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730Y1 -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 - Google Patents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730Y1
KR200292730Y1 KR2020020022358U KR20020022358U KR200292730Y1 KR 200292730 Y1 KR200292730 Y1 KR 200292730Y1 KR 2020020022358 U KR2020020022358 U KR 2020020022358U KR 20020022358 U KR20020022358 U KR 20020022358U KR 200292730 Y1 KR200292730 Y1 KR 2002927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groundwater
retaining wall
concrete retaining
coll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기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기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기기술단
Priority to KR2020020022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7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730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 비탈 등과 같은 장소에 도로가 건설되는 경우 콘크리트 옹벽이 설치되는데, 이때 콘크리트 옹벽의 측면에 설치되어 경사면에서 발생되는 지하수 및 우수를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산 비탈면과 같은 경사면에 도로가 건설되고 배수 측구와 콘크리트 옹벽을 포함하는 도로에 있어서, 상기의 콘크리트 옹벽에는 경사면에 연접되게 배수 시설을 설치하는 한편,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되어 상부로 형성된 날개부가 콘크리트 옹벽의 측면에 안착되도록 집수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의 집수 부재는 길이방향의 일측 상부에 날개부가 형성되고 양측면에 배관 삽입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의 집수 부재에는 안착부의 상부에 커버 부재가 안착되고 측면의 배관 삽입홀에 배수 배관이 결합되어 지하수 및 우수가 처리되고, 상기의 배수 배관은 집수 부재의 배관 삽입홀의 내측면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원형 밀착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의 커버 부재는 직사각형 박스 형태로 제작되고 상부 일측에 덮개부가 형성되고 상기의 커버 부재에는 상부에 다수개의 지하수 유입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의 커버 부재는 내측에 크기가 다른 종류의 원형 스치로폼이 삽입되어 유입된 이물질들을 거르는 구조로 형성되며, 한편, 상기의 커버 부재는 내측에 원형 스치로폼이 삽입된 상태에서 덮개부를 결속 부재를 이용하여 유동이 없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집수 부재의 안착부 상부에안착시키는 구조로 배수 시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DRAINAGE APPARATUS OF SLOPE FOR ROAD}
본 고안은 산 비탈 등과 같은 장소에 도로가 건설되는 경우 콘크리트 옹벽이 설치되는데, 이때 콘크리트 옹벽과 경사면에 연접되도록 설치되고 경사면에서 발생되는 지하수 및 우수를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산이 많은 관계로 산 비탈의 경사면에 많은 도로가 건설되는 실정으로, 상기 경사면이 형성된 지역에 건설되는 도로는 경사면에서 발생되는 낙석 및 경사면 표면의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시설물이 설치된다.
상기의 시설물은 철책을 이용한 방호책 구조물,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경사면에 대한 식생 구조물, 경사면에 대한 섬유마대 설치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물이 설치된다.
상기의 철책을 이용한 방호책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을 설치하고 상기의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의 상부에 지주를 설치한 후 그 지주의 사이마다 철책을 연결하여 경사면에서 발생되는 낙석 및 토사의 붕괴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산 비탈의 경사면과 도로가 연접하는 위치에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을 높게 설치하여 낙석 및 토사의 붕괴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의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에는 다수개의 배수구가 형성되어 경사면에서 발생되는 자연수 및 우수를 도로의 측면에 설치한 배수 측구에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의 경사면에 식생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경사면 표면에 콘크리트 또는 플라스틱 제품으로 제작된 식생 블록을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의 식생 블록에는 대부분 관통홀이 중앙에 형성되어 잔디 등과 같은 식물을 식재하여 경사면 표면에 대한 슬라이딩 현상을 방지하여 붕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경사면에 섬유마대를 설치하는 경우는, 비탈면이 완경사를 이루는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의 섬유마대를 양측에서 와이어 등으로 지지하여 암석의 낙하 및 표면 슬라이딩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철책을 이용한 방호책 구조물은 급경사를 이루는 비탈면에 설치되는경우가 많고 암석이 비탈면에 많이 돌출되는 장소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의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을 이용한 시설물은 급경사를 이루는 비탈면에 설치되고 상기의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이 설치되는 후방면에 성토층이 형성되는 경우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을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경사면에 식생 구조물과 섬유 마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완경사면에 많이 사용되고 토사층의 표면 슬라이딩이 발생을 억제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산 비탈면에 도로가 건설되는 경우의 개략적인 측단면 상세도로서, 도로(10)가 산 비탈면과 같은 경사면(50)에 건설되는 경우 콘크리트 옹벽(30)이 설치된 상태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로(10)의 일측면에는 배수 측구(20)가 형성되고 상기의 배수 측구(20)에 연접하여 콘크리트 옹벽(30)이 입설(立設)되며, 상기의 콘크리트 옹벽(30)에는 수평하게 다수개의 배수구(40)가 형성되어 경사면, 즉 토사에서 발생되는 지하수 및 우수가 처리되고, 콘크리트 옹벽(30)에는 그 측면에 연접되게 경사면(50)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옹벽(30)이 높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경사면에 대한 성토 작업을 실시한 경우 토압력에 의한 토사 표면의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편, 이때 콘크리트 옹벽(30)에는 다수개의 배수구(40)가 형성되어 지하수 및 우수를 배수 측구(20)로 처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경사면(50)에는 위에서 상술한 식생 블록 또는 섬유 마대가 설치되어 토사 표면의 슬라이딩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는 일반적인 기술 사항이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의 콘크리트 옹벽(30)에 형성된 배수구(40)를 이용한 배수 처리는, 적은 양의 지하수 및 우수는 처리가 가능하지만 장마철과 같이 폭우가 쏟아지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옹벽(30)의 상단부를 넘어 월류하게 되어 배수 측구(20)에 배수되는 관계로 배수 측구(20)는 도로 상에서 발생되는 우수와 경사면에서 발생되는 우수에 의하여 많은 양을 한꺼번에 처리할 수 없어 도로(10) 상으로 우수가 넘쳐지게 되어 주행하는 차량에 안전 사고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고, 또한 장마철이 지난 후 콘크리트 옹벽(30)에 토사의 흐름 자국이 선명하게 새겨져 미관상 나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콘크리트 옹벽(30)에 형성된 배수구(40)는 장기간 시간이 경과하면 지하수 및 우수의 배수시 함께 밀려나온 토사가 막혀 배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는 한편, 상기의 콘크리트 옹벽(30)은 경사면에 대한 토압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기능이 강할 뿐 배수 처리의 문제를 해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경사면과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이 설치된 장소에 연접하여 설치되는 관계로 경사면에서 발생되는 지하수 및 우수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고 경사면에서 낙석이 발생된 경우에도 배수 구조가 하부로 형성되는 관계로 원활한 배수 기능에 전혀 지장이 없는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을 제공함을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산 비탈면에 도로가 건설되는 경우의 개략적인 측단면 상세도.
도 2는 본 고안의 옹벽 구조물의 측면에 배수 시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배수 시설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배수 시설을 구성하는 집수 부재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배수 시설을 구성하는 집수 부재의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배수 시설을 구성하는 커버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배수 시설을 구성하는 집수 홈통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도로 110 : 경사면
120 : 배수 측구 130 : 콘크리트 옹벽
200 : 배수 시설 300 : 커버 부재
310 : 덮개부 320 : 지하수 유입부
400 : 집수 부재 410 : 날개부
420 : 안착부 430 : 배관 삽입홀
440 : 홈통 사각홀 450,850 : 체결 볼트홀
500 : 배수 배관 510,810 : 사각 밀착부
600 : 원형 스치로폼 700 : 결속 부재
800 : 집수 홈통 820 : 배수 홈부
830 : 흡입부재 안착부 860 : 지하수/우수 흡입부재
870 : 섬유 포대 880 : 결속끈
900 : 체결 볼트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산 비탈면과 같은 경사면에 도로가 건설되고 배수 측구와 콘크리트 옹벽을 포함하는 도로에 있어서, 상기의 콘크리트 옹벽에는 경사면에 연접되게 배수 시설을 설치하는 한편,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되어 상부로 형성된 날개부가 콘크리트 옹벽의 측면에 안착되도록 집수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의 집수 부재는 길이방향의 일측 상부에 날개부가 형성되고 양측면에 배관 삽입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의 집수 부재에는 안착부의 상부에 커버 부재가 안착되고 측면의 배관 삽입홀에 배수 배관이 결합되어 지하수 및 우수가 처리되고, 상기의 배수 배관은 집수 부재의 배관 삽입홀의 내측면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원형 밀착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의 커버 부재는 직사각형 박스 형태로 제작되고 상부 일측에 덮개부가 형성되고 상기의 커버 부재에는 상부에 다수개의 지하수 유입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의 커버 부재는 내측에 크기가 다른 종류의 원형 스치로폼이 삽입되어 유입된 이물질들을 거르는 구조로 형성되며, 한편, 상기의 커버 부재는 내측에 원형 스치로폼이 삽입된 상태에서 덮개부를 결속 부재를 이용하여 유동이 없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집수 부재의 안착부 상부에 안착시키는 구조로 배수 시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옹벽 구조물의 측면에 배수시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측단면도로서, 산 비탈면과 같은 경사면(110)에 도로(100)가 건설시 경사면(110)에 연접된 위치에 배수 시설(200)이 설치되는데, 또한 상기의 콘크리트 옹벽(130)을 기준으로 타측면에 배수 측구(120)가 설치된다.
상기의 배수 시설(200)은 커버 부재(300), 집수 부재(400), 배수 배관(500) 및 집수 홈통(800)으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배수 시설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배수 시설(200)은 커버 부재(300), 집수 부재(400) 및 배수 배관(500)으로 형성되고, 상기의 집수 부재(400)에는 길이방향의 일측 측면에 홈통 사각홀(440)이 형성되어 집수 홈통과 체결 볼트로 체결된다.
상기의 커버 부재(300)는 직사각형 박스 형태로 제작되고,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의 집수 부재(400)는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되는데, 상부가 오픈되어 있고 일측에 날개부(410)가 형성되며, 상기의 집수 부재(400)는 개략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누운 형태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배관 삽입홀(430)이 형성된다.
상기의 집수 부재(400)는 일측 날개부(410)가 콘크리트 옹벽의 상부에 안착되는 한편, 길이방향으로 양측 내측면에 형성된 안착부의 상부에 커버 부재(300)가 안착되고, 길이방향의 양측 폭방향에 배관 삽입홀(430)이 형성되어 배수 배관(500)이 결합되며, 상기의 집수 부재(400)에는 배관 삽입홀(430)과 홈통 사각홀(440)의 외측에 다수개의 체결 볼트홀(450)이 형성된다.
상기의 배수 배관(500)은 플랙시블한 재질을 이용하는 경우가 좋고 때론 강관 파이프, 플라스틱 파이프 및 기타 파이프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는 한편, 상기의 배수 배관(500)은 일측, 즉 집수 부재(400)의 배관 삽입홀(430)의 내측면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사각 밀착부(510)가 형성되고 그 사각 밀착부에 연접하여 일체로 구성되는 호스부가 형성된다.
상기의 배수 배관(500)이 집수 부재(400)의 배관 삽입홀(430)에 결합되는 경우, 사각 밀착부(510)가 집수 부재(400)의 측면부와 밀착이 강화되도록 실링 처리를 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배수 배관(500)의 이음부에 대한 누수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배수 시설을 구성하는 집수 부재의 평면도로서, 상기의 집수 부재(400)는 길이방향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략적으로 1/100 이하의 구배를 가지는 관계로 대용량의 지하수 및 우수의 빠른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집수 부재(400)에는 길이방향의 일측면에 날개부(410)가 형성되고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마주보도록 안착부(420)가 형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배수 시설을 구성하는 집수 부재의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의 집수 부재(400)는 일측 날개부(410)가 콘크리트 옹벽의 상부에 안착되는 한편, 길이방향으로 양측 내측면에 형성된 안착부(420)가 형성되어 상부에 커버 부재가 안착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배수 시설을 구성하는 커버 부재의 사시도로서, 상기의 커버 부재(300)는 직사각형 박스 형태로 제작되고 상부 일측에 덮개부(310)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의 커버 부재(300)에는 상부에 다수개의 지하수 유입부(32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슬릿홈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의 커버 부재(300)에는 덮개부(310)를 통해 크기가 다른 종류의 원형 스치로폼(600)(도면상 원 안에 다수개가 그려진 상태로 도시함)이 내측에 삽입되어 지하수 및 우수가 유입된 경우 이물질들을 거른 후에 하부의 지하수 유입부(상부의 지하수 유입부와 동일 형태로 형성되고 도면에는 미도시됨)를 통해 지하수 및 우수를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커버 부재(300)는 내측에 원형 스치로폼(600)이 삽입된 상태에서 덮개부(310)를 결속 부재(700)를 이용하여 유동이 없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집수 부재의 상부에 안착하게 된다.
상기의 결속 부재(700)는 밴드형 타입으로 제작하여 사용하면 외부의 응력에 적절하게 대응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배수 시설을 구성하는 집수 홈통의 분해 사시도로서, 집수 홈통(800)은 일측에 수직하게 사각 밀착부(810)가 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그 사각 밀착부(810)에 연접하여 측면으로 길게 ㄷ자홈 형태로 상부가 오픈되도록 배수홈부(820)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의 배수홈부(820)에는 내측에 흡입부재 안착부(83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의 흡입부재 안착부(830)에는 지하수/우수 흡입부재(860)가 상부에 안착되어 배수홈부(820)의 상부를 마감하게 된다.
상기의 집수 홈통(800)의 사각 밀착부(810)에는 다수개의 체결 볼트홀(850)이 형성되어 체결 볼트(900)로 집수 부재에 결합이 가능한 구조인 한편, 상기의 지하수/우수 흡입부재(860)는 지중에 매설되거나 경사면 표면에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의 지하수/우수 흡입부재(860)는 섬유 포대(870), 철사 등과 같은 결속끈(880) 및 원형 스치로폼(60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의 섬유 포대(870)가 직사각 형태로 제작된 후 그 내측에 원형 스치로폼(600)을 적재하게 되고 섬유 포대(870)의 외부를 결속끈(880)으로 체결하여 지하수/우수 흡입부재(86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의 지하수/우수 흡입부재(860)는 집수 홈통(800)의 흡입부재 안착부(83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안착된 상태에서 지하수 및 우수를 흡수하여 배수홈부(820)를 통해 집수 부재로 연결하여 지하수 및 우수를 이송하게 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술한 구성에 대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의 배수 시설(200)은 평상시에 경사면(110)에 설치된 집수 홈통(800)의 지하수/우수 흡입부재(860)를 통해 지하수 및 우수를 흡입한 상태에서 집수 홈통(800)의 배수홈부(820)를 따라 집수 부재(400)로 이송시킨 뒤 다시 배수 배관(500)을 통해 배수 측구로 배수시키게 된다.
그러나, 장마철과 같이 우수가 대용량으로 발생되는 경우, 상기의 배수 시설(200)은 경사면(110)을 넘쳐 흘러내려오는 우수를 집수 홈통(800)의 지하수/우수 흡입부재(860)와 커버 부재(300)의 지하수 유입부(320)를 통해 우수를 집수 부재(400)로 이송하게 되고 집수 부재(400)를 통해 배수 배관(500)을 따라 배수 측구로 배수시키게 된다.
또한, 장마철이 지난 뒤 보수 작업을 위해 상기의 커버 부재(300)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집수 부재(400)에 안착된 커버 부재(300)를 상부로 인양한 뒤 결속 부재(700)를 해체하고 내측에 삽입된 원형 스치로폼(600)을 외부로 빼낸 후에 내부 청소 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이때 집수 부재(400)에 대한 내부 청소도 함께하여 보수 작업을 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커버 부재(300)의 청소를 실시하는 때에 함께 집수 홈통(800)의 사각 밀착부(810)에 체결된 체결 볼트(900)를 해체하여 집수 홈통(800)을 청소할 수 있고 별도로 지하수/우수 흡입부재(860)만 상부로 인양하여 섬유 포대(870)에 부착된 토사를 물로 청소하여 배수 기능을 원활하게 할수도 있다.
상기의 커버 부재(3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원형 스치로폼(600)을 대신하여 잡석을 삽입시키는 경우에는 하부에 안착된 집수 부재(400)를 콘크리트 구조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은, 콘크리트 옹벽의 후방면에 별도로 배수 시설이 설치되는 관계로 장마철과 같은 우기시에도 폭우에 의해 표면 슬라이딩이 발생되어 토사가 도로를 전복하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 한편, 커버 부재를 통해 토사와 같은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제거시키는 관계로 퇴적물에 의한 배수 시설이 제기능을 제대로 할 수 있고, 이러한 이물질 제거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점검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배수시설을 구성하는 집수 부재는 길이방향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략적으로 1/100 정도의 구배가 형성되는 관계로 지하수 및 우수의 유입시 빠르게 배수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의 배수시설을 구성하는 커버 부재에는 내측에 크기가 각기 다른 원형 스치로폼을 삽입하고 있는 관계로 대용량의 우수가 유입되는 경우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집수 부재로 유입되지 않는 관계로 집수 부재의 막힘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지하수 및 우수를 집수 부재로 빠르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산 비탈면과 같은 경사면에 도로가 건설되고 배수 측구와 콘크리트 옹벽을 포함하는 도로에 있어서,
    상기의 콘크리트 옹벽에는 경사면에 연접되게 배수 시설을 설치하는 한편,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되어 상부로 형성된 날개부(410)가 콘크리트 옹벽(130)의 측면에 안착되도록 집수 부재(400)가 설치되고, 상기의 집수 부재(400)는 길이방향의 일측 상부에 날개부(410)가 형성되고 양측면에 배관 삽입홀(430)이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안착부(420)가 형성되고 폭방향의 일측면에 다수개의 홈통 사각홀(440)이 형성되며, 상기의 배관 삽입홀(430)과 홈통 사각홀(440)에는 주위에 체결 볼트홀(450)이 다수개 형성되는 한편,
    상기의 집수 부재(400)에는 안착부(420)의 상부에 커버 부재(300)가 안착되고 측면의 배관 삽입홀(430)에 배수 배관(500)이 결합되어 지하수 및 우수가 처리되고,
    상기의 배수 배관(500)은 집수 부재(400)의 배관 삽입홀(430)의 내측면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사각 밀착부(510)가 일측에 형성되고 호스부의 중간부에 플랙시블부(530)가 형성되며, 사각 밀착부(510)에 다수개의 체결 볼트홀(550)이 형성되어 체결 볼트(900)로 집수 부재(400)에 실링처리된 상태에서 결합되고,
    상기의 커버 부재(300)는 직사각형 박스 형태로 제작되고 상부 일측에 덮개부(310)가 형성되고 상기의 커버 부재(300)에는 상부에 다수개의 지하수유입부(32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의 커버 부재(300)는 내측에 크기가 다른 종류의 원형 스치로폼(600)이 삽입되어 유입된 이물질들을 거르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의 커버 부재(300)는 내측에 원형 스치로폼(600)이 삽입된 상태에서 덮개부(310)를 결속 부재(700)를 이용하여 유동이 없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집수 부재(400)의 안착부(410)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의 집수 부재(400)에는 홈통 사각홀(440)에 집수 홈통(800)이 체결 볼트(900)로 결합되는 한편, 상기의 집수 홈통(800)은 일측에 체결 볼트홀(850)이 다수개 형성된 수직한 구조로 사각 밀착부(810)가 형성되고 그 사각 밀착부(810)에 연접하여 상부가 오픈된 형태로 배수 홈부(820)가 형성되며, 상기의 배수 홈부(820)의 내측면에 흡입부재 안착부(830)가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그 안착부(830)의 상부에 지하수/우수 흡입부재(860)가 안착된 구조로 배수 시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집수 부재(400)는 길이방향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1/100 이하의 구배가 형성되어 대용량의 지하수 및 우수의 유입수 빠른 배출이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지하수/우수 흡입부재(860)는 섬유 포대(870), 결속끈(880) 및 원형 스치로폼(600)으로 구성되고, 상기의 섬유 포대(870)가 직사각 형태로 제작된 후 그 내측에 원형 스치로폼(600)을 적재하며, 상기의 섬유 포대(870)의 외부를 결속끈(880)으로 체결하여 일체 구조로 지하수/우수 흡입부재(860)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의 지하수/우수 흡입부재(860)는 집수 홈통(800)의 흡입부재 안착부(83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안착된 상태에서 지하수 및 우수를 흡수하여 배수홈부(820)를 통해 집수 부재(400)로 연결하여 지하수 및 우수를 이송하게 되는 구조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
KR2020020022358U 2002-07-26 2002-07-26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 KR2002927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358U KR200292730Y1 (ko) 2002-07-26 2002-07-26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358U KR200292730Y1 (ko) 2002-07-26 2002-07-26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150A Division KR100450602B1 (ko) 2002-07-26 2002-07-26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730Y1 true KR200292730Y1 (ko) 2002-10-25

Family

ID=7312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358U KR200292730Y1 (ko) 2002-07-26 2002-07-26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7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667A (ko) * 2016-11-26 2018-06-05 민승기 비탈면의 산사태 방지용 배수블럭
CN114718169A (zh) * 2022-04-11 2022-07-08 温州市万丰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房屋建筑地下室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667A (ko) * 2016-11-26 2018-06-05 민승기 비탈면의 산사태 방지용 배수블럭
CN114718169A (zh) * 2022-04-11 2022-07-08 温州市万丰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房屋建筑地下室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CN114718169B (zh) * 2022-04-11 2024-04-19 温州市万丰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房屋建筑地下室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3411Y1 (ko) 녹지조성용 배수처리구조체 및 그 저수· 세척시스템
KR100952192B1 (ko)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KR101133580B1 (ko)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
US20050042030A1 (en) Drainage and irrigation approach and structure as well as its implementation
KR100941693B1 (ko) 집수정
KR101111302B1 (ko)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KR101111185B1 (ko) 경계겸용 초기 강우 정화 블록
KR100450602B1 (ko)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
KR200405382Y1 (ko)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JP4511077B2 (ja) 雨水排水処理システム
KR200292730Y1 (ko)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
JP2002004393A (ja) 地表水の地下還元装置
CN207538166U (zh) 一种新型道路排水设施
KR20140004867A (ko) 산 비탈면 및 절토 면의 배수로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KR200384437Y1 (ko) 성토부 가배수용 집수거 장치
JP5142065B2 (ja) グラウンドの排水装置
KR20110004410U (ko) 잔디 식재지반 배수구조
KR200224137Y1 (ko)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KR101411476B1 (ko)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
KR200299584Y1 (ko) 콘크리트 배수로 구조
JP2011038241A (ja) 雨水分流枡
JPS6233805Y2 (ko)
KR100650930B1 (ko) 배수관클리너
KR101679765B1 (ko) 가로수목 식재 박스 및 이를 설치하기 위한 식재박스 설치공법
KR100973298B1 (ko)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