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622B1 - 저류 공간이 확보된 측구시설 - Google Patents

저류 공간이 확보된 측구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622B1
KR101322622B1 KR1020130030140A KR20130030140A KR101322622B1 KR 101322622 B1 KR101322622 B1 KR 101322622B1 KR 1020130030140 A KR1020130030140 A KR 1020130030140A KR 20130030140 A KR20130030140 A KR 20130030140A KR 101322622 B1 KR101322622 B1 KR 101322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torage
rainwater
water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 filed Critical 경상북도
Priority to KR1020130030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구시설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지면에 매립되며 우수투입을 위한 상향 개방구조의 유입구(I)가 형성되고, 우수순환을 위한 통수공(110)이 관통형성되는 측구블록(100), 상기 통수공(110)이 형성된 측구블록(100) 일측에 결합되며, 내측에 저류공간(210)이 구비되는 저류블록(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유입된 우수가 저류 배출되는 측구와 유수가 임시저장되는 저류블록이 통수공을 통해 저류공간을 공유하여 수위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측구가 소형화되고 저류블록의 부분적인 추가를 통해 저류공간 확장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시공현장의 상황에 따라 설치형태를 변형하여 시공의 편의성이 확보되고, 우수유입량에 따른 구조확장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류 공간이 확보된 측구시설{The gutters facilities having Rainwater Storage space}
본 발명은 저류 공간이 확보된 측구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구와 연결되어 우수를 임시저장하는 저류공간을 확보함에 있어, 기존에 시공된 측구 사이즈를 확장하지 않고도 우수 배출용량이 증가되면서 측구 주변 지형에 따라 저류공간을 선택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저류 공간이 확보된 측구시설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갓길 등에 설치되는 기존의 배수로나 도로의 측면 배수구는 우수를 모아 하수도나 하천으로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 사전에 산정된 평균적인 강우량을 기준으로 배관면적이 결정되나 게릴라성 호우처럼 단시간에 대량의 폭우가 내릴 경우 순간적인 우수유입량의 증가로 유입된 우수가 역류하여 도로의 침수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순간적인 강우량 증가에도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배수설비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으며, 등록특허 10-0885534호에서 우수저장부, 빗물받이, 연결관, 우수박스로 구성되고, 빗물받이에 유입된 우수 중 일부는 우수박스를 통하여 하천으로 배출되는 우수 유출 저감시설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우수저장부와 별도의 공간에 설치되는 우수박스가 하천으로 이어지는 구성으로, 즉 2개의 독립된 저류설비가 연속적으로 시공되어 넓은 시공공간을 필요로 함에 따라 전기선로, 매립배관설비 및 암반 등의 장애물이 존재하는 장소에서는 연결이 어렵고, 특히 기존에 시공된 측구상에 부가적으로 적용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측구 일측에 구비되어 우수를 임시저장하는 저류공간을 확보함에 있어, 기존에 시공된 측구의 사이즈를 확장하지 않고도 우수 배출용량이 증가되면서 측구 주변 지형에 따라 저류공간을 선택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저류 공간이 확보된 측구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측구(1)와 상기 측구(1)들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저류측구(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측구시설에 있어서, 상기 저류측구(10)는, 우수가 이송되는 측구블록(100)과, 상기 측구블록(100)과 통수공(110)을 통해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측구블록(100)을 통하여 이송되는 우수가 임시저장되는 저류공간(210)이 구비되는 저류블록(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통수공(110)은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통수공(111)과, 우수가 배출되고 개폐부(114)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배출통수공(112)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통수공(112)은 측구블록(100)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면서 상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114)는 배출통수공(112) 내부에 구비되는 부력구(114a)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류블록(200)은 저류공간(210) 내외측으로 우수가 이동되도록 투수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저류블록(200)과 인접하는 인도 바닥에는 투수층(310)이 구비되고, 투수층(310)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는 경사형 방수층(300)을 타고 상기 투수부(220)를 통해 저류공간(210)으로 포집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저류측구(10)의 측구블록(100)과 저류블록(200)은 일체로 형성되어 격벽(120)에 의해 내부공간이 분할되고, 상부가 덮개판(13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측구 일측에 조립되어 우수를 임시저장하는 저류공간을 확보함에 있어, 기존에 시공된 측구의 사이즈를 확장하지 않고도 우수 배출용량이 증가되면서 측구 주변 지형에 따라 저류공간을 선택적으로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구시설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구시설의 저류측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구시설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측구의 우수저류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측구의 투수부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측구시설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측구시설에 관련되며, 이때 측구시설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으로 연속시공되는 측구(1)사이에 저류측구(10)를 연결하여, 측구를 타고 이송되는 우수 중 일부를 임시 저장후 수위가 낮아지면 방류하도록 저류공간을 확보함에 있어, 기존에 시공된 측구의 사이즈를 확장하지 않고도 좁은 공간에서 시공이 간편하고, 측구 주변 지형에 따라 저류공간을 선택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저류측구(10)는 측구(1)에 연결되는 측구블록(100)과, 상기 측구블록(100)과 통수공(110)을 통해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저류블록(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측구시설은 측구(1)와 저류측구(10)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구(1)는 도로의 노면 배수를 위해 도로 가장자리 또는 보도와 차도의 경계에 매립시공되어 우수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통로로서, 콘크리트나 고강도의 합성수지를 이용해 제작되며, 일반적으로 시공의 편의를 위해 다수 개로 분할 성형되어 현장에서 조립시공된다.
그리고 저류측구(10)는 측구(1)와 연결시공되어 우천시 불어난 우수 중 일부를 임시저장하는 형태로 흡수하여 측구를 통한 우수이송량을 경감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바, 이에 따른 저류측구(10)는 측구블록(100) 일측에 형성되는 통수공(110)과, 상기 통수공(110)에 연결되어, 측구블록(100)를 통하여 이송되는 우수를 임시저장하도록 저류공간(210)이 구비되는 저류블록(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저류측구(10)를 구성하는 측구블록(100)과 저류블록(200)은 도 2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어 격벽(120)에 의해 내부공간이 분할되고, 상부가 덮개판(13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되거나, 도 3과 같이 측구블록(100)과 저류블록(200)이 분할형성되어 조립식으로 시공된다. (도 2 및 도 4에서 도면부호 'I'는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이다.)
그리고, 상기 측구블록(100)은 격벽(120)(예컨대, 측구블록(100)과 저류블록(200)이 분리형일 경우에는 측구블록(100)의 측벽에 형성됨)에 형성되는 통수공(110)을 통하여 우수를 저류블록(200)으로 임시저장 및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저류블록(200)은 측구블록(100)으로 유입된 우수가 저장되도록 내측에 저류공간(210)이 구비되어, 통수공(110)을 통해 유입된 우수가 임시저장되는바, 저류블록(200)은 측구블록(100)과 일체로 형성된 경우 도 1과 같이 저류블록(200)이 형성되지 않은 측구(1) 사이에 시공되고, 저류블록(200)이 분리형으로 형성된 경우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통수공(110)이 형성된 측구블록(100)의 측면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이처럼, 기존 시공된 측구시설의 구조 변경없이 해당 측구를 저류측구(10)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시공함으로서, 기존에 시공된 측구의 사이즈를 확장하지 않고도 협소한 공간에서 저류공간(210) 확보가 용이하고, 특히 도 1과 같이 측구시설이 시공된 주변에 전기선로, 매립 배관설비 및 암반 등의 장애물(O)이 존재하더라도 장애물(O)이 없는 구간에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우수 처리용량이 증가됨은 물론 저류측구(10) 수량을 증감하는 것으로 저류용적의 조정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측구블록(100)과 저류공간(210)을 연결하는 통수공(110)은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통수공(111)과, 우수가 배출되는 배출통수공(112)으로 구성되고, 배출통수공(112)은 개폐부(114)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된다. 유입통수공(111)은 격벽(120)(예컨대, 측구블록(100)과 저류블록(200)이 분리형일 경우에는 측구블록(100)의 측벽에 형성됨) 상단에 위치되고, 배출통수공(112)은 격벽(120)(예컨대, 측구블록(100)과 저류블록(200)이 분리형일 경우에는 측구블록(100)의 측벽에 형성됨) 하단에 형성되어 저류공간(210)으로 우수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연결하되, 이때 배출통수공(112)은 측구블록(100) 내부 수위에 따라 개폐되도록 개폐부(1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114)는 수위 감지센서와 연계작동되는 밸브나 수문, 부력에 의해 승하강되는 부력구를 이용한 개폐구조를 선택적으로 적용가능다.
여기서 상기 배출통수공(112)은 도 5 에서와 같이 측구블록(100)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면서 상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페부(114)는 상기 배출통수공(112) 내부에 구비되는 부력구(114a)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측구블록(100) 내부 수위가 높아지면 부력구(114a)가 부력에 의해 배출통수공(112)을 타고 상승하여 좁은 입구를 폐쇄하므로 저류공간(210)에 물이 저장되고, 반해 측구블록(100) 내부 수위가 낮아지면 부력구(114a)가 함께 하강하여 배출통수공(112)을 개방하므로 저류공간(210)에 저장된 물이 배출된다.
이처럼 배출통수공(112)이 측구블록(100) 내부 수위에 따라 개폐됨에 따라 우천시 갑작스럽게 불어난 물이 저류공간(210)에 임시저장된 후, 측구블록(100) 내부 수위가 차츰 낮아지면 저장된 물이 방류되므로,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우수범람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류블록(200)은 저류공간(210) 내외측으로 우수가 이동되도록 투수부(220)가 구비된다. 투수부(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양과 접하는 부분이 형성되어, 저류공간(210)에 저장된 우수를 토양으로 일부 방출함에 따라 갑작스럽게 불어난 우수 흡수율이 향상되고, 또 투수부(220)를 통해 방출된 우수는 인도 및 도로의 콘크리트, 시멘트 바닥으로 인해 수분이 부족한 지중으로 수분을 충분히 공급하여 건조화를 개선함으로써 화단이나 가로수처럼 지면으로부터 수분을 공급받는 식물의 생육발달을 돕게 된다.
또한, 상기 투수부(220)는 토사와 접하는 일면에 부직포, 골재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재를 설치하여 저류공간(210) 내부로 토사유입을 방지함으로써, 토사로 인한 측구블록(100) 막힘현상 및 수질오염, 지반침하를 방지하게 된다.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상기 저류블록(200)과 인접하는 인도 바닥에는 투수층(310)이 구비되고, 투수층(310)으로 유입된 우수는 경사형 방수층(300)에 의해 저류공간(210)으로 포집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우천시 투수층(310)을 통과하여 지중으로 우수가 신속하게 스며들어 인도 바닥에 물 고임현상이 방지되고, 지중으로 유입된 우수는 경사지게 배치된 방수층(300)을 타고 상기 저류블록(200)의 투수부(220)를 통해 저류공간(210)으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된 침투수는 측구 내부 수위가 높을 경우 배출통수공(112)이 폐쇄된 상태로 저류공간(210)에 저장되고, 수위가 낮을 경우 배출통수공(112)이 개방된 상태로 측구블록(100)를 거쳐 하천으로 직접 방류된다.
한편, 상기 방수층(300)의 하단부는 도 8과 같이 투수부(220) 바닥에서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연결되어, 저류공간(210)에 저장된 물이 토양으로 서서히 방출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100 : 측구블록 110 : 통수공
200 : 저류블록 210 : 저류공간
I : 유입구

Claims (6)

  1. 다수의 측구(1)와 상기 측구(1)들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저류측구(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측구시설에 있어서,
    상기 저류측구(10)는,
    우수가 이송되는 측구블록(100)과, 상기 측구블록(100)과 통수공(110)을 통해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측구블록(100)을 통하여 이송되는 우수가 임시저장되는 저류공간(210)이 구비되는 저류블록(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통수공(110)은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통수공(111)과, 우수가 배출되고 개폐부(114)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배출통수공(112)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통수공(112)은 측구블록(100)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면서 상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114)는 배출통수공(112) 내부에 구비되는 부력구(114a)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류블록(200)은 저류공간(210) 내외측으로 우수가 이동되도록 투수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저류블록(200)과 인접하는 인도 바닥에는 투수층(310)이 구비되고, 투수층(310)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는 경사형 방수층(300)을 타고 상기 투수부(220)를 통해 저류공간(210)으로 포집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공간이 확보된 측구시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측구(10)의 측구블록(100)과 저류블록(200)은 일체로 형성되고 격벽(120)에 의해 내부공간이 분할되며, 상부가 덮개판(13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공간이 확보된 측구시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30030140A 2013-03-21 2013-03-21 저류 공간이 확보된 측구시설 KR101322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140A KR101322622B1 (ko) 2013-03-21 2013-03-21 저류 공간이 확보된 측구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140A KR101322622B1 (ko) 2013-03-21 2013-03-21 저류 공간이 확보된 측구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2622B1 true KR101322622B1 (ko) 2013-10-29

Family

ID=4963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140A KR101322622B1 (ko) 2013-03-21 2013-03-21 저류 공간이 확보된 측구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6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377B1 (ko) 2016-03-23 2016-07-13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저영향개발기법 기반의 침투식 빗물저류 구조
KR101639379B1 (ko) 2016-03-24 2016-07-13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비점오염 및 강우유출수 배출저감 측구
KR20210092524A (ko) * 2020-01-16 2021-07-26 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저감을 위한 빗물받이
KR20240014235A (ko) 2022-07-25 2024-02-01 주식회사 레인솔루션 비점오염저감 및 우수저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439A (ja) * 1998-08-29 2000-03-07 Keikon Kk 分流形側溝の構造
KR200268922Y1 (ko) * 2001-12-19 2002-03-18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조절장치
KR200407745Y1 (ko) * 2005-11-10 2006-02-02 대림산업 주식회사 빗물 처리 시스템
KR100806259B1 (ko) * 2007-01-18 2008-02-22 (주) 디아이엔바이로 우수차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439A (ja) * 1998-08-29 2000-03-07 Keikon Kk 分流形側溝の構造
KR200268922Y1 (ko) * 2001-12-19 2002-03-18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조절장치
KR200407745Y1 (ko) * 2005-11-10 2006-02-02 대림산업 주식회사 빗물 처리 시스템
KR100806259B1 (ko) * 2007-01-18 2008-02-22 (주) 디아이엔바이로 우수차집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377B1 (ko) 2016-03-23 2016-07-13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저영향개발기법 기반의 침투식 빗물저류 구조
KR101639379B1 (ko) 2016-03-24 2016-07-13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비점오염 및 강우유출수 배출저감 측구
KR20210092524A (ko) * 2020-01-16 2021-07-26 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저감을 위한 빗물받이
KR102370200B1 (ko) * 2020-01-16 2022-03-03 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저감을 위한 빗물받이
KR20240014235A (ko) 2022-07-25 2024-02-01 주식회사 레인솔루션 비점오염저감 및 우수저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6038B2 (ja) 道路用流出抑制排水工
KR101225072B1 (ko) 투수 포장 구조체
CN105507112B (zh) 一种防内涝补给地下水的路面系统
KR101322622B1 (ko) 저류 공간이 확보된 측구시설
JP4268922B2 (ja) 排水システムにおける浸透管付き取水桝及び排水システム
CN105926408A (zh) 一种园林生态雨水给排系统
CN208981408U (zh) 海绵城市道路雨水收集利用系统
CN108239905B (zh) 一种防积水道路及其施工方法
KR101510615B1 (ko)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90052749A (ko) 도시녹화 배수시스템
JP2011074563A (ja) 雨水浸透システム
JP5083602B2 (ja) 流出抑制街渠工
KR101418040B1 (ko) 가변형 빗물 저장 탱크
JP2008267023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JP2007100506A (ja) 集水桝とこれを用いた舗装道路の排水構造
CN104878827A (zh) 道路排水结构
KR100487067B1 (ko) 누수파이프를 갖는 유역토양 저수능 증가장치
JP6173370B2 (ja) 分散型貯水工法
KR101906075B1 (ko) 투수성 도로 경계용 측구
KR101030108B1 (ko) 도로 빗물받이의 악취차단장치
KR100984372B1 (ko)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
CN204530376U (zh) 防涝消雨污水人行道平整城镇道路结构
CN211498333U (zh) 一种市政道路施工用路基排水结构
CN212895755U (zh) 一种城市道路人行道排水装置
JP2002317486A (ja) 雨水流出抑制処理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