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158B1 - 방파제 구조물 - Google Patents
방파제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7158B1 KR102337158B1 KR1020200100450A KR20200100450A KR102337158B1 KR 102337158 B1 KR102337158 B1 KR 102337158B1 KR 1020200100450 A KR1020200100450 A KR 1020200100450A KR 20200100450 A KR20200100450 A KR 20200100450A KR 102337158 B1 KR102337158 B1 KR 1023371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nter block
- block
- center
- inclined surface
- breakwater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해와 내해의 해수가 유통되는 방파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해저면에 설치되는 기초사석과, 기초사석의 상측에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소파블록층을 형성하는 센터블록을 포함하되, 센터블록은 상측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기둥키와, 하측면에 형성되는 키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파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층된 단위블록들의 분리와 전도가 방지되는 방파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만이나 해안가에는 방파제가 거의 필수적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방파제는 여러 가지 형태와 다양한 시공법으로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방파제는 시공 구간을 따라 내해와 외해를 차단하여 파도를 막을 수 있는 높이로 시공되며, 내해의 바닷물을 가둬놓는 형태로 시공됨에 따라, 내해 쪽의 바닷물이 오염되어 각종 오염물이 쌓이고 심한 경우에는 악취가 발생하게 되며, 내해 쪽 갯벌이나 해저의 생태계가 완전히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바닷물이 유통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방파제가 제안되었다.
예컨대, 복수 개의 단위블록을 적층하여 방파제를 시공할 수 있다. 이때, 단위블록은 위판과 아래판이 다수의 기둥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며, 각 단위블록들의 기둥 사이 공간을 통해 조류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위블록 적층식 방파제 구조물의 경우, 위판의 상면과 아래판의 저면에 결합을 위한 물림턱과 물림홈이 각각 형성되어, 단위블록 적층시 상층의 단위블록과 하층의 단위블록이 서로 맞물려 결합된다.
그런데, 방파제 시공 과정 또는 시공 후, 심한 파도에 의해 단위블록들에 외력이 가해지는데, 이때 가해지는 파력에 의해 단위블록들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분리되고, 파도에 밀려 방파제 구조물이 전도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해와 내해의 바닷물이 교환되는 방파제 구조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력에 의한 소파블록의 분리와, 이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의 파손이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방파제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저면에 설치되는 기초사석; 및 상기 기초사석의 상측에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소파블록층을 형성하는 센터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센터블록은, 상측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기둥키와, 하측면에 형성되는 키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구조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센터블록은, 상측면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둥키는 외해를 향해 경사지도록 상기 한 쌍의 경사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센터블록은, 상기 기둥키와 대향하여 나머지 하나의 경사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지지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하층 센터블록의 기둥키가 상층 센터블록의 키홈에 삽입되고, 하층 센터블록의 지지기둥이 상층 센터블록의 하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하 인접하는 한 쌍의 센터블록에 대하여, 상층 센터블록의 기둥키와 하층 센터블록의 기둥키가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센터블록은, 상측면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대칭을 이루도록 하측면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하층 센터블록의 상측 경사면 중 상향 경사면에 대향하여 상층 센터블록의 하측면에 상향 경사면이 형성되고, 하층 센터블록의 상측 경사면 중 하향 경사면에 대향하여 상층 센터블록의 하측면에 하향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인접하는 한 쌍의 하층 센터블록 사이 경계를 덮도록 상층 센터블록이 적층되어, 하층 센터블록의 유동이 상층 센터블록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기초사석과 상기 소파블록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측면에 복수 개의 결합기둥이 돌출 형성되는 기초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소파블록층은 인접하는 한 쌍의 기초블록을 상호 결합하도록 상기 기초블록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1 센터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센터블록은 상기 결합기둥이 대응 결합되도록 하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홈과, 상측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기둥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에 의하면, 외해와 내해의 바닷물이 교환되므로, 내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에 의하면, 파력에 의한 소파블록의 분리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방파제 구조물의 파손이나 전도 등의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블록의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센터블록의 사시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센터블록의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센터블록의 사시도.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센터블록의 사시도.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5 센터블록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의 부분 확대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블록의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센터블록의 사시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센터블록의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센터블록의 사시도.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센터블록의 사시도.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5 센터블록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의 부분 확대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의 사시도이며,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100)은, 해저면에 설치되는 기초사석(200)과, 기초사석(200)의 상측에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 형성되는 소파블록층(300)을 포함한다.
기초사석(200)은 해저 바닥면의 기초공사로 이루어지며, 지형이 불안정한 해저의 바닥면을 평평하게 하고, 후술하는 기초블록(400)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면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사석(200)의 상단에 기초블록(400)을 적층한 후, 적층된 기초블록(400)을 고정함과 동시에 기초사석(200)을 덮는 피복석(5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기초사석(200)은 해저면에 소정 깊이의 홈을 판 후 설치되거나, 기초사석(200)의 저면에 소정 길이의 하방 고정심을 설치하고 해당 고정심을 해저면에 삽입하여 기초사석(200)을 해저면에 고정시킨 후 기초사석(200)의 상측면을 평평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기초사석(200)은 그 상측면에 기초블록(4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 또는 고정턱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기초블록(400)이 기초사석(200) 및 피복석(50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기초사석(200)과 피복석(500)의 설치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기초사석(200)과 피복석(500)은 콘크리트 또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쇄석을 쌓아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기초블록(400) 및 후술하는 센터블록(310~350)은 콘크리트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이 활용될 수 있다.
기초사석(200)의 상측면에 기초블록(400)이 설치된다. 방파제 구조물(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기초블록(400)이 나란히 기초사석(200)의 상측면에 안착되며, 기초블록(400)의 상부에 복수 개의 센터블록(310~350)이 적층되어 소파블록층(300)을 형성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블록(400)의 길이 방향(방파제 구조물(100)의 폭 방향) 양측 상단에 걸림턱(410)이 돌출 형성된다. 이 걸림턱(410)은 후술하는 제1 센터블록(31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기초블록(400)의 상측면에는 복수 개의 결합기둥(420)이 돌출 형성되며, 결합기둥(420)들 사이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430)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30)은 기초블록(400)의 상하 방향으로 해수의 유동을 가능케 하여, 기초블록(400)에 수직 상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초블록(400)의 상측에 복수 개의 센터블록(310~350)이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소파블록층(300)을 형성한다. 도 6과 도 7은 기초블록(400)의 상측에 방파제 구조물(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나란히 안착되는 제1 센터블록(310)의 사시도이다.
제1 센터블록(310)의 하측면은 기초블록(400)의 상측면과 대응되도록 평면으로 형성되며, 기초블록(400)의 결합기둥(420)이 대응 결합되도록 제1 센터블록(310)의 하측면에 복수 개의 결합홈(315)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기초블록(400) 위에 제1 센터블록(310) 안착시, 기초블록(400)의 결합기둥(420)이 제1 센터블록(310)의 결합홈(315)에 대응 결합된다. 이때, 제1 센터블록(310)은 기초블록(400)의 상측에 기초블록(400)과 상하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된다. 즉, 인접하는 한 쌍의 기초블록(400) 위에 하나의 제1 센터블록(310)이 각각 적층 결합되어, 기초블록(400)들의 폭 방향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인접하는 한 쌍의 기초블록(400) 사이 경계를 덮도록 제1 센터블록(310)이 적층된다. 이는 후술하는 센터블록(310~350)들의 적층시에도 마찬가지이며, 인접하는 한 쌍의 하층 센터블록(310~350) 사이 경계를 덮도록 그 위에 하나의 상층 센터블록(310~350)이 적층 결합되어 하층 센터블록(310~350)들의 폭 방향 유동을 방지한다.
제1 센터블록(310)의 상측면은 대칭으로 연속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터블록(310)의 길이 방향 일단(도면상 좌측단)에서 타단(도면상 우측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제1 경사면(311)과, 제1 경사면(311)의 끝단에서 제1 경사면(311)과 대칭을 이루도록 상향 경사지는 제2 경사면(312)과, 제2 경사면(312)의 끝단에서 제2 경사면(312)과 대칭을 이루도록 하향 경사지는 제3 경사면(313)과, 제3 경사면(313)의 끝단에서 제3 경사면(313)과 대칭을 이루도록 상향 경사지는 제4 경사면(3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경사면의 개수와 경사각도 등의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제1 센터블록(310)의 상측면에는 외해 방향(도면상 좌측)으로 기울어져서 경사진 기둥키(316)와, 기둥키(316)와 대향하여 반대쪽인 내해 방향(도면상 우측)으로 기울어진 지지기둥(317)이 돌출 형성된다. 즉, 외해를 향해 낮게 경사진 경사면에 기둥키(316)가 돌출 형성되고, 내해를 향해 낮게 경사진 경사면에는 지지기둥(317)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기둥키(316)는 강도 보강을 위해 내부에 철근(미도시)으로 뼈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하는 제2 내지 제5 센터블록(320~350)의 기둥키(326~356) 역시 마찬가지이다. 예컨대, 센터블록의 몸체와 지지기둥(317~357)은 콘크리트로 형성하고, 센터블록의 기둥키(316~356)은 철근 뼈대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로 형성함으로써, 외력이 집중되는 기둥키(316~356)의 강도를 보강하면서도 센터블록의 전체 제작비용은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지지기둥(317~357)은 기둥키(316~356) 보다 더 작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기둥키(316)와 지지기둥(317)은 제1 센터블록(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의 경사면에 교대로 형성된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311)과 제3 경사면(313)에 지지기둥(317)이 형성되고, 제2 경사면(312)과 제4 경사면(314)에 기둥키(31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경사면에는 제1 센터블록(310)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키(316)와 지지기둥(317)이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로 형성된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311)과 제3 경사면(313)에 하나의 지지기둥(317)이 형성되거나, 제1 센터블록(31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한 쌍의 지지기둥(317)이 일 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경사면(312)과 제4 경사면(314)에 하나의 기둥키(316)가 형성되거나, 제1 센터블록(31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한 쌍의 기둥키(316)가 일 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센터블록(310)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318)이 형성되며, 제1 센터블록(310)의 폭 방향 양측 모서리에는 소정 간격 이격하여 복수 개의 요홈(319)이 형성되는데, 이 요홈(319)들은 제1 센터블록(310) 설치시 인접한 제1 센터블록(310)들 사이에 통공(319a)을 형성한다.
제1 센터블록(310)의 상측에 방파제 구조물(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2 센터블록(320)이 나란히 적층된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센터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센터블록(320)의 하측면은 그 아래쪽에 배치된 제1 센터블록(310)의 상측면과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 센터블록(320)의 하측면은 제1 센터블록(310)의 상측면과 평행을 이룬다. 예컨대, 하층 센터블록인 제1 센터블록(310)의 상측 경사면 중 상향 경사면에 대향하여 상층 센터블록인 제2 센터블록(320)의 하측면에 상향 경사면이 형성되고, 제1 센터블록(310)의 상측 경사면 중 하향 경사면에 대향하여 제2 센터블록(320)의 하측면에 하향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센터블록(320)의 하측면에는 제1 센터블록(310)의 기둥키(316)가 삽입되도록 키홈(325)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센터블록(310)의 상측에 제2 센터블록(320) 적층시, 제1 센터블록(310) 상측면의 기둥키(316)가 제2 센터블록(320) 하측면의 키홈(325)에 삽입되며, 제1 센터블록(310)의 지지기둥(317)은 제2 센터블록(320)의 하측면을 지지한다. 이때, 제1 센터블록(310)과 제2 센터블록(320) 사이에는 방파제 구조물(100)의 폭 방향을 따라 상하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을 통해 외해와 내해의 해수가 통과할 수 있다.
제2 센터블록(320)은 제1 센터블록(310)의 상측에 제1 센터블록(310)에 대하여 상하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된다. 즉, 인접하는 한 쌍의 제1 센터블록(310) 위에 하나의 제2 센터블록(320)이 각각 적층 결합되어, 제1 센터블록(310)들의 폭 방향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제2 센터블록(320)의 상측면은 대칭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데, 상측 경사면은 하측 경사면과 대칭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제2 센터블록(320)의 하측에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면 그 상측에는 상향 경사면이 형성되고, 제2 센터블록(320) 하측에 상향 경사면이 형성되면 그 상측에는 하향 경사면이 형성된다.
제2 센터블록(320)의 상측면에는 외해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경사진 기둥키(326)와, 기둥키(326)와 대향하여 그 반대쪽인 내해 방향으로 기울어진 지지기둥(327)이 돌출 형성된다.
제2 센터블록(320)의 기둥키(326)와 지지기둥(327)은 제1 센터블록(310)의 기둥키(316)와 지지기둥(317)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형성된다. 예컨대, 제2 센터블록(320)의 상측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각각 제1 경사면(321), 제2 경사면(322), 제3 경사면(323), 제4 경사면(324)이라 할 때, 외해를 향해 낮게 경사진 제1 경사면(321)과 제3 경사면(323)에 기둥키(326)가 각각 형성되고, 내해를 향해 낮게 경사진 제2 경사면(322)과 제4 경사면(324)에 지지기둥(327)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경사면에는 제2 센터블록(320)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키(326)와 지지기둥(327)이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로 형성된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321)과 제3 경사면(323)에 하나의 기둥키(326)가 형성되거나, 제2 센터블록(32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한 쌍의 기둥키(326)가 일 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경사면(322)과 제4 경사면(324)에 하나의 지지기둥(327)이 형성되거나, 제2 센터블록(32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한 쌍의 지지기둥(327)이 일 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센터블록(320)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328)이 형성되며, 제2 센터블록(320)의 폭 방향 양측 모서리에는 소정 간격 이격하여 복수 개의 요홈(329)이 형성되는데, 이 요홈(329)들은 제2 센터블록(320) 설치시 인접한 제2 센터블록(320)들 사이에 통공(329a)을 형성한다.
제2 센터블록(320)의 상측에 방파제 구조물(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3 센터블록(330)이 나란히 적층된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센터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센터블록(330)의 하측면은 제2 센터블록(320)의 상측면과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3 센터블록(330)의 하측면은 제2 센터블록(320)의 상측면과 평행을 이루며, 제2 센터블록(320)의 기둥키(326)가 삽입되도록 키홈(335)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센터블록(320)의 상측에 제3 센터블록(330) 적층시, 제2 센터블록(320) 상측면의 기둥키(326)가 제3 센터블록(330) 하측면의 키홈(335)에 삽입되며, 제2 센터블록(320)의 지지기둥(327)이 제3 센터블록(330)의 하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제2 센터블록(320)과 제3 센터블록(330) 사이에는 방파제 구조물(100)의 폭 방향을 따라 상하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을 통해 외해와 내해의 해수가 통과할 수 있다.
제3 센터블록(330)은 제2 센터블록(320)의 상측에 제2 센터블록(320)에 대하여 상하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된다. 즉, 인접하는 한 쌍의 제2 센터블록(320) 위에 하나의 제3 센터블록(330)이 각각 적층 결합되어, 제2 센터블록(320)들의 폭 방향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제3 센터블록(330)의 상측면은 대칭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데, 상측 경사면은 하측 경사면과 대칭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제3 센터블록(330)의 하측에 상향 경사면이 형성되면 그 상측에는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고, 제3 센터블록(330) 하측에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면 그 상측에는 상향 경사면이 형성된다.
한편, 제3 센터블록(330)에서 외해와 접하는 길이 방향 일단은 상하 모서리가 비스듬하게 깎여서 해수유입 경사면(331a)을 형성하며, 제2 센터블록(320)과 제3 센터블록(330), 그리고 제3 센터블록(330)과 후술하는 제4 센터블록(340) 사이에 외해의 해수 유입을 안내하는 해수 유입구(331b, 도 16 참조)가 형성된다.
제3 센터블록(330)의 상측면에는 외해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경사진 기둥키(336)와, 기둥키(336)와 대향하여 그 반대쪽인 내해 방향으로 기울어진 지지기둥(337)이 돌출 형성된다. 제3 센터블록(330)의 기둥키(336)와 지지기둥(337)은 제2 센터블록(320)의 기둥키(326)와 지지기둥(327)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형성된다.
예컨대, 제3 센터블록(330)의 상측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각각 제1 경사면(331), 제2 경사면(332), 제3 경사면(333), 제4 경사면(334)이라 할 때, 내해를 향해 낮게 경사진 제1 경사면(331)과 제3 경사면(333)에 지지기둥(337)이 각각 형성되고, 외해를 향해 낮게 경사진 제2 경사면(332)과 제4 경사면(334)에 기둥키(336)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경사면에는 제3 센터블록(330)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키(336)와 지지기둥(337)이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로 형성된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331)과 제3 경사면(333)에 각각 하나씩 지지기둥(337)이 형성되거나, 제3 센터블록(330)의 폭 방향으로 한 쌍의 지지기둥(337)이 일 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경사면(332)과 제4 경사면(334)에 각각 하나씩 기둥키(336)가 형성되거나, 제3 센터블록(33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한 쌍의 기둥키(336)가 일 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센터블록(330)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338)이 형성되며, 제3 센터블록(330)의 폭 방향 양측 모서리에는 소정 간격 이격하여 복수 개의 요홈(339)이 형성되는데, 이 요홈(339)들은 제3 센터블록(330) 설치시 인접한 제3 센터블록(330)들 사이에 통공(339a)을 형성한다.
제3 센터블록(330)의 상측에 방파제 구조물(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4 센터블록(340)이 나란히 적층된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센터블록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센터블록(340)은, 하측면에 키홈(345)이 형성되고 상측면에 기둥키(346) 및 지지기둥(347)이 형성되며, 관통홀(348)과 요홈(349)을 갖는다는 점에서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 센터블록(320)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형태이다. 다만, 내해측 상측면에 제4 센터블록(340)의 폭 방향으로 길게 차단벽(340a)이 돌출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2 센터블록(320)과 구별된다. 차단벽(340a)의 상단은 후술하는 제5 센터블록(350) 또는 커버 플레이트(600)의 저면에 밀착된다.
차단벽(340a)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평판 형상의 벽부재로서, 콘크리트 또는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재질을 활용할 수 있다. 차단벽(340a)은 제4 센터블록(340)의 상측면 내해 측(예컨대, 제3 경사면(343)과 제4 경사면(344)의 경계)에 형성되는데, 이렇게 차단벽(340a)을 구축함으로써 소파블록층(300)을 통과하여 들어오는 파도를 직접적으로 차단하고 내해의 잔잔함을 유지시킬 수 있다.
차단벽(340a)을 갖는 제4 센터블록(340)의 설치 높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즉, 제1 센터블록(310)층 위에 제2 센터블록(320)층과 제3 센터블록(330)층 및 제4 센터블록(340)층을 차례로 형성할 수도 있고, 제2 센터블록(320)층과 제3 센터블록(330)층을 일정 높이까지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한 후, 그 위에 제4 센터블록(340)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4 센터블록(340)의 상측에 방파제 구조물(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5 센터블록(350)이 나란히 적층된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5 센터블록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5 센터블록(350)은, 하측면에 키홈(355)이 형성되고 상측면에 기둥키(356) 및 지지기둥(357)이 형성되며, 관통홀(358)과 요홈(359)을 갖는다는 점에서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3 센터블록(330)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형태이다. 다만, 내해측 상측면(예컨대, 제3 경사면(353)과 제4 경사면(354)의 경계)에 제5 센터블록(350)의 폭 방향으로 길게 차단벽(350a)이 돌출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3 센터블록(330)과 구별된다.
필요에 따라 제5 센터블록(350)의 상측에 커버 플레이트(600)를 형성하거나, 다시 제2 내지 제4 센터블록(320~340)을 적층할 수 있으며, 이때 제5 센터블록(350)의 차단벽(350a) 상단은 상층의 커버 플레이트(600) 또는 센터블록의 저면에 밀착되어 해수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의 단면도로서, 제5 센터블록(350)의 상측에 다시 제4 센터블록(340)이 적층되고, 그 위에 커버 플레이트(600)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커버 플레이트(600)가 형성되는 높이는 해저면의 깊이, 파도의 높이 등 시공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센터블록(320)과 제3 센터블록(330)의 반복 적층 후, 제4 센터블록(340) 또는 제5 센터블록(350)의 적층을 생략하고 제2 센터블록(320) 또는 제3 센터블록(330)의 위에 커버 플레이트(60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센터블록(320)과 제3 센터블록(330)의 반복 적층 후, 제4 센터블록(340)을 적층하고 그 위에 커버 플레이트(6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커버 플레이트(600)는 시공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미리 제작된 커버 플레이트(600)를 안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층 센터블록과 상층 센터블록 사이의 공간이 상하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며, 이 공간을 통해 외해(도면상 좌측)와 내해(도면상 우측)의 해수 유통이 가능하다.
도면은 외해의 해수가 지그재그 경로를 따라 내해로 유입되는 모습을 화살표로 도시하고 있으며, 이처럼 방파제 구조물을 통과하는 유로가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됨에 따라, 해수의 방파제 구조물 통과 과정에서 파력이 효과적으로 감쇄된다.
또한, 상하로 적층된 센터블록들은 외해로부터 전달되는 파력(F)에 의해 내해 측으로 밀리는 한편, 부력이나 양력에 의해 위쪽으로도 힘(F')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100)에 의하면,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층의 제2 센터블록(320)의 기둥키(326)가 외해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어 상층의 제3 센터블록(330)의 키홈(335)에 삽입 결합되어 있으므로, 파력에 의해 제2 센터블록(320)의 기둥키(326)가 제3 센터블록(330)의 키홈(335)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하로 결합된 제2,제3 센터블록(320,330)들의 분리와 이로 인한 방파제 구조물(100)의 전도 사고를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방파제 구조물 200 : 기초사석
300 : 소파블록층 310~350 : 제1 센터블록
316~356 : 기둥키 317~357 : 지지기둥
318~358 : 관통홀 319~359 : 요홈
340a,350a : 차단벽 400 : 기초블록
410 : 걸림턱 420 : 결합기둥
500 : 피복석 600 : 커버 플레이트
300 : 소파블록층 310~350 : 제1 센터블록
316~356 : 기둥키 317~357 : 지지기둥
318~358 : 관통홀 319~359 : 요홈
340a,350a : 차단벽 400 : 기초블록
410 : 걸림턱 420 : 결합기둥
500 : 피복석 600 : 커버 플레이트
Claims (10)
- 해저면에 설치되는 기초사석; 및
상기 기초사석의 상측에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소파블록층을 형성하는 센터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센터블록은,
상측면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면과, 상기 한 쌍의 경사면 중 외해를 향해 일단의 높이가 타단의 높이보다 낮게 하향 경사진 경사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외해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기울어지는 기둥키와, 하측면에 형성되는 키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구조물.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터블록은, 상기 기둥키와 대향하여 내해를 향해 타단의 높이가 일단의 높이보다 낮게 하향 경사진 경사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내해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기울어지는 지지기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구조물. - 청구항 3에 있어서,
하층 센터블록의 기둥키가 상층 센터블록의 키홈에 삽입되고, 하층 센터블록의 지지기둥이 상층 센터블록의 하측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구조물.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하 인접하는 한 쌍의 센터블록에 대하여, 상층 센터블록의 기둥키와 하층 센터블록의 기둥키가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구조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터블록은, 상측면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대칭을 이루도록 하측면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구조물. - 청구항 6에 있어서,
하층 센터블록의 상측 경사면 중 상향 경사면에 대향하여 상층 센터블록의 하측면에 상향 경사면이 형성되고, 하층 센터블록의 상측 경사면 중 하향 경사면에 대향하여 상층 센터블록의 하측면에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구조물. - 청구항 4에 있어서,
인접하는 한 쌍의 하층 센터블록 사이 경계를 덮도록 상층 센터블록이 적층되어, 하층 센터블록의 유동이 상층 센터블록에 의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구조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초사석과 상기 소파블록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측면에 복수 개의 결합기둥이 돌출 형성되는 기초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구조물.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층은 인접하는 한 쌍의 기초블록을 상호 결합하도록 상기 기초블록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1 센터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센터블록은 상기 결합기둥이 대응 결합되도록 하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홈과, 상측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기둥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89018 | 2020-07-17 | ||
KR1020200089018 | 2020-07-1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7158B1 true KR102337158B1 (ko) | 2021-12-09 |
Family
ID=78866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0450A KR102337158B1 (ko) | 2020-07-17 | 2020-08-11 | 방파제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715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4774B1 (ko) * | 2022-07-04 | 2023-02-27 | 김석문 | 경사형 결합용 키에 의한 결합 구조를 가지는 방파제 구조체 |
KR102604178B1 (ko) * | 2023-01-27 | 2023-11-17 | 김석문 | 경사유도면에 의한 슬라이드 결합 구조를 가지는 방파제 구조체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17027A (ja) * | 2000-05-09 | 2001-11-16 | Sumitomo Heavy Ind Ltd | 海水透過式防波堤 |
JP3104474U (ja) * | 2004-04-06 | 2004-09-16 | 紘一郎 小藏 | ゴムマット付き層積み消波ブロック |
KR100963142B1 (ko) * | 2009-10-23 | 2010-06-15 | 한흥순 |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 |
KR20190006651A (ko) * | 2017-07-11 | 2019-01-21 | 김석문 |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2020
- 2020-08-11 KR KR1020200100450A patent/KR10233715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17027A (ja) * | 2000-05-09 | 2001-11-16 | Sumitomo Heavy Ind Ltd | 海水透過式防波堤 |
JP3104474U (ja) * | 2004-04-06 | 2004-09-16 | 紘一郎 小藏 | ゴムマット付き層積み消波ブロック |
KR100963142B1 (ko) * | 2009-10-23 | 2010-06-15 | 한흥순 | 산성비 중화 기능을 가지는 조경용 경사면 옹벽 시스템 |
KR20190006651A (ko) * | 2017-07-11 | 2019-01-21 | 김석문 |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4774B1 (ko) * | 2022-07-04 | 2023-02-27 | 김석문 | 경사형 결합용 키에 의한 결합 구조를 가지는 방파제 구조체 |
KR102604178B1 (ko) * | 2023-01-27 | 2023-11-17 | 김석문 | 경사유도면에 의한 슬라이드 결합 구조를 가지는 방파제 구조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23797A (en) | Block structure and system for arranging above-ground fencing, railing and/or sound barriers | |
KR102337158B1 (ko) | 방파제 구조물 | |
KR100243402B1 (ko) | 제방구조물 | |
KR101405088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34042B1 (ko) | 마찰력을 증대시킨 케이슨 제조방법 및 그 케이슨 | |
KR101379040B1 (ko) | 방파제 구조물 | |
KR102010119B1 (ko) | 방파제 구조물 | |
KR101239000B1 (ko) | 사석이 제거된 방파제구조물 | |
JP2009506234A (ja) | 防波堤 | |
KR102202091B1 (ko) | 마찰 증대 콘크리트 블록을 포함하는 항만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
JP4596548B2 (ja) | 補強土擁壁構造。 | |
KR102438233B1 (ko) |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그 시공 방법 | |
KR102153322B1 (ko) | 컴파운드블록 및 그의 시공공법 | |
KR100253849B1 (ko) | 호안구조물의 기초보강을 위한 단위부재 및 블럭매트와 그 시공방법 | |
KR101744083B1 (ko) | 인터로킹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및 기 시공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인터로킹시키는 방법 | |
KR200247955Y1 (ko) | 토목공사용 다기능 블록 | |
KR102287339B1 (ko) | 다목적 블록 | |
JP3030806B2 (ja) | 消波構造物 | |
KR102239894B1 (ko) | 컴파운드블록 | |
KR20090084568A (ko) | 토목 벽제 건설용 콘크리트 블록구조물 | |
KR102426108B1 (ko) | 방파제용 조립식 피복블록 | |
KR102325897B1 (ko) | 조립식 인터록킹 블록 | |
KR100708895B1 (ko) | 적층블럭, 다단적층식 토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2229534B1 (ko) | 폐타이어를 이용한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안 등의 사면구조 | |
CN214497367U (zh) | 一种直立式预制挡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