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382Y1 -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 Google Patents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382Y1
KR200405382Y1 KR2020050028694U KR20050028694U KR200405382Y1 KR 200405382 Y1 KR200405382 Y1 KR 200405382Y1 KR 2020050028694 U KR2020050028694 U KR 2020050028694U KR 20050028694 U KR20050028694 U KR 20050028694U KR 200405382 Y1 KR200405382 Y1 KR 200405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sump
drainage
rainwater
ground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Priority to KR2020050028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3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3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기 집수정 상단부에서 내부측으로 내입 안착되는 깊이를 갖는 케이지상 걸름망과, 상기 집수정의 양측 내면 각각의 유입구측은 상방으로 구배되고 그 상단 주연부는 더욱 상향 구배되는 둔각확간부를 갖으며, 상기 일측의 유입구와 메인배수구간을 연결하는 제1우회배수구와, 타측 유입구와 상기 집수정 본체 측면간을 연결하는 제2우회배수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집수정 상단으로부터 내부측으로 내입되는 그물망 등의 구조에 의해 오물질 등이 1차 걸러지도록 유도하여, 배수의 원할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과, 상기 그물망에 상당한 양의 오물질이 쌓여 우수나 지하수 등이 그물망을 통과하지 못하고 역류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비하여, 상기 그물망 측면과 접하게 되는 상향 구배되는 구조를 갖는 보조배수구 즉, 제1,2우회배수구를 통해 각종 오물질 등이 걸름망에 산재되어 미처 걸름망을 통과하지 못하고 노면상으로 역류될 수 있는 우수나 지하수 등을 용이하며 효율적으로 유입, 배수구측으로 유도함으로써, 자연 배수 기능의 배가 및 이로 인한 산사태 등의 인재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토사, 오물질 등이 그물망으로 쌓여지더라도 우수나 지하수 등의 배수 흐름은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그물망에 쌓여지는 오물질로 우수,지하수 등이 역류되는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자주 비워주는 청소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적은 작업인력으로 인한 효율적 관리가 어렵게 되는 점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게 되는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절ㆍ성토부면 노면 집수정 구조, 걸름망, 우회배수구, 구배, 둔각확관부

Description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The underground water holding tank structur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을 이용한 상태에서의 배수구조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걸름망 저부측에 침수조를 갖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내지 도 5는 종래 집수정 구조를 도시한 각 도면들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집수정 110; 메인배수구
120; 제1우회배수구 121; 유입구
130; 제2우회배수구 131; 유입구
140; 침사조 200; 걸름망
본 고안은 집수정의 구조를 개선한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토부나 성토부 등의 도로공사시 설치 시공되어져 우수나 지하수 등으로 인한 각종 낙엽이나, 산사태 등으로 쓸려져 내려오게 되는 토사 등 각종 오물 등을 그물망 구조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걸러지도록 하면서도, 다량의 토사물 등의 오물에 의해 집수정 내로 우수나 지하수 등의 배수가 용이하지 않을 정도로 막혀지는 현상이 발생 될 경우 본체로부터 우회되는 배수구를 통해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산이 많은 지형적 특성으로, 대단위 절ㆍ성토부가 많은 도로가 건설되는 실정인바, 이러한 경사면이 형성된 지역에 건설되는 도로는 경사면에서 발생되는 낙석이나 토사, 잡물 등의 슬라이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시설물이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지형적 특성을 갖는 경사면 표면의 사면 정상부에 설치되는 산마루 측구나 도로 쌓기부의 경사면 하부에 설치되는 "V"자 측구, 시가지 도로 구간 등에 설치되는 "U"자형 측구, 맨홀이나 집수정, 하천 옹벽 등의 배수 시설물이 인접하는 지반은 비교적 지하수가 많이 존재하는 특성 및 이동이 심한 속성을 갖고 있다.
특히 지하수의 영향 및 우천시 다량의 우수 등으로 인하여 낙엽 등의 오물이나, 지반약화로 인한 산사태 등이 발생 될 우려가 있는 위치에 집수정을 설치 시공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집수정은 물빼기 보링공으로는 보링 길이가 길게 되는 경우나 기반 부근에 집중적으로 지하수를 집수하는 경우에 사용되어 지는데, 특히 암 반이나 불투수 토사지반으로서 공사 중 수위상승이 우려되는 경우는 구조물 기초주위에 맹암거 등의 배수로 시설을 만들어 배수작업을 할 수 있다.
종래에 집수정 바닥에 쌓인 모래 등의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바닥으로 내려가 작업을 해야 하는데, 집수정의 깊이가 1.0m∼2.0m 되는 경우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게 되어 유지관리비 과다로 소홀해지기 쉬워 배수관이 막혀 도로가 물에 잠기기도 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선등록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1쌍의 침사조(20a)(20b)는 각기 상기 집수정(10)의 전,후면벽(11)(12)내면에 그 마구리면들이 알맞게 끼워지는 폭을 갖고, 상기 집수정(10)의 측면벽(13)과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며, 그 상면은 집수정의 측면벽(13) 최상단보다 낮게 위치하고, 그 하면은 상기 배수관(d)의 최상단보다 높게 위치하는 높이를 가지면서 수직하게 세워지는 수직차단판(21)과, 상기 수직차단판(2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아래로 뻗어나가 상기 집수정의 바닥판(14)에 접지되는 2개의 지지다리(22)와, 상기 수직차단판(21)의 중간 높이에서 그 수직차단판(21)의 폭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면서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집수정의 측면벽(13) 내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폭방향 단면이 아래로 둥글게 구부러진 원호상으로 형성되는 수평차단판(23)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흙쌓기 경사면의 측구로부터 빗물과 함께 집수정의 내부로 유입되는 모래나 흙 등의 이물질이 상기 수평차단판(23)의 상부에 쌓이도록 하면서 빗물만이 상기 수직차단판(21)을 넘어서 집수정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관(d)으로 흘러나가도록 한 집수정용 침사조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침사조 등을 갖는 집수정은 비교적 적은 유량에 의한 유동시 수직차단판(21)에 의해 형성되는 침사조(20a)측으로 모래 등 토사나 나뭇잎 등 오물이 용이하게 걸러지고, 나머지 우수가 상기 수직차단판(21)을 월류하여 배수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의한 집수정을 본 고안과 같은 목적으로 하는 지면상 특성을 갖는 절ㆍ성토부면 등에 적용하였을 경우 폭우 등으로 인한 다량의 나뭇잎 등의 이물질이나 토사 등이 집수정내로 유입될 경우 상기 침사조의 포용 용적량 한정에 의해 지하수나 우수등의 배수 자체가 막혀지게 되는 문제점은 극복될 수 없다.
이와는 달리 도 6에서 보는바와 같이 실용신안등록 제 20-249085 호의 경우 집수정(10) 내부로 손잡이(31)와 걸림턱(32) 및 걸고리(33)를 갖는 여과망(30)이 삽입되도록 하여, 집수정 내부로 적재되는 오물이나 이물질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집수정을 통한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집수정에서 여과망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함에 의한 세척 및 청소가 편리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우수 등의 조건에서 각종 토사나 이물질, 오물 등을 효과적으로 여과망에서 걸러내어 배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한 것과 같이 폭우에 의한 주변 오물등의 단시간내 유입이나, 경사면 등에서의 다량 토사 유입 조건시, 여과망이 막혀지게 되는 문제점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여과망의 기능 상실로 인하여 우수 등이 그대로 노면 등으로 유수되 므로, 절ㆍ성토부면과 같은 조건내에 적용될 경우 산사태 등의 사고 위험을 배제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면 등에 채택되는 집수정의 구조와 상기 집수정내 걸름망 등이 내재되도록 함으로써, 급작스런 폭우 등에 의해 낙하되는 낙석이나 토사 및 나뭇잎 등의 각종 오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내도록 하고, 아울러 폭우 등의 기후 변화에 따른 대량의 우수나 지하수 유입 및 걸름망에 채워지는 다량의 오물질로 인한 배수 흐름이 원할하지 않을 경우 우회되는 배수구를 통해 원할한 배수 효과를 갖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에 메인배수구(110)를 갖는 집수정(100)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100) 상단부에서 내부측으로 내입 안착되는 깊이를 갖는 케이지상 걸름망(200)과, 상기 집수정(100)의 메인배수구(110)를 갖는 측면 상방으로 유입구(121)를 형성하여 상기 메인배수구(110)와 연결되도록 하는 제1우회배수구(120)를 형성하는 것과, 상기 메인배수구(110)가 형성되는 집수정(100) 타측으로 유입구(131)를 형성하고 상기 집수정(100) 본체 내측과 연결되어지는 제2우회배수구(130)를 형성하는 것과, 상기 집수정(200)의 양측 내면 유입구(121,131)측은 상방으로 구배되고 그 상단 주연부는 더욱 상향 구배되는 둔각확간부(A)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로 절토부나 성토부 등 쌓기부집수정에 채택, 채용되어 폭우 등에 의한 다량 우수 및 지하수를 효과적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집수정(100)과 상기 집수정(100)내로 삽입 안착되는 걸름망(200) 및 상기 걸름망(200) 측면과 연통되기 위한 보조배수구(110,120)를 그 구성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집수정(100)은 도 1에서 보듯이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사각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내부에 일정깊이를 갖으며 일측으로 도시하지 않은 공지된 배수로와 연결되어지는 메인배수구(110)가 연결되고, 내부 최저부는 모래나 입자가 작은 각종 오물질 등이 침전 저장되기 위해 상기 메인배수구(110) 보다 하단에 침사조(140)를 갖는 공지된 구성을 갖는다.
한편, 이러한 집수정(100)의 측면부와 상기 메인배수구(110) 및 집수정(100) 내부간을 연결하기 위한 보조배수구를 연통한다.
도면에서 보듯이 상기의 보조배수구는 제1우회배수구(120)와 제2우회배수구(130)로 구분되며 연결되어지는데, 상기 제1우회배수구(120)는 집수정(100) 일측면 과 메인배수구(110)를 연결하게 되고, 상기 제2우회배수구(130)는 집수정(100)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내부측과 연통되도록 연결 되어진다.
이와 같은 제1,2우회배수구(120,130)의 집수정(100) 내측 유입구(121,131)는 도 2에서와 같이 집수정(100)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구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2우회배수구(120,130)는 걸름망(200)내로 폭우 등에 의해 함께 쓸려 유입되는 각종 오물질 등에 의해 막혀져, 우수나 지하수 등이 걸름망(200) 하단측을 통해 배수되지 못할 경우, 제1,2우회배수구(120,130)를 통해 우회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우회 배수를 위해서는 집수정(100)내로 유입되는 우수, 지하수 등이 용이하게 제1,2우회배수구(120,130)측으로 유입되어져야 하는데, 그 제1,2우회배수구(120,130)의 유입구(121,131)측이 상향 구배되도록 형성하여 우수 및 지하수 등이 용이하게 유입, 메인배수구(110)를 통해 배수 가능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상기의 제1,2우회배수구(120,130) 유입구(121,131)에서 도면에서 보듯이 상방 외주연부가 둔각으로 더욱 구배되어지며 확관되는 형상의 둔각확관부(A)를 갖는다.
이와 같은 둔각확관부(A)는 걸름망(200)과 접하는 상태에 있게 되는데, 둔각확간부(A)의 상측주연부는 도면에서 보듯이 걸름망(200)의 상단측에 근접하는 위치에서부터 구배되는 구조를 갖게 되므로, 폭우나 산사태 등으로 인해 걸름망(200)에 각종 오물질 등이 가득찬 상태에서 우수나 지하수가 넘쳐 흐르게 될 경우 상기 둔 각확관부(A)를 갖는 유입구(121,131)측으로 넘쳐나는 우수 및 지하수 등이 유도 유입되어져, 집수정(100) 일측으로 연결되는 메인배수구(110)측을 통해 배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름망(200)은 전술한 집수정(100) 상단부측을 통해 내부로 일정깊이 삽입 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우수나 지하수 유동에 따른 오물질이나 또는 산사태 등으로 대량 발생되는 토사 등의 오물질을 용이하게 걸러내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케이지상으로 제공된다.
이와 같은 걸름망(200) 하단으로는 도 3에서 보듯이 일체로 형성되는 별도의 침사조(210)를 형성하여, 모래나 입자가 작은 오물질 등이 걸름망(200)을 그대로 통과하여, 집수정(100) 하단측 침사조(140)로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절ㆍ성토부면 등의 도로변에 측구를 따라 등간격 이격되며 위치될 수 있는 집수정(100)측으로 폭우, 산사태와 같은 현상에 의해 다량의 우수, 지하수에 유동되는 낙엽이나 모래 등이 유입되어져 집수정(100) 상단측으로부터 내부로 인입되어 있는 걸름망에서 상기 오물질 등이 걸러지고 우수, 지하수 등의 유체만 집수정(100)을 통해 그 측면으로 연결되는 메인배수구(110)를 통해 배수처리되어진다.
그러나, 다량의 오물질이 지속적으로 집수정(100)내로 유입되어질 때에는 걸름망(200)으로 걸러지게 되는 오물질의 증가에 의해 상기 걸름망(200) 자체가 막히게 되어, 배수되지 못하고 역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 집수정(100) 양측으로부터 각각 인출되어 각기 메인배수구(110)와 집수정(100) 본체측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제1,2우회배수구(120,130)로 낙하 또는 낙수되는 우수나 지하수 등이 유입되어져, 제1우회배수구(120)를 통해 메인배수구(110)로 우수 등이 유입, 배수되고 제2우회배수구(130)는 집수정(100) 본체 내부 측으로 유입된 후 상기 메인배수구(110)측으로 자유유동되며 배수되어진다.
이와 같은 제1,2우회배수구(120,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름망(200)의 측면부측으로 우수 등을 유입하기 용이하도록 상향 구배되는 유입구(121,131) 특히, 그 유입구(121,131)의 상단 외주연이 더욱 둔각 구배되어지면서, 상기 걸름망(200)의 최상단 부근에 위치되어져, 낙수 및 낙하되는 우수등이 용이하게 유입구(121,131)를 통해 제1,2우회배수구(120,130)로 유입, 배수되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절ㆍ성토부면 등에서의 도로공사에 적용되는 본 고안에서의 집수정(100)의 경우, 유지보수 인력이 충분치 않아 자주 걸름망(200)이나 집수정(100) 내부의 침사조(150) 등을 청소하지 못하더라도, 다량의 오물질 등을 포함할 수 밖에 없는 우수나 지하수등이 걸름망(200)에 누적 수용된 오물질 등에 의해 배수되지 못하는 현상 없이, 원할한 배수 작용이 가능하게 되어 역류 현상에 따른 지반약화나 산사태 및 주변 환경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집수정 상단으로부터 내부측으로 내입되는 그물망 등의 구조에 의해 오물질 등이 1차 걸러지도록 유도하여, 배수의 원할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과 더불어, 상기 그물망에 상당한 양의 오물질이 쌓여 우수나 지하수 등이 그물망을 통과하지 못하고 역류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비하여, 상기 그물망 측면과 접하게 되는 상향 구배되는 구조를 갖는 보조배수구 즉, 제1,2우회배수구를 통해 각종 오물질 등이 걸름망에 산재되어 미처 걸름망을 통과하지 못하고 노면상으로 역류될 수 있는 우수나 지하수 등을 용이하며 효율적으로 유입, 배수구측으로 유도함으로써, 자연 배수 기능의 배가 및 이로인한 산사태 등의 인재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동기간 토사, 오물질 등이 그물망으로 쌓여지더라도 우수나 지하수 등의 배수 흐름은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그물망에 쌓여지는 오물질로 우수,지하수 등이 역류되는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자주 비워주는 청소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적은 작업인력으로 인한 효율적 관리가 어렵게 되는 점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일측에 메인배수구(110)를 갖는 집수정(100)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100) 상단부에서 내부측으로 내입 안착되는 깊이를 갖는 케이지상 걸름망(200)과,
    상기 집수정(100)의 메인배수구(110)를 갖는 측면 상방으로 유입구(121)를 형성하여 상기 메인배수구(110)와 연결되도록 하는 제1우회배수구(1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배수구(110)가 형성되는 집수정(100) 타측으로 유입구(131)를 형성하고 상기 집수정(100) 본체 내측과 연결되어지는 제2우회배수구(1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200)의 양측 내면 유입구(121,131)측은 상방으로 구배되고 그 상단 주연부는 더욱 상향 구배되는 둔각확간부(A)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KR2020050028694U 2005-10-07 2005-10-07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KR200405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694U KR200405382Y1 (ko) 2005-10-07 2005-10-07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694U KR200405382Y1 (ko) 2005-10-07 2005-10-07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382Y1 true KR200405382Y1 (ko) 2006-01-10

Family

ID=4175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694U KR200405382Y1 (ko) 2005-10-07 2005-10-07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38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839B1 (ko) 2008-07-31 2009-05-22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초기 강우 유출 조절장치
WO2014159988A1 (en) * 2013-03-14 2014-10-02 Hanson Pipe & Precast Llc Precast stormwater inlet filter and trap
KR20180059667A (ko) * 2016-11-26 2018-06-05 민승기 비탈면의 산사태 방지용 배수블럭
CN114293632A (zh) * 2021-12-20 2022-04-08 花王生态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易涝城市路段建设的海绵化市政系统
KR102633035B1 (ko) 2023-10-31 2024-02-02 서울특별시 금천구 우수 집수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839B1 (ko) 2008-07-31 2009-05-22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초기 강우 유출 조절장치
WO2014159988A1 (en) * 2013-03-14 2014-10-02 Hanson Pipe & Precast Llc Precast stormwater inlet filter and trap
US9598850B2 (en) 2013-03-14 2017-03-21 Forterra Pipe & Precast, Llc Precast stormwater inlet filter and trap
KR20180059667A (ko) * 2016-11-26 2018-06-05 민승기 비탈면의 산사태 방지용 배수블럭
CN114293632A (zh) * 2021-12-20 2022-04-08 花王生态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易涝城市路段建设的海绵化市政系统
KR102633035B1 (ko) 2023-10-31 2024-02-02 서울특별시 금천구 우수 집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5382Y1 (ko)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JP4284665B2 (ja) 側溝の排水構造
JP4445168B2 (ja) 雨水浸透システム
KR101320456B1 (ko) 하수구와 배수홀의 연결구조
JP4511077B2 (ja) 雨水排水処理システム
KR101111185B1 (ko) 경계겸용 초기 강우 정화 블록
KR20140004867A (ko) 산 비탈면 및 절토 면의 배수로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CN214460937U (zh) 交通枢纽雨水花园结构
CN215669599U (zh) 一种滑坡治理用抗滑桩
JP4608366B2 (ja) 暗渠排水構造及び雨水の浸透処理方法
CN215482073U (zh) 具有雨水收集功能的道路
JPS6233805Y2 (ko)
KR20100059750A (ko)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0978238B1 (ko)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1356964B1 (ko) 도로 집수정
KR20140122781A (ko) 옹벽에서 배수 촉진용 저수조
KR200327756Y1 (ko) 도로 배수구조
KR102638787B1 (ko) 비점 오염 빗물 분리 정화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200265885Y1 (ko) 도로의 빗물 집수구용 집수박스
KR101674110B1 (ko) 전처리용 팬이 거치된 침투도랑
KR100516777B1 (ko) 투수공을 갖는 집수통
KR100729127B1 (ko) 집수구
JPS5833193Y2 (ja) 長孔浸透用桝形泥溜槽
JPS6220545Y2 (ko)
JP4174348B2 (ja) 水路用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水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