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233B1 -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233B1
KR102438233B1 KR1020200091273A KR20200091273A KR102438233B1 KR 102438233 B1 KR102438233 B1 KR 102438233B1 KR 1020200091273 A KR1020200091273 A KR 1020200091273A KR 20200091273 A KR20200091273 A KR 20200091273A KR 102438233 B1 KR102438233 B1 KR 102438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ofa
sofa block
breakwat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3205A (ko
Inventor
이자윤
Original Assignee
이자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자윤 filed Critical 이자윤
Publication of KR20210063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Abstract

본 발명은 소파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층된 블록들에 말뚝기둥을 끼워 넣어 구조적으로 견고하고, 파도의 산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그 시공 방법 {WAVE DISSIPATING CONCRETE BLOCK WITH PILE, BREAKWATER STRUCTURE THEREB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소파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층된 블록들에 말뚝기둥을 끼워 넣어 구조적으로 견고하고, 파도의 산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파블록이란 주로 방파제나 호안의 큰 파도를 받는 곳에 설치되어 파력의 감쇠나 반사판의 방지를 목적으로 한 이형 콘크리트 블록이다.
종래의 소파블록을 이용한 구조물은 단순히 소파블록들을 하나하나 적층하여 전체적으로 큰 구조물을 이루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었으나, 하나하나의 블록들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 것이 아니라 단순히 적층되어 있는 것뿐이므로 태풍이 오면 파도 힘에 의해 지반이 붕괴되면서 무너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항만 이용의 척도가 되는 항내의 정온과 항만 가동률은 항 입구로부터 항내로 진입하는 파랑과 방파제를 넘어 항내로 유입되는 월파 및 항내에서 안벽의 벽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반사파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항 입구로부터 항내로 진입하는 파랑은 기본적으로 방파제를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방파제의 천단고를 넘어 월파하는 파랑은 천단고를 높임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항내에서 발생하는 반사파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반사율이 적은 소파블럭 및 소파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최선이다
그리하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소파블럭으로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375593호 "신 소파블록"(2005. 2. 1 등록), 국내 등록특허 제10-1126099호 "소음 완화 및 충격 완충을 위한 소파블록"(2012. 3. 6. 등록)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375593호는 전방에서 내습하는 거대한 단일의 파랑에너지를 소파블록을 이용한 항만 구조물의 내부에서 상하, 좌우 4방향으로 분리하고 진행방향을 블록 외부로 굴절시키도록 하여, 소파블록 내부에 파랑유도공 및 파랑유통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소파블록 내부에 상당히 큰 크기의 빈 공간이 형성되어 소파블록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며, 또한 그 내부에 파랑유도공 및 파랑유통공을 형성하는 작업이 어려워 소파블록의 제작비가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국내 특허등록 제10-1126099호는 크로스 할로우(cross hollow) 타입의 소파블록에 대한 것이나, 소파블록의 전면에서 일부 파랑만이 통수공으로 유입되며, 아울러 통수공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와류발생돌기는 연속하여 형성되어 파도를 산란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콘크리트 구조물인 소파블록에 복잡한 와류발생돌기를 만들 수 없어서 비교적 단순하면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형태의 와류발생돌기만을 만들기 때문에 파도의 산란 효과가 작을 수밖에 없으며, 또한 대부분의 파랑이 통수공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소파블록의 전면에서 반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93022호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4585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3292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2778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블록들을 단순히 쌓아놓는 방식이 아닌 상하 좌우 방향으로 단단히 연결하여 전체가 한 덩어리가 될 수 있어서 태풍에 의한 강한 파도에도 끄떡없는 견고한 방파제 구조물을 만들 수 있으며, 파도를 효과적으로 흡수 및 감소시킬 수 있는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소파블록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은 전후면과 좌우측면 및 상하면을 가지는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기둥 구멍 및 상기 기둥 구멍에 끼워져서 적층된 다수의 상기 블록 몸체들을 관통할 수 있는 말뚝기둥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블록 몸체의 앞쪽 부분의 내부에 수류 파이프가 설치되어 전면에 형성된 수류 파이프의 구멍으로 유입된 해수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은 전후면과 좌우측면 및 상하면을 가지는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기둥 구멍 및 상기 기둥 구멍에 끼워져서 적층된 다수의 상기 블록 몸체들을 관통할 수 있는 말뚝기둥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 몸체의 전방부는 상기 기둥 구멍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내부에 수류 파이프가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수류 파이프는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 및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의 세 종류로 구성되며, 상기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와 상기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가 서로 교차되도록 만나고, 상기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와 상기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가 서로 교차되도록 만나며, 상기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의 앞쪽 말단 구멍이 상기 블록 몸체의 전면부에 노출되고 상기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의 좌우측 말단 구멍이 상기 블록 몸체의 좌우측면에 노출되며 상기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의 상하측 말단 구멍이 상기 블록 몸체의 상하면에 노출되고, 상기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의 앞쪽 구멍을 통해 유입된 해수가 다른 인접한 상기 블록 몸체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를 타고 좌우 방향으로 흘러가며 상기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를 타고 상하 방향으로 흘러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 몸체의 전방부는 상기 기둥 구멍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내부에 수류 파이프가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수류 파이프는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 및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의 세 종류로 구성되며, 상기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와 상기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가 서로 교차되도록 만나고, 상기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와 상기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가 서로 교차되도록 만나며, 상기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의 앞쪽 말단 구멍이 상기 블록 몸체의 전면부에 노출되고 상기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의 좌우측 말단 구멍이 상기 블록 몸체의 좌우측면에 노출되며, 상기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의 앞쪽 구멍을 통해 유입된 해수가 다른 인접한 상기 블록 몸체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의 앞쪽 구멍을 통해 유입된 해수가 상기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를 타고 좌우 방향으로 흘러가며 상기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를 타고 상하 방향으로 흘러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둥 구멍은 상기 블록 몸체의 좌우 중심으로부터 좌우로 대칭되는 위치에 하나씩 총 2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둥 구멍 및 상기 말뚝기둥의 수평 단면은 원형 또는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위와 같이 구성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이용한 방파제 시공 방법은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다수 개를 횡렬로 배치시켜 하나의 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또 하나의 층을 형성하는 것을 반복하여 적층된 구조의 방파제를 시공하되, 하나의 상기 블록 몸체의 좌측에 있는 상기 기둥 구멍은 그 위아래에 인접하는 상기 블록 몸체의 우측에 있는 상기 기둥 구멍과 수직 방향으로 통하도록 상기 블록 몸체들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쌓아올리는 단계 및 상기 볼록 몸체들의 배치 및 적층을 완료한 후 상기 말뚝기둥의 하단부를 맨 위층 상기 블록 몸체의 상기 기둥 구멍에서부터 넣어 맨 아래층의 상기 기둥 구멍까지 끼워 넣어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둥 구멍에 끼워 넣은 상기 말뚝기둥의 두부를 정리한 다음 맨 위층 상기 블록 몸체들의 위에 상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은, 전후면과 좌우측면 및 상하면을 가지는 블록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몸체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기둥 구멍을 포함하고, 적층된 복수의 상기 블록 몸체들을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구멍에 끼워지는 말뚝기둥;을 포함한다.
상기 블록 몸체는, 상기 블록 몸체의 전후 중간 부분의 상면에서 위로 돌출된 돌출부(12), 돌출부(12)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블록 몸체의 전후 중간 부분의 하면에 패인 홈, 및 상기 돌출부(12)와 홈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전방부와 후방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 구멍은 상기 블록 몸체의 후방부에 마련되되, 좌우 중심을 지나는 선을 기준으로 선대칭이 되도록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련된다.
상기 블록 몸체의 전방부는 상기 기둥 구멍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내부에 수류 파이프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수류 파이프는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 및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와 상기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가 서로 교차되도록 만난다. 상기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의 앞쪽 말단 구멍은 상기 블록 몸체의 전면부에 노출되고 후방이 막혀 있다. 상기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의 좌우측 말단 구멍은 상기 블록 몸체의 좌우측면에 노출된다.
상기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의 앞쪽 구멍을 통해 유입된 해수는 다른 인접한 상기 블록 몸체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를 타고 좌우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다.
상기 블록 몸체는 상기 기둥 구멍이 차지하는 부피 및 상기 수류파이프 및 그 내부공간이 차지하는 부피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제1층에 적층된 블록 몸체의 좌측에 마련된 기둥 구멍은, 상기 제1층의 블록 몸체 위에 적층되는 제2층의 블록 몸체의 우측에 마련된 기둥 구멍과 정렬되고, 제1층에 적층된 블록 몸체의 우측에 마련된 기둥 구멍은, 상기 제1층의 블록 몸체 위에 적층되는 제2층의 블록 몸체의 좌측에 마련된 기둥 구멍과 정렬된다.
블록 몸체들이 적층되고 말뚝기둥이 끼워져 일체화된 구조물의 뒷면에는 사석이 채워질 수 있다. 이로서 방파제를 시공할 수 있다.
상기 수류 파이프는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는 상기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 및 상기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와 서로 교차되도록 만난다.
상기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의 상하측 말단 구멍은 상기 블록 몸체의 상하면에 노출된다.
상기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의 앞쪽 구멍을 통해 유입된 해수는 다른 인접한 상기 블록 몸체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를 타고 상하 방향으로 흘러가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둥 구멍은 상기 블록 몸체의 좌우 중심으로부터 좌우로 대칭되는 위치에 하나씩 총 2 개 형성된다.
상기 기둥 구멍 및 상기 말뚝기둥의 수평 단면은 원형 또는 사각형일 수 있다.
상기 기둥 구멍은 일체형으로 길게 제작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방파제는, 상기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다수 개를 횡렬로 배치시켜 하나의 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또 하나의 충을 형성하는 것을 반복하여 적층된 구조의 방파제를 시공하되, 하나의 상기 블록 몸체의 좌측에 있는 상기 기둥 구멍은 그 위아래에 인접하는 상기 블록 몸체의 우측에 있는 상기 기둥 구명과 수직 방향으로 통하도록 상기 블록 몸체들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쌓아 올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볼록 몸체들의 배치 및 적층을 완료한 후 상기 말뚝기둥의 하단부를 맨 위층 상기 블록 몸체의 상기 기둥 구멍에서부터 넣어 맨 아래충의 상기 기둥 구멍까지 끼워 넣어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파제 시공 방법은 상기 기둥 구멍에 끼워 넣은 상기 말뚝기풍의 두부를 정리한 다음 맨 위층 상기 블록 몸체들의 위에 상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는 전면과 후면, 서로 대향하는 좌측면과 우측면, 서로 대향하는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태의 블록 몸체(10)를 구비하는 말뚝기둥 지지방식의 소파블록(7)을 제공한다.
상기 소파블록의 폭을 규정하는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소파블록의 높이를 규정하는 상기 상면과 하면 사이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소파블록의 깊이를 규정하는 상기 전면과 후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상기 소파블록은 깊이 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부(102)와, 깊이 방향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부(103)와, 깊이 방향으로 상기 전방부(102)와 후방부(103)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부(101)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부(101)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101)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함몰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홈(13)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의 깊이 방향 위치와 상기 홈(13)의 깊이 방향 위치는 서로 대응한다.
상기 전방부(102)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앞쪽 말단 구멍(14)이 마련되고, 상기 전방부(102)의 좌우측면에는, 좌우측방으로 개방된 좌우측 말단 구멍(15)이 마련되며, 상기 앞쪽 말단 구멍(14)과 좌우측 말단 구멍(15)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후방부(103)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기둥 구멍(11)이 마련되되, 상기 기둥 구멍(11)은 좌측에 마련된 제1기둥구멍(11-1)과 우측에 마련된 제2기둥구멍(11-2)을 포함한다.
최하단층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은, 상기 전방부(102)의 상면에 상방으로 개방된 상측 말단 구멍(16)이 마련되고, 상기 상측 말단 구멍(16)과 앞쪽 말단 구멍(14)과 좌우측 말단 구멍(15)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최하단층에 거치되는 소파블록(하단블록)은 상측 말단 구멍(16)이 있고, 하측 말단 구멍(17)이 없을 수 있다.
최상단층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은, 상기 전방부(102)의 하면에 하방으로 개방된 하측 말단 구멍(17)이 마련되고, 상기 하측 말단 구멍(17)과 앞쪽 말단 구멍(14)과 좌우측 말단 구멍(15)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최상단층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상단블록)은 하측 말단 구멍(17)이 있고, 상측 말단 구멍(16)이 없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최상단층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은, 하측 말단 구멍(17)과 상측 말단 구멍(16)이 모두 있는 중간블록 형태와 동일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최상단층의 소파블록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측 말단 구멍(16)에 스터드 볼트 형태 또는 말뚝 형태의 마개부재를 끼워 넣어 상측 말단 구멍(16)을 막고, 마개부재의 상부가 소파블록의 상면보다 더 상부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단블록과 유사한 효과를 내면서도, 상면보다 상부로 더 돌출된 마개부재 부위가 상치콘크리트와 일체화되어 더욱 견고한 방파제를 구축할 수 있다.
최하단층과 최상단층 사이, 즉 중간층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은, 상기 전방부(102)의 상면에 상방으로 개방된 상측 말단 구멍(16)이 마련되고, 상기 전방부(102)의 하면에 하방으로 개방된 하측 말단 구멍(17)이 마련되고, 상기 상측 말단 구멍(16)과 하측 말단 구멍(17)과 앞쪽 말단 구멍(14)과 좌우측 말단 구멍(15)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중간층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중간블록)은 상측 말단 구멍(16)과 하측 말단 구멍(17)이 모두 있을 수 있다.
상기 앞쪽 말단 구멍(14)은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좌측에 마련된 앞쪽 말단 구멍(14)과 우측에 마련된 앞쪽 말단 구멍(14)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앞쪽 말단 구멍(14)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상부에 마련된 앞쪽 말단 구멍(14)과 하부에 마련된 앞쪽 말단 구멍(14)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좌우측 말단 구멍(15)은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전방에 마련된 좌우측 말단 구멍(15)과 후방에 마련된 좌우측 말단 구멍(15)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좌우측 말단 구멍(15)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상부에 마련된 좌우측 말단 구멍(15)과 하부에 마련된 좌우측 말단 구멍(15)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말단 구멍(16)은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좌측에 마련된 상측 말단 구멍(16)과 우측에 마련된 상측 말단 구멍(16)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말단 구멍(16)은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전방에 마련된 상측 말단 구멍(16)과 후방에 마련된 상측 말단 구멍(16)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측 말단 구멍(17)은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좌측에 마련된 하측 말단 구멍(17)과 우측에 마련된 하측 말단 구멍(17)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측 말단 구멍(17)은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전방에 마련된 하측 말단 구멍(17)과 후방에 마련된 하측 말단 구멍(17)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류 통로는 상기 전방부(102)에 매립되는 수류 파이프(30)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수류 파이프(3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31)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31)와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32)는 그 내부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류 파이프(3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33)는 상기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31) 및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32)와 그 내부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기둥구멍(11-1)의 깊이 방향 위치와 상기 제2기둥구멍(11-2)의 전후 방향 위치는 적어도 일부가 깊이 방향으로 서로 중첩된다.
상기 제1기둥구멍(11-1)의 깊이 방향 위치와 상기 제2기둥구멍(11-2)의 전후 방향 위치는 서로 대응한다.
상기 소파블록(7)의 좌측면으로부터 우측으로 상기 제1기둥구멍(11-1)에 이르는 상대적인 측방향 위치와, 상기 소파블록(7)의 폭의 중심을 지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으로부터 우측으로 상기 제2기둥구멍(11-2)에 이르는 상대적인 측"??* 위치는 적어도 일부가 폭방향으로 서로 중첩된다.
상기 제1기둥구멍(11-1)은, 상기 소파블록(7)의 좌측면과 상기 소파블록(7)의 폭의 중심을 지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기둥구멍(11-2)은, 상기 소파블록(7)의 우측면과 상기 소파블록(7)의 폭의 중심을 지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기둥구멍(11-1)과 제2기둥구멍(11-2)의 단면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만 단면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기둥구멍(11-1)과 제2기둥구멍(11-2)을 관통하는 후술할 말뚝 기둥(20)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제1기둥구멍(11-1)과 제2기둥구멍(11-2)의 단면의 형상과 대응할 수 있다.
후술할 말뚝 기둥(20)의 단면의 크기는 상기 제1기둥구멍(11-1)과 제2기둥구멍(11-2)의 단면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후술할 말뚝 기둥(20)의 단면은 상기 제1기둥구멍(11-1)과 제2기둥구멍(11-2)의 단면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방부(102)의 좌우측면에는 전방측면살빼기(18)가 형성되어 상기 소파블록(7)의 폭보다 전방부(102)의 폭이 더 좁게 되고, 상기 전방측면살빼기(18)는 상기 전방부(102)의 전방 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측면살빼기(18)는 상기 소파블록(7)의 폭이 소정의 단차로 축소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전방측면살빼기(18)는 상기 소파블록(7)의 폭이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줄어드는 테이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후방부(103)의 좌우측면에는 후방측면살빼기(19)가 형성되어 상기 소파블록(7)의 폭보다 후방부(103)의 폭이 더 좁게 되고, 상기 후방측면살빼기(19)는 상기 후방부(103)의 후방 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측면살빼기(19)는 상기 소파블록(7)의 폭이 소정의 단차로 축소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후방측면살빼기(19)는 상기 소파블록(7)의 폭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줄어드는 테이퍼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소파블록을 적층하여 축조된 방파제를 제공한다.
상기 방파제는: 복수 개의 소파블록을 좌우 방향을 따라 일렬로 거치한 제1층; 상기 제1층 상에서 복수 개의 소파블록을 좌우 방향을 따라 일렬로 거치한 제2층; 및 상기 제1층에 거치된 소파블록과 상기 제2층에 거치된 소파블록을 관통하며 상기 제1층에 거치된 소파블록과 상기 제2층에 거치된 소파블록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말뚝 기둥(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층은 상하로 적층된 소파블록들 중 아래 쪽에 적층된 소파블록들을 의미할 수 있고, 제2층은 위 쪽에 적층된 소파블록들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층과 제2층은 상하로 적층된 2개의 층에서 상대적인 개념일 수 있다.
상기 방파제의 최하층에는 상기 하단블록이 거치되고, 최상층에는 상기 상단블록이 거치되고, 중간층에는 상기 중간블록이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은 복수 층 적층될 수 있다.
좌우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소파블록들의 좌우측 말단 구멍(15)은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정렬된다.
상기 제1층에 거치된 복수 개의 소파블록들의 돌출부(12)들은 일렬로 정렬되고, 상기 제2층에 거치된 복수 개의 소파블록들의 홈(13)들은 상기 제1층의 복수 개의 돌출부(12)들을 수용하며 일렬로 정렬된다.
상기 제1층에 거치된 제1 소파블록의 제1기둥구멍은 상기 제2층에 거치된 제2 소파블록의 제2기둥구멍과 정렬되고, 상기 제1층에 거치된 상기 제1 소파블록의 제2기둥구멍은 상기 제2층에 거치된 상기 제2 소파블록과 측방향으로 이웃하는 제3 소파블록의 제1기둥구멍과 정렬된다.
상기 제1 소파블록의 제1기둥구멍과 상기 제2 소파블록의 제2기둥구멍을 관통하여 제1 말뚝 기둥이 관통 설치되고, 상기 제1 소파블록의 제2기둥구멍과 상기 제3 소파블록의 제1기둥구멍(11-1)을 관통하여 제2 말뚝 기둥이 관통 설치된다.
적층된 상기 복수 개의 소파블록들의 상부에는 상치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적층된 상기 복수 개의 소파블록들의 후방에는 사석이 채워진다.
하부에 배치된 제1 소파블록의 상측 말단 구멍과, 상기 제1 소파블록과 이웃하여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2 소파블록 및 제3 소파블록의 하측 말단 구멍은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정렬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방파제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공방법은, 해저면에 마운드를 조성하는 단계; 상기 마운드 상에 좌우 방향으로 상기 소파블록들을 일렬로 거치하며 복수 층 적층하고 상기 말뚝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 적층된 상기 소파블록들의 후방에 사석을 채우는 단계; 및 적층된 상기 소파블록의 상부에 상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시공 방법에 의하면 말뚝 기둥들로 인하여 방파제를 구성하는 좌우 및 상하로 배열되는 모든 소파블록들이 한 덩어리가 되도록 연결되어 태풍에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방파제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고, 방파제의 앞쪽에 수류 파이프가 구비되어 방파제의 전면으로 유입되는 강한 파도가 수류 파이프 내에 유입되어 전후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흘러갈 수 있어서 강한 파도를 일부 흡수시키면서 감소시키는 능력이 탁월하고, 유입된 물의 파력이 강할 경우 위로 연결된 수직 파이프로 밀어올려 2층 또는 3층 수류 파이프에서 역으로 반사파가 되어 물을 뱉어낼 수 있어서 파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블록 몸체 내부에 상하좌우로 연결되는 본 발명의 수류 파이프는 해초류, 어류, 조개류 등 해양 생물의 식생 공간을 제공하여 해양 환경 보호에 기여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방측면살빼기 부위는 서로 마주하여 연파를 방지할 수 있는 방파제의 전면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측면살빼기 부위는 서로 마주하여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에 뒤채움 사석이 맞물려 인터록킹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이용한 방파제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내부의 수류 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이용한 방파제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내부의 수류 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이용한 방파제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내부의 수류 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이용한 방파제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내부의 수류 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이용한 방파제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이용한 방파제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의 중간블록의 정면 상부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의 중간블록의 후면 하부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의 중간블록에 매립된 수류 파이프의 정면 상부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의 하단블록의 정면 상부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의 하단블록의 후면 하부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의 하단블록에 매립된 수류 파이프의 정면 상부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의 상단블록의 정면 상부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의 상단블록의 후면 하부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의 상단블록에 매립된 수류 파이프의 정면 상부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이용한 방파제의 정면 상부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이용한 방파제의 후면 하부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의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의한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이용한 방파제의 정면 상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소파블록을 기준으로 외해와 내해가 구분되는 경우, 외해를 향하는 방향이 전방을 의미하고 내해를 향하는 방향이 후방을 의미한다. 또한 소파블록을 기준으로 육측과 해측이 구분되는 경우, 해측을 향하는 방향이 전방을 의미하고, 육측을 향하는 방향이 후방을 의미한다. 전후 방향은 깊이 방향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력가속도의 방향이 하방을 의미하고, 중력가속도의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이 상방을 의미한다. 상하 방향은 높이 방향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좌우측, 또는 측방이라 함은, 상기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과 모두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의미한다. 좌우 방향은 폭 방향이라고도 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서로 다른 실시예들에 각각 개시된 구성들은 실시예들 간에 서로 교차 조합, 치환 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어느 한 실시예의 구성을 다른 실시예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은 블록 몸체(10), 말뚝 기둥(20) 및 블록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류 파이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블록 몸체(10)는 전후 중간 부분의 상면에서 위로 돌출부(12)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돌출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패인 부분을 경계로 하여, 내부에 수류 파이프(30)가 설치되는 전방부와 기둥 구멍(20)이 형성된 후방부로 구성된다.
블록 몸체(10)는 기둥 구멍(20)이 차지하는 부피 및 수류파이프(30) 및 그 내부공간이 차지하는 부피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제작된다.
기둥 구멍(20)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블록 몸체(10)를 관통하여 속이 텅 비어있고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도록 형성되며, 기둥 구멍(20)의 형태와 규격, 수량, 간격 등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블록 몸체(10)의 후방부에 블록 몸체(10)의 좌우 중심을 지나는 선을 기준으로 선대칭이 되도록 좌측과 우측에 하나씩 두 개가 형성된다.
기둥 구멍(20)은 위 또는 아래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이러한 기둥 구멍(20)에 끼워지는 말뚝 기둥의 수평 단면도 직사각형 형태를 가진다.
말뚝 기둥(20)은 도 2 및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층된 블록들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수직으로 길게 뻗은 부재로서, 중간에 연결할 필요 없이 일체형으로 길게 제작하는 방법과 말뚝 기둥을 여러 개로 나누어 분리 제작하여 끼워 넣는 방법이 있으며, 말뚝 기둥(20)의 재료는 콘크리트, 강관, 합성수지류, 유리섬유 플라스틱 등이 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류 파이프(30)는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31)와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32) 및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33)가 서로 통하도록 직각을 이루면서 결합됨으로써 내부로 유입된 해수가 수류 파이프(30)를 통해 전후 및 상하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류 파이프(30)의 재질은 합성수지류, 철재 강관,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등이 가능하며, 파이프의 규격, 수량,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류 재활용 제품으로 가공하여 설치하며, 파이프 공간 부피, 수량만큼 레미콘 원자재인 시멘트, 모래, 자갈의 비용이 절감되고 레미콘 운반 물류비도 절감되므로 고갈되고 있는 지하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부합된다고 하겠다. 볼록 몸체(10) 내부에서 서로 연결해주는 수류파이프 설치로 인해 해양생물의 식생 공간이 형성되어 해초류, 어류, 조개류 서식지 역할을 함으로써 해양 환경 보호에 효과적이다.
수류 파이프(3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31)는 블록 몸체(10)의 전단부터 후단까지 하나가 길게 뻗도록 설치되고,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31)보다 직경이 약간 작은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32) 및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33)는 좌우 또는 상하로 이웃하는 두 개의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31)들을 좌우 또는 상하로 연결하는 것과 블록 몸체(10)의 좌측 또는 우측 말단과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31)를 연결하는 것이 모두 각각 제작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31)의 둘레면 중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32) 또는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33)와 결합하는 부분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31)로 유입된 해수가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32) 및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33)로 자유롭게 흘러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블록 몸체(10)의 전면에는 수류 파이프(30)의 전단 구멍이 노출되어 있고, 블록 몸체(10)의 좌측면에는 수류 파이프(30)의 좌측단 구멍이 노출되어 있으며, 블록 몸체(10)의 우측면에는 수류 파이프(30)의 우측단 구멍이 노출되어 있다. 다만, 수류 파이프(30)의 후단 구멍은 블록 몸체(10)의 내부 콘크리트 때문에 막혀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블록 몸체(10)는 울타리 벽돌 쌓기 형태로 블록을 위아래로 절반씩 엇갈리게 적층하면서 기둥 구멍(11)이 수직 방향으로 일치되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적층하면 모든 블록 몸체(10)들의 기둥 구멍(11)이 최하단 블록부터 최상단 블록까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통하게 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길게 빈 공간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길게 뚫린 빈 공간마다 말뚝 기둥(20)을 하나씩 삽입하면 모든 블록 몸체(10)이 상하좌우로 연결되어 하나의 덩어리가 되어 매우 견고한 방파제 구조물이 된다.
방파제 구조물을 이루는 모든 동일 형태 및 규격의 블록 몸체(10)의 외부면 중 동일한 위치에 수류 파이프(30)의 구멍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블록 몸체(10)들을 일렬 횡대로 맞붙여 배치하고 상방으로 적층시키면 서로 다른 블록 몸체(10)의 외부면에 노출된 수류 파이프(30)의 구멍이 정확히 일치하면서 맞닿게 되어 이웃한 다른 블록 몸체(10)에 유입된 해수를 수류 파이프(30)를 통해 받아들이거나 이웃한 다른 블록 몸체(10)로 수류 파이프(30)를 통해 해수를 배출할 수 있다.
수류 파이프(30)를 블록 몸체(10) 내부에 설치할 때 수류 파이프(30)의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에 철근을 넣고 철사로 묶어 수류 파이프(30)가 블록 몸체(10)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제2 실시 예]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2 실시 예가 제1 실시 예와 차이가 나는 점은 블록 몸체(10)의 외부면에 노출된 수류 파이프(30)의 구멍이 블록 몸체(10)의 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에만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2 실시 예는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33)가 위아래 한 쌍의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31)를 연결하는 것만 구비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제3 실시 예]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3 실시 예가 제1 실시 예와 차이가 나는 점은 기둥 구멍(11) 및 말뚝 기둥(20)의 수평 단면의 형태가 원형이라는 점이다.
[제4 실시 예]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4 실시 예가 제2 실시 예와 차이가 나는 점은 기둥 구멍(11) 및 말뚝 기둥(20)의 수평 단면의 형태가 원형이라는 점이다.
[제5 실시 예 및 제6 실시 예]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5 실시 예와 제6 실시 예의 차이점은 기둥 구멍(11) 및 말뚝 기둥(20)의 수평 단면의 형태가 제5 실시 예는 직사각형이고 제6 실시 예는 원형이라는 점이다.
제5 실시 예 및 제6 실시 예는 블록 몸체(10)들을 엇갈리게 적층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한다는 점에서 제1 내지 4 실시 예와는 차이가 있으며, 제5 실시 예 및 제6 실시 예의 경우 횡방향으로의 강한 결합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제1 내지 4 실시 예에 비하면 구조적 안정성은 떨어진다.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을 이용한 방파제 시공 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저 블록설치 구간 일정한 깊이까지 해상 준설선으로 준설작업을 하고, 준설구간 해상 바지선에 선적된 사석을 일정한 높이에 맞춰 블록 폭보다 넓게 사석 투하 작업을 하며, 기초사석 투하 구간에 잠수부가 블록 거치를 위해 수중에서 사석 평탄면 고르기 작업을 하고,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제작한 블록 몸체들을 일렬 횡대로 배열시키고 하단부터 최상단까지 단계 별로 적층시킨다. 블록 몸체(10)들을 적층하는 데 있어서, 제1 내지 제4 실시 예처럼 층마다 블록 몸체(10)들을 벽돌쌓기 형태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는 방식이 상하좌우 전체가 한 덩어리로 결합되면서 전체 구조물을 거대하게 형성하여 태풍의 큰 파도에도 견딜 수 있을 만큼 견고하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블록 적층이 완료된 구조물의 내부에 기둥 구멍(11)들이 일렬로 통하도록 배치됨으로써 형성된 공간마다 상하로 길게 뻗은 말뚝 기둥(20)을 끼워 넣어서 모든 기둥 구멍(11)에 말뚝 기둥(20)을 설치한다.
이때 최하단에 위치하는 블록 몸체(10)만은 기둥 구멍(20)의 하부가 채워져 있어서 완전히 말뚝 기둥(20)의 하단이 최하단에 위치하는 블록 몸체(10)의 하면으로부터 약간 위쪽으로 떨어진 곳에 고정된다.
기둥 구멍(20)에 끼워져 있는 말뚝 기둥의 두부 정리는 사각형 또는 원형 말뚝 기둥을 최상단 블록 몸체의 상면보다 약간 올라가 있도록 여유 있게 두부를 절단한다.
블록 몸체(10)들이 적층된 구조물의 뒷면에는 일정한 높이로 사석을 투하하면서 경사를 갖게 한 고르기를 한다.
최상단 블록 몸체의 위에 현장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상치 콘크리트 설치를 위해 거푸집을 설치하고 고정한 다음 거푸집 내부에 선박묘박용 계선곡주 설치를 위한 하부기초 볼트를 설치하고 선박접안용 방충제 설치를 위한 하부기초 볼트를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치 콘크리트가 최상단 블록 몸체(10)의 상면 및 말뚝 기둥(20)의 돌출된 두부를 한꺼번에 덮어씌우도록 한다.
그런 다음 거푸집을 해체하고, 선박묘박용 계선곡주와 선박접안용 방충제를 위 하부기초 볼트에 각각 결합시킨 다음 너트를 끼우고 결합한다.
[제7 실시 예]
도 21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방파제를 나타낸다.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7)은, 그것이 거치되는 층에 따라 하단블록(7-1), 중간블록(7-2) 및 상단블록(7-3)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단블록(7-1)은 상하 방향으로 상측 말단 구멍(16)만 있고 하측 말단 구멍(17)은 없는 형태이다. 중간블록(7-2)은 상하 방향으로 상측 말단 구멍(16)과 하측 말단 구멍(17)이 모두 있는 형태이다. 상단블록(7-3)은 상하방향으로 상측 말단 구멍(16)은 없고 하측 말단 구멍(17)만 있는 형태이다.
하단블록(7-1)은 사석 마운드 상에 거치된다. 하단블록(7-1)에 하측 말단 구멍(17)이 있다면 수류 통로를 흐르는 해수가 하측 말단 구멍(17)으로 분출되며 사석 마운드를 세굴시킬 우려가 있다.
상단블록(7-3)은 복수 층의 소파블록들 중 최상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의 형태이다. 상단블록(7-3)에 상측 말단 구멍(16)이 마련되어 있다면, 상치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상측 말단 구멍(16)을 통해 수류 통로로 유입되어 수류 통로를 폐색할 우려가 있다.
하단블록(7-1)과 상단블록(7-3)은, 중간블록(7-2)과 대비하여 각각 하측 말단 구멍(17)과 상측 말단 구멍(16)이 생략된 것 외에는 다르지 않은 바, 이하 중간블록(7-2)을 중심으로 소파블록(7)의 형태를 설명한다.
소파블록(7)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룬다. 즉 소파블록(7)은 서로 대향하는 전면과 후면, 서로 대향하는 좌측면과 우측면, 서로 대향하는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태의 블록 몸체(10)를 구비한다.
상기 소파블록(7)은 전후방향 깊이가 가장 길고, 좌우방향 폭이 그 다음으로 길며, 상하방향 높이가 가장 짧은 형태이다.
상기 블록 몸체(10)는 전후 방향으로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부(102)와, 전후 방향으로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부(103)와, 상기 전방부(102)와 후방부(103)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부(101)를 포함한다.
전방부(102)는 해측 또는 외해측을 바라보도록 거치되는 부분이고, 후방부(103)는 육측 또는 내해측을 바라보도록 거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중앙부(101)의 상면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2)가 마련된다. 상기 돌출부(12)는 중앙부(10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2)의 단면 형상은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태이다.
상기 중앙부(101)의 하면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홈(13)이 마련된다. 상기 홈(13)은 중앙부(101)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홈(13)의 단면 형상 역시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태이다.
전후방향으로, 상기 돌출부(12)가 형성되는 위치와 홈(13)이 형성되는 위치는 서로 대응한다. 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소파블록(7)을 적층할 때, 소파블록(7)들이 전후방향으로 상호 정렬된다.
상기 전방부(102)에는 수류 통로가 마련된다. 수류 통로는 전방부(102) 내부로 해수가 흐르는 통로가 된다. 상기 전방부(102)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앞쪽 말단 구멍(14)이 마련된다. 상기 앞쪽 말단 구멍(14)은 좌우 방향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 마련되고, 상하 방향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방부(102)의 측면에는 측방으로 개방된 좌우측 말단 구멍(15)이 마련된다. 상기 좌우측 말단 구멍(15)은 전후 방향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 마련되고, 상하 방향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방부(102)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상측 말단 구멍(16)이 마련된다. 상기 상측 말단 구멍(16)은 전후 방향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 마련되고, 좌우 방향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블록(7-3)은 상기 상측 말단 구멍(16)이 없는 형태, 즉 상면이 막힌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전방부(102)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개방된 하측 말단 구멍(17)이 마련된다. 상기 하측 말단 구멍(17)은 전후 방향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 마련되고, 좌우 방향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블록(7-1)은 상기 하측 말단 구멍(17)이 없는 형태, 즉 하면이 막힌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앞쪽 말단 구멍(14)과 좌우측 말단 구멍(15)과 상측 말단 구멍(16)과 하측 말단 구멍(17)은, 블록 몸체(10)의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수류 통로는 상기 전방부(102)에 매립되는 수류 파이프(30)에 의해 규정된다. 즉 수류 파이프(30)를 매립한 상태에서 블록 몸체(10) 전체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수류 파이프(30) 내부의 중공부는 수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수류 통로가 반드시 수류 파이프(30)를 매립하여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류 파이프(3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31)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32)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33)를 포함한다. 상기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31)와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32)와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33)는 그 내부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부(103)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기둥 구멍(11)이 마련된다. 상기 기둥 구멍(11)은 좌측에 마련되는 제1기둥구멍(11-1)과 우측에 마련되는 제2기둥구멍(11-2)을 포함한다.
상기 소파블록(7)의 폭의 중심을 지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10C)을 기준으로, 좌측에는 하나 이상의 제1기둥구멍(11-1)이 마련되고, 우측에는 하나 이상의 제2기둥구멍(11-2)이 마련된다. 실시예에서는 제1기둥구멍(11-1)과 제2기둥구멍(11-2)이 각각 한 개씩 형성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으나, 각각의 기둥구멍은 2개 이상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기둥구멍(11-1)의 깊이 방향 위치와 상기 제2기둥구멍(11-2)의 전후 방향 위치는 적어도 일부가 깊이 방향으로 서로 중첩된다.
상기 소파블록(7)의 좌측면으로부터 우측으로 상기 제1기둥구멍(11-1)에 이르는 상대적인 측방향 위치와, 상기 소파블록(7)의 폭의 중심을 지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으로부터 우측으로 상기 제2기둥구멍(11-2)에 이르는 상대적인 측"??* 위치는 적어도 일부가 폭방향으로 서로 중첩된다.
즉, 상하 방향으로 소파블록들을 1/2씩 측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하며 적층 거치할 때, 제1기둥구멍(11-1)의 적어도 일부와 제2기둥구멍(11-2)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일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기둥구멍(11-1)의 깊이 방향 위치와 상기 제2기둥구멍(11-2)의 전후 방향 위치가 서로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기둥구멍(11-1)을, 상기 소파블록(7)의 좌측면과 상기 소파블록(7)의 중심선(10C)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중앙에 배치하고, 상기 제2기둥구멍(11-2)을, 상기 소파블록(7)의 우측면과 상기 소파블록(7)의 중심선(10C)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중앙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러면, 상하로 적층된 소파블록들의 제1기둥구멍(11-1)과 제2기둥구멍(11-2)의 겹침량은 더욱 커지고, 심지어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기둥구멍(11-1)과 제2기둥구멍(11-2)의 단면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말뚝 기둥(20) 역시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즉 말뚝 기둥(20)의 형상은 상기 제1기둥구멍(11-1)과 제2기둥구멍(11-2)의 단면의 형상과 대응할 수 있다.
말뚝 기둥(20)의 단면의 크기는 상기 제1기둥구멍(11-1)과 제2기둥구멍(11-2)의 단면의 크기와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후술할 말뚝 기둥(20)의 단면은 상기 제1기둥구멍(11-1)과 제2기둥구멍(11-2)의 단면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말뚝 기둥(20)의 단면이 상기 제1기둥구멍(11-1)과 제2기둥구멍(11-2)보다 작아 그 단면에 포함되도록 하면, 상하 방향으로 제1기둥구멍(11-1)과 제2기둥구멍(11-2)이 일부 불일치하더라도, 말뚝 기둥(20)을 삽입함에 별다른 어려움이 없도록 할 수 있다. 가령, 제1기둥구멍(11-1)과 제2기둥구멍(11-2)이 (가로)*(세로)가 (30cm)*(30cm)의 단면을 가지는 정사각형 형태일 때, 말뚝 기둥(20)은 (가로)*(세로)가 (15cm)*(15cm)의 단면을 가지는 정사각형 형태이거나, (직경)이 (15cm)의 단면을 가지는 원형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말뚝 기둥(20)은 상하로 길게 하나의 부재로 제작되거나, 상하로 복수 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블록 몸체(10)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102)의 좌우측면에는 전방측면살빼기(18)가 형성되어 상기 소파블록(7)의 폭보다 전방부(102)의 폭이 더 좁게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방측면살빼기(18)를 상기 전방부(102)의 전방 단부까지 형성되도록 하여, 측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전방측면살빼기(18)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방파제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경사파들의 연파를 감쇠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한편 블록 몸체(10)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103)의 좌우측면에는 후방측면살빼기(19)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파블록(7)의 폭보다 후방부(103)의 폭이 더 좁게 될 수 있다. 상기 후방측면살빼기(19)는 상기 후방부(103)의 후방 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측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후방측면살빼기(19)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뒤채움 사석과 맞물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뒤채움 사석이 이러한 후방측면살빼기(19)들의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맞물림으로써, 뒤채움재에 의해 전달되는 토압이 소파블록의 최하단층에 집중되지 않고 소파블록 적층체에 상하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골고루 미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방측면살빼기(18)는 상기 소파블록(7)의 폭이 소정의 단차로 축소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측면살빼기(19)는 상기 소파블록(7)의 폭이 소정의 단차로 축소된 형태일 수 있다.
상술한 소파블록(7)을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하여 방파제(8)를 구축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층에서 상하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층을 기준으로, 하부에 적층된 층을 제1층이라 하고, 상부에 적층된 층을 제2층이라 하면, 제1층에는 복수 개의 소파블록을 좌우 방향을 따라 일렬로 거치할 수 있고, 제2층에도 복수 개의 소파블록을 좌우 방향을 따라 일렬로 거치할 수 있다.
소파블록들을 거치한 상태에서, 좌우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소파블록들의 좌우측 말단 구멍(15)은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정렬된다.
상기 방파제(8)는, 상기 제1층에 거치된 소파블록과 상기 제2층에 거치된 소파블록을 관통하며 상기 제1층에 거치된 소파블록과 상기 제2층에 거치된 소파블록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말뚝 기둥(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층에 거치된 복수 개의 소파블록들의 돌출부(12)들은 일렬로 정렬되고, 상기 제2층에 거치된 복수 개의 소파블록들의 홈(13)들은 상기 제1층의 복수 개의 돌출부(12)들을 수용하며 일렬로 정렬된다.
제1층에 거치된 소파블록과 제2층에 거치된 소파블록은 상하 방향으로 블록 몸체(10)의 폭의 1/2에 해당하는 구간만큼 서로 중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층에 거치된 제1 소파블록의 제1기둥구멍은 상기 제2층에 거치된 제2 소파블록의 제2기둥구멍과 정렬되고, 상기 제1층에 거치된 상기 제1 소파블록의 제2기둥구멍은 상기 제2층에 거치된 상기 제2 소파블록과 측방향으로 이웃하는 제3 소파블록의 제1기둥구멍과 정렬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소파블록의 제1기둥구멍과 상기 제2 소파블록의 제2기둥구멍을 관통하여 제1 말뚝 기둥이 관통 설치되고, 상기 제1 소파블록의 제2기둥구멍과 상기 제3 소파블록의 제1기둥구멍(11-1)을 관통하여 제2 말뚝 기둥이 관통 설치된다.
제1층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상측 말단 구멍(16)과, 제2층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하측 말단 구멍(17)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매칭(중첩)된다. 제1층의 소파블록의 우측 반부에 마련된 상측 말단 구멍(16)은, 제2층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좌측 반부에 마련된 하측 말단 구멍(17)과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매칭된다. 마찬가지로 제1층의 소파블록의 좌측 반부에 마련된 상측 말단 구멍(16)은, 제2층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우측 반부에 마련된 하측 말단 구멍(17)과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매칭된다.
한편, 최하단 층에 거치된 소파블록들은 하측 말단 구멍을 구비하지 않고, 최상단 층에 거치된 소파블록들은 상측 말단 구멍을 구비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마운드의 기초사석의 세굴 방지, 그리고 상치 콘크리트에 의한 수류 통로의 폐색 방지가 가능하다.
최상단 층에 거치된 소파블록들이 상측 말단 구멍을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중간블록이 최상단 층에 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최상단층의 소파블록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측 말단 구멍(16)에 스터드 볼트 형태 또는 말뚝 형태의 마개부재를 끼워 넣어 상측 말단 구멍(16)을 막고, 마개부재의 상부가 소파블록의 상면보다 더 상부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단블록과 유사한 효과를 내면서도, 상면보다 상부로 더 돌출된 마개부재 부위가 상치콘크리트와 일체화되어 더욱 견고한 방파제를 구축할 수 있다.
적층된 상기 복수 개의 소파블록들의 상부에는 상치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적층된 상기 복수 개의 소파블록들의 후방에는 사석이 채워진다.
상기 방파제는 다음의 순서로 시공한다.
먼저 해저면에 마운드를 조성한다.
그리고 상기 마운드 상에 좌우 방향으로 상기 소파블록들을 일렬로 거치하며 복수 층 적층하고 상기 말뚝 기둥을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최하단층에는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된 하단블록(7-1)을 거치한다. 그리고 그 상부에는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중간블록(7-2)을 거치한다. 중간블록(7-2)으로 이루어진 층은 1개 층 또는 2개 층 이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3개 층으로 이루어진 구조가 예시된다. 그리고 최상단에는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상단블록(7-3)을 거치한다. 최상단에 중간블록(7-1)을 거치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측 말단 구멍(16)에 스터드 볼트 형태 또는 말뚝 형태의 마개부재를 끼워 넣어 상측 말단 구멍(16)을 막고, 마개부재의 상부가 소파블록의 상면보다 더 상부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말뚝 기둥(20)을 기둥 구멍(11)에 삽입하는 시점은 다양할 수 있다. 가령, 최하단층에 하단블록(7-1)들을 거치한 뒤, 말뚝 기둥(20)을 끼워 넣고, 그 뒤에 기둥 구멍(11)을 맞춰가며 말뚝 기둥(20)에 블록 몸체(10)를 끼워 넣는 방식으로 소파블록(7)을 거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먼저 소파블록(7)들을 거치한 뒤 마지막에 기둥 구멍(11)들에 말뚝 기둥(20)을 끼워 넣을 수도 있다. 즉 말뚝 기둥(20)의 설치 시점은 현장의 상황에 따라 달리 적용 가능하다.
말뚝 기둥(20)의 상단부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구멍(11)보다 더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와 달리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의 블록보다도 더 상부로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말뚝 기둥(20)이 최상단 블록보다도 더 상부로 돌출되면 상치블록과 일체화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다음으로, 적층된 상기 소파블록들의 후방에 사석을 채우고, 적층된 상기 소파블록의 상부에 상치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상치 콘크리트를 먼저 타설하고 사석으로 후방을 채울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8 실시 예]
도 32와 도 3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32에 도시된 제8 실시 예의 소파블록(7)은, 제7 실시 예와 대비하여 전방측면살빼기(18) 및 후방측면살빼기(19)의 형상에 차이가 있다.
제8 실시 예의 전방측면살빼기(18)는, 상기 소파블록(7)의 폭이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줄어드는 테이퍼 형태이고, 후방측면살빼기(19) 역시 상기 소파블록(7)의 폭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줄어드는 테이퍼 형태이다.
제8 실시 예와 같은 형태의 살빼기를 적용하더라도,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측방으로 이웃하는 소파블록들 간에 소정의 틈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7: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7-1: 하단블록
7-2: 중간블록
7-3: 상단블록
8: 방파제
10: 블록 몸체
101: 중앙부
12: 돌출부
13: 홈
102: 전방부
14: 앞쪽 말단 구멍
15: 좌우측 말단 구멍
16: 상측 말단 구멍
17: 하측 말단 구멍
18: 전방측면살빼기
103: 후방부
11: 기둥 구멍
11-1: 제1기둥구멍
11-2: 제2기둥구멍
19: 후방측면살빼기
20: 말뚝 기둥(수평단면)
30: 수류 파이프
31: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
32: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
33: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

Claims (30)

  1. 서로 대향하는 전면과 후면, 서로 대향하는 좌측면과 우측면, 서로 대향하는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는 블록 몸체(10)를 구비하는 말뚝기둥 지지방식의 소파블록(7)을 적층하여 축조된 방파제로서,
    상기 소파블록은: 깊이 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부(102)와, 깊이 방향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부(103)와, 깊이 방향으로 상기 전방부(102)와 후방부(103)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부(101)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101)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101)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함몰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홈(13)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의 전후 방향 위치와 상기 홈(13)의 전후 방향 위치는 서로 대응하고,
    상기 전방부(102)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앞쪽 말단 구멍(14)이 마련되고, 상기 전방부(102)의 좌우측면에는, 좌우측방으로 개방된 좌우측 말단 구멍(15)이 마련되며, 상기 앞쪽 말단 구멍(14)과 좌우측 말단 구멍(15)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후방부(103)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기둥 구멍(11)이 마련되되, 상기 기둥 구멍(11)은 좌측에 마련된 제1기둥구멍(11-1)과 우측에 마련된 제2기둥구멍(11-2)을 포함하고,
    상기 제1기둥구멍(11-1)의 전후 방향 위치와 상기 제2기둥구멍(11-2)의 전후 방향 위치는 서로 대응하고,
    상기 제1기둥구멍(11-1)은, 상기 소파블록(7)의 좌측면과 상기 소파블록(7)의 폭의 중심을 지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기둥구멍(11-2)은, 상기 소파블록(7)의 우측면과 상기 소파블록(7)의 폭의 중심을 지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둥구멍(11-1)과 상기 제2기둥구멍(11-2)의 형상은 서로 대응하고,
    상기 방파제는:
    복수 개의 상기 소파블록들을 좌우 방향을 따라 일렬로 거치하되 상기 소파블록들의 측면이 서로 접하도록 거치한 제1층과, 상기 제1층 상에서 복수 개의 소파블록을 좌우 방향을 따라 일렬로 거치하되 상기 소파블록들의 측면이 서로 접하도록 거치한 제2층을 상하 방향으로 교호로 적층하며,
    상기 제2층의 소파블록의 제1기둥구멍(11-1)이 이와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제1층의 소파블록의 제2기둥구멍(11-2)과 상하방향으로 부합되도록 정렬되고, 상기 제1층의 소파블록의 제1기둥구멍(11-1)이 이와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제2층의 소파블록의 제2기둥구멍(11-2)과 상하방향으로 부합되도록 정렬되며,
    하부층에 거치된 복수 개의 소파블록들의 돌출부(12)들은 일렬로 정렬되고, 그보다 상부층에 거치된 복수 개의 소파블록들의 홈(13)들은 상기 하부층의 복수 개의 돌출부(12)들을 수용하며 일렬로 정렬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말뚝 기둥(20)은, 상하방향으로 교호로 부합되는 상기 제1기둥구멍(11-1)과 상기 제2기둥구멍(11-2)들을 모두 관통하여 삽입되어 복수 개의 소파블록들을 상하방향으로 그리고 좌우방향으로 모두 일체화 하며,
    좌우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소파블록들의 좌우측 말단 구멍(15)은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정렬되는, 방파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에서 상기 전방부(102)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상측 말단 구멍(16)이 마련되고, 상기 상측 말단 구멍(16)과 앞쪽 말단 구멍(14)과 좌우측 말단 구멍(15)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방파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에서 상기 전방부(102)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개방된 하측 말단 구멍(17)이 마련되고, 상기 하측 말단 구멍(17)과 앞쪽 말단 구멍(14)과 좌우측 말단 구멍(15)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방파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에서 상기 전방부(102)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상측 말단 구멍(16)이 마련되고, 상기 전방부(102)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개방된 하측 말단 구멍(17)이 마련되고, 상기 상측 말단 구멍(16)과 하측 말단 구멍(17)과 앞쪽 말단 구멍(14)과 좌우측 말단 구멍(15)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방파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에서 상기 앞쪽 말단 구멍(14)은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좌측에 마련된 앞쪽 말단 구멍(14)과 우측에 마련된 앞쪽 말단 구멍(14)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방파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에서 상기 앞쪽 말단 구멍(14)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상부에 마련된 앞쪽 말단 구멍(14)과 하부에 마련된 앞쪽 말단 구멍(14)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방파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에서 상기 좌우측 말단 구멍(15)은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전방에 마련된 좌우측 말단 구멍(15)과 후방에 마련된 좌우측 말단 구멍(15)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방파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에서 상기 좌우측 말단 구멍(15)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상부에 마련된 좌우측 말단 구멍(15)과 하부에 마련된 좌우측 말단 구멍(15)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방파제.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에서 상기 상측 말단 구멍(16)은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좌측에 마련된 상측 말단 구멍(16)과 우측에 마련된 상측 말단 구멍(16)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방파제.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에서 상기 상측 말단 구멍(16)은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전방에 마련된 상측 말단 구멍(16)과 후방에 마련된 상측 말단 구멍(16)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방파제.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에서 상기 하측 말단 구멍(17)은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좌측에 마련된 하측 말단 구멍(17)과 우측에 마련된 하측 말단 구멍(17)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방파제.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에서 상기 하측 말단 구멍(17)은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전방에 마련된 하측 말단 구멍(17)과 후방에 마련된 하측 말단 구멍(17)은 상기 전방부(102)의 내부에 마련된 수류 통로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방파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에서 상기 수류 통로는 상기 전방부(102)에 매립되는 수류 파이프(30)에 의해 규정되는, 방파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에서 상기 수류 파이프(3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31)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32)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31)와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32)는 그 내부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방파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에서 상기 수류 파이프(3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하 방향 직진 파이프(33)는 상기 전후 방향 직진 파이프(31) 및 좌우 방향 직진 파이프(32)와 그 내부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방파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기둥구멍(11-1)과 상기 제2기둥구멍(11-2)과 상기 말뚝 기둥(20)의 단면 형상은 서로 대응하는, 방파제.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기둥구멍(11-1)과 상기 제2기둥구멍(11-2)과 상기 말뚝 기둥(20)의 단면은 원형인, 방파제.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기둥구멍(11-1)과 상기 제2기둥구멍(11-2)과 상기 말뚝 기둥(20)의 단면은 사각형인, 방파제.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에서 상기 전방부(102)의 좌우측면에는 전방측면살빼기(18)가 형성되어 상기 소파블록(7)의 폭보다 전방부(102)의 폭이 더 좁게 되고, 상기 전방측면살빼기(18)는 상기 전방부(102)의 전방 단부까지 형성된, 방파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에서 상기 전방측면살빼기(18)는 상기 소파블록(7)의 폭이 소정의 단차로 축소된 형태인, 방파제.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에서 상기 전방측면살빼기(18)는 상기 소파블록(7)의 폭이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줄어드는 테이퍼 형태인, 방파제.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에서 상기 후방부(103)의 좌우측면에는 후방측면살빼기(19)가 형성되어 상기 소파블록(7)의 폭보다 후방부(103)의 폭이 더 좁게 되고, 상기 후방측면살빼기(19)는 상기 후방부(103)의 후방 단부까지 형성된, 방파제.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에서 상기 후방측면살빼기(19)는 상기 소파블록(7)의 폭이 소정의 단차로 축소된 형태인, 방파제.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에서 상기 후방측면살빼기(19)는 상기 소파블록(7)의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줄어드는 테이퍼 형태인, 방파제.
  2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의 폭을 규정하는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소파블록의 높이를 규정하는 상기 상면과 하면 사이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소파블록의 깊이를 규정하는 상기 전면과 후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큰, 방파제.
  26.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층된 상기 복수 개의 소파블록들의 상부에는 상치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방파제.
  27.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층된 상기 복수 개의 소파블록들의 후방에는 사석이 채워진, 방파제.
  28.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층에 배치된 제1 소파블록의 상측 말단 구멍과, 상기 제1 소파블록과 이웃하여 상부층에 배치된 제2 소파블록 및 제3 소파블록의 하측 말단 구멍은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정렬된, 방파제.
  29. 청구항 1에 있어서,
    최하단 층에 거치된 소파블록들은 하측 말단 구멍을 구비하지 않는, 방파제.
  3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의 방파제 시공 방법으로서,
    해저면에 마운드를 조성하는 단계;
    상기 마운드 상에 좌우 방향으로 상기 소파블록들을 일렬로 거치하며 복수 층 적층하고 상기 말뚝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
    적층된 상기 소파블록들의 후방에 사석을 채우는 단계; 및
    적층된 상기 소파블록의 상부에 상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파제 시공 방법.
KR1020200091273A 2019-11-22 2020-07-22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그 시공 방법 KR102438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52496 2019-11-22
KR1020190152496 2019-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205A KR20210063205A (ko) 2021-06-01
KR102438233B1 true KR102438233B1 (ko) 2022-08-30

Family

ID=7637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273A KR102438233B1 (ko) 2019-11-22 2020-07-22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2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0098B (zh) * 2022-07-04 2024-02-09 中国人民解放军陆军勤务学院 一种用于天然边坡的防冲刷装置及布设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858B2 (ja) * 1992-01-16 2000-05-29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噴射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4320U (ko) * 1985-04-01 1986-10-11
JP3045858U (ja) * 1997-01-31 1998-02-20 克治 蛭田 貫通孔付き石の接合支持具
KR100827782B1 (ko) 2007-01-10 2008-05-07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ㅂ자 형상의 중공 연통 블록을 이용한 벽체
KR20090021903A (ko) * 2007-08-29 2009-03-04 원 회 양 소파기능이 부가된 블럭형 항만시설
KR101132928B1 (ko) 2011-05-27 2012-04-05 이경자 방파제 단위유닛
KR20130021961A (ko) * 2011-08-24 2013-03-06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식생블록
KR20140058765A (ko) * 2012-11-06 2014-05-15 이동욱 친환경 터널을 구비한 소파블록
KR101393022B1 (ko) 2012-12-03 2014-05-08 김상기 소파 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858B2 (ja) * 1992-01-16 2000-05-29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噴射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205A (ko)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760B1 (ko) 해안침식 방지용 블록 조립체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438233B1 (ko)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그 시공 방법
KR100554600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호안구조
KR101132928B1 (ko) 방파제 단위유닛
KR102337158B1 (ko) 방파제 구조물
KR101126341B1 (ko) 케이슨과 이를 포함한 항만 구조물
KR101234042B1 (ko) 마찰력을 증대시킨 케이슨 제조방법 및 그 케이슨
US5499891A (en) Earth-retaining module and system
KR101239000B1 (ko) 사석이 제거된 방파제구조물
KR200437093Y1 (ko) 인공어초
KR102202091B1 (ko) 마찰 증대 콘크리트 블록을 포함하는 항만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JP5913642B2 (ja) ケーソン防波堤、そのケーソン防波堤構築用ケーソンユニット及びそのケーソン防波堤の製造方法
KR101132861B1 (ko) 방파제 블록
CN106609506A (zh) 利用沉箱填海造陆的方法
KR102010119B1 (ko) 방파제 구조물
JP2764553B2 (ja) 浄化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護床構造
KR100995667B1 (ko) 해상풍력발전 지지구조체용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20030138296A1 (en) Method for assembling artificial reef modular units
KR20120000137A (ko) 생태하천의 친환경적 호안 구조
KR20120005503U (ko) 세굴방지 블록
KR101082410B1 (ko) 인공어초 형성 또는 침식과 모래 유실의 원인인 파랑 에너지 저감을 위한 해양 구조물 단위 모듈
KR102483534B1 (ko) 소파블록 케이슨 및 그 설치방법
JP4776694B2 (ja) 港湾構造物及びこのような構造物の建設方法
KR102483537B1 (ko) 해수유통블록 케이슨 및 그 설치방법
KR102569126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