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076B1 - 옹벽에서 배수 촉진용 저수조 - Google Patents

옹벽에서 배수 촉진용 저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076B1
KR101519076B1 KR1020130039571A KR20130039571A KR101519076B1 KR 101519076 B1 KR101519076 B1 KR 101519076B1 KR 1020130039571 A KR1020130039571 A KR 1020130039571A KR 20130039571 A KR20130039571 A KR 20130039571A KR 101519076 B1 KR101519076 B1 KR 101519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water reservoir
water
side walls
de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2781A (ko
Inventor
민승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130039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076B1/ko
Publication of KR20140122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E01F5/005Culverts ; Head-structures for culverts, or for drainage-conduit outlets in slo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40Other devices for confining, e.g. trenches, drain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rchitectur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에서 배수 촉진장치로서, 상세하게는 옹벽, 비탈면, 골짜기등의 경사진 지면에서, 폭우나 홍수 등으로 불어나는 빗물의 배출을 촉진하기 위하는 발명이다.
고로 제방, 비탈면, 골짜기 등의 배수 작업시 지형에 따라 구축되는 사방댐이나 여수로에 대한 친환경적이면서 폭우에 의한 빗물의 배출을 촉진함으로서 폭우에 의하는 붕괴 및 침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설명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일측으로 경사되는 골짜기나 장마에 의하여 침수되는 저지대구간에다 매설된 배수로(52)의 돌출벽(521)의 상측구간(a)으로 여과대(71)가 구비된 통과로(38)를 구비시켜 주되, 상기 통과로(38)에는 저수탱크(62')를 형성시켜 주고, 상기 저수탱크(62')의 일측으로 흡입배수관(82)이 형성된 빗물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62')의 상측면(69) 구간으로 지표면의 빗물을 여과로 흡입시켜 주기 위하도록 구비된 지지대(48)에다 삽입된 걸름층(46)으로 빗물을 여과로 흡입시켜 주고, 상기 저수탱크(62')로 구비시켜 주는 감압저수조(86)와,
상기 감압저수조(86)의 몸체 구간에 구비되는 다수층의 측벽(166)과, 상기 측벽(166)사이에는 서로 연결 고정하는 지지리브(164)의 형성으로 구비로서 걸름공간(168)에서 관통되는 여과구(169)를 구비함으로서 상기 걸름공간(168)에서 지중에 침수된 빗물이 여과되면서 저수되는 감압저수조(86)를 구비시켜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다수층의 측벽(166)의 구비는 나선권회로 절곡된 이중벽체를 융착시켜 주되, 상기 측벽(166) 사이에는 여과구(169')와 여과요홈(162)을 형성하는 여과대(161)을 연속 반복적으로 중첩시켜서 형성된 측벽(166)을 다층구조의 측벽(166)과;
상기 감압저수조(86)의 몸체를 부직포(81)으로 감싸서 토사에 대한 여과력을 보강시켜 주고,
상기 감압저수조(86)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몸체의 볼록부와, 상기 몸체의 볼록부사이에 관통으로 연결되는 연결로(85)와, 상기 감압저수조(86)의 내측공간(b)을 흡입펌프(68')에 의한 감압으로서 빗물의 흡입 촉진으로 집수하도록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옹벽에서 배수 촉진용 저수조{Omitted}
본 발명은 옹벽에서 배수 촉진용 저수조로서, 상세하게는 옹벽, 비탈면, 골짜기등의 경사진 지면에서, 폭우나 홍수 등으로 불어나는 빗물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여과를 함과 동시에 배수를 촉진하기 위하는 저수조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경사지는 지형으로 형성되는 옹벽이나 골짜기에서 폭우 등으로 불어나는 빗물로 인하여 침하 등의 붕괴가 발생을 하는 문제점이 대두되어 왔다.
또한 집중호우에 의한 경사지의 연약지역에 침수된 빗물은, 토사 또는 부유물 등으로 배수가 막히는 경우가 발생을 함으로서, 침수된 기간이 장기화로 형성될 경우, 침수된 연약지역의 토사가 쏠려서 붕괴로 이어짐으로, 이에 대한 신속한 빗물의 배수가 요구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제방, 택지, 도로, 산간에 형성되는 경사지(80)이나 골짜기 등에서 흐르는 빗물은, 배수하는 양측 구간의 경사지는 지형의 구조상, 높이가 낮은 지역에 따라 연속 반복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된 배수로(52) 또는 배수를 위하는 여수관을 매설시켜줌으로서, 상기 배수로(52)으로 깊은 주위의 빗물이 서로 모아짐으로서 불어나면서 흐르도록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고로 상기 골짜기나 배수로에 흐르는 빗물은 갑자기 흐르는 폭우 등으로 불어나면서 흐르는 유속은 지면의 토사의 침식이나 붕괴의 위험이 높은 현실이다.
따라서 상기 불어나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배수하기 위하여 골짜기에는 사방댐을 설치하여 주면서 지면에서 노출로 연결되는 여수관을 구비함으로서 제공하여 주는 것이다.
이는 대부분 경사지(80)의 상측 모서리에서 안정적인 완충구간을 유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안전구간을 유지하여 주되, 상기 경사지(80)의 표면에는 별도의 블럭을 적층으로 쌓아서 빗물에 대한 침하를 방지하여 주도록 사용을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지중에 매설되면서 빗물을 배수하도록 연결되는 배수관은 장기간 사용을 할 경우, 토사 등으로 침전으로 막히는 경우가 발생을 하는 바,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하여 본인의 선 발명 등록된 제0690372호, 제0793905호에 의하여 제공되었다.
이는 상기 배수관을 흐르는 하수물을 이용하여, 가압펌프로 가압된 하수물을 내측구간에 재 분사함으로서, 하수관에 침전된 슬러지나 토사를 분사되는 수압에 의하여 흘러주도록 제공하였다.
또한 경사지는 옹벽에서 선 발명 등록된 제1071535호에 의하여 경사면에 적층으로 형성된 저수탱크의 전측에 조경대가 구비되고, 후측에는 경사지를 흘러서 내려오는 빗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로를 구비함으로서 옹벽에 대한 빗물의 붕괴를 방지하여 주면서 안정적으로 배수가 되도록 제공되었다. 또한 상기 안전구간 구간의 경사지(80)에 대한 토사의 구조에 대하여 폭우 등으로 불어나는 빗물에 대한 효과적인 배수와 저장 및 조경을 하기 위하도록 제공되었다.
그러나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배수를 하기 위한 여수로나 배수관은 빗물을 배수하기 위함으로서, 이는 장기간 사용을 하는 경우, 빗물의 흐름에 의하여 토사 또는 불순물 등으로 퇴적됨으로서, 우천시 빗물의 배수가 순조롭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을 하며, 또한 갑자기 발생하는 집중호우에서 형성되는 불어나는 빗물은 기존 매설된 여수관에 대한 배수용량을 오버함으로서, 이에 따라 골짜기나 연약지역 등에서 산사태와 같이 붕괴로 이어지는 사고가 발생을 하는 것이다.
또한 용수의 이동이나 배출을 위하여 저장된 탱크에 압력의 차이 즉 감압이나 가압을 함으로서 용수의 이동력을 보강시켜서 사용을 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수를 하기 위한 여수로나 배수관에서 가능한 빗물을 배수하도록 촉진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블록을 비탈면에서 매설되는 여수관을 장기 사용으로 인하여 흐르는 빗물에 따라 이동하는 토사의 퇴적으로 인하여 막히는 내측구간에 대한 배수촉진과 아울러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짜기에서 집중호우에 의한 갑자기 불어난 빗물을 저지대나 연약지역의 지중으로 침수로 저장되는 빗물을 신속하게 집수로 배출하여 주도록 저수조를 매설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저수조의 몸체구간에는 여과와 아울러 집수를 위한 걸름공간과 여과구를 구비시켜주되, 집수탱크에는 감압상태로 형성함으로서 집수력을 보강시켜 주도록 제공함이다.
일측으로 경사되는 골짜기나 장마에 의하여 침수되는 저지대구간에다 매설된 배수로(52)의 돌출벽(521)의 상측구간(a)으로 여과대(71)가 구비된 통과로(38)를 구비시켜 주되, 상기 통과로(38)에는 저수탱크(62')를 형성시켜 주고, 상기 저수탱크(62')의 일측으로 흡입배수관(82)이 형성된 빗물배수장치에 있어서,
삭제
상기 저수탱크(62')의 상측면(69) 구간으로 지지대(48)와 걸름층(46)을 구비시켜서 지표면의 빗물을 여과로 흡입시켜 주되, 상기 저수탱크(62')의 일측으로 흡입배수관(82)를 구비시켜 주고,
상기 저수탱크(62')로 구비시켜 주는 감압저수조(86)와, 상기 감압저수조(86)의 몸체 구간에 구비되는 다수층의 측벽(166)과, 상기 측벽(166)사이에는 서로 연결 고정하는 지지리브(164)의 형성으로 구비로서 걸름공간(168)에서 관통되는 여과구(169)를 구비함으로서 상기 걸름공간(168)에서 지중에 침수된 빗물이 여과되면서 저수되는 감압저수조(86)를 구비시켜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다수층의 측벽(166)의 구비는 나선권회로 절곡된 이중벽체를 융착시켜 주되, 상기 측벽(166) 사이에는 여과구(169')와 여과요홈(162)을 형성하는 여과대(161)을 연속 반복적으로 중첩시켜서 형성된 측벽(166)을 다층구조의 측벽(166)과;
상기 감압저수조(86)의 몸체를 부직포(81)으로 감싸서 토사에 대한 여과력을 보강시켜 주고,
상기 감압저수조(86)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몸체의 볼록부와, 상기 몸체의 볼록부사이에 관통으로 연결되는 연결로(85)와, 상기 감압저수조(86)의 내측공간(b)을 흡입펌프(68')에 의한 감압으로서 빗물이 흡입으로 집수하도록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경사지는 비탈면에서 집중폭우 등에 의하여 불어나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배수가 촉진이 용이하도록 저수통에 저장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으로서, 폭우 등으로 갑자기 불어나는 홍수 등을 별도의 여수관으로 구비함과 동시에 별도의 걸름구조를 제공함으로서, 토사, 부유물 등으로 혼탁된 배수물의 배수를 촉진하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저지대나 연약지역에서 침수로 인하여 지력이 약해짐으로서 붕괴되는 위험을, 여과 등에 의한 집수력으로 신속한 배출을 함으로서 붕괴의 위험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2은 도1에서 요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3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
도4는 도3에서 요부에 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5은 도3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6는 도5에 대한 일부 절개된 측면도
상기 설명되는 본 발명의 요부를 현장 실시를 위하는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을 하면, 경사면(옹벽)(80) 구간에서 집중호유에 의하여 갑자기 불어나는 폭우에 대한 붕괴나 산사태를 방지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심지나 도로 또는 택지의 난개발에 의하여 절개된 경사지나 옹벽을 되뫼움으로 조성되는 경사도가 심한 옹벽이나 공짜기는 다져진 토사는 대부분 빗물의 침수로 인하여 토사의 연약성이 증가함으로서, 이에 따른 침하 또는 붕괴의 위험이 높은 것이다.
이는 경사지에서 굴곡지는 저지대나 연약지역에서 침수로 인하여 지력이 약해짐으로서 지반의 붕괴되는 위험을, 상기 연약지역에서 매설된 감압저수조의 여과력과 집수력의 보강과 아울러, 저압에 의한 집수력으로 신속한 배출을 함으로서 붕괴의 위험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즉 집중호우에 의한 경사지의 연약지역에 침수된 빗물은, 침수된 기간이 장기화로 형성될 경우, 침수된 연약지역의 토사가 쏠려서 붕괴로 이어짐으로, 이에 대한 신속한 빗물의 배수가 요구되는 것이다.
고로 첨부된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로 상기와 같은 경사지(80)에서 형성되는 굴곡진 연약지역에서의 침하 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또한 집중폭우로 흐르는 잉여 빗물을 효과적으로 집수를 하면서 배수토록 제공함이며, 또한 상기 집수된 저수통(62')를 흡입펌프(68')의 가동에 의하여 상측면(69) 구간으로 지표면의 빗물을 여과로 흡입시켜 주기 위하도록 구비된 지지대(48)에다 삽입된 걸름층(46)으로 빗물을 여과로 흡입시켜 줌으로서, 별도의 흡입펌프(68')로 흡입된 흡입력으로, 통과로(38)로부터 빗물의 유입력을 보강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감압상태의 저수조(이하; 감압저수조(86)라 칭함)를 제공함으로서, 빗물에 대한 흡수속도를 효과적으로 보강토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고로 옹벽과 같은 경사지에서 성토된 토사기 집중폭우에 의하여 갑자기 불어나는 빗물에 의하여 침하된 빗물을, 신속히 감압에 의하여 형성되는 흡입력으로 흡입함과 아울러 신속히 흡입배수관(82)으로 배수함으로서, 산사태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이는 집중폭우 등으로 갑자기 불어나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배수가 용이하도록 제공을 위함이다.
고로 상기 경사지(80)의 굴곡진 연약지역이나 저지대 등에 침수되는 빗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지표에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되면서 배수하도록 매설된 배수로(52)의 일측인 돌출벽(521)의 상측구간(a)에서, 소정의 구간에다 여과대(71)가 구비된 통과로(38)를 구비시켜 주되, 상기 통과로(38)에는 저수탱크(62')를 형성시켜 줌으로서, 배수되는 빗물이 저수탱크(62')로 저장이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로(52)의 돌출벽(521)의 상측 단부구간에는 별도의 유도대(62)을 결합함으로서 비탈면에서 홍수의 경우 월경으로 넘쳐주는 빗물을 배수로(52)로 유도하여 주도록 사용을 함으로서, 이에 따른 범람을 줄여주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통과로(38)의 구간에는 빗물에 부유되면서 이동을 하는 쓰레기나 나무의 잔가지 등이 걸러지도록 여과대(71)를 구비시켜 줌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수탱크(62')가 매설된 연약지역에서의 지표면이나 지중에 침수된 빗물의 집수가 용이하도록, 저수탱크(62')의 상측면(69) 구간에 맞추어 걸름층(46)을 구비시켜 주되, 상기 걸름층(46)의 상,하측구간에는 지지대(48)으로 결속시켜 줌으로서, 장기적으로 내구성을 보강시켜 준다.
또한 상기 저수탱크(62')의 매설된 몸체(64)구간에는 부직포(81)로 감싸주되, 상기 부직포(81)는 자갈층이나 잔사층(66)으로 매설함으로서, 연약지층에 침수된 빗물을 흡수로서 배수하도록 구비하여 주는 발명이다.md
여기서 상기 저수탱크(62')에서 배수를 위하여 연결된 흡입배수관(82)에는 감압과 아울러 배수를 촉진시켜 주기 위한 감압펌프(68')를 구비시켜 줌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펌프(68')의 구동은 미도시된 쎈서와 제어장치에 의하여, 홍수 등에 의하여 침수가 형성된 경우에 구동이 되도록 조절시켜 줌이 바람직하다.
고로 상기 저수탱크(62')의 상측면(69) 구간으로 유도대(66)를 설치하여 주면서, 상기 설명되는 지지대(48)와 걸름층(46)을 통과하여 주면서 잔가지, 토사와 같은 부유물을 걸러주면서 지표면의 빗물을 여과로 흡입시켜 주도록 제공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저수탱크(62')의 일측으로 흡입배수관(82)를 구비함으로서 흡입으로 저장된 빗물을 배출시켜 주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흡입배수관(82)은 잉여의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적절한 장소에 설치된 소하천(85')으로 연결시켜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측으로 경사되는 골짜기나 장마에 의하여 침수되는 저지대구간에다 터 파기된 연약지역의 기소(87)에 설치를 하되, 되뫼움으로 매설되도록 다수개의 저수탱크(62')를 연결시켜 주되, 상기 저수탱크를 폭우 등으로 불어나는 빗물의 효과적인 저장을 위하도록, 상기 저수탱크(62')용 통과로(38)의 하측구간에다 서로 관통으로 연결로 구비되는 감압저수조(86)를 형성시켜 준다.
또한 상기 감압저수조(86)의 내측공간(b)에다, 집중호우에 의한 폭우를 신속히 흡입시켜 주면서 흡입배수관(82)으로 배출하도록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터파기와 되뫼움으로 성토하면서 매설된 구간에 침수된 빗물을 신속히 흡입이 되도록 제공하기 위한 발명으로서, 이는 상기 내측공간(b)에 연결되는 감압을 위하여 상기 흡입배수관(82)에다 미도시된 제어장치의 구동에 의한 배수펌프와 같은 흡입펌프(68')을 구비시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저수하려는 폭우로 된 빗물을 상기 구비된 흡입펌프(68')의 흡입력으로 감압함으로서, 상기 내측구간(b)으로 빗물이 저압으로 형성된 흡입력으로 집수하도록, 단면이 원통형으로 소정의 크기와 직경으로 구비되도록 걸름공간(168)과 측벽(166)이 나선권회로 구비되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감압저수조(86)로 구비시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감압저수조(86)는 매설하려는 지형이나 시공 지역의 강우량에 따라 적절하게 구비시켜 주도록 소정의 크기로 제공시켜 준다.
또한 상기 매설된 감압저수조(86)의 몸체의 외측구간에는 잔자갈이나 모래 등으로 형성된 잔사층(88)으로 형성시켜 줌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도록 빗물의 집수를 위한 여과층을 구비시켜 준다.
따라서 상기 매설된 감압저수조(86)의 사용 현장에 맞추어서 매설을 위한 일실시예를 설명을 하면, 크기에 따른 보강력 및 여과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감압저수조(86)에서 내측공간(b)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하기 위한 몸체의 구간에다, 2개층 이상의 다수층의 측벽(166)을 구비시켜 주되, 상기 측벽(166)사이에는 소정의 구간으로 서로 연결 고정하는 지지리브(164)을 구비시켜 줌으로서 걸름공간(168)을 구비시켜 주되,
상기 걸름공간(168) 사이에는 여과구(169')와 여과요홈(162)을 형성하는 여과대(161)을 연속 반복적으로 구비시켜 줌으로서 측벽(166)을 다층구조로 중첩시켜서 형성시켜 줌으로서, 감압저수조(86)에 대한 내구성을 보강시켜 준다.
고로 상기 다수층의 측벽(166) 사이의 걸름공간(168)이 관통되는 여과구(169)를 구비함으로서 상기 걸름공간(168)에서 지중에 침수된 빗물이 여과되면서 저수되도록 구비시켜 주도록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감압저수조(86)의 몸체를 부직포(81)으로 감싸주되, 상기 부직포(81)의 외측구간에는 여과를 위한 잔사층(88)으로 충진을 함으로서, 매설에 위한 되뫼움된 토사에 대한 여과력을 보강시켜 준다.
또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나선권회로 절곡되어서 형성되는 감압저수조(86)는 단면이 원주형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조수로로서, 상기 감압저수조(86)의 몸체를 서로 연결로서 서로 접하도록 구조는, 서로 볼록부로 접하여 주도록 고정되는 구조로서 별도의 기소(87)로 고정시켜 주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되는 몸체사이를 서로 관통시켜 주는 연결로(85)를 형성시켜 줌으로서 내측공간(b)에 저수된 빗물의 이동과 아울러, 상기 감압저수조의 내측공간(b)을 감압에 의하여 형성되는 흡입력으로 빗물이 흡입으로 집수하도록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38 : 통과로 52: 배수로 62‘: 저수통 71: 여과대
77: 분출구 80: 경사지 81 : 부직포 82 : 흡입배수관
83: 걸름층 85: 연결로 86: 감압저수조
161 : 여과대 168 : 걸름공간 166 : 측벽

Claims (2)

  1. 일측으로 경사되는 골짜기나 장마에 의하여 침수되는 저지대구간에다 매설된 배수로(52)의 돌출벽(521)의 상측구간(a)으로 여과대(71)가 구비된 통과로(38)를 구비시켜 주되, 상기 통과로(38)에는 저수탱크(62')를 형성시켜 주고, 상기 저수탱크(62')의 일측으로 흡입배수관(82)이 형성된 빗물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62')의 상측면(69) 구간으로 지표면의 빗물을 여과로 흡입시켜 주기 위하도록 구비된 지지대(48)에다 삽입된 걸름층(46)으로 빗물을 여과로 흡입시켜 주고, 상기 저수탱크(62')로 구비시켜 주는 감압저수조(86)와,
    상기 감압저수조(86)의 몸체 구간에 구비되는 다수층의 측벽(166)과, 상기 측벽(166)사이에는 서로 연결 고정하는 지지리브(164)의 형성으로 구비로서 걸름공간(168)에서 관통되는 여과구(169)를 구비함으로서 상기 걸름공간(168)에서 지중에 침수된 빗물이 여과되면서 저수되는 감압저수조(86)를 구비시켜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에서 배수 촉진용 저수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층의 측벽(166)의 구비는 나선권회로 절곡된 이중벽체를 융착시켜 주되, 상기 측벽(166) 사이에는 여과구(169')와 여과요홈(162)을 형성하는 여과대(161)을 연속 반복적으로 중첩시켜서 형성된 측벽(166)을 다층구조의 측벽(166)과;
    상기 감압저수조(86)의 몸체를 부직포(81)으로 감싸서 토사에 대한 여과력을 보강시켜 주고,
    상기 감압저수조(86)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몸체의 볼록부와, 상기 몸체의 볼록부사이에 관통으로 연결되는 연결로(85)와, 상기 감압저수조(86)의 내측공간(b)을 흡입펌프(68')에 의한 감압으로서 빗물의 흡입 촉진으로 집수하도록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에서 배수 촉진용 저수조.
KR1020130039571A 2013-04-11 2013-04-11 옹벽에서 배수 촉진용 저수조 KR101519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571A KR101519076B1 (ko) 2013-04-11 2013-04-11 옹벽에서 배수 촉진용 저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571A KR101519076B1 (ko) 2013-04-11 2013-04-11 옹벽에서 배수 촉진용 저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781A KR20140122781A (ko) 2014-10-21
KR101519076B1 true KR101519076B1 (ko) 2015-05-14

Family

ID=5199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571A KR101519076B1 (ko) 2013-04-11 2013-04-11 옹벽에서 배수 촉진용 저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0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8099B (zh) * 2019-03-01 2020-12-08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城市河道雨洪资源调控系统
CN110820799B (zh) * 2019-11-13 2021-06-01 南宁学院 一种可排水挡土墙结构及其施工方法
CN114991189B (zh) * 2022-06-07 2023-07-21 广东耀南建设集团有限公司 智能一体化的深基坑坑底降排水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934Y1 (ko) 2003-11-07 2004-03-06 임철웅 탈수 압밀 촉진을 위한 트윈형배수관
KR101067237B1 (ko) 2009-02-23 2011-09-22 민승기 응축수용 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934Y1 (ko) 2003-11-07 2004-03-06 임철웅 탈수 압밀 촉진을 위한 트윈형배수관
KR101067237B1 (ko) 2009-02-23 2011-09-22 민승기 응축수용 흡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781A (ko) 201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865B1 (ko) 옹벽용 배수로에서 배수 촉진장치
JP5346731B2 (ja) 雨水地中浸透施設
JP4284665B2 (ja) 側溝の排水構造
US20200040562A1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KR101519076B1 (ko) 옹벽에서 배수 촉진용 저수조
US20220356691A1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JP4936955B2 (ja) 雨水一時貯留槽
JP5866221B2 (ja) 雨水処理施設
KR101043661B1 (ko) 지중 침투형 빗물배수장치
KR200405382Y1 (ko)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KR20140004867A (ko) 산 비탈면 및 절토 면의 배수로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KR100714315B1 (ko) 화단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CN215482073U (zh) 具有雨水收集功能的道路
CN211645818U (zh) 一种基于海绵城市的市政道路路面结构
RU2322543C1 (ru) Геокомпозитная прослойка для земляного полотна автомобильной дороги
KR100994672B1 (ko)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KR100629152B1 (ko) 침식지에서의 유출토사 차단방법 및 그 장치
KR101356964B1 (ko) 도로 집수정
JP5695495B2 (ja) 伏越し構造
JP2009097151A (ja) 透水構造
KR101186881B1 (ko)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JP2005179919A (ja) 雨水等の貯留浸透施設
CN205329835U (zh) 一种兀形预制混凝土构件渗透滞留池
RU2410488C1 (ru) Способ поярусного складирования зернистых отходов в гидроотвал, дренированный у основания пляжной зоны
KR102448419B1 (ko) 침투식 빗물 저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