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233B1 - 하천의 제방에서 부유물 걸름장치 - Google Patents

하천의 제방에서 부유물 걸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233B1
KR101050233B1 KR1020100000660A KR20100000660A KR101050233B1 KR 101050233 B1 KR101050233 B1 KR 101050233B1 KR 1020100000660 A KR1020100000660 A KR 1020100000660A KR 20100000660 A KR20100000660 A KR 20100000660A KR 101050233 B1 KR101050233 B1 KR 101050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side
river
drainage
wall surface
flo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049A (ko
Inventor
민승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100000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233B1/ko
Publication of KR20100012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16Fixed weirs; Superstructures or flash-boar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상에 설치되는 바닥면의 양측에 내,외측벽면을 소정의 높이로 돌출하고, 상기 내,외측벽면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측면에 의해 내측공간이 형성되며, 하천의 제방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측면의 양측모서리에는 확대부와 난간을 돌출하여서 범람에 대한 예방과 이동로로 형성하여 주며, 상기 내측벽면의 상측부에는 유입간격을 관통 형성하며, 상기 유입간격과 유입간격 사이에는 지지기둥을 형성하며, 상기 내측벽면에서 내측공간의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대를 형성하며, 상기 경사대의 상측 끝단에서 상측면의 저면까지 지지기둥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기둥 사이마다 유입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천이나 저수지용 제방에서 폭우 등으로 인하여 유수가 불어나는 경우, 과잉의 물을 배수에 의한 하천 등의 쇄골 및 범람의 현상을 방지하여 주도록 제공하며, 쓰레기, 나무 등의 부유물이 배수장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수효율이 향상되고, 수해를 방지하여 주도록 하여서 안정적으로 제방에서 적절량의 배수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하천, 유입부, 확대부, 이동로

Description

하천의 제방에서 부유물 걸름장치 {Drainage pipe of bank using river}
본 발명은 하천이나 유수지 및 저수지의 일측에 구성된 제방에서 폭우 등으로 인한 범람을 방지하기 위고, 과잉 배수되는 물을 안전지역으로 이동하여서 배수되는 제방에서 부유물을 걸러주도록 구성되는 하천의 제방에서 부유물 걸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은 대부분 산등성이와 들판을 번갈아서 통과하는데, 대부분 들판과 같은 낮은 구간의 평야지대 등의 가장자리에 구축되는 제방은 하천을 흐르는 배수물이 폭우 등으로 범람하면, 하천의 크기에 따른 하수의 이동에 대한 허용량을 넘쳐흐르면서 대부분 토석 등을 성토하여 구축되는 제방에, 물이 스며들면서 연약해지므로 흐르는 물의 압력에 의하여 파손이 되므로, 이에 따라 엄청난 피해를 유발하는 것이다.
또한, 하천(62)의 가장자리에 구축하여서 하상을 구획하는 제방(50)은, 토석을 쌓아서 구축하는데, 이는 하천의 길이에 따라 제방을 구축하기 위하여서는 과량의 토석이 필요하므로, 이에 따른 토석 및 운반비용의 과다가 소요되는 것이다.
또한, 산업의 고도화로 인하여 공시지가의 상승으로 인하여 토지의 사용에 대한 비용의 과다한 증가로, 한정된 지역을 최대한 개발하여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경사지 등에서 성토하여서 사용이 많으므로 홍수 및 폭우 등에 취약한 면이 많은 현실이다.
즉, 현대 사회에서 산업화에 따른 온난화 현상으로 국지적인 폭우 및 홍수 등이 발생하므로, 이로 인하여 낮은 지역이나 주거지 및 농지, 화혜 단지 등은 농수 문제 등으로 하천의 가까운 곳에서 도회지의 부근에서 경작하고 있다.
또한, 도심에서는 대부분 하천이 지나게 되는데, 도로의 개설을 위하여서는 도심에서 도로개설에 의한 비용의 과다로 인하여 하천 변의 경사지를 이용하는데, 이것은 오히려 하천에서 홍수 등으로 과량의 물이 흐르는데 방해의 역할을 하므로, 오히려 범람의 요인이 되는 것이다.
하천에서 홍수 등으로 과량의 물이 흐르는 경우, 물이 흐르는 량이 몰려있는 물마루 현상을 이루면서 흐르는데, 대부분 도심지 또는 농경지에서 석재 또는 토사 등으로 축조되는 제방을 지나면서는 제방을 구성하고 있는 토사에 물이 침투하여서, 이로 인하여 토사의 연약성 증가로 대부분 범람의 위험이 높은 상태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도심지에서는 폭우로 인하여 장마가 지면 인근을 흐르는 하천의 물이 불어남으로서, 이에 따라 부유되어 내려오는 부유물은, 자연적인 배수가 어려우므로, 일정지역으로 집수를 한 다음, 배수펌프를 이용하여서 하천으로 배수를 하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지형상 만곡되는 하천에서 폭우 등으로 만수가 되는 하수물이 만곡되는 외측 방향의 제방으로 흐르는 물의 압력이 가해지는데,
여기서 물의 압력을 흡수하는 여러 가지 구조가 제공되었으나, 근본적인 해 결로 제방의 안전과 하천 물의 범람의 발생에 대한 예방에는 더 정교한 구조가 필요하는 현실이다.
고로, 상기 빗물의 과다한 흐름 현상으로 갑자기 도로 및 주택이 범람하여 주므로 이에 대한 대피할 시간도 없이 막대한 수해의 손실을 발생하여 주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하천의 가장자리인 제방의 위치에서 돌출되는 벽면의 유입부로 개방되면서 하천의 홍수의 넘쳐흐르는 물을 유입하여 유도하는 배수장치의 내측공간으로 용이하게 유도되어 배출시키도록 하는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천과 함께 흐르는 쓰레기, 나무 등과 같은 부유물이 배수장치의 내측공간으로 유입되지 않아 배수장치의 배수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과제가 있다.
하상에 설치되는 바닥면(51)의 양측에 내,외측벽면(54)(55)을 소정의 높이로 돌출하고, 상기 내,외측벽면(54)(55)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측면(89)에 의해 내측공간(65)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면(89)의 양측모서리에는 확대부(78)와 난간(80)을 돌출하여서 범람에 대한 예방과 이동로(95)로 형성하여 주며, 상기 내측벽면(54)의 상측부에는 유입간격(93)을 관통 형성하며,
상기 유입간격(93)과 유입간격(93) 사이에는 지지기둥(59)을 형성하며, 하천(62)의 제방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면(54)에서 내측공간(65)의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대(90)를 형성하며, 상기 상측면(89) 저면에는 고정리브(79)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리브(79)에는 지지앵글(73)을 힌지(76) 결합하고,
상기 경사대(90)의 상측 끝단에는 지지앵글(73)을 결합하며,
상기 상측면(89) 측 지지앵글(73)과 경사대(90) 측 지지앵글(73) 사이에는 경사지는 걸름망(71)을 조립 고정하여 주고, 상기 경사대(90)의 상측 끝단에서 상측면(89)의 저면까지 지지기둥(92)의 사이마다 유입부(57)가 형성됨으로 정체구간(a)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천이나 저수지용 제방에서 폭우 등으로 인하여 유수가 불어나는 경우, 과잉의 물을 배수에 의한 하천 등의 쇄골 및 범람의 현상을 방지하여 주도록 제공하며, 쓰레기, 나무 등의 부유물이 배수장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수효율이 향상되고, 수해를 방지하여 주도록 하여서 안정적으로 제방에서 적절량의 배수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장치의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장치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배수장치는 하천(62)의 제방(50)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며, 하상에 설치되는 바닥면(51)의 양측에는 내,외측벽면(54)(55)이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다.
내,외측벽면(54)(55)의 상면에는 상측면(89)이 덮혀 바닥면(51)과 내,외측벽면(54)(55) 및 상측면(89)에 의해 내측공간(65)이 형성된다.
배수장치의 상측면(89) 양측모서리에는 범람에 대한 예방과 동물의 이동로(95)를 제공하여 주기 위해 확대부(78)와 난간(80)을 돌출하여 준다.
그리고, 내측벽면(54)의 상부측에는 유입간격(93)이 소정의 간격마다 다수 형성되고, 유입간격(93) 사이에는 지지기둥(59)이 형성된다.
또한, 유입간격(54)의 하부 내측벽면(54)에서 배수장치의 내측공간(65) 측의 상부방향으로는 경사대(90)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상측면(89)의 저면에는 고정리브(79)를 형성하고, 고정리브(79)에는 지지앵글(73)을 힌지(76) 결합한다.
그리고 경사대(90)의 상측 끝단에도 지지앵글(73)을 결합한다.
상기 상측면(89)의 고정리브(79)에 결합된 지지앵글(73)과 경사대(90)의 지지앵글(73) 사이에는 경사지는 걸름망(71)을 결합한다.
이는 상기 경사지는 걸름망(71)과 지지기둥(92) 사이마다 형성된 유입부(57) 사이에는 상기 경사지는 걸름망(71)으로부터, 출렁거리는 움직임에 의하여 경사지는 걸름망(71)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정체하는 구간(완충구간(a)으로 칭한다)을 형성시켜 준다.
또한 배수장치의 하측부에는 배수장치의 내측공간(65)으로 유입된 물이 펌프(87)를 이용하여서 배출관(88)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천(62)을 흐르는 하천수가 홍수에 의하여 만수된 상태에서 수면이 경사대(90)의 부위에 구비되는 유입간격(93)에 형성되면서, 홍수의 흐르는 압력에 의하여 출렁거리는 여건을 기준으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하천수의 가장자리에 밀려서 집중적으로 부유된 부유물이 출렁함으로서, 상기 설명되는 경사대(90)에 따라 이동되면서 밀림으로 걸러주기 위하여, 상기 경사대(90)의 기울기에 따라 경사지며 조립되도록 조립되는 걸름망(71)의 저측면에서, 하천수에 부유된 부유물을 걸러줌과 동시에 붙여주게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기 경사지는 걸름망(71)를 통과한 물(하천수)이 소정의 간격인 유입부(57)을 형성시켜 주는 지지기둥(92)을 상기 유입간격(93)에 맞추어 주는 구간을 형성함이다.
이는 상기 설명되는 경사지는 걸름망(71)에 통과하는 하천수가 유입부(57)와 걸름망(71) 사이의 정체구간(a)에 정체를 하는 순간에, 하천수의 출렁으로 인하여 하천수가 빠져나가는 여파에 의하여, 상기 정체구간(a)에 정체된 하천수가 상기 경사지는 걸름망(71)의 상측으로부터 통과로 흘러줌으로서 상기 걸름망(71)의 하측면에 붙여있는 부유물이 하천수와 함께 분리가 되면서 하천수로 혼입이 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이는 경사지는 걸름망(71)에 의하여 배수장치의 배수공간(65)으로 순수한 물남 유입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따라서 하천(62)에서 범람하면서 넘치는 물은 내측벽면(54)의 유입간격(93)으로 유입되면서 걸름망(71)에 의해 걸러진 후 유입부(57)로 유입되어 배수장치의 내측공간(65)으로 유입된다.
이때, 하천(62)에 부유하면서 떠 내려오는 나무조각, 쓰레기 등의 부유물은 유입부(57) 전면에 경사지며 조립 고정된 걸름망(71)에 의해 걸러져 배수장치의 내 측공간(65)으로 유입되지 않고 하천(62)을 따라 그대로 흘러가게 된다.
그러므로, 배수 효율이 좋아져 침수나 붕괴의 염려가 줄어들게 된다.
도1은 종래에 제공되는 제방에 대한 요부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장치의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장치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장치의 하부측 일부 단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제방 51 : 바닥면
54 : 내측벽면 55 : 외측벽면
57 : 유입부 59 : 지지기둥
71 : 경사지는 걸름망 73 : 지지앵글
78 : 확대부 79 : 고정리브
76 : 힌지 80 : 난간
90 : 경사대 93 : 유입간격

Claims (2)

  1. 하상에 설치되는 바닥면(51)의 양측에 내,외측벽면(54)(55)을 소정의 높이로 돌출하고, 상기 내,외측벽면(54)(55)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측면(89)에 의해 내측공간(65)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면(89)의 양측모서리에는 확대부(78)와 난간(80)을 돌출하여서 범람에 대한 예방과 이동로(95)로 형성하여 주며,
    상기 내측벽면(54)의 상측부에는 유입간격(93)을 관통 형성하며,
    상기 유입간격(93)과 유입간격(93) 사이에는 지지기둥(59)을 형성하며, 하천(62)의 제방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면(54)에서 내측공간(65)의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대(90)를 형성하며,
    상기 상측면(89) 저면에는 고정리브(79)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리브(79)에는 지지앵글(73)을 힌지(76) 결합하고,
    상기 경사대(90)의 상측 끝단에는 지지앵글(73)을 결합하며,
    상기 상측면(89) 측 지지앵글(73)과 경사대(90) 측 지지앵글(73) 사이에는 경사지는 걸름망(71)을 조립 고정하여 주고, 상기 경사대(90)의 상측 끝단에서 상측면(89)의 저면까지 지지기둥(92)의 사이마다 유입부(57)가 형성됨으로 정체구간(a)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제방에서 부유물 걸름장치.
  2. 삭제
KR1020100000660A 2010-01-04 2010-01-04 하천의 제방에서 부유물 걸름장치 KR101050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660A KR101050233B1 (ko) 2010-01-04 2010-01-04 하천의 제방에서 부유물 걸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660A KR101050233B1 (ko) 2010-01-04 2010-01-04 하천의 제방에서 부유물 걸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778A Division KR101010204B1 (ko) 2007-06-18 2007-10-25 하천의 제방용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049A KR20100012049A (ko) 2010-02-04
KR101050233B1 true KR101050233B1 (ko) 2011-07-22

Family

ID=42086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660A KR101050233B1 (ko) 2010-01-04 2010-01-04 하천의 제방에서 부유물 걸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2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2356A (zh) * 2016-08-22 2016-12-14 巫忠胜 鱼塘自动保护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791Y1 (ko) 2001-11-21 2002-03-13 배순순 생태환경 보호구조를 갖는 수로
KR200316432Y1 (ko) 2003-03-22 2003-06-18 (주)한도엔지니어링 하천 수질정화를 위한 취입보의 설치구조
KR200341022Y1 (ko) * 2003-11-13 2004-02-11 (주) 서광건설엔지니어링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
KR200407931Y1 (ko) 2005-11-02 2006-02-07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저수기능을 갖는 하천의 자연정화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791Y1 (ko) 2001-11-21 2002-03-13 배순순 생태환경 보호구조를 갖는 수로
KR200316432Y1 (ko) 2003-03-22 2003-06-18 (주)한도엔지니어링 하천 수질정화를 위한 취입보의 설치구조
KR200341022Y1 (ko) * 2003-11-13 2004-02-11 (주) 서광건설엔지니어링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
KR200407931Y1 (ko) 2005-11-02 2006-02-07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저수기능을 갖는 하천의 자연정화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049A (ko) 201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6287B2 (ja) 雨水排水システム
JP6486284B2 (ja) 流体土砂堰き止め装置
KR101518865B1 (ko) 옹벽용 배수로에서 배수 촉진장치
CN109208426A (zh) 一种市政道路施工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510615B1 (ko)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2009127359A (ja) 側溝の排水構造
KR101794162B1 (ko) 부유물 수집부가 구비된 부유물 거름 시설
KR20130042224A (ko) 토석류 방호 구조물
US20200277747A1 (en) Express flood mitigation works using elevated and or at ground level with tunnel integrated large scale aqueduct with numerous functions, with main function to divert flood water or river water away from cities in order to fight or mitigate flood events and effect of global warming, with discharge invert levels to the sea higher than high tide levels
KR101050233B1 (ko) 하천의 제방에서 부유물 걸름장치
KR101124944B1 (ko) 하천의 제방용 배수장치
KR101010204B1 (ko) 하천의 제방용 배수장치
RU2703421C1 (ru) Грунтовая плотина с фильтрующим водосбросом
KR20140122781A (ko) 옹벽에서 배수 촉진용 저수조
KR20100012048A (ko) 하천의 제방용 배수장치
CN205329835U (zh) 一种兀形预制混凝土构件渗透滞留池
KR200341022Y1 (ko)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
KR101060991B1 (ko) 우수 범람 방지를 위한 배수로
KR101039619B1 (ko) 퇴사 방지용 가속수로가 형성된 하천
KR100608172B1 (ko) 담수호 구축물 및 구축방법
KR101221645B1 (ko) 비탈면의 사방댐용 걸름장치
KR101550457B1 (ko) 비탈면의 붕괴 방지용 블럭
KR100985115B1 (ko) 하천에서 배수되는 제방용 조립블럭
RU2758619C1 (ru) Грунтовая плотина с фильтрующим водосбросом
RU2687159C1 (ru) Грунтовая плотина с экраном и фильтрующим водосброс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