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961A - 식생블록 - Google Patents

식생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961A
KR20130021961A KR1020110084560A KR20110084560A KR20130021961A KR 20130021961 A KR20130021961 A KR 20130021961A KR 1020110084560 A KR1020110084560 A KR 1020110084560A KR 20110084560 A KR20110084560 A KR 20110084560A KR 20130021961 A KR20130021961 A KR 20130021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uneven
vegetation block
cent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용
차정만
안지훈
황혜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Priority to KR1020110084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1961A/ko
Publication of KR20130021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에서 중앙까지는 폭이 넓어지고 중앙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폭이 좁아지는 형태의 블록으로서, 전방면 상단을 개방시키면서 전방면 후방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 공간인 식생부(11)와 상기 식생부(11)의 후방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 공간인 자갈채움부(12)를 구비하고 있는 몸체부(10) 및 상기 몸체부(10)의 일측면과 타측면 중앙에 각각 형성된 제1, 2요철부(20, 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2요철부(20, 30)는 요부와 철부가 상기 몸체부(10)의 높이 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되, 상기 제1요철부(20)와 상기 제2요철부(30)는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요부와 철부의 순서가 반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생블록{A vegetation block}
본 발명은 비탈면의 옹벽 또는 호안 옹벽을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식생블록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적층 시공된 후에도 식생공간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한편, 나란히 이웃하는 식생블록 간의 각도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굴곡이 있는 지형에의 시공 가능성 및 편의성을 제공하고, 나란히 이웃하는 식생블록들이 서로 맞물려 시공되어 토압도 효율적으로 분산시켜주는 식생블록에 관한 것이다.
주거지, 공원, 도로, 철도 등과 같은 곳에 인공적으로 형성된 비탈면이나 산비탈이나 언덕의 경사면의 토사 또는 절개지의 토사가 토압이나 홍수 등에 의해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옹벽을 시공한다. 또한 하천 주변의 토사 유출이나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해 호안에 옹벽이 시공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단위 블록들을 계단식으로 적층하여 시공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옹벽은 비탈면이나 호안이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옹벽은 주변의 자연경관과 어울리지 않는 무미건조한 경관을 형성하여 미관을 해치기도 하고, 비탈면에 식물의 생장이 불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에 비탈면 주변의 자연 생태적인 단절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옹벽을 구성하는 블록 가운데 경사면에 노출되는 부분에 식생부를 가지고 있는 식생옹벽블록이 옹벽의 축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식생부를 가지고 있는 식생옹벽블록으로 옹벽을 시공할 경우 비탈면 토사의 무너짐을 방지하면서도 식물의 생장을 통한 경사면 녹화가 가능해지고 더불어서 주변의 경관을 좋게 해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비탈면 주변의 생태계도 유지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식생부를 가지고 있는 식생블록의 경우도 경사가 급하거나 수직인 비탈면 또는 절개면에 적층할 경우에는 식생을 위한 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한편, 옹벽은 일반적으로 직선형으로 시공이 되지만 굴곡이 있는 지형에 설치될 경우에는 호형으로 시공이 되어야 할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호안에 하천 지형을 살리면서 옹벽이 시공될 때는 곡선형으로 시공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옹벽 시공에 사용되는 블록은 나란히 이웃하는 블록들이 직선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전제로 제작되어 있는 경우가 대분이어서 곡선형 시공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비탈면의 옹벽 또는 호안 옹벽 시공에 사용되는 식생블록으로서, 시공 후 식생공간을 효율적으로 확보해주고, 시공 시 이웃하는 식생블록 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곡선형 지형에의 시공 가능성 및 편의성을 제공하고, 시공 후 토압을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개별 식생블록이 이탈되지 않도록 해주는 식생블록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전방에서 중앙까지는 폭이 넓어지고 중앙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폭이 좁아지는 형태의 블록으로서, 전방면 상단을 개방시키면서 전방면 후방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 공간인 식생부와 상기 식생부의 후방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 공간인 자갈채움부를 구비하고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과 타측면 중앙에 각각 형성된 제1, 2요철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2요철부는 요부와 철부가 상기 몸체부의 높이 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되, 상기 제1요철부와 상기 제2요철부는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요부와 철부의 순서가 반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 상면의 전방과 중앙 사이와 중앙과 후방 사이에 각각 좌·우 한 쌍씩 돌출 형성된 돌출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을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한편, 위의 식생블록에 있어서 상기 제1, 2요철부는 요부와 철부가 상기 몸체부의 높이 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되, 호형으로 이웃하는 요부와 철부가 9°의 사이각을 이루며 5번씩 반복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요철부와 상기 제2요철부는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요부와 철부의 순서가 반대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옹벽 시공을 위해 식생블록들이 적층된 후에도 식생공간이 효율적으로 확보된다.
2. 나란히 이웃하는 식생블록 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간편하여 곡선형 지형에의 옹벽 축조 시 시공 가능성 및 편의성을 제공한다.
3. 옹벽 시공 시 이웃하는 식생블록들의 요철부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옹벽이 형성되기 때문에 토압의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개별 식생블록의 이탈이 발생하지 않는다.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2.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3.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이 적층 축조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4.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들이 직선형 배치를 이루며 단층으로 축조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5.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들이 곡선형 배치를 이루며 단층으로 축조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6.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들이 직선형 배치를 이루며 적층 축조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식생블록은 식생부(11)와 자갈채움부(12)를 구비하고 있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일측면과 타측면 중앙에 각각 형성된 제1, 2요철부(20, 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2]의 실시예에 나타난 식생블록은 상기 몸체부(10) 상면의 전방과 중앙 사이와 중앙과 후방 사이에 각각 좌·우 한 쌍씩 돌출 형성된 돌출턱(40)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 각 구성요소 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1.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는 전방에서 중앙까지는 폭이 넓어지고 중앙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폭이 좁아지는 형태의 블록으로서, 전방면 상단을 개방시키면서 전방면 후방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 공간인 식생부(11)와 상기 식생부(11)의 후방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 공간인 자갈채움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몸체부(10)의 형태가 전방에서 중앙까지는 폭이 넓어지다가 중앙에서 후방까지는 폭이 다시 좁아지는 블록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좌우로 이웃하는 식생블록간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기 몸체부(10)의 형태로 인하여 좌우로 나란히 이웃하는 식생블록 간의 각도를 각 식생블록들의 전방면들이 오목하거나 볼록한 형태의 곡선 상에 배열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식생블록의 곡선 배치가 가능한 특성은 호안(湖岸) 옹벽 시공을 위해 상기 식생블록이 사용될 때 특히 유용하다.
상기 식생부(11)는 식생을 위한 공간이다. 상기 식생블록은 경사면이나 호안의 옹벽 축조에 사용되는 것인데, 상기 식생부(11)는 상기 옹벽에 식생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옹벽을 환경 친화적으로 만들어준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이 적층 축조된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블록은 옹벽의 축조를 위해 적층되어 시공된다. 따라서 시공 후 하단 식생블록의 식생부(11) 상면은 상단에 시공된 식생블록들에 의해 대부분 가리어지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식생부(11)에 식재된 식물의 생장이 어려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전방면이 개방된 형태로 식생공간을 제공하는 식생블록들이 선보이고 있지만 이러한 식생블록들의 경우 식생공간에 채워진 토사가 쉽게 유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은 전방면 중앙 상단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 있어 계단식 시공의 결과 상기 식생부(11)의 상면이 거의 가리어지더라도 전방면 상단을 통해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러면서도 완전 개방형이 아니어서 전방면을 통해 상기 식생부(11)에 채워진 토사가 유출되는 것도 방지해준다. 결국 상기 식생블록은 식생공간을 효율적으로 확보해 주면서도 전방면이 전면적으로 개방된 형태의 식생블록들과 달리 토사의 유출도 막아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자갈채움부(12)는 상기 식생블록이 시공될 때 자갈 등을 채워 넣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자갈채움부(12)는 시공 전에는 상기 식생블록의 무게를 줄여주어 시공 편의성을 증대시켜주고, 시공 시에는 자갈 등으로 채워짐으로써 상기 식생블록들로 이루어진 옹벽의 구조적 안정을 증대시켜 준다.
2. 제1, 2 요철부(20, 30)
상기 제1, 2요철부(20, 30)는 요부와 철부가 상기 몸체부(10)의 높이 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되, 상기 제1요철부(20)와 상기 제2요철부(30)는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요부와 철부의 순서가 반대로 되어 있는 구성요소로 상기 식생블록의 시공 후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켜 주고, 시공 시 나란히 이웃하는 식생블록간의 각도 조절을 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들이 직선형 배치를 이루며 단층으로 축조된 실시예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들이 곡선형 배치를 이루며 단층으로 축조된 실시예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요철부(20)와 제2요철부(30)는 각각 나란히 이웃하는 식생블록의 제2요철부(30) 및 제1요철부(20)와 맞물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식생블록들이 옹벽으로 축조될 때 시공 편의성을 높여주고, 시공 후에는 토압의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해줌으로써 축조된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도 증대시켜 주게된다. 특정 부분에 토압이 더 높더라도 옹벽을 이루고 있는 개별 식생블록이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나란히 좌·우로 이웃하고 있는 식생블록들의 제1, 2요철부(20, 30)는 서로 톱니바퀴처럼 맞물리며 돌아가게 되어 있어 나란히 이웃하는 식생블록 간의 각도 조절이 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한편 상기 제1, 2요철부(20, 30)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제1, 2요철부(20, 30)는 요부와 철부가 상기 몸체부(10)의 높이 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되, 호형으로 이웃하는 요부와 철부가 9°의 사이각을 이루며 5번씩 반복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요철부(20)와 상기 제2요철부(30)는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요부와 철부의 순서가 반대로 되어 있는 경우 효율적인 각도 조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돌출턱(40)
상기 돌출턱(40)은 상기 몸체부(10) 상면의 전방과 중앙 사이와 중앙과 후방 사이에 각각 좌·우 한 쌍씩 돌출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돌출턱(40)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들이 직선형 배치를 이루면서 계단식으로 적층되거나 수직 상방향으로 적층되는 경우에 유용한 구성으로서 상단에 배치되는 식생블록들의 위치를 잡아주는 기준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들이 직선형 배치를 이루며 적층 축조된 실시예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들이 직선형 배치를 이루며 계단식으로 적층 축조된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6]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들이 직선형 배치를 이루며 수직 상방향으로 적층 축조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식생블록은 적층 축조되면서 하단에 좌우로 나란히 이웃하는 2개의 식생블록의 상단에 또 다른 식생블록이 배치되되 상단 식생블록의 좌측 절반은 하단 좌측의 식생블록 우측 부분에 걸쳐지고, 상단 식생블록의 우측 절반은 하단 우측 식생블록의 좌측부분에 걸쳐지는 형태로 축조된다. 다른 말로 하면 하단의 식생블록에 상단의 식생블록 2개가 반씩 걸쳐지는 형태로 시공이 이루어진다.
이 때 상단 식생블록의 식생부(11)또는 자갈채움부(12)의 내벽에 하단 좌측 식생블록의 우측 돌출턱(40)과 하단 우측 식생블록의 좌측 돌출턱(40)이 걸리면서 상단 식생블록이 적절한 위치를 잡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의 (a)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단에 배치되는 식생블록이 하단에 배치된 식생블록에 비하여 후방으로 밀린 위치에 배치되어 계단식으로 축조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단 식생블록의 식생부(11)의 내벽에 하단의 좌·우로 이웃하는 식생블록의 돌출턱(40)들 중 상기 몸체부(10) 상면의 전방과 중앙 사이에 존재하는 돌출턱(40)이 걸리고, [도 6]의 (b)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계단식 축조가 아닌 수직 상방향으로의 축조인 경우에는 상단 식생블록의 자갈 채움부(12)의 내벽에 하단의 좌·우로 이웃하는 식생블록의 돌출턱(40)들 중 상기 몸체부(10) 상면의 중앙과 후방 사이에 존재하는 돌출턱(40)이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소간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 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 몸체부 11: 식생부
12: 자갈채움부 20: 제1요철부
30: 제2요철부 40: 돌기부

Claims (3)

  1. 전방에서 중앙까지는 폭이 넓어지고 중앙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폭이 좁아지는 형태의 블록으로서, 전방면 상단을 개방시키면서 전방면 후방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 공간인 식생부(11)와 상기 식생부(11)의 후방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 공간인 자갈채움부(12)를 구비하고 있는 몸체부(10); 및
    상기 몸체부(10)의 일측면과 타측면 중앙에 각각 형성된 제1, 2요철부(20, 3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2요철부(20, 30)는 요부와 철부가 상기 몸체부(10)의 높이 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되, 상기 제1요철부(20)와 상기 제2요철부(30)는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요부와 철부의 순서가 반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
  2. 제1항에서,
    상기 몸체부(10) 상면의 전방과 중앙 사이와 중앙과 후방 사이에 각각 좌·우 한 쌍씩 돌출 형성된 돌출턱(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
  3. 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제1, 2요철부(20, 30)는 요부와 철부가 상기 몸체부(10)의 높이 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되, 호형으로 이웃하는 요부와 철부가 9°의 사잇각을 이루며 5번씩 반복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요철부(20)와 상기 제2요철부(30)는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요부와 철부의 순서가 반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
KR1020110084560A 2011-08-24 2011-08-24 식생블록 KR20130021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560A KR20130021961A (ko) 2011-08-24 2011-08-24 식생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560A KR20130021961A (ko) 2011-08-24 2011-08-24 식생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961A true KR20130021961A (ko) 2013-03-06

Family

ID=4817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560A KR20130021961A (ko) 2011-08-24 2011-08-24 식생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19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5576A (zh) * 2015-09-22 2015-12-16 盐城市荣立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挡土墙及其砌砖
KR20210063205A (ko) * 2019-11-22 2021-06-01 이자윤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5576A (zh) * 2015-09-22 2015-12-16 盐城市荣立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挡土墙及其砌砖
KR20210063205A (ko) * 2019-11-22 2021-06-01 이자윤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613510U (zh) 混凝土植生块
KR100626572B1 (ko) 축조 블록
KR20130021961A (ko) 식생블록
KR101132200B1 (ko) 식생과 수서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호안옹벽블록
CN216108324U (zh) 一种滨海生态护岸结构
KR200422445Y1 (ko)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구조체
JP2010112156A (ja) 緑化用擁壁ブロック
KR100744990B1 (ko)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
KR100934098B1 (ko)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
JP2000170184A (ja) 擁壁用コンクリ―トブロック及び擁壁
KR102333349B1 (ko) 블럭이 일체화된 친환경 대형 식생호안블럭
CN218027806U (zh) 一种花盆景观生态砌块及花盆景观挡土墙
KR200407955Y1 (ko) 연결식 식생옹벽블록
KR100948202B1 (ko) 식생 호안블럭
CN210507319U (zh) 一种多功能景观护坡砖
KR102238975B1 (ko) 자연사면 복원 및 보강을 위한 테라스형 식생블록
KR101041683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KR200364567Y1 (ko) 옹벽 블록
KR100663257B1 (ko) 옹벽용 블록
KR100476836B1 (ko)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38545Y1 (ko) 식생옹벽블럭
KR200353007Y1 (ko) 식생호안블록
CN207419380U (zh) 一种生态连锁护坡
KR200357963Y1 (ko) 옹벽 블록
KR200413594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