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172B1 - 담수호 구축물 및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담수호 구축물 및 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172B1
KR100608172B1 KR1020050021749A KR20050021749A KR100608172B1 KR 100608172 B1 KR100608172 B1 KR 100608172B1 KR 1020050021749 A KR1020050021749 A KR 1020050021749A KR 20050021749 A KR20050021749 A KR 20050021749A KR 100608172 B1 KR100608172 B1 KR 100608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ock
freshwater
lak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득용
Original Assignee
정득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득용 filed Critical 정득용
Priority to KR1020050021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곡이나 하천을 따라 흐르는 물을 저수(貯水)하는 담수호 구축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곡이나 하천의 일측 경계면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담수호의 일측벽면을 형성하며 퇴적물은 담수호로 유입되지 못하고 유수(流水)만 누수되어 담수호로 유입되도록 하는 누수식바위뚝과, 상기 누수식바위뚝의 종단부에 일측끝단이 연설되며 계곡이나 하천이 일정수위 이상으로 증가되면 담수호로 넘쳐 흘러 유입되도록 하는 콘크리트보와, 상기 콘크리트보의 타측끝단에 연설되어 있으며 누수식바위뚝과 동일한 폭과 높이로 되어 있어 누수식바위뚝과 콘크리트보를 지난 유수(流水)가 담수호 내측으로 넘쳐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콘크리트뚝과, 상기 콘크리트뚝의 종단부 일측면에 연설되어 있되 계곡이나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어 일정수위의 물만 넘쳐 흘러 계곡이나 하천의 하류로 방류되도록 하는 방류식토암댐과, 상기 콘크리트뚝의 종단부 타측면에 연설되어 있되 담수호의 하류쪽 벽면 및 타측벽면을 둘러싸 담수호에 일정수위의 물을 저수하도록 되어 있는 담수호방수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호 구축물 및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담수호 구축물, 누수식바위뚝, 콘크리트보, 방류식토암댐, 담수호방수뚝

Description

담수호 구축물 및 구축방법{A freshwater lake structure and the build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담수호 구축물이 계곡이나 하천 등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전체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담수호 구축물에 있어서 누수식바위뚝의 단면 개략도(도 1의 A-A'선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담수호 구축물에 있어서 콘크리트보의 단면 개략도(도 1의 B-B'선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담수호 구축물에 있어서 방류식토암댐의 단면 개략도(도 1의 C-C'선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담수호 구축물에 있어서 담수호방수뚝의 단면 개략도(도 1의 D-D'선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담수호 구축물 2. 담수호
3. 누수식바위뚝 4. 콘크리트보
5. 콘크리트뚝 6. 방류식토암댐
7. 담수호방수뚝 8a, 8b, 8c. 바위층
9a, 9b, 9c. 자갈층 10a, 10b. 콘크리트층
11a, 11b. 돌층 12a, 12b. 모래층
13a, 13b. 제 1흙층 14a, 14b. 진흙층
15a, 15b. 제 2흙층 16. 콘크리트구조물
17. 선단부 18. 흙보호돌층
19. 붕괴방지층 20. 배수관
본 발명은 계곡이나 하천을 따라 흐르는 물을 저수(貯水)하는 담수호 구축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곡이나 하천의 일측 경계면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담수호의 일측벽면을 형성하며 퇴적물은 담수호로 유입되지 못하고 유수(流水)만 누수되어 담수호로 유입되도록 하는 누수식바위뚝과, 상기 누수식바위뚝의 종단부에 일측끝단이 연설되며 계곡이나 하천이 일정수위 이상으로 증가되면 담수호로 넘쳐 흘러 유입되도록 하는 콘크리트보와, 상기 콘크리트보의 타측끝단에 연설되어 있으며 누수식바위뚝과 동일한 폭과 높이로 되어 있어 누수식바위뚝과 콘크리트보를 지난 유수(流水)가 담수호 내측으로 넘쳐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콘크리트뚝과, 상기 콘크리트뚝의 종단부 일측면에 연설되어 있되 계곡이나 하천을 가 로질러 설치되어 있어 일정수위의 물만 넘쳐 흘러 계곡이나 하천의 하류로 방류되도록 하는 방류식토암댐과, 상기 콘크리트뚝의 종단부 타측면에 연설되어 있되 담수호의 하류쪽 벽면 및 타측벽면을 둘러싸 담수호에 일정수위의 물을 저수하도록 되어 있는 담수호방수뚝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류로부터의 퇴적물은 담수호 내부로 퇴적되지 않고 방류식토암댐을 통하여 하류로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홍수를 효과적으로 예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호 구축물 및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적으로 구축되는 담수호(淡水湖)는 계곡이나 하천을 따라 흐르는 물을 저수하여 농업용 용수로 사용하거나 여름철 집중호우시 홍수를 예방하기 위해 구축되는 구축물로서, 종래의 담수호 구축물은 계곡이나 하천의 수로를 차단하고 댐구조물을 건설하여 계곡이나 하천을 따라 흐르는 물을 저수할 수 있는 담수호를 형성하였는데, 일반적으로 대형의 댐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이 들게 되고, 작은 계곡이나 하천 등에는 경제적 조건이나 설치조건 등의 어려움으로 담수호 구축물을 설치조차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담수호 구축물의 경우 담수호 내측 바닥면에 지속적으로 침적되는 퇴적물로 인하여 담수호가 썩어 수질이 오염됨으로써 농업용수 등으로도 사용이 불가능 하며, 여름철 집중 호우시에는 홍수 예방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담수호 내측 바닥면에 각종 퇴적물이 침적되지 않도록 하여 담수호의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평소에는 계곡이나 하천의 물이 원활하게 흐르면서 일정수위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여름철 집중호우시에는 계곡 및 하천을 따라 넘쳐 흐르는 물을 담수호에서 저장하여 홍수를 예방하도록 하고, 또 작은 계곡 및 하천에서도 적은 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계곡이나 하천의 일측 경계면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담수호의 일측벽면을 형성하며 퇴적물은 담수호로 유입되지 못하고 유수(流水)만 누수되어 담수호로 유입되도록 하는 누수식바위뚝과, 상기 누수식바위뚝의 종단부에 일측끝단이 연설되며 계곡이나 하천이 일정수위 이상으로 증가되면 담수호로 넘쳐 흘러 유입되도록 하는 콘크리트보와, 상기 콘크리트보의 타측끝단에 연설되어 있으며 누수식바위뚝과 동일한 폭과 높이로 되어 있어 누수식바위뚝과 콘크리트보를 지난 유수(流水)가 담수호 내측으로 넘쳐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콘크리트뚝과, 상기 콘크리트뚝의 종단부 일측면에 연설되어 있되 계곡이나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어 일정수위의 물만 넘쳐 흘러 계곡이나 하천의 하류로 방류되도록 하는 방류식토암댐과, 상기 콘크리트뚝의 종단부 타측면에 연설되어 있되 담수호의 하류쪽 벽면 및 타측벽면을 둘러싸 담수호에 일정수위의 물을 저수하도록 되어 있는 담수호방수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담수호 구축물(1)은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곡이나 하천을 따라 흐르는 물을 완전히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계곡이나 하천의 일측에 물이 저수(貯水)되도록 하되 담수호(2) 내부로 퇴적물이 침적되지 않고 방류식토암댐(6)을 통해 하류로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홍수를 효과적으로 예방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계곡이나 하천의 일측 경계면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담수호(2)의 일측벽면을 형성하며 퇴적물은 담수호(2)로 유입되지 못하고 유수(流水)만 누수되어 담수호(2)로 유입되도록 하는 누수식바위뚝(3)과, 상기 누수식바위뚝(3)의 종단부에 일측 끝단이 연설되며 계곡이나 하천이 일정수위 이상으로 증가되면 담수호(2)로 넘쳐 흘러 유입되도록 하는 콘크리트보(4)와, 상기 콘크리트보(4)의 타측끝단에 연설되어 있으며 누수식바위뚝(3)과 동일한 폭과 높이로 되어 있어 누수식바위뚝(3)과 콘크리트보(4)를 지난 유수(流水)가 담수호(2) 내측으로 넘쳐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콘크리트뚝(5)과, 상기 콘크리트뚝(5)의 종단부 일측면에 연설되어 있되 계곡이나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어 일정수위의 물만 넘쳐 흘러 계곡이나 하천의 하류로 방류되도록 하는 방류식토암댐(6)과, 상기 콘크리트뚝(5)의 종단부 타측면에 연설되어 있되 담수호(2)의 하류쪽 벽면 및 타측벽면을 둘러싸 담수호(2)에 일정수위의 물을 저수하도록 되어 있는 담수호방수뚝(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누수식바위뚝(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곡이나 하천의 일측 경계면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담수호(2)의 일측벽면을 형성하며 퇴적물은 담수호(2)로 유입되지 못하고 유수(流水)만 원활히 누수되어 담수호(2)로 유입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외측은 다수개의 바위들이 적층된 바위층(8a)으로 되어 있고 상기 바위층(8a)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자갈들로 이루어진 자갈층(9a)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바위층(8a)은 400 ~ 1000kg 정도의 중량을 지닌 하중이 무겁고 부피가 큰 바위들로 이루어져 있어 계곡이나 하천을 따라 흐르는 물이 불어나 강한 유속을 지닌 경우에도 무너지지 않고 단단히 지탱되도록 하며, 상기 자갈층(9a)은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적층되어 있으며 직경이 1 ~ 5cm 정도의 크기가 작은 자갈들로 이루어져 있어 계곡이나 하천의 유수(流水)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가 큰 흙이나 각종 퇴적물은 자갈층(9a)에서 차단하여 담수호(2)로 유입되지 못하여 방류식토암댐(6)을 통해 하류쪽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물만 상기 바위층(8a)과 자갈층(9a)의 틈새사이로 원활히 누수되어 담수호(2)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누수식바위뚝(3)은 밑면의 폭이 전체 높이에 1.5 ~ 2배 정도로 되어 있고 윗면의 폭은 전체 높이에 1/4 ~ 1/3배 정도로 되어 있으며, 상기 자갈층(9a)은 폭이 누수식바위뚝(3)의 밑면의 폭에 대하여 1/5 ~ 2/5배 정도로 되어 있고 그 높이는 전체 누수식바위뚝(3) 높이의 3/5 ~ 4/5배 정도로 적층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누수식바위뚝(3)의 상면부에는 소정의 높이로 콘크리트 층(10a)을 형성하여 누수식바위뚝(3)의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콘크리트보(4)는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식바위뚝(3)의 종단부에 일측 끝단이 연설된 상태로 누수식바위뚝(3)과 콘크리트뚝(5)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비투수성인 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져 있어 물이 누수되지 못하고 계곡이나 하천의 물이 불어나 일정수위 이상으로 증가되면 콘크리트보(4)의 상부쪽으로 넘쳐 흘러 담수호(2)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되, 단면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밑면 및 윗면의 폭이 누수식바위뚝(3)의 밑면 및 윗면의 폭에 대하여 각각 1/2 ~ 3/5배 정도로 되어 있고 높이는 누수식바위뚝(3)의 높이에 대하여 3/5 ~ 4/5배 정도로 되어 있다.
상기 콘크리트뚝(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곡이나 하천의 일측 경계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되 전체적으로 비투수성 콘크리트 재질로 되어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보(4)의 타측끝단에 연설되어 있고 누수식바위뚝(3)과 동일한 높이와 폭으로 되어 있어 누수식바위뚝(3)과 콘크리트보(4)를 지난 유수(流水)가 담수호(2) 내측으로 넘쳐 흐르지 못하게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방류식토암댐(6)은 도 1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뚝(5)의 종단부 일측면에 연설되어 있되 계곡이나 하천을 전체적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어 일정수위 이상의 물만 방류식토암댐(6)의 상부쪽으로 넘쳐 흘러 계곡이나 하천의 하류로 방류하는 부분으로,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바위층(8b)과 돌층(11a)과 자갈층(9b)과 모래층(12a)과 제 1흙층(13a)과 진흙층(14a)과 제 2흙층(15a)이 계곡이나 하천의 하류쪽에서부터 상류쪽으로 차례로 기대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방류식토암댐(6)의 상면부에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닌 콘크리트층(10b)이 형성되어 있어 유수(流水)에 의해 각 층을 이루는 입자가 쓸려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방류식토암댐(6)은 밑면의 폭이 누수식바위뚝(3)의 밑면의 폭과 동일하고 윗면의 폭은 밑면의 폭에 대하여 1/2배 정도로 되어 있으며 그 높이는 누수식바위뚝(3)의 1/2 ~ 2/3배 정도(밑면의 폭에 대하여는 1/3배 정도)의 높이로 되어 있고, 상기 바위층(8b)은 전체 방류식토암댐(6)의 부피에 대하여 2/8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돌층(11a)과 자갈층(9b)과 모래층(12a)과 제 1흙층(13a)과 진흙층(14a)과 제 2흙층(15a)은 전체 방류식토암댐(6)의 부피에 대하여 각각 1/8정도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바위층(8b)은 계곡이나 하천의 바닥면에서부터 일정높이로 적층되어 있고 400 ~ 1000kg 정도의 중량을 지닌 하중이 무겁고 부피가 큰 바위들로 이루어져 있어 계곡이나 하천을 따라 흐르는 물이 집중 호우시 불어나 강한 유속을 지닌 경우에도 방류식토암댐(6)이 무너지지 않고 단단히 지탱되도록 하며, 상기 돌층(11a)은 바위층(8b)과 같은 높이로 바위층(8b)에 기대어진 상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바위층(8b)을 이루는 바위들의 틈새사이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직경이 10 ~ 20cm정도의 크기를 지닌 돌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자갈층(9b)은 돌층(11a)과 같은 높이로 돌층(11a)에 기대어진 상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돌층(11a)을 이루는 돌들의 틈새사이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직경이 1 ~ 5cm 정도의 크기가 작은 자갈들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바위층(8b)과 돌층(11a)과 자갈층(9b)의 상면부에는 소정의 두께를 지닌 콘크리트 구조물(16)이 설치되어 상부를 덮어줌으로써 상기 바위층(8b)과 돌층(11a)과 자갈층(9b)이 강한 유수(流水)의 흐름에 의해 하류쪽으로 쓸려 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6)은 선단부(17)가 하부쪽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자갈층(9b)의 전면 상부쪽에 걸려있어 강한 유수의 흐름에도 콘크리트 구조물(16)이 안정적으로 지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래층(12a)은 콘크리트 구조물(16)이 설치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상기 자갈층(9b)에 기대어진 상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자갈층(9b)을 이루는 자갈들의 틈새사이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직경이 0.2 ~ 1mm 정도의 크기가 굵은 모래들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제 1흙층(13a)은 모래층(12a)이 설치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상기 모래층(12a)에 기대어진 상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모래층(12a)을 이루는 모래들의 틈새사이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직경이 0.1 ~ 0.01mm 정도의 크기를 지닌 흙으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진흙층(14a)은 제 1흙층(13a)이 설치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상기 제 1흙층(13a)에 기대어진 상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제 1흙층(13a)을 이루는 흙의 틈새사이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직경이 0.001 ~ 0.0001mm 정도의 크기를 지닌 진흙으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진흙층(14a)의 전면부에는 상기 제 1흙층(13a)과 동일한 직경을 지닌 제 2흙층(15a)이 진흙층(14a)에 기대어진 상태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제 2흙층(15a)의 전면부는 통상의 벽돌 등과 같은 크기의 흙보호돌층(18)으로 덮여져 있어 유수의 흐름에 의해 제 2흙층(15a)이 휩쓸려 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담수호방수뚝(7)은 도 1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뚝(5)의 종단부 타측면에 연설되어 있되 계곡이나 하천의 경계면과 맞닿아 있는 담수호(2)의 일측 벽면을 제외한 나머지 하류쪽 벽면 및 타측벽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싸 담수호(2)에 일정수위의 물을 저수하도록 되어 있는 부분으로,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 1흙층(13b)과 진흙층(14b)과 제 2흙층(15b)이 담수호(2)의 외부에서부터 내부쪽으로 차례로 기대어 적층되어 있되, 상기 제 1흙층(13b)의 하부 내측에는 바위층(8c)과 돌층(11b)과 자갈층(9c)과 모래층(12b)이 차례로 기대어진 상태로 적층된 붕괴방지층(19)이 형성되어 있어 담수호방수뚝(7)의 하부를 단단히 지지해 줌으로써 많은 양의 물이 저수된 경우에도 담수호방수뚝(7)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담수호방수뚝(7)은 밑면의 폭이 누수식바위뚝(3)의 밑면의 폭에 대하여 2 ~ 2.5배 정도이며 윗면의 폭은 밑면의 폭에 대하여 1/4배 정도로 되어 있고 그 높이는 밑면의 폭에 대하여 1/3배 정도의 높이로 되어 있어 담수호(2)의 둘레부분을 단단히 지탱하여 내부에 많은 물을 저수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1흙층(13b)은 전체 담수호방수뚝(7)의 부피에 대하여 1/2정도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진흙층(14b)과 제 2흙층(15b)은 전체 담수호방수뚝(7)의 부피에 대하여 각각 1/4정도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붕괴방지층(19)은 담수호방수뚝(7) 전체 높이에 대하여 1/4 ~ 1/3정도로 되어 있고 상기 제 1흙층(13b)의 부피에 대하여 1/4 ~ 1/3정도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되, 붕괴방지층(19)의 바위층(8c)은 붕괴방지층(19)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2/5정도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돌층(11b)과 자갈층(9c)과 모래층(12b)은 붕괴방지층(19)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각각 1/5정도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담수호방수뚝(7)의 제 1흙층(13b)과 진흙층(14b)과 제 2흙층(15b) 및 붕괴방지층(19)의 바위층(8c)과 돌층(11b)과 자갈층(9c)과 모래층(12b)은 각 구성자재가 상기 방류식토암댐(6)을 구성하는 자재와 동일한 직경과 크기를 지닌 것들이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담수호방수뚝(7)의 하부에는 담수호방수뚝(7)의 폭방향으로 관통된 상태로 배수관(20)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배수관(20)을 통해 담수호(2) 내부에 저수된 물을 배수하여 농업 및 공업용 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담수호방수뚝(7)의 상류쪽 벽면은 통상적인 뚝을 설치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본원고안에 따른 담수호방수뚝(7)을 설치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담수호방수뚝(7)의 상면부에는 소정의 높이로 자갈과 모래를 깔아 우천시에도 흙층으로 이루어진 담수호방수뚝(7)이 잘 쓸려내려가지 않도록 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계곡이나 하천의 상류에서 흘러내려온 물은 계곡이나 하천의 일측 경계면을 따라 설치된 누수식바위뚝(3)을 지나쳐 흐르면서 누수식바위뚝(3)의 바위층(8a)과 자갈층(9a)의 틈새를 통해 물만 누수되어 담수호(2)로 지속적으로 유입됨으로써 담수호(2)가 일정 수위를 유지하게 되고, 입자가 큰 각종 퇴적물이나 흙은 틈새사이가 작은 자갈층(9a)을 통과하지 못하여 담수호(2)로 유입되지 않고 방류식토암댐(6)을 통해 하류로 배출되어 담수호(2) 내에 퇴적물이 침적되지 않아 깨끗한 수질을 지닌 담수호를 유지하게 되며, 계곡이나 하천의 일측 경계면을 따라 길게 설치된 누수식바위뚝(3)과 콘크리트보(4)와 콘크리트뚝(5)을 지나친 유수(流水)는 방류식토암댐(6)에 도달하여 일차적으로 저수된 상태에서 방류식토암댐(6)의 높이 이상으로 계곡이나 하천의 수위가 높아지면 일정량의 물만 상기 방류식토암댐(6)의 상부로 넘쳐 흘러 하류쪽으로 흘러 내려가게 된다.
여름철 등의 우기(雨期)에 계곡이나 하천의 물이 불어나 수위가 증가하게 되면 증가된 물이 방류식토암댐(6)의 상부로 넘쳐 흐름과 동시에 방류식토암댐(6)의 높이보다 조금 높게 설치된 콘크리트보(4)를 통해 증가된 물의 일부가 담수호(2)로 넘쳐 흘러 유입됨으로써 한꺼번에 많은 양의 물이 하류쪽으로 흘러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여 홍수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류식토암댐(6)이 바위층(8b)과 돌층(11a)과 자갈층(9b)과 모래층(12a)과 제 1흙층(13a)과 진흙층(14a)과 제 2흙층(15a)이 하류에서부터 상류쪽으로 차례로 기대어 적층된 상태로 되어 있고 종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전면부 및 후면부가 모두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어 폭우로 인해 계곡이나 하천이 불어나 유량이 많아지고 유속이 빨라지는 경우에도 방류식토암댐(6)이 무너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탱되며, 더욱이 방류식토암댐(6)을 구성하는 바위층(8b)과 돌층(11a)과 자갈층(9b)의 상면부에는 소정의 두께를 지닌 콘크리트 구조물(16)이 설치되어 상부를 덮어줌으로써 상기 바위층(8b)과 돌층(11a)과 자갈층(9b)이 강한 유수(流水)의 흐름에 의해 하류쪽으로 쓸려 나가지 않으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6)은 선단부(17)가 하부쪽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자갈층(9b)의 전면 상부쪽에 걸려 있어 강한 유수의 흐름에도 콘크리트 구조물(16)이 안정적으로 지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계곡이나 하천을 따라 흐르는 입자의 크기가 큰 각종 퇴적물이나 흙이 누수식바위뚝 내부의 자갈층에 의해 차단되어 담수호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물만 유입되어 담수호의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평소에는 계곡이나 하천의 물이 원활하게 흐르면서 일정수위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여름철 집중호우시에는 계곡 및 하천을 따라 넘쳐 흐르는 물의 일부는 하류쪽으로 방류하고 일부는 담수호에 저장하여 한꺼번에 많은 양의 물이 하류쪽으로 방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홍수를 예방할 수 있으며, 또 계곡이나 하천 주변에 산재한 바위, 돌, 자갈, 모래, 흙 등의 자재를 그대로 이용하여 담수호 구축물을 설치할 수 있어 작은 계곡 및 하천에서도 적은 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담수호 구축물에 있어서, 계곡이나 하천의 일측 경계면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담수호(2)의 일측벽면을 형성하며 퇴적물은 담수호(2)로 유입되지 못하고 유수(流水)만 누수되어 담수호(2)로 유입되도록 하는 누수식바위뚝(3)과, 상기 누수식바위뚝(3)의 종단부에 일측 끝단이 연설되며 계곡이나 하천이 일정수위 이상으로 증가되면 담수호(2)로 넘쳐 흘러 유입되도록 하는 콘크리트보(4)와, 상기 콘크리트보(4)의 타측끝단에 연설되어 있으며 누수식바위뚝(3)과 동일한 폭과 높이로 되어 있어 누수식바위뚝(3)과 콘크리트보(4)를 지난 유수(流水)가 담수호(2) 내측으로 넘쳐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콘크리트뚝(5)과, 상기 콘크리트뚝(5)의 종단부 일측면에 연설되어 있되 계곡이나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어 일정수위의 물만 넘쳐 흘러 계곡이나 하천의 하류로 방류되도록 하는 방류식토암댐(6)과, 상기 콘크리트뚝(5)의 종단부 타측면에 연설되어 있되 담수호(2)의 하류쪽 벽면 및 타측벽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싸 담수호(2)에 일정 수위의 물을 저수하도록 되어 있는 담수호방수뚝(7)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호 구축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식바위뚝(3)은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외측은 다수개의 바위들이 적층된 바위층(8a)으로 되어 있고 상기 바위층(8a)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자갈들로 이루어진 자갈층(9a)이 구비되어 있되 상 기 자갈층(9a)은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적층되어 있으며 계곡이나 하천의 유수(流水)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가 큰 흙이나 각종 퇴적물은 자갈층(9a)에서 차단하여 담수호(2)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고 물만 상기 바위층(8a)과 자갈층(9a)의 틈새사이로 누수되어 담수호(2)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호 구축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보(4)는 누수식바위뚝(3)과 콘크리트뚝(5)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비투수성인 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져 있고 단면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밑면 및 윗면의 폭이 누수식바위뚝(3)의 밑면 및 윗면의 폭에 대하여 각각 1/2 ~ 3/5배 정도로 되어 있고 높이는 누수식바위뚝(3)의 높이에 대하여 3/5 ~ 4/5배 정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호 구축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류식토암댐(6)은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바위층(8b)과 돌층(11a)과 자갈층(9b)과 모래층(12a)과 제 1흙층(13a)과 진흙층(14a)과 제 2흙층(15a)이 계곡이나 하천의 하류쪽에서부터 상류쪽으로 차례로 기대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방류식토암댐(6)의 상면부에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닌 콘크리트층(10b)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방류식토암댐(6)은 밑 면의 폭이 누수식바위뚝(3)의 밑면의 폭과 동일하고 윗면의 폭은 밑면의 폭에 대하여 1/2배 정도로 되어 있으며 그 높이는 누수식바위뚝(3)의 1/2 ~ 2/3배 정도의 높이로 되어 있고, 상기 바위층(8b)은 전체 방류식토암댐(6)의 부피에 대하여 2/8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돌층(11a)과 자갈층(9b)과 모래층(12a)과 제 1흙층(13a)과 진흙층(14a)과 제 2흙층(15a)은 전체 방류식토암댐(6)의 부피에 대하여 각각 1/8 정도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호 구축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류식토암댐(6)은 바위층(8b)과 돌층(11a)과 자갈층(9b)의 상면부에 소정의 두께를 지닌 콘크리트 구조물(16)이 설치되어 상부를 덮어줌으로써 상기 바위층(8b)과 돌층(11a)과 자갈층(9b)이 강한 유수(流水)의 흐름에 의해 하류쪽으로 쓸려 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6)은 선단부(17)가 하부쪽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자갈층(9b)의 전면 상부쪽에 걸려있어 강한 유수의 흐름에도 콘크리트 구조물(16)이 안정적으로 지탱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호 구축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호방수뚝(7)은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 1흙층(13b)과 진흙층(14b)과 제 2흙층(15b)이 담수호(2)의 외부에서부터 내부쪽으로 차례로 기대어 적층되어 있되, 상기 제 1흙층(13b)의 하부 내측에 는 바위층(8c)과 돌층(11b)과 자갈층(9c)과 모래층(12b)이 차례로 기대어진 상태로 적층된 붕괴방지층(19)이 형성되어 있어 담수호방수뚝(7)의 하부를 단단히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담수호방수뚝(7)은 밑면의 폭이 누수식바위뚝(3)의 밑면의 폭에 대하여 2 ~ 2.5배 정도이며 윗면의 폭은 밑면의 폭에 대하여 1/4배 정도로 되어 있고 그 높이는 밑면의 폭에 대하여 1/3배 정도의 높이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 1흙층(13b)은 전체 담수호방수뚝(7)의 부피에 대하여 1/2정도이고 상기 진흙층(14b)과 제 2흙층(15b)은 전체 담수호방수뚝(7)의 부피에 대하여 각각 1/4정도이며, 상기 붕괴방지층(19)은 담수호방수뚝(7) 전체 높이에 대하여 1/4 ~ 1/3정도로 되어 있고 상기 제 1흙층(13b)의 부피에 대하여 1/4 ~ 1/3정도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되, 붕괴방지층(19)의 바위층(8c)은 붕괴방지층(19)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2/5정도이며 돌층(11b)과 자갈층(9c)과 모래층(12b)은 붕괴방지층(19)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각각 1/5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호 구축물.
  7. 담수호를 구축하는 방법에 있어서, 퇴적물은 담수호(2)로 유입되지 못하고 유수(流水)만 누수되어 담수호(2)로 유입되도록 계곡이나 하천의 일측 경계면을 따라 길게 누수식바위뚝(3)을 설치하여 담수호(2)의 일측벽면을 형성하고, 계곡이나 하천이 일정수위 이상으로 증가되면 담수호(2)로 넘쳐 흘러 유입되도록 상기 누수식바위뚝(3)의 종단부 일측 끝단에 콘크리트보(4)를 연설하며, 상기 콘크리트보(4)의 타측끝단에는 콘크리트뚝(5)을 연설하되 누수식바위뚝(3)과 동일한 폭과 높이로 설치하여 누수식바위뚝(3)과 콘크리트보(4)를 지난 유수(流水)가 담수호(2) 내측으로 넘쳐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상기 콘크리트뚝(5)의 종단부 일측면에는 방류식토암댐(6)을 연설하되 계곡이나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하여 일정수위의 물만 방류식토암댐(6)의 상부로 넘쳐 흘러 계곡이나 하천의 하류로 방류되도록 하며, 상기 콘크리트뚝(5)의 종단부 타측면에는 담수호방수뚝(7)을 연설하되 담수호(2)의 하류쪽 벽면 및 타측벽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싸 담수호(2)에 일정 수위의 물을 저수하도록 하여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호 구축물의 구축방법.
KR1020050021749A 2005-03-16 2005-03-16 담수호 구축물 및 구축방법 KR100608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749A KR100608172B1 (ko) 2005-03-16 2005-03-16 담수호 구축물 및 구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749A KR100608172B1 (ko) 2005-03-16 2005-03-16 담수호 구축물 및 구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172B1 true KR100608172B1 (ko) 2006-08-02

Family

ID=37184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749A KR100608172B1 (ko) 2005-03-16 2005-03-16 담수호 구축물 및 구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1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7240A (zh) * 2012-08-31 2012-11-28 黄河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 降低库区淤沙的拦河坝建造方法
KR20210015435A (ko) * 2019-08-02 2021-02-10 김준배 부력식 가동보를 구비한 종단보 저수조 및 이를 이용한 하천 순환식 양수발전과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7240A (zh) * 2012-08-31 2012-11-28 黄河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 降低库区淤沙的拦河坝建造方法
KR20210015435A (ko) * 2019-08-02 2021-02-10 김준배 부력식 가동보를 구비한 종단보 저수조 및 이를 이용한 하천 순환식 양수발전과 그 방법
KR102243857B1 (ko) 2019-08-02 2021-04-23 김준배 부력식 가동보를 구비한 하천 순환식 양수발전용 종단보 저수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364B1 (ko) 파이프와 가수문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이의 시공방법
JP5737675B2 (ja) 砂防堰
KR101707302B1 (ko) 생태 및 경관 기능을 갖는 흙댐 리모델링 공법
CN109208426A (zh) 一种市政道路施工结构及其施工方法
CN110438938A (zh) 用于构建海绵城市的河道岸堤结构
US20200277747A1 (en) Express flood mitigation works using elevated and or at ground level with tunnel integrated large scale aqueduct with numerous functions, with main function to divert flood water or river water away from cities in order to fight or mitigate flood events and effect of global warming, with discharge invert levels to the sea higher than high tide levels
KR100780743B1 (ko) 높이차를 가지는 공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일련의사이펀여수로군(群)
KR100608172B1 (ko) 담수호 구축물 및 구축방법
CN211498722U (zh) 一种水利堤坝结构
KR101322248B1 (ko) 담수블록을 이용한 배수시스템
JP3430292B2 (ja) 雨水貯留施設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788623B1 (ko) 리모델링으로 홍수 및 토석류 조절기능을 강화한 사방댐
JP2005220610A (ja) 連流型スリット砂防ダム
KR200341022Y1 (ko)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
KR101060991B1 (ko) 우수 범람 방지를 위한 배수로
TWI610008B (zh) 一種水之生態系統整治結構之蓄水壩堤
KR200426719Y1 (ko) 터널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1064916B1 (ko) 우수 범람 방지 및 지하수 고갈 방지를 위한 배수로
KR100776621B1 (ko) 토석류에 의한 재해방지용 말뚝 구조물
KR100510884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취입보 설치공법
JP3002436B2 (ja) 雨水流出防止施設
KR20060098723A (ko) 해안선 침식 방지 흡파제와 반사파의 제어 방법
KR101050233B1 (ko) 하천의 제방에서 부유물 걸름장치
CN219992663U (zh) 快速泄洪防污排水井
KR100686642B1 (ko) 상수원지 제방 보호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