적은 양의 빗물이 지속적으로 배출되어 빗물의 정화 및 알칼리화 효 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2 옹벽 블록(200)은 상기 제1 옹벽 블록(100)과 동일한 형상으로 가공(제조)되어 제1 옹벽 블록(100) 위에 적층된다. 상기 제1 옹벽 블록(100) 위에 적층되는 상기 제2 옹벽 블록(200)은 1차로 빗물과 접촉되어 빗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블록으로써, 이를 위해 상기 제2 옹벽 블록(200)은 다공성 자연석 또는 다공성 세라믹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옹벽 블록(200)은 빗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공성 자연석으로는 현무암 또는 맥반석 등을 채택할 수 있고, 상기 다공성 세라믹으로는 제올라이트를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옹벽 시스템은 제1 옹벽 블록(100) 및 제2 옹벽 블록(200)의 적층 결합으로 완성되며, 1차로 빗물이 제2 옹벽 블록(200)과 접촉되며 접촉된 빗물은 제2 옹벽 블록(200)의 표면을 흐르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상기 제2 옹벽 블록(200) 표면을 흐르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빗물은 2차로 제1 옹벽 블록(100)으로 흐르게 되며, 제1 옹벽 블록(100)으로 흐른 빗물은 제1 옹벽 블록(100)의 표면을 흐르거나 또는 내부로 스며드는 과정을 통해 정화 및 알칼리화가 이루어진다.
이처럼 상기 제2 옹벽 블록(200) 및 제1 옹벽 블록(100)을 거친 빗물은 이물 질 제거는 물론, 정화 및 알칼리화가 이루어진 빗물로써, 제1 옹벽 블록(100)을 거쳐 토양으로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산성비가 제2 옹벽 블록(200) 및 제1 옹벽 블록(100)을 거치면서 중화되어 토양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산성비가 중화되어 토양으로 흐름에 따라 토양에 심어져 있는 조경수의 성장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나아가 1차로 내리는 빗물이 접촉하는 상기 제2 옹벽 블록(200)은 상단에 더 많은 양의 빗물이 고일 수 있도록 상단에 홈(3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더 많은 양의 빗물이 고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기 홈(300)은 상기와 같이 제2 옹벽 블록(200)에만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제1 옹벽 블록(100)과 제2 옹벽 블록(200) 모두에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홈(300)의 형상은 많은 양의 빗물이 고일 수만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할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옹벽 시스템은 제1 옹벽 블록(100) 및 제2 옹벽 블록(200)의 결합으로 축조되며, 옹벽 시스템의 축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이 경사면에 설치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제1 옹벽 블록(100)을 일측이 경사면(경사를 가지는 토양)에 1차로 고정시키고, 상기 제1 옹벽 블록(100)의 타측면에 제2 옹벽 블록(200)이 나란히 위치시킨다. 이 후, 상기 제1 옹벽 블록(100) 상부 중앙을 기준으로 경사면 방향 쪽에는 다른 제1 옹벽 블록(100′)이 적층되고, 경사면 방향 반대쪽에는 다른 제2 옹벽 블록(200′)이 적층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경사면을 따라 제1 옹벽 블록(100)과 제2 옹벽 블록(200)을 축조시켜 경사면으로 내리는 산성비를 중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은 경사면을 가지고 있는 곳에 설치가 가능하며, 우리나라처럼 산지가 많은 곳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내리는 빗물의 정화 및 알칼리화를 위한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치 않아 구성이 간단함은 물론, 경제적인 이득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이 절벽에 설치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은 절벽과 같이 경사면이 없는 곳에 옹벽을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 형상과 유사한 형상의 제2 저수조(400)를 절벽과 인접하여 위치시키고, 상기 제2 저수조(400) 상부에 제1 옹벽 블록(100) 및 제2 옹벽 블록(200)을 축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본 발명의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은 제1 옹벽 블록(100) 및 제2 옹벽 블록(200)이 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저수조(4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옹벽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이 경사면에 설치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이 절벽에 설치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100′ : 제1 옹벽 블록
200, 200′ : 제2 옹벽 블록
300 : 홈
400 : 제2 저수조

Claims (7)

  1. 빗물이 상단에 고여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을 통해 중화될 수 있도록 가운데가 잘록한 형태로 가공되고, 상기 빗물의 정화를 위하여 견운모 또는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경사면에 1차로 고정되는 제1 옹벽 블록; 및
    상기 제1 옹벽 블록과 동일한 형태로 가공되어 제1 옹벽 블록에 적층되는 빗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다공성 자연석 또는 다공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제2 옹벽 블록을 포함하는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옹벽 블록 및 제2 옹벽 블록이
    상단에 빗물이 고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옹벽 블록 내부로 스며들지 않고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제1 옹벽 블록 하부에 위치하는 빗물 넘침 방지용 배수구를 가지는 제1 저수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옹벽 블록 및 제2 옹벽 블록이 경사면이 아닌 절벽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1 옹벽 블록 하부에 위치하는 빗물 넘침 방지용 배수구를 가지는 경사면 형상의 제2 저수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
KR1020090100955A 2009-10-23 2009-10-23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 KR100963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955A KR100963142B1 (ko) 2009-10-23 2009-10-23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955A KR100963142B1 (ko) 2009-10-23 2009-10-23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3142B1 true KR100963142B1 (ko) 2010-06-15

Family

ID=4236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955A KR100963142B1 (ko) 2009-10-23 2009-10-23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1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5135A (zh) * 2018-10-25 2019-04-02 浙江工业大学 一种疏浚淤泥免烧结陶粒混凝土植生砌块及路基坡面生态防护施工方法
KR102337158B1 (ko) * 2020-07-17 2021-12-09 김석문 방파제 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388Y1 (ko) * 2004-06-09 2004-10-01 김현덕 옹벽용 블록구조체
KR200442424Y1 (ko) 2006-12-27 2008-11-10 정윤호 식생용 옹벽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388Y1 (ko) * 2004-06-09 2004-10-01 김현덕 옹벽용 블록구조체
KR200442424Y1 (ko) 2006-12-27 2008-11-10 정윤호 식생용 옹벽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5135A (zh) * 2018-10-25 2019-04-02 浙江工业大学 一种疏浚淤泥免烧结陶粒混凝土植生砌块及路基坡面生态防护施工方法
KR102337158B1 (ko) * 2020-07-17 2021-12-09 김석문 방파제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44677A1 (en) Horizontal flow biofilter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2053044B1 (ko) 보도블록 경사면과 저류 침투형 탄소 복합 소재 투수 보도 블록 조립체를 연계한 우수 유출 저감형 투수성 보도블록 포장 시공 시스템
US8940170B2 (en) Triple-chambered wetland biofilter treatment system
KR101492601B1 (ko) 친환경 지하저수식 빗물 저류조
KR101560719B1 (ko) 조립식 침투저류조 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CN102839744A (zh) 一种新型植被浅沟及其用于处理径流雨水的方法
KR101578551B1 (ko) 우수 오염 방지와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식생체류지
KR101489248B1 (ko) 정화 필터가 구비된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CN110219357A (zh) 多功能海绵城市市政道路用生物净化滞留带及其施工工艺
JP2009197486A (ja) 地下貯水構造
KR100963142B1 (ko)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
KR100966887B1 (ko) 개량형 레인가든
KR100920060B1 (ko) 경계석이 일체로 된 도로 비점오염 저감설비
KR101380776B1 (ko) 측구집수조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KR101519076B1 (ko) 옹벽에서 배수 촉진용 저수조
CN207878607U (zh) 一种渗滤净化雨水口
KR20140004867A (ko) 산 비탈면 및 절토 면의 배수로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CN205856956U (zh) 一种公园的路面
CN212026497U (zh) 一种人工地下孔隙含水层结构
CN218028112U (zh) 一种具有雨水收集溢流功能的水池
CN205742348U (zh) 净水储水系统
RU2200803C1 (ru) Система отвода и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стока
CN215166325U (zh) 市政道路生物净化滞留带
KR102638595B1 (ko) 수목보호가 가능한 트리박스 필터시스템
JP4625989B2 (ja) 雨水集積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