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216B1 -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216B1
KR102461216B1 KR1020220012564A KR20220012564A KR102461216B1 KR 102461216 B1 KR102461216 B1 KR 102461216B1 KR 1020220012564 A KR1020220012564 A KR 1020220012564A KR 20220012564 A KR20220012564 A KR 20220012564A KR 102461216 B1 KR102461216 B1 KR 102461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drainage structure
water
fasten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백원현
임재은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 filed Critical 경상북도
Priority to KR1020220012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2Restraining of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46Foams
    • E02D2300/005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방의 배수구조물의 외측면으로 침투수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하천 및 저수지에 설치되는 제방과 제방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물이 관통하는 배수구조물과 배수구조물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배수구조물의 외측면을 따라 침투하는 침투수를 차단하는 차수벽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Waterproof System for Drainage Facilities and Method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방의 배수구조물의 외측면으로 침투수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배수통관 수위계를 설치할 수 없는 도심 내 수문 운영시스템에 있어서, 도심 내 지중에 매립 설치된 우수관에 연결되어 우수관으로부터 우수를 유입 받고, 유입된 우수가 하천으로 방류되도록 하천의 복수개소에 설치되는 배수 통관과; 배수 통관마다 설치되되, 배수 통관의 하천측에 설치되고, 우수의 하천 방류를 위해 수문운영장치의 제어에 따라 개폐 동작하는 수문인 배수 통문과; 배수 통문마다 설치되어 배수 통문이 설치된 하천측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하천측 수위 정보를 수문운영장치로 제공하는 하천용 수위계와; 관리 수위 정보가 저장되고, 배수 통문마다 설치되어 저장된 관리 수위 정보와 하천용 수위계가 제공하는 하천측 수위 정보를 이용해 배수 통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문운영장치;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널말뚝이 종방향으로 분할된 형상을 가지고 일 측단에 체결부가 형성되며 타 측단에 포착부가 형성된 분할판과; 널말뚝이 종방향으로 분할된 형상을 가지며 일 측단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타 측단에 피착부가 형성된 분할판으로 구성되되; 포착부에 피착부가 결합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제내지와 제외지 사이에 구축된 제방, 및 상기 제방보다 하부에 설치되며, 제외지의 평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배수통문을 포함하는 자기부상형 역류방지 수문 구조물로서, 상기 배수통문은: 상기 배수통문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 공간으로서 하수가 흐르는 배수 통로; 제내지의 하수가 상기 배수 통로 쪽으로 유입되는 입구인 제내지 측 유입구; 상기 배수통로의 하수가 제외지 쪽으로 유출되는 출구인 제외지 측 유출구; 상기 제내지 측 유입구의 높이가 상기 제외지 측 유출구보다 높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내지 측 유입구와 상기 제외지 측 유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구배부; 상기 배수통로의 하부에 마련되는 역류수 저장탱크; 상기 배수통로와 상기 역류수 저장탱크를 연통하는 역류수 유입통로; 및 상기 역류수 저장탱크 내에서, 상기 구배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내지 측 유입구 쪽에 마련되며, 역류수 저장탱크가 비어 있을 때에는 자중에 의해 하강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역류수 유입통로를 통해 유입된 역류수에 의해 발생하는 부력으로 상승하여 상기 제내지 측 유입구를 가로막는 플로팅 수문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고 유수를 원활하게 하는 제방에 있어서, 제방을 따라서 그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물을 다른 공공수역 또는 하류로 유도하는 중공의 유도관과, 일단이 유도관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타단이 제방의 경사면 상부에 설치되어 물을 유도관으로 배수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하천 범람 직전의 물을 배수관을 통해 유도관으로 배수함으로써 하천의 수위를 낮출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298001 B1 (2021년08월30일) KR 10-2007-0106956 A (2007년11월06일) KR 10-1797469 B1 (2017년11월08일) KR 20-0341022 Y1 (2004년01월28일)
본 발명은 제방의 배수구조물의 외측면으로 침투수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하천 및 저수지에 설치되는 제방(100); 상기 제방(10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물이 관통하는 배수구조물(200); 상기 배수구조물(200)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수구조물(200)의 외측면을 따라 침투하는 침투수를 차단하는 차수벽(4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방(100); 배수구조물(200); 차수벽(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배수구조물(200)은 배수통관, 배수관, 배수통문, 배수암거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방(100); 배수구조물(200); 차수벽(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배수구조물(200)에 형성되며, 지반에 고정되는 고정부(210); 상기 고정부(210)의 상부에 형성되며, 물이 관통하는 관통부(2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방(100); 배수구조물(200); 차수벽(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배수구조물(200)에 형성되며, 상기 차수벽(400)이 체결되는 체결부재(3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방(100); 배수구조물(200); 차수벽(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체결부재(300)에 형성되며, 상기 차수벽(400)을 수용하는 수용판(310); 복수의 상기 수용판(310)이 결합되며, 상기 배수구조물(200)에 체결되는 체결판(32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방(100); 배수구조물(200); 차수벽(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체결판(320)은 상기 배수구조물(200) 사이로 침투수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3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방(100); 배수구조물(200); 차수벽(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차수벽(400)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300)에 삽입되는 삽입부(410); 상기 삽입부(410)의 일측면에 단차로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삽입부(410)가 안착되는 안착부(4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방(100); 배수구조물(200); 차수벽(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삽입부(410)의 일면에 형성되며, 침투수를 우회시키는 우회부(4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방(100); 배수구조물(200); 차수벽(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차수벽(400)은 금속,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복합 PP, 폴리 에틸렌(PE, poly-ethylene)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방(100); 배수구조물(200); 차수벽(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지면에 상기 차수벽(400)을 매립하는 매립단계(S1100); 상기 삽입단계(S1400) 후, 상기 차수벽(400)의 상부에 상기 배수구조물(200)을 설치하는 설치단계(S1200); 상기 설치단계(S1200) 후, 상기 배수구조물(200)의 외측에 상기 체결부재(300)를 체결하는 체결단계(S1300); 상기 체결단계(S1300) 후, 상기 체결부재(300)에 상기 차수벽(400)을 삽입하는 삽입단계(S1400); 상기 삽입단계(S1400) 후, 복수의 상기 차수벽(400)을 조립하는 조립단계(S1500); 상기 조립단계(S1500) 후, 상기 배수구조물(200)의 상부에 성토를 쌓는 적층단계(S16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차수벽이 합성수지로 형성됨에 따라 현장에서 절단하여 배수구조물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수구조물의 측면에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차수벽을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체결부재를 배수구조물의 형상 및 길이에 따라 절단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수벽에 우회부가 설치되어 침투수를 우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차수벽을 조립하여 설치하므로 설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이 설치된 제방의 단면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배수구조물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체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차수벽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에 있어서, 하천 및 저수지에 설치되는 제방(100); 상기 제방(10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물이 관통하는 배수구조물(200); 상기 배수구조물(200)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수구조물(200)의 외측면을 따라 침투하는 침투수를 차단하는 차수벽(400);을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조물(200)은 배수통관, 배수관, 배수통문, 배수암거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조물(200)은 상기 제방(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조물(200)은 콘크리트, 철재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조물(200)은 공장에서 제작하여 설치되는 PC(precast concrete)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하천 및 저수지에 설치되어 물의 이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부에 차량의 이동 및 사람의 이동을 위한 제방(100)의 배수 시설에 설치되는 차수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하천, 저수지, 해안, 호수, 늪 중 선택된 하나에 설치되어 하천의 범람을 막기 위한 성토구조물로 유수의 범람을 방지하고 일정한 유로 내에서 안전한 유하를 위하여 지면에 설치되는 제방(100)이 형성된다.
제방(100)은 도 1을 참조하면, 유로가 형성되는 제외지와 공작물 또는 건물이 형성되는 제내지로 형성되며, 제외지와 제내지를 관통하는 배수구조물(200)이 형성된다. 이때, 배수구조물(200)은 원형의 관으로 형성되는 배수통관, 배수관으로 형성되거나 사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배수통문, 배수암거로 형성된다. 그리고 배수구조물(200)은 제방(100)을 관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됨에 따라 제외지 또는 제내지의 물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측으로 배수를 진행하는 것이다. 또한, 배수구조물(200)은 콘크리트, 철재 중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며, 콘크리트로 형성될 경우 성토를 쌓기 전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내측에 철근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배수구조물(200)을 형성한다. 여기서, 배수구조물(200)은 철근콘크리트로 시공되나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설치되는 PC(precast concrete)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수구조물(200)의 외측에는 차수벽(400)이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차수벽(400)은 배수구조물(200)의 외주면을 따라 물이 침투하는 침투수를 차단하는 것이다. 차수벽(400)은 배수구조물(20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침투수가 제방(100)을 관통하지 않고 하부로 유도함에 따라 제방(100)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제방(1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수구조물(200)에 차수벽(400)이 형성되어 배수는 원활하게 하며, 침투수는 차단하여 제방(100)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조물(200)에 형성되며, 지반에 고정되는 고정부(210); 상기 고정부(210)의 상부에 형성되며, 물이 관통하는 관통부(22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10)에 형성되며, 지반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220)의 내부에 형성되며, 물이 관통하는 배수관(221);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10)는 상기 관통부(220)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배수구조물(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배수구조물(200)은 제방(10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외지 또는 제내지의 물이 배수되는 것이다. 이러한 배수구조물(200)은 콘크리트,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나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수구조물(200)은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부에 성토가 적층되기 전의 지반에 고정부(210)가 형성되며, 고정부(210)는 지반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형성된다. 고정부재는 앵커로 형성되며, 지반에 매립됨에 따라 배수구조물(200)의 진동, 충격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부(210)는 철근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것으로 거푸집을 설치한 후 철근을 배근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그리고 고정부(210)의 상부에 물이 관통하는 관통부(220)가 형성되는 것으로 관통부(220)는 고정부(210)에서 연장되도록 상부에 설치되며, 물이 관통하도록 콘크리트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배수관(221)이 형성된다. 이때, 배수관(221)은 관통부(220)의 중심에 형성되는 것으로 배수관(221)의 외측에 철근 콘크리트로 보강부가 형성되거나 배수관(221)의 외측으로 차수벽(400)이 형성되는 것이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조물(200)에 결합되며, 상기 차수벽(400)을 고정하는 체결부재(30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30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300)는 상기 배수구조물(200) 사이로 침투수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330);를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300)에 형성되며, 상기 차수벽(400)을 수용하는 수용판(310); 복수의 상기 수용판(310)이 결합되며, 상기 배수구조물(200)에 체결되는 체결판(320);을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수용판(310)에 형성되며, 상기 차수벽(400)의 일면에 접하는 제 1수용판(311); 상기 제 1수용판(311)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수용판(311)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제 2수용판(312);을 포함한다.
(실시예 3-6)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320)은 곡면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7)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320)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조물(200)에 체결되는 고정철물(321);을 포함한다.
(실시예 3-8)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320)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철물(32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322);를 포함한다.
(실시예 3-9)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조물(200)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부재(300)는 사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체결부재(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체결부재(300)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배수구조물(200)의 외측에 체결되는 것으로 차수벽(400)을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부재(300)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210) 및 관통부(220)로 형성되는 배수구조물(200)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차수벽(400)을 간단히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체결부재(300)는 철재, 알루미늄 등의 금속 또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복합 PP, 폴리 에틸렌(PE, poly-ethylene)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으로 배수구조물(200)의 외측면에 결합됨에 따라 차수벽(400)을 간단히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300)가 합성수지로 형성될 경우 체결부재(300)가 결합되는 위치의 길이에 따라 간단히 절단하여 현장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300)는 배수구조물(200) 사이에 실링부재(330)가 형성되며, 체결부재(300)와 배수구조물(200) 사이로 침투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330)가 형성된다. 실링부재(330)는 침투수의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체결부재(300)가 배수구조물(200)에 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결부재(300)는 복수로 형성되어 차수벽(400)을 내측에 수용하는 수용판(310)이 형성되며, 수용판(310)은 차수벽(400)의 일면에 접하는 제 1수용판(311)과 차수벽(400)의 타면에 접하는 제 2수용판(312)이 형성된다. 제 1수용판(311)과 제 2수용판(312)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제 1수용판(311)이 제 2수용판(312)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은 차수벽(400)이 가이드되어 복수의 수용판(310) 사이에 원활히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복수의 수용판(310) 단부에는 체결판(320)이 형성되며, 체결판(320)은 볼트, 앵커, 못, 용접, 케이블타이, 강선 등의 고정철물(321)에 의하여 배수구조물(2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체결판(320)은 양측면에 이탈방지돌기(322)(322)가 형성되며, 이탈방지돌기(322)(322)는 케이블타이, 강선 등으로 형성되는 고정철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체결판(320)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체결판(320)이 고정철물(321)에 의하여 배수구조물(200)에 압착될 때 체결판(320)의 양측면이 배수구조물(200)과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판(320)이 배수구조물(200)에 효과적으로 밀착되는 것이다.
또한, 체결부재(300)는 배수구조물(200)의 모서리에 설치될 경우 복수의 체결부재(300)가 접하는 위치는 사선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체결부재(300)가 원활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300)에 의하여 침투수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10)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에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노치(340);를 포함한다.
(실시예 3-11)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노치(340)는 상기 수용판(310)과 상기 체결판(320)에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체결부재(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체결부재(300)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배수구조물(200)의 외측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부재(300)는 배수구조물(200)의 상부가 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차수벽(400)이 원활히 체결되도록 수용판(310)이 절단되어 절곡된다. 이때, 체결부재(300)는 도 6을 참조하면, 수용판(310)과 체결판(320)에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노치(340)가 형성되며, 노치(340)에 의하여 현장에서 간단히 체결부재(300)의 수용판(310)을 곡면으로 절곡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300)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배수관(221)에 밀착되면 차수벽(400)의 하단을 곡면으로 절개하여 체결부재(300)에 체결하는 것이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차수벽(400)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300)에 삽입되는 삽입부(410); 상기 삽입부(410)의 측면에 단차로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삽입부(410)가 안착되는 안착부(42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410)는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410)에 형성되며, 침투수의 이동 시간을 연장시키는 연장홈(421);을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차수벽(400)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410)와 상기 안착부(420)를 연결하는 연결철물(440);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차수벽(400)은 금속,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복합 PP, 폴리 에틸렌(PE, poly-ethylene)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차수벽(400)은 합성수지와 금속을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수벽(400)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차수벽(400)은 배수구조물(200)의 외측에 설치되어 배수구조물(200)의 외측을 따라 침투하는 침투수를 차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수벽(400)은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복수로 절단되어 조립되는 것으로 배수구조물(200)의 외측에 형성되는 체결부재(300)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복수의 차수벽(400)은 서로 겹치도록 형성됨에 따라 연결철물(440)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은 차수벽(400)은 철재,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거나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복합 PP, 폴리 에틸렌(PE, poly-ethylene)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의 외측에 합성수지가 코팅되어 형성되는 혼합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합PP(Reiforced PP)는 TALC(돌가루), GF(유리섬유), Mica, 난연제, CF 등의 무기물을 첨가하여 물성을 보강한 제품이다. 그리고 차수벽(400)은 체결부재(300)에 삽입되는 삽입부(410)가 형성되며, 삽입부(410)는 배수구조물(20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부(410)의 크기는 현장에서 절단되어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410)의 일측에는 단차가 형성되도록 안착부(420)가 형성되며, 안착부(420)의 길이에 따라 복수의 차수벽(400)이 결합되는 겹이음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삽입부(410)의 일단부는 안착부(420)에 안착되나 삽입부(410)의 단부는 안착부(420)의 단부와 접하거나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침투수가 가이드되어 하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410)와 안착부(420)를 고정하는 연결철물(440)은 볼트, 리벳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410)와 안착부(420) 사이에 밀폐부재가 형성되어 삽입부(410)와 안착부(420) 사이로 침투수과 관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410)는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충격 및 진동이 발생하거나 배수구조물(200)과 차수벽(400)을 설치한 후 성토를 쌓을 때 차수벽(400)에 강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삽입부(410)가 일방향으로 절곡되거나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홈(421)이 형성되어 침투수의 침투 시간을 연장시키고 침투수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 4-7)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420)는 상기 삽입부(410)의 사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8)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4-7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420)는 상기 삽입부(410)의 일면과 서로 수직하는 일면이 단차로 형성되는 제 1안착부(422); 상기 제 1안착부(422)와 타면이 단차로 형성되는 제 2안착부(423);를 포함한다.
(실시예 4-9)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4-8에 있어서, 상기 제 1안착부(422)와 상기 제 2안착부(423)가 서로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절개홈(42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수벽(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차수벽(400)은 배수구조물(2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침투수를 차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수벽(400)은 복수가 서로 겹치도록 형성되며,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복합 PP, 폴리 에틸렌(PE, poly-ethylene)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현장에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차수벽(400)은 체결부재(300)에 삽입되는 삽입부(410)가 형성되며, 삽입부(410)의 외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단차로 형성되는 안착부(420)가 형성된다. 안착부(420)는 삽입부(410)의 일측면과 서로 수직하는 하단면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 1안착부(422)가 형성되며, 제 1안착부(422)는 삽입부(410)에서 단차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안착부(422)와 단차의 방향이 다르게 형성되는 제 2안착부(423)가 형성되며, 제 2안착부(423)는 제 1안착부(422)와 타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삽입부(410)의 4방으로 연장되어 안착부(420)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안착부(420)는 제 1안착부(422)와 타 차수벽(400)의 제 2안착부(423)가 서로 겹치도록 형성되며, 제 1안착부(422)와 제 2안착부(423)는 연결철물(440)에 의하여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안착부(422)와 제 2안착부(423)가 서로 연결되는 삽입부(410)의 모서리는 절개홈(424)이 형성되어 복수의 차수벽(400)이 연결될 때 겹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4-10)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차수벽(400)은 복수의 상기 삽입부(410)가 엇갈리도록 겹쳐지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11)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4-10에 있어서, 상기 차수벽(400)은 복수의 상기 삽입부(410)를 연결하는 결합철물(450);을 포함한다.
(실시예 4-12)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4-11에 있어서, 상기 차수벽(400)은 복수의 상기 삽입부(410)가 겹쳐지지 않는 위치의 상기 안착부(420)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수벽(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차수벽(400)은 배수구조물(2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침투수를 차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수벽(400)은 복수의 삽입부(410)가 겹쳐지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삽입부(410)는 사선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차수벽(400)의 외측으로 복수의 삽입부(410)가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안착부(420)가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삽입부(410)는 볼트, 리벳 등의 결합철물(450)이 복수로 형성됨에 따라 복수의 삽입부(410)를 연결하여 차수벽(400)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삽입부(410)가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차수벽(400)은 복수가 서로 겹치도록 형성되어 침투수를 차단하는 것이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4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며, 침투수를 우회시키는 우회부(43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우회부(43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우회부(430)는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우회부(430)는 상기 삽입부(410)의 일면 또는 양면에서 돌출 또는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은 실시예 5-4에 있어서, 상기 우회부(430)는 격자, 수평, 수직, 곡선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우회부(43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우회부(430)는 삽입부(4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돌출 또는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침투수가 가이드되어 제방(100)을 관통하지 않고 우회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우회부(430)는 도 8을 참조하면, 침투수를 우회시켜 침투 시간을 줄임과 동시에 침투수를 제방(100)의 하부로 하강시키는 것으로 우회부(430)는 삽입부(4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돌출 또는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때, 우회부(430)는 삽입부(410)와 동일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거나 삽입부(410)와 이질 재료로 형성되어 침투수를 우회시킨다. 이와 같은 우회부(430)는 복수로 형성되며, 격자, 수평, 수직, 곡선 등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는 침투수가 제방(100)을 관통하여 이동하지 않고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침투 시간을 연장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며, 지면에 상기 차수벽(400)을 매립하는 매립단계(S1100); 상기 삽입단계(S1400) 후, 상기 차수벽(400)의 상부에 상기 배수구조물(200)을 설치하는 설치단계(S1200); 상기 설치단계(S1200) 후, 상기 배수구조물(200)의 외측에 상기 체결부재(300)를 체결하는 체결단계(S1300); 상기 체결단계(S1300) 후, 상기 체결부재(300)에 상기 차수벽(400)을 삽입하는 삽입단계(S1400); 상기 삽입단계(S1400) 후, 복수의 상기 차수벽(400)을 조립하는 조립단계(S1500); 상기 조립단계(S1500) 후, 상기 배수구조물(200)의 상부에 성토를 쌓는 적층단계(S1600);을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의 시공 방법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설치단계(S1200) 중, 상기 차수벽(400)의 상부에 상기 고정부(210)를 고정하는 제 1고정단계(S1210); 상기 고정단계 후, 상기 고정부(210)의 상부에 상기 관통부(220)를 고정하는 제 2고정단계(S1220);를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의 시공 방법은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체결단계(S1300) 전, 상기 체결부재(300)를 상기 배수구조물(200)에 따라 절단하는 절단단계(S1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의 시공 방법은 제방(100)에 배수구조물(200)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의 시공 방법은 도 10을 참조하면, 제방(100)을 시공하기 위하여 성토를 쌓기 전에 배수구조물(200)을 제방(100)을 관통하도록 시공하는 것이다. 이때, 성토를 쌓기 전에 지면에 차수벽(400)을 배수구조물(200)의 하부에 등간격으로 매립하며, 차수벽(400)과 함께 배수구조물(2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매립한다. 그리고 차수벽(400)의 상부에 배수구조물(200)을 설치하기 위하여 철근을 배근하여 철근의 외측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설치단계(S1200)가 형성된다. 설치단계(S1200)는 차수벽(400)의 상부에 배수구조물(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부(210)를 고정하는 제 1고정단계(S1210)가 형성되며, 제 1고정단계(S1210) 후 또는 중 고정부(210)의 상부에 관통부(220)를 고정하는 제 2고정단계(S1220)가 형성된다. 설치단계(S1200)에서 설치되는 배수구조물(200)은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며, 고정부(210)에는 물이 관통하는 배수관(221)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수구조물(200)이 형성되면 배수구조물(200)의 외측에 체결부재(300)가 체결되는 것으로 체결부재(300)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배수구조물(200)에 체결되기 전 공장에서 제작되어 현장에서 배수구조물(200)의 길이에 따라 절단하는 절단단계(S1230)가 형성된다. 이는 현장에서 자유롭게 절단됨에 따라 시공 과정을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시공성, 경제성, 안전성, 환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체결단계(S1300)에서는 다양한 길이로 절단된 체결부재(300)가 배수구조물(200)의 외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체결부재(300)는 배수구조물(200)과 사이에 실링부재(330)가 형성되어 침투수의 유입을 방지하고 고정철물(321)에 의하여 체결부재(300)가 체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삽입단계(S1400)에서 체결부재(300)에 차수벽(400)이 삽입되는 것이며, 차수벽(400)이 삽입되기 전 또는 삽입되는 중 복수의 차수벽(400)이 서로 조립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차수벽(400)은 서로 겹치도록 조립되고 차수벽(400)과 체결부재(300)는 철물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이 체결부재(300)에 차수벽(400)이 고정되면 배수구조물(200)과 차수벽(400)의 상부에 성토를 쌓아 제방(100)을 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의 시공 방법은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배수구조물(200)의 외측에 차수벽(400)을 간단히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시공성, 경제성,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100: 제방 200: 배수구조물
210: 고정부 220: 관통부
221: 배수관 300: 체결부재
310: 수용판 311: 제 1수용판
312: 제 2수용판 320: 체결판
321: 고정철물 322: 이탈방지돌기
330: 실링부재 340: 노치
400: 차수벽 410: 삽입부
420: 안착부 421: 연장홈
422: 제 1안착부 423: 제 2안착부
424: 절개홈 430: 우회부
440: 연결철물 450: 결합철물
S1100: 매립단계 S1200: 설치단계
S1210: 제 1고정단계 S1220: 제 2고정단계
S1230: 절단단계 S1300: 체결단계
S1400: 삽입단계 S1500: 조립단계
S1600: 적층단계

Claims (10)

  1. 하천 및 저수지에 설치되는 제방(100);
    상기 제방(10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물이 관통하는 배수구조물(200);
    상기 배수구조물(200)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수구조물(200)의 외측면을 따라 침투하는 침투수를 차단하는 차수벽(400);
    상기 배수구조물(200)에 형성되며, 상기 차수벽(400)이 체결되는 체결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구조물(200)에 형성되며, 지반에 고정되는 고정부(210);
    상기 고정부(210)의 상부에 형성되며, 물이 관통하는 관통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300)에 형성되며, 상기 차수벽(400)을 수용하는 수용판(310);
    복수의 상기 수용판(310)이 결합되며, 상기 배수구조물(200)에 체결되는 체결판(320);을 포함하고,
    상기 차수벽(400)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300)에 삽입되는 삽입부(410);
    상기 삽입부(410)의 일측면에 단차로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삽입부(410)가 안착되는 안착부(420);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410)는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410)에 형성되며, 침투수의 이동 시간을 연장시키는 연장홈(421);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410)의 일면에 형성되며, 침투수를 우회시키는 우회부(430);를 포함하고,
    상기 우회부(430)는 상기 삽입부(410)의 일면 또는 양면에서 돌출 또는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차수벽(400)은 금속,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복합 PP, 폴리 에틸렌(PE, poly-ethylene)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조물(200)은 배수통관, 배수관, 배수통문, 배수암거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320)은 상기 배수구조물(200) 사이로 침투수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330);를 포함하는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 2 및 6 중 어느 한 항의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면에 상기 차수벽(400)을 매립하는 매립단계(S1100);
    상기 삽입단계(S1400) 후, 상기 차수벽(400)의 상부에 상기 배수구조물(200)을 설치하는 설치단계(S1200);
    상기 설치단계(S1200) 후, 상기 배수구조물(200)의 외측에 상기 체결부재(300)를 체결하는 체결단계(S1300);
    상기 체결단계(S1300) 후, 상기 체결부재(300)에 상기 차수벽(400)을 삽입하는 삽입단계(S1400);
    상기 삽입단계(S1400) 후, 복수의 상기 차수벽(400)을 조립하는 조립단계(S1500);
    상기 조립단계(S1500) 후, 상기 배수구조물(200)의 상부에 성토를 쌓는 적층단계(S1600);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단계(S1200) 중, 상기 차수벽(400)의 상부에 상기 고정부(210)를 고정하는 제 1고정단계(S1210); 상기 제 1고정단계(S1210) 후, 상기 고정부(210)의 상부에 상기 관통부(220)를 고정하는 제 2고정단계(S122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단계(S1300) 전, 상기 체결부재(300)를 상기 배수구조물(200)에 따라 절단하는 절단단계(S1230);를 포함하는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의 시공 방법.
KR1020220012564A 2022-01-27 2022-01-27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461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564A KR102461216B1 (ko) 2022-01-27 2022-01-27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564A KR102461216B1 (ko) 2022-01-27 2022-01-27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216B1 true KR102461216B1 (ko) 2022-10-31

Family

ID=83803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564A KR102461216B1 (ko) 2022-01-27 2022-01-27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21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8031A (ja) * 1994-08-29 1996-03-12 Kubota Corp 樋管まわりの水みち防止構造
JPH1060882A (ja) * 1996-08-21 1998-03-03 Kumagai Gumi Co Ltd 地下水流の遮水構造
JP2003213653A (ja) * 2002-01-16 2003-07-30 Dainippon Plastics Co Ltd 樋管の水みち形成防止方法およびその構造
KR200341022Y1 (ko) 2003-11-13 2004-02-11 (주) 서광건설엔지니어링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
KR20070106956A (ko) 2007-10-17 2007-11-06 (주)인텔리지오 하천 차수벽용 수직변위 흡수형 널말뚝
KR101797469B1 (ko) 2017-03-27 2017-12-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역류방지 수문 구조물
KR102183833B1 (ko) * 2020-01-03 2020-11-27 주식회사 해밀씨엠 방음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내장패널
KR102298001B1 (ko) 2021-02-18 2021-09-03 주식회사 이엘 배수통관 수위계를 설치할 수 없는 도심 내 수문 운영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8031A (ja) * 1994-08-29 1996-03-12 Kubota Corp 樋管まわりの水みち防止構造
JPH1060882A (ja) * 1996-08-21 1998-03-03 Kumagai Gumi Co Ltd 地下水流の遮水構造
JP2003213653A (ja) * 2002-01-16 2003-07-30 Dainippon Plastics Co Ltd 樋管の水みち形成防止方法およびその構造
KR200341022Y1 (ko) 2003-11-13 2004-02-11 (주) 서광건설엔지니어링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
KR20070106956A (ko) 2007-10-17 2007-11-06 (주)인텔리지오 하천 차수벽용 수직변위 흡수형 널말뚝
KR101797469B1 (ko) 2017-03-27 2017-12-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역류방지 수문 구조물
KR102183833B1 (ko) * 2020-01-03 2020-11-27 주식회사 해밀씨엠 방음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내장패널
KR102298001B1 (ko) 2021-02-18 2021-09-03 주식회사 이엘 배수통관 수위계를 설치할 수 없는 도심 내 수문 운영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8495B1 (en) Levee system
US8425153B1 (en) Arched culver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70116522A1 (en) Flood levee and barrier module and system
US8177457B2 (en) Pipeline protection and levee module system
AU2013263720B2 (en) Wall Seal System
KR101112107B1 (ko)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 및 그 시공공법
CN111172936B (zh) 适用于引航道下游弯道处的导流栅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936668B1 (ko) 흙막이 벽체용 합성 파일 및 그것을 이용한 원심성형방식의 흙막이 벽체
KR102461216B1 (ko)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JP2004019122A (ja)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及びこの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KR100730981B1 (ko) 우물통용 가물막이 구조
EP1380691B1 (en) Wide channel drainage system
US8425152B1 (en) Arched culvert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12057442A (ja) 雨水貯留槽、雨水貯留槽充填構造
JP4570636B2 (ja) 河水貯水施設および河水貯水施設への水流の流速制御方法
KR102237058B1 (ko) 암반층 차수용 합성파일 차수벽체 시공방법
Simpson et al. Geotechnical safety in relation to water pressures
JP4084706B2 (ja)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と、その施工方法
KR100603498B1 (ko) 택지에 인접하는 비탈면용 제방의 하천에서 유수 보호구조물
CN212690051U (zh) 通道结构
KR102671889B1 (ko) 금속 배수 유도 부재를 이용한 비포장 도로용 배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0651231B1 (ko) 해상 물막이용 강합성 피씨 말뚝 제작 설치 구조
WO2008090392A1 (en) Crossings, especially home driveway crossings
KR200219072Y1 (ko) 폐타이어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사면안정구조
KR100256993B1 (ko) 보강토 구조물을 판넬 및 내부골조로 이용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