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833B1 - 방음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내장패널 - Google Patents

방음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내장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833B1
KR102183833B1 KR1020200000590A KR20200000590A KR102183833B1 KR 102183833 B1 KR102183833 B1 KR 102183833B1 KR 1020200000590 A KR1020200000590 A KR 1020200000590A KR 20200000590 A KR20200000590 A KR 20200000590A KR 102183833 B1 KR102183833 B1 KR 102183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maintaining
flange
panel
suppor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밀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밀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밀씨엠
Priority to KR1020200000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 E04F21/183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for setting a plurality of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내장패널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활성탄을 이용하여 방음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조립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설치 및 시공이 빠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방음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내장패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음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내장패널{ECO-FRIENDLY CONSTRUCTION INTERIOR PANEL WITH SOUNDPROOF EFFECT}
본 발명은 건축 기술 분야 중 방음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내장패널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활성탄을 이용하여 방음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조립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설치 및 시공이 빠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방음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내장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벽은 벽돌을 조적하여 쌓거나, 콘크리트 벽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벽체에 주로 벽지를 도배하여 마감한다.
건축물의 내벽에는 벽지뿐만 아니라 페인트를 칠하여 마감하기도 하며, 건축물의 외적 미려함과 단열 등을 위하여 내장패널을 마감재로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내장패널은 목재나 수지 등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지며, 벽체의 전체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하여 부착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일정 크기를 갖는 패널로 제작하여 조립식 형태로 설치 및 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실내의 인테리어 효과를 위해 내장패널을 마감재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종래의 내장패널을 마감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공시, 벽체에 중간부재를 고정 결합한 다음에 중간부재에 마감용 내장패널을 끼워 맞춰 조립하는 방식으로 시공하는데, 이러한 종래 방식은 시공에 소요되는 자재가 많이 소비되므로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벽체에 고정 결합한 중간부재의 정해진 장소에 마감용 내장패널을 끼워 맞춰야 하므로 설치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13539호(2017.03.09.)에는 '건축용 내장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내장패널은 벽체에 고정되는 서포트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3539호(2017.03.09.) '건축용 내장패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탄을 이용하여 방음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조립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설치 및 시공이 빠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방음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내장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 벽체(10)에 고정 설치되는 서포트(20); 및 상기 서포트(20)에 고정되는 내장패널(100)을 포함하며, 상기 내장패널(100)은 장방형의 패널판(110)로 이루어지되, 상기 벽체(10) 상에 위치시켜 상기 패널판(110)을 이웃하는 패널끼리 일부 겹쳐지게 하면서 연속 배열하여 마감할 수 있도록 양측단부에 제1 단턱부(111) 및 제2 단턱부(112)가 암수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단턱부(111)의 단턱면 상에 외향 확장형 걸림턱을 갖는 삽입고정돌기(120)가 1개 이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단턱부(112)에 상기 삽입고정돌기(120)에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돌기고정홀(130)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단턱부(112)에는 패널판(110)을 나사못(30) 체결에 의해 서포트(20)에 고정하여 벽체(10)에 직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140)이 형성되고, 상기 패널판(110)은, 플라스틱원료 100~120중량부에 대하여 습기 흡착과 탈취 및 방음을 위해 다공성 물질인 활성탄 10~50중량부와 항균과 습기 제거 및 자정을 위해 광촉매 반응물질인 산화티탄(TiO2)을 5~35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조성물의 사출 성형으로 이루어지는 방음효과가 향상된 건축내장패널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서포트(20) 간이 일정하게 이격되면서 벽체(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간격유지부(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간격유지부(200)는, 일단부가 이웃하는 두 서포트(20)에 연결되면서 타단부가 대향되는 제1,2간격유지바(210,220); 및 상기 제1,2간격유지바(210,220)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23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230)은, 상기 제1간격유지바(210)의 타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플랜지(231); 상기 제2간격유지바(220)의 타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플랜지(232); 및 상기 제1간격유지바(220)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부재(233)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233)는, 이동에 따라 상기 제2플랜지(232)와 결속되면서 상기 제1,2간격유지바(210,220)를 연결하는 한편, 상기 제2플랜지(232)와 결속해제되면서 상기 제1,2간격유지바(210,220)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내장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활성탄을 이용함으로써 방음효과가 향상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친환경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설치 및 시공이 빠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내장패널이 벽체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내장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내장패널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내장패널에서 간격유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간격유지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에서 제1,2간격유지바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음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내장패널은 건축물의 실내 벽체(10)에 고정 설치되는 서포트(20) 및 상기 서포트(20)에 고정되는 내장패널(1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벽체(10)와 내장패널(100) 사이에 사용되는 중간부재를 없애고 내장패널을 서포트(20)에 고정하여 벽체(10)에 직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장패널(100)은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방형 몸체의 패널판(1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판(110)은 상기 벽체(10)를 커버하여 마감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벽체(10) 상에 위치시켜 이웃하는 패널판(110)끼리 일부 겹치면서 연속 배열 및 서로 결합되며 마감될 수 있도록 양측단부에 제1 단턱부(111) 및 제2 단턱부(112)가 암수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단턱부(111)와 제2 단턱부(112)는 패널판(110)의 좌,우측단부에 각각 직각으로 움푹 패인 절개형태로 단턱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제1 단턱부(111)는 내측 방향을 향하는 단턱 구조로 "역 니은(ㄴ)"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단턱부(112)는 외측 방향을 향하는 단턱 구조로 "역 기역(ㄱ)"자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패널판(110)을 상기 벽체(10) 상에 서로 이웃하도록 반복 배치할 시, 패널판(110)의 제2 단턱부(112) 측에 다른 패널판(110)의 제1 단턱부(111)가 서로 겹쳐지면서 매칭되어 평면 배열을 연속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판(110)은 상기 제1 단턱부(111)의 단턱면 상에 외향 확장형 걸림턱을 끝단부에 갖는 삽입고정돌기(12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 단턱부(112)에는 상기 삽입고정돌기(120)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고정홀(13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고정돌기(120)와 돌기고정홀(130)은 체결력 및 고정성을 높이기 위해 2개 내지 3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고정돌기(12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측 방향으로 압축 및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는 탄성 구조를 통해 고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원 둘레를 따라 다수의 분리편으로 나누어져 원형의 네크(neck)를 형성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패널판(110)을 상기 벽체(10) 상에 서로 이웃하여 배치할 시, 어느 하나의 패널판(110)이 갖는 삽입고정돌기(120)가 다른 하나의 패널판(110)이 갖는 돌기고정홀(130)로 삽입됨으로써 이웃하는 패널판(110) 간이 간단하게 결합되면서 고정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단턱부(112)에는 체결공(14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40)으로는 나사못(30)이 체결되면서 패널판(110)이 벽체(10)에 고정 설치된 서포트(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패널판(110)을 벽체(10)에 직결할 수 있다.
상기 체결공(140)은 상기 돌기고정홀(130)과 서로 간섭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판(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턱부(111) 측에 조립홈부(113)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단턱부(112) 측의 대응 위치에 조립돌부(114)를 형성하여 패널판(110) 간 조립 결합시 가이드 기능 및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고 보다 용이하게 평면 배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널판(110)은 장식성을 위해 외측 표면에 다양한 문양이나 패턴 또는 색상을 표출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판(110)은 인테리어적 효과를 위한 장식성과 더불어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새집증후군 해소와 항균 등의 작용성을 위해 플라스틱원료에 기능성 물질을 혼합한 구성으로 성형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패널판(110)은 플라스틱원료에 다공성 물질인 활성탄과 광촉매 반응물질인 산화티탄(TiO2)을 혼합한 조성물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판(110)은 플라스틱원료 100~120중량부에 대하여 다공성 물질인 활성탄 10~50중량부와 광촉매 반응물질인 산화티탄 5~35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조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원료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아미드(PA), 폴리이미드(PI), 폴리설폰(PSU), 섬유강화플라스틱(FRP)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성형성과 내구성 및 내열성 등의 물성특성을 고려한 것이며, 기타 플라스틱원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다공성 물질인 활성탄은 습기 흡착과 탈취 효과를 발휘함과 더불어 다공성 조직의 구비에 따라 방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반응물질인 산화티탄은 항균 작용과 습기 제거 및 자정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실내 조명으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에 반응하여 기능성을 발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흠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내장패널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상기 서포트(20) 간이 일정하게 이격되면서 벽체(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간격유지부(200)를 더 포함한다.
간격유지부(200)는 좌우로 이웃하는 두 패널판(110)에 형성되는 제2 단턱부(112)가 서포트(20)에 정확히 접하면서 나사못(30)에 의한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간격유지부(200)는 병렬로 다수 배치되는 서포트(20) 간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각 서포트(20)로 패널판(110)에 형성되는 제2단턱부(112)가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 다시 말하면, 일부분만이 접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불안정한 고정 등을 방지한다.
간격유지부(200)는 일단부가 이웃하는 두 서포트(20)에 연결되면서 타단부가 대향되는 제1,2간격유지바(210,220) 및 상기 제1,2간격유지바(210,220)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230)을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20)는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공(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간격유지바(210)는 일단부가 상기 체결공(21)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서포트(20)에 연결된다.
상기 체결공(21)으로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부싱(2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2간격유지바(210,220)는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부싱(22)으로 나사결합되며 상기 서포트(20)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2간격유지부(210,220) 중 제1간격유지부(210)는 이웃하는 두 서포트 중 어느 하나의 서포트가 벽체(10)에 고정되면, 고정된 서포트에 연결되고, 제2간격유지부(220)는 벽체(10)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다른 서포트로 연결된 후, 상기 연결수단(230)에 의해 상기 제1간격유지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되지 않은 서포트가 벽체에 고정되면서 이웃하는 서포트(20) 간의 이격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230)은 상기 제1간격유지바(210)의 타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플랜(231), 상기 제2간격유지바(220)의 타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플랜지(232) 및 상기 제1간격유지바(220)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부재(233)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재(233)는 이동에 따라 상기 제2플랜지(232)와 결속되면서 상기 제1,2간격유지바(210,220)를 연결하는 한편, 상기 제2플랜지(232)와 결속해제되면서 상기 제1,2간격유지바(210,220)가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제1,2플랜지(231,232)는 환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부재(233)는 상기 제1간격유지바(210)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234) 및 상기 연결링(234)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간격유지바(22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관(235)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재(233)는 상기 연결링(234) 및 연결관(235)이 일체로 형성되면서 종단면이 일측이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룬다.
상기 제2플랜지(23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235)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2플랜지(232)로 나사결합된다.
상기 조절부재(233)는 이동에 따라 상기 제1간격유지바(2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플랜지(231)와 이웃하거나 상기 제1플랜지(231)와 이격된다.
상기 조절부재(233)는 제1플랜지(231)와 이웃한 상태에서 조임 회전에 따라 상기 제2플랜지(232)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제1,2간격유지바(210,220)를 연결한다.
상기 조절부재(233)는 상기 제2플랜지(231)로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제2플랜지(232)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제1,2간격유지바(210,220)가 분리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1간격유지바(210)는 상기 조절부재(233)가 상기 제2플랜지(23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간격유지바(210)의 일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236)이 형성된다.
상기 방지턱(236)은 상기 제1간격유지바(210)의 일단부가 서포트(20)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조절부재(233)가 상기 제1간격유지바(210)의 일단부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간격유지바(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방지턱(236)은 상기 제1간격유지바(210)의 중앙부보다 타단부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제2플랜지(231)로부터 풀림된 상기 조절부재(233)에 대한 이동거리가 짧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간격유지부(200)는 병렬로 다수 배치되는 서포트(20) 간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서포트(20)로 패널판(110)에 형성되는 제2단턱부(112)가 안정적으로 접하면서 나사못(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 내장패널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벽체 20 : 서포트
30 : 나사못 100 : 내장패널
110 : 패널판 200 : 간격유지부
210 : 제1간격유지바 220 : 제2간격유지바
230 : 연결수단

Claims (1)

  1. 건축물의 실내 벽체(10)에 고정 설치되는 서포트(20); 및 상기 서포트(20)에 고정되는 내장패널(100)을 포함하며, 상기 내장패널(100)은 장방형의 패널판(110)로 이루어지되, 상기 벽체(10) 상에 위치시켜 상기 패널판(110)을 이웃하는 패널끼리 일부 겹쳐지게 하면서 연속 배열하여 마감할 수 있도록 양측단부에 제1 단턱부(111) 및 제2 단턱부(112)가 암수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단턱부(111)의 단턱면 상에 외향 확장형 걸림턱을 갖는 삽입고정돌기(120)가 1개 이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단턱부(112)에 상기 삽입고정돌기(120)에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돌기고정홀(130)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단턱부(112)에는 패널판(110)을 나사못(30) 체결에 의해 서포트(20)에 고정하여 벽체(10)에 직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140)이 형성되고,
    상기 패널판(110)은,
    플라스틱원료 100~120중량부에 대하여 습기 흡착과 탈취 및 방음을 위해 다공성 물질인 활성탄 10~50중량부와 항균과 습기 제거 및 자정을 위해 광촉매 반응물질인 산화티탄(TiO2)을 5~35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조성물의 사출 성형으로 이루어지는 방음효과가 향상된 건축내장패널에 있어서,
    좌우로 이웃하는 두 패널판(110)에 형성되는 제2 단턱부(112)가 상기 서포트(20)에 정확히 접하면서 나사못(30)에 의한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벽체(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간격유지부(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격유지부(200)는,
    일단부가 이웃하는 두 서포트(20)에 연결되면서 타단부가 대향되는 제1,2간격유지바(210,220); 및
    상기 제1,2간격유지바(210,220)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230)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20)는,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공(2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21)으로는,
    상기 제1,2간격유지바(210,220)의 일단부가 나사결합되는 부싱(22)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수단(230)은,
    상기 제1간격유지바(210)의 타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플랜지(231);
    상기 제2간격유지바(220)의 타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플랜지(232); 및
    상기 제1간격유지바(220)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부재(233)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233)는,
    상기 제1플랜지(231)와 이웃한 상태에서 조임 회전에 따라 상기 제2플랜지(232)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제1,2간격유지바(210,220)를 연결하는 한편, 상기 제2플랜지(232)로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제2플랜지(232)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제1,2간격유지바(210,220)가 분리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1간격유지바(210)는,
    상기 조절부재(233)가 상기 제2플랜지(23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간격유지바(210)의 일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236)이 형성되며,
    상기 방지턱(236)은,
    상기 제1간격유지바(210)의 중앙부보다 타단부 방향으로 편향되면서 상기 제2플랜지(232)로부터 풀림된 상기 조절부재(233)에 대한 이동거리가 짧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내장패널.
KR1020200000590A 2020-01-03 2020-01-03 방음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내장패널 KR102183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590A KR102183833B1 (ko) 2020-01-03 2020-01-03 방음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내장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590A KR102183833B1 (ko) 2020-01-03 2020-01-03 방음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내장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833B1 true KR102183833B1 (ko) 2020-11-27

Family

ID=73641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590A KR102183833B1 (ko) 2020-01-03 2020-01-03 방음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내장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8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3476A (zh) * 2020-12-03 2021-03-19 山东基舜节能建材有限公司 一种建筑用高效保温隔热材料
KR102461216B1 (ko) * 2022-01-27 2022-10-31 경상북도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CN117536344A (zh) * 2023-11-13 2024-02-09 江苏天之爱工程建筑有限公司 一种建筑外墙保温板
CN117536344B (zh) * 2023-11-13 2024-06-07 桂林天马装配式建筑有限公司 一种建筑外墙保温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398A (ja) * 1996-10-28 1998-05-19 Kajima Corp セパレ−タの取付方法および治具
KR101713539B1 (ko) 2016-04-06 2017-03-09 최영현 건축용 내장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398A (ja) * 1996-10-28 1998-05-19 Kajima Corp セパレ−タの取付方法および治具
KR101713539B1 (ko) 2016-04-06 2017-03-09 최영현 건축용 내장패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3476A (zh) * 2020-12-03 2021-03-19 山东基舜节能建材有限公司 一种建筑用高效保温隔热材料
KR102461216B1 (ko) * 2022-01-27 2022-10-31 경상북도 배수 시설용 차수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CN117536344A (zh) * 2023-11-13 2024-02-09 江苏天之爱工程建筑有限公司 一种建筑外墙保温板
CN117536344B (zh) * 2023-11-13 2024-06-07 桂林天马装配式建筑有限公司 一种建筑外墙保温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833B1 (ko) 방음효과가 향상된 친환경 건축내장패널
KR101713539B1 (ko) 건축용 내장패널
US20110036542A1 (en) Installation element of an installed packing
FR2881340B1 (fr) Clou humeral
KR20090060686A (ko) 조립데크 결합장치
ITUA20164281A1 (it) Pannelli modulari per la realizzazione di una pavimentazione temporanea calpestabile componibile/scomponibile e metodo per realizzare detta pavimentazione
US20140150367A1 (en) Construction set for covering substrate, in particular floor substrate
KR200458543Y1 (ko) 조명등용 고정클립
KR101613490B1 (ko) 무볼트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CN203856157U (zh) 石材干挂安装系统
CN103938828A (zh) 石材干挂安装系统
KR200436717Y1 (ko) 천장 마감패널 체결장치
KR200398872Y1 (ko) 건축용 개구부 덮개 구조물
KR101595443B1 (ko) 지붕 패널 조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689603B1 (ko) 건축물에 설치하는 못박기 용이한 조립식 내부벽체
KR200210994Y1 (ko) 조립식 칸막이벽의 상부 고정재
KR101292281B1 (ko) 일체형 걸쇠 조립식 맨홀
WO2009060338A3 (fr) Corps creux rigide autoportant, constructions realisees a partir d'un ou plusieurs tels corps creux et procede de realisation de telles constructions.
KR200397034Y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의 조립구조
DE602006013267D1 (de) Aus holz hergestellter kübel mit einer bodenplatte aus holz
KR100834776B1 (ko) 다단식 맨홀
KR101750952B1 (ko) 벽돌조립체
KR20140012401A (ko) 합성목재 패널 조립체
KR200431080Y1 (ko) 건축용 개구부 덮개 구조물
KR101713301B1 (ko) 파티션 결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