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667A - 비탈면의 산사태 방지용 배수블럭 - Google Patents

비탈면의 산사태 방지용 배수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667A
KR20180059667A KR1020160158786A KR20160158786A KR20180059667A KR 20180059667 A KR20180059667 A KR 20180059667A KR 1020160158786 A KR1020160158786 A KR 1020160158786A KR 20160158786 A KR20160158786 A KR 20160158786A KR 20180059667 A KR20180059667 A KR 20180059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pipe
transfer pipe
auxiliary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승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160158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9667A/ko
Publication of KR20180059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탈면의 골짜기에서 산사태 방지용 배수블럭에 관한 발명으로서, 비탈면에 인접되는 산골짜기의 연약지역에서는 폭우 등으로 경사면의 침하로 인한 산사태(붕괴) 등으로 하류지역의 시설물이나 도로를 덮쳐서 큰 피해를 발생하게 되는 손실을 방지하여 주기 위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시공기술이 발달한 산업사회의 토지 활용도를 높혀주기 위하여 비탈면에 대한 개발이 발달하였으나,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폭우로 급격히 불어난 빗물로 인하여 산사태의 발생으로 하류지역에 인접되는 주거지역이나 도로에 큰피해가 발생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비탈면에다 집수통에 연결되도록 다수층의 배출호오스를 매설함으로서 피해를 줄여주는데, 이에 대하여 매설하려는 배수블럭을 위하여 더 파기한 다음, 경사지게 성토시켜주는데, 상기 연약한 성토지역은 집중호우 등으로 폭우상태가 발생하면 쇄골이나 침하 등으로 산사태와 같은 붕괴가 발생함으로서 하류지역에서 피해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양측으로 경사지가 구비되는 오목부위에 따른 골짜기(60)에 구비되는 블록몸체(70)와, 상기 블록몸체(70)의 전측으로 배출구가 관통으로 돌출하도록 연결되는 이송관(72)와, 상기 이송관(72)의 하측은 도로(90)의 사이드에 구비된 배수관로(52)로 향하도록 구비되는 비탈면용 배수블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70)를 저수공간(85)이 구비된 저수조(100)와, 상기 저수조(100)의 전측면(101)에는 매인배출구(71)로 관통되도록 연결된 매인 이송관(75)와, 상기 전측면(101)의 하측에 보조배출구(171)로 관통되도록 연결된 보조 이송관(172)와, 상기 보조 이송관(172)의 단부를 매인 이송관(75)과 연결시켜 주는 접합부(a)와,
상기 블록몸체(70)의 좌우측면(102)에 보조배출구(271)로 관통되도록 연결된 측면 이송관(272)를 저측구간의 배수관로(52)로 돌출시켜 주고,
상기 저수조(100)의 상측단에서 상측 골짜기(60)로 개부되도록 만곡으로 돌출되는 만곡유도벽(65)의 유입구(74)로 유입된 빗물이 저수조(100)의 내측공간(85)로 유입시켜 주되, 상기 만곡유도벽(65)의 측단부에 형성된 유입구(74)에 조립되는 걸름망체(77)로 저수조(100)의 저수공간(85)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걸러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전측면(101)의 좌,우측부의 상측에서 제2보조배출구(271)로 관통되도록 연결된 제2보조 이송관(272)와, 상기 제2보조 이송관(272)의 단부를 매인 이송관(75)의 하측구간에 연결시켜 주는 제2접합부(b)와,
상기 제2접합부(b)가 연결된 매인 이송관(75)의 하측구간으로 크기가 확대로서 합쳐진 빗물을 안정적으로 배출시켜 주고,
상기 저수조(100)의 상측단의 하측구간에서 돌출되어서 하측 비탈면(166) 방향으로 만곡상태로 돌출되는 만곡월파벽(165)과, 상기 만곡월파벽(165)에 관통되는 배구공간(175)과, 상기 저수조(100)의 상측단에 조립되는 스틸그레이트(80)로 저수공간(85)으로 유입되는 부유물을 걸러서 월파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비탈면의 산사태 방지용 배수블럭{Omitted}
본 발명은 비탈면의 골짜기에서 산사태 방지용 배수블럭에 관한 발명으로서, 비탈면에 인접되는 산골짜기의 연약지역에서는 폭우 등으로 경사면의 침하로 인한 산사태(붕괴) 등으로 하류지역의 시설물이나 도로를 덮쳐서 큰 피해를 발생하게 되는 손실을 방지하여 주기 위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시공기술이 발달한 산업사회의 토지 활용도를 높혀주기 위하여 비탈면에 대한 개발이 발달하였으나,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폭우로 급격히 불어난 빗물로 인하여 산사태의 발생으로 하류지역에 인접되는 주거지역이나 도로에 큰피해가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구온난화로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국지적인 폭우나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태풍의 강도가 높아지는 경향으로 강수량이 증가되는 현실이다.
또한 정보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일기예보, 심지어 드론산업의 발달로 산비탈에 매설된 배수관에 대한 토사의 유입상태 점검으로 청소와 정비의 요구에 대한 정보 확인이 가능한 시대가 현실이다.
고로 본인의 선 발명등록된 10-0973298호에 의하여 바탈면에 매설된 배수관에 대하여 폭으로 빗물이 걸러지면서 배출되도록 제공함으로서, 저측지역에 범람을 방지하도록 제공되었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인하여 급격히 발생하는 국지적인 폭우, 거새지는 태풍의 위력 등으로 산업기술의 발달로 개발되는 비탈면의 도로, 배수관로 등의 범람으로 하측지역에 막대한 피해를 방지하여 주는 장치의 제공이 요구되는 것이다.
또한 경사면의 골짜기에서 흐르는 국지적인 푹우나 장마 등의 배수를 위하여, 터 파기된 부위에 따라 매설과 되 뫼움되는 배수로에서, 즉 매설을 위하는 배수로의 가장자리에 다져지는 성토층의 붕괴를 방지하면서, 상기 배수로로 빗물을 유도로 흘러 주도록 제공하였으나, 이는 폭우 또는 장마 등으로 빗물이 불어나면, 골짜기에 구축된 배수로를 월파로 범람함과 아울러 산사태와 같은 토사, 벌목으로 방치된 간벌목이나 낙엽에 의하여 배수로에 유입으로 쌓여서 빗물의 흐름의 차단이 발생으로서 범람이나 침수로 인하여, 하측부위에 구축되는 도로나 택지 등에 범람하는 빗물과 같이 토사가 밀려 내려옴으로서 막대한 인명이나 재산상의 피해의 발생이 많은 것이다.
이는 지구의 온난화상태로 인한 생태계 변화에 따른 국지적인 집중호우로 갑자기 쏟아지는 호우가, 상기 지표에 침투로 절개지의 성토층에 침투된 빗물에 의하여, 연약되어진 절개지 등이 경사지는 하측 방향으로 토사와 같이 암석 등도 붕괴로 이어져, 도로 등에 범람으로, 주행하는 차량을 덮쳐주는 위험한 현상의 발생과 같은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연약한 비탈면에 집중 호우 등으로 쏟아지는 빗물과 같이 흘러주는 토사, 간벌목, 낙옆 등을 걸러주는 걸름망의 하측구간에 집수조를 구축시켜 주되, 상기 집수조의 전, 좌우벽면에는 침전된 토사에 량에 따라 빗물이 배축되는 배수관을 각각 구비로서, 산사태 등의 범람으로 매몰 및 범람의 위험을 차단시켜서, 상기 비탈면의 하측 지역에 구축되는 시설물에 대한 피해를 방지하고, 또한 집중호우로 쏟아지는 빗물을 분리로 배수되도록 구비함으로서, 비탈면에서 붕괴를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배출하여 주도록 제공함으로서, 비탈면의 하측구간에 구축되는 도로, 주택과 같은 시설물을 보호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양측으로 경사지가 구비되는 오목부위에 따른 골짜기(60)에 구비되는 블록몸체(70)와, 상기 블록몸체(70)의 전측으로 배출구가 관통으로 돌출하도록 연결되는 이송관(72)와, 상기 이송관(72)의 하측은 도로(90)의 사이드에 구비된 배수관로(52)로 향하도록 구비되는 비탈면용 배수블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70)를 저수공간(85)이 구비된 저수조(100)와, 상기 저수조(100)의 전측면(101)에는 매인배출구(71)로 관통되도록 연결된 매인 이송관(75)와, 상기 전측면(101)의 하측에 보조배출구(171)로 관통되도록 연결된 보조 이송관(172)와, 상기 보조 이송관(172)의 단부를 매인 이송관(75)과 연결시켜 주는 접합부(a)와,
상기 블록몸체(70)의 좌우측면(102)에 보조배출구(271)로 관통되도록 연결된 측면 이송관(272)를 저측구간의 배수관로(52)로 돌출시켜 주고,
상기 저수조(100)의 상측단에서 상측 골짜기(60)로 개부되도록 만곡으로 돌출되는 만곡유도벽(65)의 유입구(72)로 유입된 빗물이 저수조(100)의 내측공간(85)로 유입시켜 주되, 상기 만곡유도벽(65)의 측단부에 형성된 유입구(74)에 조립되는 걸름망체(77)로 저수조(100)의 저수공간(85)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걸러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전측면(101)의 좌,우측부에서 제2보조배출구(271)로 관통되도록 연결된 제2보조 이송관(272)와, 상기 제2보조 이송관(272)의 단부를 매인 이송관(75)의 하측구간에 연결시켜 주는 제2접합부(b)와,
상기 제2접합부(b)가 연결된 매인 이송관(75)의 하측구간으로 크기가 확대로서 합쳐진 빗물을 안정적으로 배출시켜 주고,
상기 저수조(100)의 상측단의 하측구간에서 돌출되어서 하측 비탈면(166) 방향으로 만곡상태로 돌출되는 만곡월파벽(165)과, 상기 만곡월파벽(165)에 관통되는 배구공간(175)과, 상기 저수조(100)의 상측단에 조립되는 스틸그레이트(80)로 저수공간(85)으로 유입되는 부유물을 걸러서 월파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도로나 택지조성용 비탈면에서 국지적인 폭우 등으로 배수로를 월경함으로서, 발생하는 경사면이나 배수로의 매몰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토된 경사면에 대하여 폭우로 인하여 불어나는 빗물을 분리하여서 별도의 호오스로 안전한 장소로 배출하여 주도록 제공함으로서, 침수로 인하여 약화된 지반에 대한 침하의 매몰 현상을 방지하여 주도록, 비탈면에 대한 지지로 건설되는 도로 및 시설물과 같은 조성물이 침하 또는 쇄골로 발생에 의한 사고 발생을 방지하여 주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1는 종래에 사용되는 부분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
도3은 도2에서 A-A선 단면도
도4는 도2에서 사용 사태의 요부 단면도
도5는 도2에서 요부에 대한 시공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6은 도5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8은 도7에서 요부에 대한 시공상태의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은 산골짜기의 연약지역이나 골짜기 지역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폭우 등의 급류로 산사태나 낙석 등의 피해를 방지하도록 골짜기의 비탈면에 매설되는 집수통에서 빗물을 걸러서, 급류로 부유되는 간벌목이나 토사를 걸러줌으로서 골짜기에서 쇄골이나 침하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따라서 상기 설명된 요부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을 하면,
도1는 종래에 사용되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에서 A-A선 단면도이며, 도4는 도2에서 사용 사태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5는 도2에서 요부에 대한 시공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6은 도5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7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8은 도7에서 요부에 대한 시공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탈면(66)의 골짜기(60)의 하측구간으로 구축된 도로(90) 또는 택지 개발을 위하는 토지가 폭우 등으로 범람이나 산사태로 피해의 발생을 방지하여 주도록, 비탈면(66)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걸러주면서 분산으로 이송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고로 첨부된 도면에 의거 현장 적용을 위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산골짜기에 따라 빗물이 흐르는 오목부위의 골짜기(60)에서 소정의 구간에다 구비되는 블록몸체(70)와,
상기 블록몸체(70)의 전측구간인 저측의 골짜기 방향으로 배출구가 관통으로 돌출하도록 연결되는 이송관(72)과, 상기 이송관(72)의 하측은 도로(90)의 사이드에 구비된 배수관로(52)로 향하도록 구비되는 비탈면용 배수블럭으로 제공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급격한 경사지의 연약지역에서 폭우로 발생하는 산사태를 방지하여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양측으로 경사지가 구비되는 오목부위에 따른 골짜기(60)에 구비되는 블록몸체(70)를 소정의 저수공간(85)가 구비되도록 전측벽면(101)과 좌우측벽면(102)로 구비되면서 소정의 저수공간(85)을 형성시켜 주는 저수조(100)와, 상기 저수공간(85)에 유입된 빗물로 인하여 유입되는 토사 및 잔가지 등의 폐목재가 바닥면(89)으로부터 쌓여 줌으로서 점차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집수조(100)의 높이구간에서 장기간 폭우로 쌓여지는 토사의 침전물에 대한 높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골고루 배출로서, 가능한 안정적으로 골짜기에서 배출하도록 제공시켜 줌으로서, 폭우가 내리더라도 장기간 배출을 골고루 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폭우의 초기에는 쌓이는 토사가 적어서 배출하여 주는 빗물이 비교하여 차등적으로 원활하게 배수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저수조(100)의 전측벽면(101)에는 매인배출구(71)로 관통되도록 연결된 매인 이송관(75)와, 상기 전측벽면(101)의 하측에 보조배출구(171)로 관통되도록 연결된 보조 이송관(172)와, 상기 보조 이송관(172)의 단부를 매인 이송관(75)과 연결시켜 주는 접합부(a)로 구비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전측벽면(101)에 관통되는 매인배출구(71)의 유입구에는 쌓이는 토사, 자갈 등을 걸러주어서, 이송관(75)의 막힘을 방지시켜 주도록 걸름철망(88)로 고정시켜 주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수공간(85)에 유입되는 빗물을 신속히 배출하도록 설치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블록몸체(70)의 좌우측벽면(102)에 보조배출구(271)로 관통되도록 연결된 측면 이송관(272)를 만곡으로 연결로서 비탈면(66)에 구축된 집수조(100)의 저측구간에 매설된 배수관로(52)로 연결되도록 돌출시켜 준다.
또한 집수조(100)의 상측면의 높이에 맞추어 주는 골짜기(60)의 바닥면으로 맞추어서 매설시켜 준다. 고로 골짜기(60)에 따라 유입되는 홍수에는 토사, 간벌목, 낙옆 등이 부유로서 혼입되는 바. 상기 유입된 홍수를 걸러줌으로서 빗물 만 유입되고, 나머지 부유물인 간벌목, 낙옆, 자갈 등을 걸러주기 위하여,
상기 저수조(100)의 상측단에서 상측 골짜기(60)로 개부되도록 만곡으로 돌출되는 만곡유도벽(65)의 유입구(74)로 유입된 빗물이 저수조(100)의 내측공간(85)로 유입시켜 주되, 상기 만곡유도벽(65)의 측단부에 형성된 유입구(74)에서 저수조(100)의 상측에 인접으로 조립되는 걸름망체(77)로 저수조(100)의 저수공간(85)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걸러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기후변화 등으로 급격하게 내리는 폭우에 대한 안정적인 배수를 위한 발명으로서, 상기 집수조(100)의 양측 측벽면(102)에 다양한 배수구를 설치로 구비함므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이는 상기 집수도에 유입되는 시간이 경과로 점점 토사 등이 순차적으로 쌓이는 과정에서, 상측으로 관통된 배출구로 배수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으로서, 상기 전측면(101)의 좌,우측부에서 제2보조배출구(271)로 관통되도록 연결된 제2보조 이송관(272)와, 상기 제2보조 이송관(272)의 단부를 매인 이송관(75)의 하측구간에 연결시켜 주는 제2접합부(b)와,
상기 제2접합부(b)가 연결된 매인 이송관(75)의 하측구간으로 크기가 확대로서 합쳐진 빗물을 안정적으로 배출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골짜기(60)에서 폭우로 떠내려오는 간벌목이나 낙옆, 바윗덩어리 등을 1차로 걸러주는 과정에서, 계속적으로 홍수로 밀려오는 부유물은 후술로 설명되는 스틸그레이트(80)의 배수 및 걸름역할로 쌓야주면서 비탈면(60)의 하측구간으로 넘쳐흘러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 와 같이, 상기 저수조(100)의 상측단의 하측구간에서 돌출되어서 하측 비탈면(166) 방향으로 만곡상태로 돌출되는 만곡월파벽(165)과, 상기 만곡월파벽(165)에 관통되는 배수공간(175)의 구비하는 발명이며, 여기서 상기 저수조(100)의 상측단에 조립되는 스틸그레이트(80)로 저수공간(85)으로 유입되는 부유물을 걸러서 월파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집수조(100)에 걸러진 낙엽이나 쌓여진 토사는, 필요에 따라 청소작업 등으로 재거하여 준다.
또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송관(72)은 별도의 배수관(71)을 연결시켜서 과잉의 빗물을 안전한 장소인 제2배수로관(152)으로 이동시켜 주면서 배출하여 주도록 제공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집수조(100)는 경사지면서 낮은 지역으로 빗물이 흐르는 배수관로를 매설 등으로 조성되는 연약지반 등의 절개지에 맞추어서 사용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일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변경, 변형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52. 배수관로 60. 골짜기 65. 만곡유도벽 66. 비탈면
71. 매인배출구 72. 이송관 74. 유입구 75. 매인 이송관
77. 걸름망체 85. 배수공관 100. 저수조 101. 전측면
171. 보조배출구 172. 보조이송관 175. 배수공간

Claims (2)

  1. 양측으로 경사지가 구비되는 오목부위에 따른 골짜기(60)에 구비되는 블록몸체(70)와, 상기 블록몸체(70)의 전측으로 배출구가 관통으로 돌출하도록 연결되는 이송관(72)와, 상기 이송관(72)의 하측은 도로(90)의 사이드에 구비된 배수관로(52)로 향하도록 구비되는 비탈면용 배수블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70)를 저수공간(85)이 구비된 저수조(100)와, 상기 저수조(100)의 전측면(101)에는 매인배출구(71)로 관통되도록 연결된 매인 이송관(75)와, 상기 전측면(101)의 하측에 보조배출구(171)로 관통되도록 연결된 보조 이송관(172)와, 상기 보조 이송관(172)의 단부를 매인 이송관(75)과 연결시켜 주는 접합부(a)와,
    상기 블록몸체(70)의 좌우측면(102)에 보조배출구(271)로 관통되도록 연결된 측면 이송관(272)를 저측구간의 배수관로(52)로 돌출시켜 주고,
    상기 저수조(100)의 상측단에서 상측 골짜기(60)로 개부되도록 만곡으로 돌출되는 만곡유도벽(65)의 유입구(74)로 유입된 빗물이 저수조(100)의 내측공간(85)로 유입시켜 주되, 상기 만곡유도벽(65)의 측단부에 형성된 유입구(74)에 조립되는 걸름망체(77)로 저수조(100)의 저수공간(85)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걸러주도록 제공되는 비탈면의 산사태방지용 배수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면(101)의 좌,우측부에서 제2보조배출구(271)로 관통되도록 연결된 제2보조 이송관(272)와, 상기 제2보조 이송관(272)의 단부를 매인 이송관(75)의 하측구간에 연결시켜 주는 제2접합부(b)와,
    상기 제2접합부(b)가 연결된 매인 이송관(75)의 하측구간으로 크기가 확대로서 합쳐진 빗물을 안정적으로 배출시켜 주고,
    상기 저수조(100)의 상측단의 하측구간에서 돌출되어서 하측 비탈면(166) 방향으로 만곡상태로 돌출되는 만곡월파벽(165)과, 상기 만곡월파벽(165)에 관통되는 배구공간(175)과, 상기 저수조(100)의 상측단에 조립되는 스틸그레이트(80)로 저수공간(85)으로 유입되는 부유물을 걸러서 월파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비탈면의 산사태방지용 배수블럭.
KR1020160158786A 2016-11-26 2016-11-26 비탈면의 산사태 방지용 배수블럭 KR20180059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786A KR20180059667A (ko) 2016-11-26 2016-11-26 비탈면의 산사태 방지용 배수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786A KR20180059667A (ko) 2016-11-26 2016-11-26 비탈면의 산사태 방지용 배수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667A true KR20180059667A (ko) 2018-06-05

Family

ID=6263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786A KR20180059667A (ko) 2016-11-26 2016-11-26 비탈면의 산사태 방지용 배수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9667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996B1 (ko) * 1998-04-02 2000-11-15 이상덕 개량된 배수구
KR200292730Y1 (ko) * 2002-07-26 2002-10-25 주식회사 경기기술단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
KR200405382Y1 (ko) * 2005-10-07 2006-01-10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KR20090014529A (ko) * 2007-08-06 2009-02-11 민승기 배수관에서 배수 유도장치
KR20140122782A (ko) * 2013-04-11 2014-10-21 민승기 옹벽용 배수로에서 배수 촉진장치
KR20140125678A (ko) * 2013-04-19 2014-10-29 민승기 사방댐에서 배수 촉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996B1 (ko) * 1998-04-02 2000-11-15 이상덕 개량된 배수구
KR200292730Y1 (ko) * 2002-07-26 2002-10-25 주식회사 경기기술단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
KR200405382Y1 (ko) * 2005-10-07 2006-01-10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KR20090014529A (ko) * 2007-08-06 2009-02-11 민승기 배수관에서 배수 유도장치
KR20140122782A (ko) * 2013-04-11 2014-10-21 민승기 옹벽용 배수로에서 배수 촉진장치
KR20140125678A (ko) * 2013-04-19 2014-10-29 민승기 사방댐에서 배수 촉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6287B2 (ja) 雨水排水システム
US20210381215A9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US20220356691A1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JP2009127359A (ja) 側溝の排水構造
KR101111302B1 (ko)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CN214737362U (zh) 一种通过伸缩缝的桥面排水收集系统
KR101673421B1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322622B1 (ko) 저류 공간이 확보된 측구시설
JP2008255757A (ja) 流出抑制街渠工
KR101316313B1 (ko) 저류조를 이용한 계곡수용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KR20180059667A (ko) 비탈면의 산사태 방지용 배수블럭
KR100983160B1 (ko)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KR20180066981A (ko) 토사 걸름대가 구비된 배수블럭
KR200224137Y1 (ko)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KR101356964B1 (ko) 도로 집수정
KR20160061284A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KR100776621B1 (ko) 토석류에 의한 재해방지용 말뚝 구조물
KR101218649B1 (ko) 비탈면의 지지용 블럭
KR101010204B1 (ko) 하천의 제방용 배수장치
KR101050233B1 (ko) 하천의 제방에서 부유물 걸름장치
JP6391008B2 (ja) 雨水貯溜管路構造とそれに用いる雨水桝
EP1001086A1 (en) Paving element and street provided with a series of such paving elements
JP7487048B2 (ja) 人工芝の排水構造および人工芝排水システム
KR100973298B1 (ko)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JP3232449U (ja) 暗渠型側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