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022Y1 -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 - Google Patents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022Y1
KR200341022Y1 KR20-2003-0035537U KR20030035537U KR200341022Y1 KR 200341022 Y1 KR200341022 Y1 KR 200341022Y1 KR 20030035537 U KR20030035537 U KR 20030035537U KR 200341022 Y1 KR200341022 Y1 KR 200341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water
induction pipe
embankme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5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 서광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서광건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서광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3-00355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0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0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6Spillways; Devices for dissipation of energy, e.g. for reducing eddies also for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 제방 내부를 따라서 하류 또는 인접한 공공수역으로 유도관이 설치되고 이 유도관과 연결된 배수관의 일단이 하천 제방의 경사면 상부에 설치되어 범람직전의 물을 배수관을 통해 유도관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여 홍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고 유수를 원활하게 하는 제방에 있어서, 제방을 따라서 그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물을 다른 공공수역 또는 하류로 유도하는 중공의 유도관과, 일단이 유도관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타단이 제방의 경사면 상부에 설치되어 물을 유도관으로 배수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하천 범람 직전의 물을 배수관을 통해 유도관으로 배수함으로써 하천의 수위를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Embankment draining structure for preventing river flooding}
본 고안은 폭우시 하천 범람을 방지하는 하천 제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 제방 내부를 따라서 하류 또는 인접한 공공수역으로 유도관이 설치되고 이 유도관과 연결된 배수관의 일단이 하천 제방의 경사면 상부에 설치되어 범람직전의 물을 배수관을 통해 유도관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천 범람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홍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은 물이 호안 밖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유수의 소통을 원활케 하여 홍수의 예방이나 저수(貯水)를 목적으로 하천·호수·바다가 육지와 분리되는 경계선상에 높게 쌓은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제방 구조물은 무엇보다 붕괴에 의한 위험으로부터 안전해야 하며, 제방 구조물의 붕괴는 인근 지역에 돌이킬 수 없는 대재앙의 수해를 야기하므로, 설계와 시공은 물론 유지관리를 철저히 수행해야 하고 구조물의 하자 발견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보수보강 대책을 미리 세워두어야 한다.
제방의 붕괴원인으로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강우에 의해 급격히 불어난 물이 월류하면서 수류에 의해 구조물의 상부를 파괴시키는 월류 현상에서 기인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월류현상에 대비하여 하천의 제방을 0.6~1.0m 정도를 더 쌓거나, 하천의 제방 상부에 모래를 담은 포대를 일정한 높이로 쌓아올렸고, 또는 월류방지용 차수벽을 설치하여 월류현상에 대비하였다.
하지만, 전술한 하천에 제방을 쌓아올리는 방법은 농토의 높이가 일정한 반면 매년 하천의 퇴적물로 인한 하천 바닥의 높이가 높아져 하천의 제방을 매년 계속적으로 쌓아올려야 하므로, 많은 작업 비용이 계속적으로 소비되었고, 이에 따라 폭우로 인한 제방붕괴시에는 많은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포대를 쌓는 방법은 포대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부식되어 내부의 모래가 밖으로 흘러나와 쉽게 붕괴되어 단지 응급처치용으로 밖에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차수벽을 설치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매년 일정한 높이로 계속 쌓아 올리는 경우 차수벽이 해체와 설치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또한 제방 축조시 별도의 비용이 더 소요되므로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천 제방 내부를 따라서 하류 또는 인접한 공공수역으로 유도관이 설치되고 이 유도관과 연결된 배수관의 일단이 하천 제방의 경사면 상부에 설치되어 범람직전의 물을 배수관을 통해 유도관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한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방 20 : 유도관
22 : 배수관 24 : 차단망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고 유수를 원활하게 하는 제방에 있어서, 제방을 따라서 그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물을 다른 공공수역 또는 하류로 유도하는 중공의 유도관과, 일단이 유도관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타단이 제방의 경사면 상부에 설치되어 물을 유도관으로 배수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하천 범람 직전의 물을 배수관을 통해 유도관으로 배수함으로써 하천의 수위를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관의 경사면측 단부에 설치되는 차단망을 이용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배수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방 배수구조는 홍수로 인한 상습 침수지구에 설치되는데, 제방(10)을 범람하는 물을 제방(10) 내부로 유입하여 결과적으로 하천의 수위를 낮추고 그 폭을 넓힘으로써, 불어난 물이 제방(10)을 월류하여 범람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제방 내부에 유입된 물을 홍수의 위험이 적은 다른 공공수역이나 하류로 유도함으로써 상습 침수지역에 발생할 수 있는 수해를 예방한다.
본 고안의 제방 배수구조는 하천의 제방(10)에 매몰되는 유도관(20)과 이 유도관(20)으로 하천에 범람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22)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유도관(20)은 유입된 물을 수재 위험이 적은 인근 하천이나 하류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어 하천의 제방(10)을 따라서 그 내부에 매몰된다.
이러한 유도관(2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그 단면을 원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배수관(22)은 하천 제방(10)을 범람하는 물을 유입하여 상기한 유도관(20)으로 물을 배수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하천 제방(10)의 경사면 상부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한 유도관(20)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그 내부로 물을 유도관(20)으로 유입시킨다.
이러한 배수관(220)은 하천 제방(10)을 따라서 복수개 설치되어 범람직전에 있는 많은 양의 물을 동시에 유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하천 제방(10)에 위치하여 물을 유입하는 배수관(22) 지점에는 물에 떠내려오는 각종 쓰레기와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망(24)이 설치된다. 이러한 차단망(24)은 하천 제방(10)의 호안블럭(12)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폭우로 인해 하천 제방(10)을 범람하는 물을 배수관(22)을 통해 하천 제방(10) 내부에 설치되는 유도관(20)으로 유입하고, 유입된 물을 하천제방(10) 내부의 유도관(20)을 통해 인근 안전한 하천이나 하류로 유도함으로써 해당 하천 범람으로 인한 수해를 예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조는 하천 제방(10)의 폭을 넓혀 하천의 수위를 낮추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유도관(20)을 하천의 제방(10) 내부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수관(22)의 길이를 연장하여 유도관(20)을 지면 아래 깊숙히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르면, 하천 제방 내부를 따라서 하류 또는 인접한 공공수역으로 유도관이 설치되고 이 유도관과 연결된 배수관의 일단이 하천 제방의 경사면 상부에 설치되어 범람직전의 물을 배수관을 통해 유도관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하천의 폭을 넓힘과 더불어 하천의 수위를 낮추어 하천 범람을 예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홍수로 인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줄일 수 있다.

Claims (2)

  1.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고 유수를 원활하게 하는 제방에 있어서,
    상기 제방을 따라서 그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물을 다른 공공수역 또는 하류로 유도하는 중공의 유도관과, 일단이 상기 유도관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방의 경사면 상부에 설치되어 물을 상기 유도관으로 배수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하천 범람 직전의 물을 상기 배수관을 통해 상기 유도관으로 배수함으로써 것을 하천의 수위를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경사면측 단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배수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
KR20-2003-0035537U 2003-11-13 2003-11-13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 KR200341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537U KR200341022Y1 (ko) 2003-11-13 2003-11-13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537U KR200341022Y1 (ko) 2003-11-13 2003-11-13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022Y1 true KR200341022Y1 (ko) 2004-02-11

Family

ID=49343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537U KR200341022Y1 (ko) 2003-11-13 2003-11-13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02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233B1 (ko) * 2010-01-04 2011-07-22 민승기 하천의 제방에서 부유물 걸름장치
KR101124944B1 (ko) 2010-01-04 2012-03-21 민승기 하천의 제방용 배수장치
WO2013024992A2 (ko) * 2011-08-12 2013-02-21 (주)써포텍 플랜트 취수로 혹은 배수로의 침전물 제거 장치
KR102461216B1 (ko) 2022-01-27 2022-10-31 경상북도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233B1 (ko) * 2010-01-04 2011-07-22 민승기 하천의 제방에서 부유물 걸름장치
KR101124944B1 (ko) 2010-01-04 2012-03-21 민승기 하천의 제방용 배수장치
WO2013024992A2 (ko) * 2011-08-12 2013-02-21 (주)써포텍 플랜트 취수로 혹은 배수로의 침전물 제거 장치
WO2013024992A3 (ko) * 2011-08-12 2013-04-11 (주)써포텍 플랜트 취수로 혹은 배수로의 침전물 제거 장치
KR102461216B1 (ko) 2022-01-27 2022-10-31 경상북도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4408B2 (en) Flood mitigation system
JP5737675B2 (ja) 砂防堰
WO2020044355A1 (en) Integration of multipurpose box tunnels with empty lakes and mini dam for effective flood control
KR101797469B1 (ko) 역류방지 수문 구조물
KR100780743B1 (ko) 높이차를 가지는 공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일련의사이펀여수로군(群)
WO2021125170A1 (ja) 水害時2次排水方法
KR200341022Y1 (ko)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
CN212956360U (zh) 一种潜浮式防浪墙
KR20140099027A (ko) 다목적 높이가변형 차단구조물
KR101267377B1 (ko)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JP2663214B2 (ja) 下水道の雨水処理方法、雨水処理施設及び雨水滯水管路の施工法
KR100812771B1 (ko) 하천의 하구 폐쇄방지 방법 및 장치
CN213596917U (zh) 一种水利工程用挡水板
KR101060991B1 (ko) 우수 범람 방지를 위한 배수로
JP2005220610A (ja) 連流型スリット砂防ダム
KR100674354B1 (ko)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 구조물
KR20130046242A (ko) 담수블록을 이용한 배수시스템
KR101272581B1 (ko) 유입조, 우수 유입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유출 저감 시스템
KR101373030B1 (ko) 부력식 수류저감벽체를 구비한 호안 블록
KR100608172B1 (ko) 담수호 구축물 및 구축방법
KR101010204B1 (ko) 하천의 제방용 배수장치
KR101124944B1 (ko) 하천의 제방용 배수장치
KR101050233B1 (ko) 하천의 제방에서 부유물 걸름장치
KR100424282B1 (ko) 수중보 내측 침전물 자동배출 시스템
CN215518632U (zh) 自然排放雨水的填埋场坝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