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922Y1 -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922Y1
KR200268922Y1 KR2020010039348U KR20010039348U KR200268922Y1 KR 200268922 Y1 KR200268922 Y1 KR 200268922Y1 KR 2020010039348 U KR2020010039348 U KR 2020010039348U KR 20010039348 U KR20010039348 U KR 20010039348U KR 200268922 Y1 KR200268922 Y1 KR 200268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level sensor
water level
auxiliary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주)아름드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주)아름드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10039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9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922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 조절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본 고안의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 조절장치는, 도로로부터 흘러내린 빗물을 유입하는 다수의 유도홀을 상기 배수로 상측 상부면과 일치시켜 설치하고, 상기 유도홀을 그 내부로 연장시켜 형성한 경계블록; 상기 유도홀과 연통되어 상기 유도홀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배수로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저장하는 보조배수로; 상기 배수로와 보조배수로의 빗물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개폐되는 양방향밸브; 상기 배수로의 측벽에 부착되어 상기 양방향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수위감지센서; 상기 제1 수위감지센서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조배수로의 측벽에 부착되어 상기 양방향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수위감지센서; 및 상기 제1 수위감지센서와 제2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합하여 밸브의 개폐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보조배수로의 설치 및 이의 전자적인 제어를 통해 총배수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량을 시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빗물의 역류현상을 방지하여 차량의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 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drain capacity using sub drainage works}
본 고안은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변의 배수로가 갖는 배수량을 초과할 경우를 대비하여 보조배수로에 임시로 빗물을 보관하여 배수량을 조절하는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블록은 전체를 콘크리트로 성형한 것으로서 도로 또는 보도의 경계를 구획하기 위해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시설물이다.
도 1은 종래의 경계블록을 포함하는 L형측구가 도로변에 설치된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 따라 절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L형측구(L)가 설치되는 도로(1)의 구조를 살펴보면 아스팔트 등으로 포장된 도로(1)와, 그 바깥쪽에 시멘트로 포장된 배수로(2)와 경계블록(3)으로 이루어지는 L형측구(L)로 구성된다. 상기 도로(1)는 우천시에 빗물이 도로(1) 중앙에 고이지 않도록 도로(1)의 중앙쪽이 높고 L형측구(L)쪽이 낮게 경사를 이루도록 포장되어 있다. 상기 L형측구(L)는 도로(1)의 표면에 떨어진 빗물의 배수를 위해 설치되는 도로시설물로서, 상기 도로(1)의 경계선(4)에서 단턱져서 상기 도로(1)보다 낮게 이루어져 있다. 이 또한 배수를 원활히 하기 위한 목적이다.
상기 경계블록(3)은 일반형 경계블록(3)과 A형 경계블록으로 두가지가 있는데, 상기 일반형 경계블록(3)은 좌우 측면이 평탄하고 그 내부는 콘크리트로 채워져 있는 구조로서, 상기 L형측구(L)의 대부분에 설치되어 도로(1)의 경계를 구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경계블록(3)은 L형측구(L)의 시멘트 포장 작업시에 함께 설치되어 시멘트 포장 속으로 그 하단부 일부가 묻히게 된다. 한편 상기 L형측구(L)에는 우천시에 빗물이 흘러들어 가는 맨홀(5)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L형측구(L)는 상기 빗물받이 맨홀(5)로 빗물이 집중될 수 있도록 각 구간 경사가 조절되어 포장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L형측구(L)에 비가 내릴 경우에 도로(1)의 경사로 L형측구(L)로 빗물이 몰리게 된다. 이에 따라 빗물은 L형측구(L)를 따라 진행하면서 L형측구(L)에 형성된 맨홀(5)로 유입되게 된다. 이후, 맨홀(5)을 통해 유입된 빗물은 배수로(2)를 타고 흐르게 되는데, 장시간 계속되는 폭우의 경우에는 상기 배수로(2)의 배수 용량을 초과하여 빗물이 역류함으로써 도로(1)의 하위차선에 고이게 되어 주행하는 차들이 물보라를 일으켜서 뒤따라 오는 운전자의 시야를 흐리게 만들어 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와 같이 배수로(2)의 배수 용량의 한계 때문에 우천시 및 우천후에 도로변의 배수를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방안의 제시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변의 배수로가 갖는 배수량을 초과할 경우를 대비하여 경계블록을 통해 보조배수로에 임시로 물을 보관하고 센서의 수위감지를 통해 주배수로로 배출시킴으로써 배수량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는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경계블록과, 맨홀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배수하는 배수로를 형성시킨 L형측구를 포함하는 배수량 조절장치에 적용되는데, 본 고안의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 조절장치는, 도로로부터 흘러내린 빗물을 유입하는 다수의 유도홀을 상기 배수로 상측 상부면과 일치시켜 설치하고, 상기 유도홀을 그 내부로 연장시켜 형성한 경계블록; 상기 유도홀과 연통되어 상기 유도홀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배수로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저장하는 보조배수로; 상기 배수로와 보조배수로의 빗물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개폐되는 양방향밸브; 상기 배수로의 측벽에 부착되어 상기 양방향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수위감지센서; 상기 제1 수위감지센서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조배수로의 측벽에 부착되어 상기 양방향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수위감지센서; 및 상기 제1 수위감지센서와 제2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합하여 밸브의 개폐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배수로의 저면보다 보조배수로의 저면이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양방향밸브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경계블록을 포함하는 L형측구가 도로변에 설치된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 따라 절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배수로와 연결되는 유도홀이 형성된 경계블록이 도로변에 설치된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에 따라 요부를 절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B-B'에 따른 정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 조절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주배수로 20 : 보조배수로
21 : 격벽 22 : 보수홀
30 : 경계블록 31 : 유도홀
5 : 맨홀 6 : 솔레노이드밸브
7 : 제1 수위감지센서 8 : 제2 수위감지센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서 종래와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한 부분, 즉 도로 및 맨홀 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배수로와 연결되는 유도홀이 형성된 경계블록이 도로변에 설치된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에 따라 요부를 절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에 따른 정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구성요소와 비교하여 달라지는 점은, 경계블록(30)의 하부면에 도로(1)로부터 흘러내린 빗물을 유입하는 다수의 유도홀(31)을 형성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도홀(31)과 연통되어 상기 유도홀(31)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 및 배수로(2)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저장하는 보조배수로(20)도 상기 경계블록(30) 하부에 마련된다. 즉, 상기 유도홀(31)은 외부와 보조배수로(20)를 연결하는 통로가 된다. 이 때, 상기 유도홀(31)은 배수로(2) 상측 상부면(T)과 일치시켜 설치하여 빗물을 효과적으로 유도한다. 이하, 기존의 배수로(2)를 보조배수로(20)와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주배수로(2)라 명한다. 상기 보조배수로(20)는 기존의 주배수로(2) 옆에 마련되며, 격벽(21)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 격벽(21)의 하단에는 상기 주배수로(2)와 보조배수로(20)의 빗물 흐름을 개폐시키는 양방향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 상기 주배수로(2)와 보조배수로(20) 각각에는 수위감지센서가 부착되게 되는데, 상기 주배수로(2)에는제1 수위감지센서(7)가 아래쪽 격벽(21) 및 측벽에 부착되어 상기 양방향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보조배수로(20)에는 제2 수위감지센서(8)가 제1 수위감지센서(7)보다 위쪽 격벽(21) 및 측벽에 부착되어 상기 양방향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1 수위감지센서(7)와 제2 수위감지센서(8)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합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제1 수위감지센서(7), 제2 수위감지센서(8), 양방향밸브와 각각 전자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배수로(2)의 저면과 보조배수로(20)의 저면이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주배수로(2)의 저면보다 보조배수로(20)의 저면이 상부에 위치하면 된다. 이는 보조배수로(20)의 기능은 빗물을 임시저장하였다가 주배수로(2)로 배수시키므로 양방향밸브의 개방에 따라 빗물이 자연스럽게 흘러갈 수 있는 상태를 유지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한, 주배수로(2)의 용적은 종래의 크기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조배수로(20)의 크기는 지역의 위치 및 건설 조건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여기에, 본 고안은 전자적인 제어에 의해 빗물의 제어가 이루어지므로 상기 주배수로(2)와 보조배수로(20) 사이에 형성되는 양방향밸브는 솔레노이드밸브(6)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경계블록(30) 및 보조배수로(20)를 형성시키기 위한 공정순서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맨홀(5)이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하여 솔레노이드밸브(6)를 하단에 형성시킨 격벽(21)을 설치하여 주배수로(2)와 보조배수로(20)를 형성시킨 후,유도홀(31)이 형성된 경계블록(30)을 보조배수로(20) 상부에 얹게 된다. 이에 따라 L형측구(L')가 형성된다. 이 때, 주배수로(2)의 상단 바닥면과 경계블록(30)에 형성된 유도홀(31)의 하단 모서리의 높이가 일치하게 조절하여 빗물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이 때, 주배수로(2)에 설치되는 제1 수위감지센서(7)는 맨홀(5)이 형성된 영역에 설치하며, 보조배수로(20)에 설치되는 제2 수위감지센서(8)는 어느 곳에나 설치할 수 있으나 유지보수관리를 위해 맨홀(5)이 형성된 영역에 설치하며, 격벽(21) 상부에 보수홀(22)을 형성시켜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이 때, 상기 제2 수위감지센서(8)의 위치는 주배수로(2)의 배수용량을 고려하여 설치된다. 즉, 예상되는 빗물의 량의 고려하여 주배수로(2)의 배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주배수로(2)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되는 높이이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배수로 경계블록(30)의 보조배수로(20)를 이용한 배수량 조절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 조절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가 내리게 되어 도로(1)의 경사를 따라 L형측구(L') 쪽으로 빗물이 흘러가게 되면 빗물은 L형측구(L')를 따라 흐르게 된다. 이 때, L형측구(L')의 경사를 따라 흐르던 빗물은 맨홀(5)로 유입되거나, 경계블록(30)에 형성된 유도홀(31)로 유입되게 된다. 이에 따라, 주배수로(2)와 보조배수로(20)로 빗물이 유입되게 되는데, 이때 솔레노이드밸브(6)는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1). 이는 제1 수위감지센서(7)와 제2수위감지센서(8)의 논리합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6)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이는 [표 1]에 잘 나타나 있다. [표 1]은 수위감지센서와 솔레노이드밸도 개폐와의 상호관계를 나타낸 동작상태표이다.
즉, 제1 수위감지센서(7)와 제2 수위감지센서(8)가 각각 온(on)상태일 경우에는(동작순 1) 솔레노이드밸브(6)를 상시 오픈시켜 주배수로(2)와 보조배수로(20)가 동일한 수위를 유지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온(on)상태는 동작상태를 의미하고, 솔레노이드밸브(6)의 오픈(open)은 개방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 때, 제1 수위감지센서(7)가 빗물이 상승함에 따라 오프상태가 될 경우에는(동작순 2) 밸브의 현상태인 오픈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S2). 한편, 빗물이 계속 유입되면 수위가 동시에 상승하게 되는데, 상기 주배수로(2)와 보조배수로(20)의 수위가 동시에 상승하면서 제2 수위감지센서(8)까지 빗물의 수위가 상승하면 제2 수위감지센서(8)가 오프상태가 되어(동작순 3) 제어부(미도시)에서 솔레노이드밸브(6)를 폐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6)가 폐쇄되면 주배수로(2)와 보조배수로(20)의 빗물 흐름이 차단되게 되어 상기 보조배수로(20)에 유입되는 빗물은 유도홀(31)을 통해서만 유입되게 되고, 주배수로(2)에는 맨홀(5)을 통해서만 유입되게 된다(S3). 이후, 계속하여 빗물이 상승하여 격벽(21)에 형성된 보수홀(22) 이상에 이르게 되면 주배수로(2)와 보조배수로(20)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면서 흐르게된다.
한편, 강수량이 감소하거나 비가 그치게 되어 유입되는 빗물이 감소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배수로(2)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보조배수로(20)는 격벽(21)에 형성된 보수홀(22)의 높이까지 빗물을 담고 있게 된다. 이후, 주배수로(2)의 수위가 계속 낮아져 제1 수위감지센서(7)가 온상태로 변화되면(동작순 4)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6)가 오픈되어(S4) 보조배수로(20)에 수용된 빗물이 비로서 주배수로(2)로 방출되게 된다(S5). 이 때, 보조배수로(20)의 빗물을 방출함에 따라 다시 배수로의 수위가 상승하여 제1 수위감지센서(7)이 오프되면(동작순 5)(S6) 솔레노이드밸브(6)를 폐쇄시켜 방출을 일시중단시키고(S7), 이후 주배수로(2)의 수위가 다시 낮아져 제1 수위감지센서(7)가 온되면 다시 방출이 시작되는 과정을 반복하여(동작순 4, 동작순 5) 주배수로(2)의 배수량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보조배수로(20)의 빗물을 주배수로(2)로 방출하게 되어 제2 수위감지센서(8)가 온 상태가 되면(동작순 6)(S8) 제2 수위감지센서(8)의 온/오프에 관계없이(동작순 6, 동작순 7) 솔레노이드밸브(6)를 상시오픈시켜 보조배수로(20)의 빗물을 모두 주배수로(2)로 방출시킨다(S9). 이를 위해 제2 수위감지센서(8)의 높이와 주배수로(2)의 배수용량이 상관관계에 있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배수로(2)의 배수용량을 고려하여 제1 수위감지센서(7)보다 제2 수위감지센서(8)를 높게 설치하여 이를 실현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 조절장치는, 보조배수로의 설치를 통해 총배수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상기 보조배수로를 통해 배수량을 조절함으로써 빗물의 역류현상을 방지하여 차량의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Claims (3)

  1. 경계블록과, 맨홀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배수하는 배수로를 형성시킨 L형측구를 포함하는 배수량 조절장치에 있어서,
    도로로부터 흘러내린 빗물을 유입하는 다수의 유도홀을 상기 배수로 상측 상부면(T)과 일치시켜 설치하고, 상기 유도홀을 그 내부로 연장시켜 형성한 경계블록;
    상기 유도홀과 연통되어 상기 유도홀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배수로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저장하는 보조배수로;
    상기 배수로와 보조배수로의 빗물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개폐되는 양방향밸브;
    상기 배수로의 측벽에 부착되어 상기 양방향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수위감지센서;
    상기 제1 수위감지센서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조배수로의 측벽에 부착되어 상기 양방향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수위감지센서;
    상기 제1 수위감지센서와 제2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합하여 밸브의 개폐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의 저면보다 보조배수로의 저면이 상부에 위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밸브는 솔레노이드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 조절장치.
KR2020010039348U 2001-12-19 2001-12-19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조절장치 KR200268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348U KR200268922Y1 (ko) 2001-12-19 2001-12-19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348U KR200268922Y1 (ko) 2001-12-19 2001-12-19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922Y1 true KR200268922Y1 (ko) 2002-03-18

Family

ID=73071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348U KR200268922Y1 (ko) 2001-12-19 2001-12-19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92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846B1 (ko) 2006-01-16 2006-04-04 주식회사 한국국토안전연구원 도로 비탈면에 설치되는 배수로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KR100637259B1 (ko) * 2006-01-27 2006-10-23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상습침수 도로구간의 안전진단 경계석 시설
KR101229485B1 (ko) 2012-05-23 2013-02-04 (주)우창그레이팅 경계석 측면 설치를 위한 연결용 배수구
KR101322622B1 (ko) * 2013-03-21 2013-10-29 경상북도 저류 공간이 확보된 측구시설
CN112431091A (zh) * 2020-11-30 2021-03-02 浙江水利水电学院 一种道路两侧路牙石排水地漏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846B1 (ko) 2006-01-16 2006-04-04 주식회사 한국국토안전연구원 도로 비탈면에 설치되는 배수로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KR100637259B1 (ko) * 2006-01-27 2006-10-23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상습침수 도로구간의 안전진단 경계석 시설
KR101229485B1 (ko) 2012-05-23 2013-02-04 (주)우창그레이팅 경계석 측면 설치를 위한 연결용 배수구
KR101322622B1 (ko) * 2013-03-21 2013-10-29 경상북도 저류 공간이 확보된 측구시설
CN112431091A (zh) * 2020-11-30 2021-03-02 浙江水利水电学院 一种道路两侧路牙石排水地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38707A (ja) 透水性舗装用歩車道境界ブロック及び透水性舗装の排水構造
KR200268922Y1 (ko)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조절장치
JP2002061105A (ja) 境界導水溝ブロック、および道路における排水処理構造
KR100466889B1 (ko) 도로용 보도블록
KR100478606B1 (ko) 도로면과 접하는 인도면에 시공한 청소 및 빗물 배수로의구조
CN211116009U (zh) 一种多层多功能市政隧道
KR101186881B1 (ko)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JP3022195U (ja) 排水路合設歩車道境界ブロック
KR100951061B1 (ko) 도심 시가지 도로 측구 배수 우수 받이
JP2004244911A (ja) 透水舗装の排水構造及び縁石ブロック
KR100570462B1 (ko) 우수배수 저감용 집수정 및 그의 설치방법
KR200364528Y1 (ko) 도로의 측구 수로관 및 경계의 일체형 블록
JP3989257B2 (ja) 街渠桝
JP2003301508A (ja) 雨水枡蓋
KR200403834Y1 (ko) 친환경적인 도로용 배수시설
JP2000328641A (ja) 縁石付き蓋版を備えた側溝
KR100334119B1 (ko) 측구가 일체로 형성된 연석
JP2002220870A (ja) 排水性舗装用側溝ブロック及び路面構造
JP3862493B2 (ja) 境界ブロック
IL255805A (en) Metallic curb and urban drainage ditch
JPH05339978A (ja) 複合機能型側溝
KR102370200B1 (ko) 침수 저감을 위한 빗물받이
CN209412956U (zh) 一种多功能排水沟和侧石结合体
KR200308425Y1 (ko) 도로면과 접하는 인도면에 시공한 청소 및 빗물 배수로의구조
JP2007303088A (ja) 側溝用集水枡及び側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