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661B1 - 지중 침투형 빗물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지중 침투형 빗물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661B1
KR101043661B1 KR1020100116399A KR20100116399A KR101043661B1 KR 101043661 B1 KR101043661 B1 KR 101043661B1 KR 1020100116399 A KR1020100116399 A KR 1020100116399A KR 20100116399 A KR20100116399 A KR 20100116399A KR 101043661 B1 KR101043661 B1 KR 101043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penetration
pipe
filter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기
조청휘
Original Assignee
김병기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기,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병기
Priority to KR1020100116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지중침투형 빗물배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로 포장면과 보도면사이의 경계영역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배수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계영역으로 흘러드는 빗물이 유입되는 배수공을 갖는 상부여과부재를 상부입구에 배치하고,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집수통을 구비하고, 상기 배수공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여과하도록 상기 집수통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필터부를 구비하는 집수부 ; 상기 집수통과 연결관을 매개로 연결되고,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침투통을 구비하고, 상기 침투통에 일단이 연결되고, 몸체외부면에 복수개의 침투배수공을 관통형성하여 지중에 매입되는 일정길이의 침투관을 갖추어 상기 침투통의 내부로 유입된 빗물을 상기 침투관을 통하여 지중으로 배수하는 침투배수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중 침투형 빗물배수장치{Under Earth Penetration Type Rain Water Draining Device}
본 발명은 지중으로 빗물을 침투시켜 배수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도로 포장면과 보도면 사이에 기설치된 측구의 배수설비를 이용하여 여름 장마철 폭우시 급격히 증가하는 빗물을 지중으로 안내배수하여 수행 및 역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배수안내되는 빗물을 지중으로 자연스럽게 배수하여 지하수의 고갈을 방지하는 한편, 별도의 부지를 필요로 하는 빗물저류설비를 대체할 수 있는 지중 침투형 빗물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차량이 주행하는 차도와 사람이 보행하는 보도로 구획되며, 차도에는 불투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도로 포장면으로 포장되고, 보도에는 보도블럭으로 이루어지는 보도면으로 포장된다.
상기 도로 포장면의 양쪽 가장자리와 보도면사이에는 도로 포장면이나 보도면으로부터 흘러 유입되는 물을 안내배수할 수 있도록 측구를 구비함에 따라, 강우시 도로 포장면이나 보도면에 내린 빗물은 자연스럽게 측구측으로 흘러들어 측구와 측구사이에 구비되는 배수구 또는 측구에 구비되는 배수구를 통해 도로 포장면의 직하부 지중에 매설된 배수관을 통하여 배수처리하였다.
이러한 경우, 빗물은 지중으로 침투되지 못하고 배수관을 통해 하천 등으로 흘려 보내게 되는바, 결과적으로 지중으로 스며드는 빗물의 비중이 저조하여 지하수가 고갈되는 한편, 지하수를 생명유지원으로 하는 생태계를 파괴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여름철에 시간당 강우량이 갑자기 증가하는 폭우발생시 배수구를 통한 빗물배수가 원활하지 못하여 배수구를 통해 빗물이 역류할 수 있고, 역류되는 빗물에 의하여 저지대에서 수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주택가 주변에 일정량의 빗물을 일정량 저장할 수 있는 빗물저류설비를 구비하여 여름 장마철의 폭우발생시 배수관을 통한 배수처리량보다 많은 빗물이 유입되면서 발생하는 역류 및 수해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주택가 주변에 별도의 빗물 저류설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부지를 확보해야만 하기 때문에 설계 및 시공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시공시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한편, 빗물 저류설비에 저장된 빗물을 재활용하거나 배수처리하는데 추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로 포장면과 보도면사이에 기설치된 측구의 배수설비를 이용하여 여름 장마철 폭우시 급격히 증가하는 빗물을 지중으로 안내배수하여 수행 및 역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배수안내되는 빗물을 지중으로 자연스럽게 배수하여 지하수의 고갈을 방지하는 한편, 별도의 부지를 필요로 하는 빗물저류설비를 대체할 수 있는 지중침투형 빗물배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 포장면과 보도면사이의 경계영역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배수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계영역으로 흘러드는 빗물이 유입되는 배수공을 갖는 상부여과부재를 상부입구에 배치하고,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집수통을 구비하고, 상기 배수공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여과하도록 상기 집수통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필터부를 구비하는 집수부 ;상기 집수통과 연결관을 매개로 연결되고,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침투통을 구비하고, 상기 침투통에 일단이 연결되고, 몸체외부면에 복수개의 침투배수공을 관통형성하여 지중에 매입되는 일정길이의 침투관을 갖추어 상기 침투통의 내부로 유입된 빗물을 상기 침투관을 통하여 지중으로 배수하는 침투배수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침투형 빗물배수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여과부재는 상기 경계영역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측구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거나 상기 측구와 이에 인접하는 측구사이에 배치되는 그레이팅여과부재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필터부는 상기 집수통의 상부개구부에 상단이 걸림배치되고 몸체외부면에 복수개의 빗물배출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집수통으로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상부필터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필터부는 상기 상부필터의 하부면에 연결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일단이 연결되고, 휨변형이 가능한 판상의 필터체의 외측테두리에 타단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끈과, 상기 필터체의 상부면에 중앙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끈이 통과하는 복수개의 연결공을 상단에 형성한 일정높이의 지지봉을 구비하는 저부필터를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체는 투수성소재 또는 불투성소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침투통은 상기 도로포장면의 하부에 설치되는 메인배수관과 연결되어 빗물을 배출하는 빗물유출관을 구비하거나 상기 침투통은 외부로부터 빗물을 추가 유입할 수 있도록 빗물유입관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침투통과 연결되는 침투관의 단부에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관구필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침투관은 지중에 매입되는 관지지부에 의해서 수평하게 또는 일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지지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관지지부는 상기 침투관을 에워싸는 그물망형태의 망체와, 상기 망체의 내부공간에 일정량 채워지고, 상기 침투배수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빗물을 지중으로 배수할 수 있는 공극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침투배수공의 내경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큰 입도크기를 갖는 쇄석이 채워지는 채움재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망체는 지중에 매설되는 콘크리트기초석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관지지부는 상기 침투관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공을 일측면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침투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빗물이 저류되도록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외부면에 복수개의 배출공을 형성한 박스구조물과, 상기 박스구조물의 외부면을 에워싸는 망체 및 상기 박스구조물의 외부에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빗물을 지중으로 배수할 수 있는 공극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쇄석이 워지는 채움재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관지지부는 상기 침투관이 배치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외부면에 상기 침투배수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빗물이 배출되는 배출공을 형성한 박스구조물과, 상기 박스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상기 침투배수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빗물을 배수할 수 있는 공극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쇄석이 채워지는 채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집수통과 침투통은 직하부에 일정크기의 입도를 갖는 쇄석으로 채워지는 쇄석층과. 상기 쇄석층이 상부면에 일정높이로 적층되는 기초콘크리트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 포장면과 보도면사이의 경계영역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을 여과하여 집수부의 집수통에 일시 저장한 다음 연결관을 통해 이에 인접하는 침투통으로 공급하고, 침투통에 집수된 빗물은 지중에 매입되는 침투관의 침투배수공을 통하여 지중으로 지반침하없이 배출처리됨으로써, 도로 포장면과 보도면사이에 기설치된 배수설비의 간단한 구조변경에 의하여 여름 장마철 폭우시 급격히 증가하는 빗물을 지중으로 안내배수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배수관의 배수처리부담을 줄일 수 있고, 급격한 강우증가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역류현상을 방지하여 저지대에서의 수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빗물을 지중으로 자연스럽게 배수하여 지하수의 고갈을 방지할 수 있어 할 수 있고, 배수안내되는 빗물을 지중으로 자연스럽게 배수하여 지하수의 고갈을 방지하는 한편, 시간당 배수효율을 높여 폭우시 역류 및 수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택가 근방에 별도의 부지를 필요로 하는 빗물저류설비를 대체할 수 있어 도시계획정비를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불필요한 설비의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침투형 빗물배수장치를 도시한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침투형 빗물배수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침투형 빗물배수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침투형 빗물배수장치에 채용되는 내부필터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상부필터
b)는 저부필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침투형 빗물배수장치에 채용되는 관구필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a)(b)(c)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침투형 빗물배수장치에 채용되는 관지지부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침투형 빗물배수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 포장면(200)과 보도면(300)사이의 경계영역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1차 집수한 다음 지중으로 2차로 침투하여 배수처리할 수 있도록 집수부(110)와 침투배수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집수부(110)는 상부여과부재(111), 집수통(112) 및 내부필터부(113)를 포함하는바, 상기 상부여과부재(111)는 상기 도로 포장면(200)과 보도면(300)사이의 경계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경계영역으로 흘러드는 빗물을 유입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수공(111a)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부여과부재(111)는 상기 도로 포장면(200)과 보도면(300)사이의 경계영역을 따라 연속하여 복수개 배치되는 'ㄴ' 단면상의 측구(301) 중 어느 하나 이루어지거나 상기 측구(301)와 이에 인접하는 측구사이에 배치되는 그레이팅여과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집수통(112)은 상기 상부여과부재(111)를 상부개구부에 배치하고, 상기 배수공(111a)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일정량 저장하여 집수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빗물집수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집수통(112)의 상부개구부에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용 연장부(112a)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112a)의 외측테두리에는 상기 상부개구부에 배치되는 상부여과부재(111)의 분리이탈을 방지하도록 걸림턱(112b)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통(112)은 원형 또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는 상기 배수공(111a)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내부필터부(113)를 구비한다.
이러한 내부필터부(113)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수통(112)의 상부개구부에 상단이 걸림배치되고 상부로 개방된 대략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몸체외부면에 복수개의 빗물배출공(114a)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집수통(112)으로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로 여과하는 상부필터(1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필터(114)는 상기 집수통(112)으로부터의 분리이탈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상부에 손잡이(114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필터부(113)는 상기 상부필터(114)의 하부면에 분리이탈가능하게 연결되는 홀더(115a)와, 상기 홀더(115a)에 일단이 연결되고, 휨변형이 가능한 판상의 필터체(115c)의 외측테두리에 타단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끈(115b)과, 상기 필터체(115c)의 상부면에 중앙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끈(115b)이 통과하는 복수개의 연결공(115e)을 상단에 형성한 일정높이의 지지봉(115d)을 구비하는 저부필터(1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115a)는 상기 상부필터(114)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걸림고리(미도시)에 분리이탈가능하게 걸림연결될 수 있고, 상기 걸림고리에는 상기 연결끈(115b)이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체(115c)는 상기 상부필터(114)로부터 낙하하는 빗물을 자연스럽게 통과시킬 수 있도록 메쉬망 또는 헝겁과 같은 투수성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빗물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고무판과 같은 불투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여과부재(111)로 흘러드는 빗물은 상기 배수공(111a)을 통과하면서 나뭇잎 또는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이 1차 여과된 후 상기 집수통(112)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부필터(114)로 낙하 유입되고, 1차 여과된 빗물은 상기 상부필터(114)에 형성된 빗물배출공(114a)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을 2차로 여과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필터(114)를 통과하면서 2차로 여과된 빗물은 상기 상부필터(114)의 직하부에 연결된 저부필터(115)로 낙하되어 필터체(115c)를 통과하면서 3차로 여과되거나 빗물의 낙하시 발생하는 낙하에너지를 감소시킴으로써 집수통(112)에 저수된 빗물을 혼탁하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침투배수부(120)는 침투통(121), 침투관(122)을 포함하여 상기 침투통(121)의 내부로 유입된 빗물을 상기 침투관(122)을 통하여 지중으로 배수처리하는 것이다.
상기 침투통(121)은 상기 집수통(112)의 외부면과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관(123)을 매개로 하여 상기 집수통(112)에 집수된 빗물이 유입되도록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빗물저장수단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침투통(121)은 상기 집수통(112)의 내부공간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내부공간을 갖추어 빗물이 일시적으로 저수되는 저장수단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침투통(121)과 집수통(112)의 상단은 대략 동일한 높이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123)은 상기 내부필터부(113)의 상부필터(114)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침투통(121)과 집수통(112)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침투통(121)내로 빗물이 흘러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집수통(112)으로부터 침투통(121)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함으로써 상기 침투통(121)내의 빗물이 집수통(112)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투관(122)은 상기 침투통(121)에 일단이 연결되고, 몸체외부면에 복수개의 침투공(122a)을 관통형성하여 지중에 매입되는 일정길이의 관부재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관(123)을 통하여 상기 집수통(112)으로부터 상기 침투통(121)의 내부로 유입된 빗물은 상기 침투통(121)에 일시 저장된 다음 상기 침투관(122)으로 안내배출되고, 그 내부로 배수되는 빗물은 침투배수공(122a)을 통하여 지중으로 스며들도록 자연스럽게 서서히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침투통(121)은 상기 도로포장면(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메인배수관(201)으로 빗물을 배수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배수관(201)과 연결되는 빗물유출관(124a)을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빗물을 추가 유입할 수 있도록 빗물유입관(124b)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빗물유입관(124b)은 상기 연결관(123)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침투통(121)과 연결되는 상기 침투관(122)의 단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한 다음 빗물을 지중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관구필터(12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침투관(122)은 상기 침투배수공(122a)을 통한 빗물배수시 지중의 지반침하를 방지하면서 빗물을 지중으로 원활하게 배수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침투관(122)을 수평하게 지지하고, 일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지지하는 관지지부(130)를 지중에 매입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지지부(130)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침투관(122)의 외측테두리를 에워싸는 그물망형태의 망체(131)와, 상기 망체(131)의 내부공간에 일정량 채워지고, 상기 침투배수공(122a)으로부터 배출되는 빗물을 지중으로 배수할 수 있는 공극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침투배수공(122a)의 내경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큰 입도크기를 갖는 쇄석이 채워지는 채움재(1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망체(131)는 지중에서 장시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이나 수지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쇄석의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상기 쇄석의 입도크기보다 작은 메쉬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체(131)는 지중에 매설되는 대략 판상의 콘크리트기초석(132)상에 배치되어 하부로 침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침투관(122)의 침투배수공(122a)을 통해 배수되는 빗물은 채움재(133)에 형성된 공극에 일시 저류된 다음 망체(131)를 통하여 지중으로 서서히 배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관지지부(130a)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침투관(122)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공(134a)을 일측면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침투관(122)으로부터 배출되는 빗물이 저류되도록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저류된 빗물을 배출하도록 외부면에 복수개의 배출공(135)을 형성한 박스구조물(134)과, 상기 박스구조물(134)의 외부면을 에워싸는 망체(134b) 및 상기 배출공(135)으로부터 배출되는 빗물을 지중으로 배수할 수 있는 공극을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의 입도크기를 갖는 쇄석이 채워지는 채움재(13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침투관(122)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박스구조물(134)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빗물은 상기 박스구조물(134)의 내부공간에 일시 저장되어 저류됨과 동시에 상기 박스구조물(134)의 외부면에 슬릿형상으로 관통형성된 배출공(135)을 통해 서서히 배출된 다음 박스구조물(134)의 외부에 충진된 채움재(133)의 공극에 일시 저류되면서 지중으로 서서히 배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지지부(130b)는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침투관(122)이 배치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외부면에 상기 침투배수공(122a)으로부터 배출되는 빗물이 배출되는 배출공(135)을 형성한 박스구조물(134)과, 상기 박스구조물(134)의 내부공간에 일정량 채워지고, 상기 침투배수공(122a)으로부터 배출되는 빗물을 지중으로 배수할 수 있는 공극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침투배수공(122a)의 내경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큰 입도크기를 갖는 쇄석이 채워지는 채움재(13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침투관(122)의 침투배수공(122a)을 통해 배출되는 빗물은 망체(131)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채움재(133)에 형성되는 공극에 일시 저류된 다음 상기 망체(131)를 통하여 지중으로 서서히 배수처리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박스구조물(134)의 지중에서 토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박스구조물(134)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되는 복수개의 배출공(135)은 복수개의 원형공, 슬릿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출공(135)은 상기 박스구조물(134)의 외부 또는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쇄석(133)이 내부공간으로 진입되거나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관통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채움재(133)가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망체(131) 또는 상기 박스구조물(134)은 사각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망체(131) 또는 박스구조물(134)에 채워지는 채움재(133)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극율은 20 내지 40% 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쇄석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극율이 20% 이하가 되면 쇄석간의 간격이 작아 빗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상기 공극율이 40%이상이 되면 쇄석간의 간격이 벌어져 채움재의 침하에 의해서 침투관(122)의 파손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침투통(121)으로부터 배출되어 침투관(122)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상기 침투관(122)의 침투배수공(122a)을 통하여 바로 지중으로 배수되지 않고 상기 관지지부(130)의 망체(131) 또는 상기 관지지부(130b)의 박스구조물(134)의 내부에 쇄석으로 채워진 채움재(133)측으로 배수되거나 상기 관지지부(130b)의 박스구조물(134)의 내부공간에 일시 저장된 다음, 상기 망체(131)의 그물 또는 박스구조물(134)의 배출공을 통하여 지중으로 배수됨으로써 빗물을 지중으로 안정적으로 배수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침투관(122)이 토압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빗물배수시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상기 박스구조물(134)의 내부공간에 빗물을 일시 저류한 다음 지중으로 배출하여 빗물의 저류 및 배수능력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집수통(112)과 침투통(121)의 직하부에는 상기 집수통(112)과 침투통(121)이 지중아래로 침하되고 침하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집수통(112)과 침투통(121)의 하부면과 접하거나 몸체일부가 매입되도록 쇄석으로 채워지는 쇄석층(143)과. 상기 쇄석층(143)이 상부면에 일정높이로 적층되고, 지중에 매입되는 판상의 기초콘크리트층(14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10 : 집수부 111 : 상부여과부재
112 : 집수통 113 : 내부필터부
114 : 상부필터 115 : 저부필터
115a : 홀더 115b : 연결끈
115c : 필터체 115d : 지지봉
120 : 침투배수부 121 : 침투통
122 : 침투관 123 : 연결관
125 : 관구필터 130 : 관지지부
131 : 망체 132 : 콘크리트기초석
133 : 채움재 134 : 박스구조물
200 : 도로 포장면 300 : 보도면

Claims (13)

  1. 도로 포장면과 보도면사이의 경계영역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배수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계영역으로 흘러드는 빗물이 유입되는 배수공을 갖는 상부여과부재를 상부입구에 배치하고,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집수통을 구비하고, 상기 배수공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여과하도록 상기 집수통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필터부를 구비하는 집수부 ;
    상기 집수통과 연결관을 매개로 연결되고,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침투통을 구비하고, 상기 침투통에 일단이 연결되고, 몸체외부면에 복수개의 침투배수공을 관통형성하여 지중에 매입되는 일정길이의 침투관을 갖추어 상기 침투통의 내부로 유입된 빗물을 상기 침투관을 통하여 지중으로 배수하는 침투배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필터부는 상기 집수통의 상부개구부에 상단이 걸림배치되고 몸체외부면에 복수개의 빗물배출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집수통으로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상부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필터부는 상기 상부필터의 하부면에 연결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일단이 연결되고, 휨변형이 가능한 판상의 필터체의 외측테두리에 타단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끈과, 상기 필터체의 상부면에 중앙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끈이 통과하는 복수개의 연결공을 상단에 형성한 일정높이의 지지봉을 구비하는 저부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침투형 빗물배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여과부재는 상기 경계영역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측구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거나 상기 측구와 이에 인접하는 측구사이에 배치되는 그레이팅여과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침투형 빗물배수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체는 투수성소재 또는 불투성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침투형 빗물배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통은 상기 도로포장면의 하부에 설치되는 메인배수관과 연결되어 빗물을 배출하는 빗물유출관을 구비하거나 외부로부터 빗물을 추가 유입할 수 있도록 빗물유입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침투형 빗물배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통과 연결되는 침투관의 단부에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관구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침투형 빗물배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관은 지중에 매입되는 관지지부에 의해서 수평하게 또는 일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침투형 빗물배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지지부는 상기 침투관을 에워싸는 그물망형태의 망체와, 상기 망체의 내부공간에 일정량 채워지고, 상기 침투배수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빗물을 지중으로 배수할 수 있는 공극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침투배수공의 내경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큰 입도크기를 갖는 쇄석이 채워지는 채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침투형 빗물배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는 지중에 매설되는 콘크리트기초석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침투형 빗물배수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지지부는 상기 침투관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공을 일측면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침투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빗물이 저류되도록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외부면에 복수개의 배출공을 형성한 박스구조물과, 상기 박스구조물의 외부면을 에워싸는 망체 및 상기 박스구조물의 외부에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빗물을 지중으로 배수할 수 있는 공극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쇄석이 워지는 채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침투형 빗물배수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지지부는 상기 침투관이 배치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외부면에 상기 침투배수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빗물이 배출되는 배출공을 형성한 박스구조물과, 상기 박스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상기 침투배수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빗물을 배수할 수 있는 공극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쇄석이 채워지는 채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침투형 빗물배수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과 침투통은 직하부에 일정크기의 입도를 갖는 쇄석으로 채워지는 쇄석층과. 상기 쇄석층이 상부면에 일정높이로 적층되는 기초콘크리트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침투형 빗물배수장치.
KR1020100116399A 2010-11-22 2010-11-22 지중 침투형 빗물배수장치 KR101043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399A KR101043661B1 (ko) 2010-11-22 2010-11-22 지중 침투형 빗물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399A KR101043661B1 (ko) 2010-11-22 2010-11-22 지중 침투형 빗물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661B1 true KR101043661B1 (ko) 2011-06-22

Family

ID=44405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399A KR101043661B1 (ko) 2010-11-22 2010-11-22 지중 침투형 빗물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6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423B1 (ko) * 2012-10-18 2013-06-05 주식회사 현진기업 지중침투형 빗물여과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050465A (ko) * 2014-10-29 2016-05-11 (주)승영기술공사 도로 측대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CN105794523A (zh) * 2016-04-11 2016-07-27 重庆大学 一种具有雨水渗蓄净化功能的树池装置
KR20180043980A (ko) * 2016-10-21 2018-05-02 최기재 도로의 빗물투수와 비점오염원 저감를 위한 로드트랜치 시설
KR20190039483A (ko) * 2019-04-01 2019-04-12 김창석 토목용 조성물,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도로시설 및 이를 이용한 배수시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164Y1 (ko) * 2000-11-25 2001-05-15 주식회사상원콘크리트 지중트렌치용 투수 콘크리트관
KR200242746Y1 (ko) * 2001-02-02 2001-10-26 (주) 정도엔지니어링 도로의 노면 측구에 설치되는 우수받이 구조
KR20020024164A (ko) * 2002-01-30 2002-03-29 김학진 기초공사용 강관의 상단부 보강구조
KR20020042746A (ko) * 1999-11-03 2002-06-05 유에프아이 유니버셜 필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특히 디젤엔진용의 차량용 연료여과기 내에서 분리된 물을자동으로 배출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746A (ko) * 1999-11-03 2002-06-05 유에프아이 유니버셜 필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특히 디젤엔진용의 차량용 연료여과기 내에서 분리된 물을자동으로 배출하는 장치
KR200224164Y1 (ko) * 2000-11-25 2001-05-15 주식회사상원콘크리트 지중트렌치용 투수 콘크리트관
KR200242746Y1 (ko) * 2001-02-02 2001-10-26 (주) 정도엔지니어링 도로의 노면 측구에 설치되는 우수받이 구조
KR20020024164A (ko) * 2002-01-30 2002-03-29 김학진 기초공사용 강관의 상단부 보강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423B1 (ko) * 2012-10-18 2013-06-05 주식회사 현진기업 지중침투형 빗물여과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050465A (ko) * 2014-10-29 2016-05-11 (주)승영기술공사 도로 측대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689030B1 (ko) * 2014-10-29 2016-12-22 (주)서한기술공사 도로 측대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CN105794523A (zh) * 2016-04-11 2016-07-27 重庆大学 一种具有雨水渗蓄净化功能的树池装置
KR20180043980A (ko) * 2016-10-21 2018-05-02 최기재 도로의 빗물투수와 비점오염원 저감를 위한 로드트랜치 시설
KR20190039483A (ko) * 2019-04-01 2019-04-12 김창석 토목용 조성물,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도로시설 및 이를 이용한 배수시설
KR102067925B1 (ko) * 2019-04-01 2020-01-17 김창석 토목용 조성물을 이용한 배수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192B1 (ko)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KR101133580B1 (ko)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
KR20060094596A (ko) 우수 저류 및 지하 침투를 유도하는 시스템
KR101043661B1 (ko) 지중 침투형 빗물배수장치
KR101023537B1 (ko)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JP4284665B2 (ja) 側溝の排水構造
JP5346731B2 (ja) 雨水地中浸透施設
KR200407745Y1 (ko) 빗물 처리 시스템
CN110042724A (zh) 湿陷性黄土地区道路海绵设施雨水收集利用和排放系统
KR102141002B1 (ko) 친환경 빗물 관리 시스템
JP2012162896A (ja) 雨水貯留施設
KR20110128474A (ko) 침투수 처리시스템
KR101206057B1 (ko) 보도의 식생 배수 구조물
KR100879402B1 (ko)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생태 확장형 주차장 포장구조
KR100808923B1 (ko) 경사지용 저수 시스템
KR20080101132A (ko) 녹지대용 빗물 저류 화단
JP4511077B2 (ja) 雨水排水処理システム
KR101038336B1 (ko) 도로 l형 측구에 저류조 방식을 이용한 빗물분산과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비점 오염 저감 여과 장치
KR101805168B1 (ko) 빗물 침투시설 및 설치방법
KR100714315B1 (ko) 화단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1865202B1 (ko) 우수 배수시설의 전처리장치
CN214460937U (zh) 交通枢纽雨水花园结构
KR100994672B1 (ko)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CN213681555U (zh) 一种城市道路
JP2002317486A (ja) 雨水流出抑制処理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