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098B1 -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 - Google Patents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098B1
KR100934098B1 KR1020090063428A KR20090063428A KR100934098B1 KR 100934098 B1 KR100934098 B1 KR 100934098B1 KR 1020090063428 A KR1020090063428 A KR 1020090063428A KR 20090063428 A KR20090063428 A KR 20090063428A KR 100934098 B1 KR100934098 B1 KR 100934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center
hole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암
Original Assignee
이영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암 filed Critical 이영암
Priority to KR1020090063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은 하천이나 저수지, 해양의 제방과 도로의 옹벽에 배열 적층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에 있어서, 전방체와 후방체 사이에 두 개의 격벽부가 일체로 이격 형성되어 내부에 석재투입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체의 중앙부에 앞쪽관통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격벽부의 중앙부에 측면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체와 후방체의 하측에 형성되는 바닥부에 하측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부의 상측 후방에 돌출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돌출부를 삽입하는 다수의 삽입부가 상기 격벽부의 하측에 이격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물 성장용 식생구멍과 어류 출입 및 어류집용 어류통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석재투입공간에 자연석과 자갈 등을 투입하여 다수 개의 호안 겸용 옹벽블록이 축조되기 때문에,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제방 및 도로의 옹벽에 설치되어 식생 환경을 안전하고도 신속하게 유도함과 아울러 어류 번식이 증대할 수 있어, 인공적인 구조물이 자연 환경과 쉽게 조화될 수 있어 친환경성이 용이하게 증대될 수 있고, 인공적인 구조물에 의해 파괴된 자연생태계를 용이하게 복원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식생, 어류집, 호안, 호안블록, 식생블록, 옹벽블록

Description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WALL BLOCK HAVING FISH HOUSE AND VEGETATION}
본 발명은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생용 구멍과 어류 출입 및 어류집용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인공적인 구조물이 자연 환경과 쉽게 조화를 이룰 수 있어 친환경성을 용이하게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 방파제, 호안 등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빗물, 해수, 강물 등으로 인하여 제방 등을 형성하는 자연 상태의 흙과 모래 등이 흘러내릴 수 있어제방 등이 붕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잔디 등과 같은 식물로써 흙과 모래 등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거나 호안블록이나 옹벽블록을 인공적으로 축조하여 흙과 모래 등의 흘러내림과 제방의 붕괴를 방지하게 된다.
예컨대 종래에는 콘크리트로 옹벽을 시공하여 제방의 붕괴 등을 방지하고 있으나, 하천에 제방 공사를 하게 되면 어류의 보호 공간이 없어 하천 생태계의 파손이 심각해질 수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하천 제방의 생태계를 보존하고 대홍수 시에 어류의 안전 대피를 유도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7044호로 출원 및 등록된 기술이 개발되었은 바, 이는 콘크리트로 제조되고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하부면으로부터 개방된 T 형 공간이 형성되어 전면과 양측면에 입구를 가지고 상면에는 FRP 연결핀이 삽입되는 적당한 간격으로 떨어진 2개의 핀 구멍이 형성되며 하면의 중간부에도 2개의 핀 구멍이 형성되어 이웃한 호안블럭은 하부의 호안블럭의 하나의 핀 구멍에 상부의 호안블럭의 어긋난 핀 구멍이 일치되게 FRP 연결핀에 의해서 연결되고 호안블럭의 다른 핀 구멍은 상부의 호안블럭의 어긋난 핀 구멍에 일치되게 FRP 연결핀에 의해서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호안블록은 어류 보호용 공간이 형성되어 어류집으로 사용되고, 인접한 호안블럭을 FRP 연결핀으로 조립할 수 있어 동파현상이나 수질오염에 파손이 없이 생태계를 원활하게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수의 블록을 FRP 연결핀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연결핀의 조립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상하 블록이 견고하게 연결되지 못하며, T자 형상의 어류 보호 공간이 콘크리트로 둘러싸여 있어 어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생용 구멍과 어류 출입 및 어류집용 구멍을 형성함과 아울러 내부에 돌이나 자갈을 넣게 함으로써, 인공적인 구조물이 자연 환경과 쉽게 조화를 이룰 수 있어 친환경성을 용이하게 증대하며,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제방 및 바닥에 설치되어 식생 환경을 안전하고도 신속하게 유도함과 아울러 어류 번식이 증대하여 인공적인 구조물에 의해 파괴된 자연생태계를 용이하게 복원할 수 있는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천이나 저수지, 해양의 제방과 도로의 옹벽에 배열 적층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에 있어서, 전방체와 후방체 사이에 두 개의 격벽부가 일체로 이격 형성되어 내부에 석재투입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체의 중앙부에 앞쪽관통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격벽부의 중앙부에 측면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체와 후방체의 하측에 형성되는 바닥부에 하측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부의 상측 후방에 돌출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돌출부를 삽입하는 다수의 삽입부가 상기 격벽부의 하측에 이격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은 식물 성장용 식생구멍과 어류 출입 및 어류집용 어류통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석재투입공간에 자연석과 자갈 등을 투입하여 다수 개의 호안 겸용 옹벽블록이 축조되기 때문에,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제방 및 도로의 옹벽에 설치되어 식생 환경을 안전하고도 신속하게 유도함과 아울러 어류 번식이 증대할 수 있어, 인공적인 구조물이 자연 환경과 쉽게 조화될 수 있어 친환경성이 용이하게 증대될 수 있고, 인공적인 구조물에 의해 파괴된 자연생태계를 용이하게 복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호안 겸용 옹벽블록(이하 옹벽블록이라 함)(1)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하천이나 저수지, 해양의 제방과 도로의 옹벽에 적층 설치되어 다수 개가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옹벽블록(1)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체(1a)와 후방체(1b), 격벽부(1c), 바닥부(1d)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체(1a) 등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옹벽블록(1)의 전방체(1a)와 후방체(1b) 사이에는 두 개의 격벽부(1c)가 이격 형성되어 내부에 석재투입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내부에 투입되는 자연석, 자갈 등으로 전부 또는 일부를 채울 수 있어 옹벽블록(1)의 안정성을 증대하면서 어류집을 원활하게 형성하게 한다.
상기 전방체(1a)의 중앙부에는 앞쪽관통구(1e)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격벽부(1c)의 중앙부에는 측면관통구(1f)가 각각 형성되어 어류를 원활하게 출입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d)가 상기 전방체(1a)와 후방체(1b)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1d)에는 다수의 하측관통구(1g)가 형성되어, 상기 앞쪽관통구(1e)와 측면관통구(1f)와 함께 어류의 출입을 원활하게 한다.
다수의 옹벽블록(1)을 원활하게 적층하면서 경사 각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격벽부(1c)의 상측 후방에 돌출부(1h)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돌출부를 삽입하는 다수의 삽입부(1k)가 상기 격벽부(1c)의 하측에 이격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배열 적층된 다수의 옹벽블록(1)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체(1b)의 뒤쪽 상부 양측에는 상부고리체(1m)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후방체(1b)의 뒤쪽 하부 중앙에는 중앙고리체(1n)가 설치된다.
그리고 측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옹벽블록(1)의 인접한 두 개의 상부고리체(1m)가 수평연결체(1p)와 너트(1r)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연결체(1p)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연결체(1s)가 두 개의 옹벽블록(1)의 상부에 인접한 하나의 옹벽블록(1)의 중앙고리체(1n)에 삽입되어 너트(1t)로 체결되는 구조를 포 함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옹벽블록(1)은 도 1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개로 적층 배열되어 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하부에 1개의 층으로 옹벽블록(1)을 횡방향으로 배열한 뒤에 이 옹벽블록(1)의 내부 즉 석재투입공간에 자연석이나 돌 등으로 일부 또는 전부를 채울 수 있으며, 1개의 층으로 형성된 다수의 옹벽블록(1)의 상부에 도 4와 같이 두 개의 옹벽블록(1) 사이의 상부에 하나의 옹벽블록을 올려놓아서 2층의 옹벽블록(1)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2층의 옹벽블록(1)을 형성한 뒤에 2층의 옹벽블록(1)의 내부에 자연석이나 돌 등으로 일부 또는 전부를 채울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을 반복하여 다층으로 적층된 옹벽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옹벽블록(1)의 인접한 두 개의 상부고리체(1m)를 수평연결체(1p)와 너트(1r)로 연결하고, 상기 수평연결체(1p)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연결체(1s)를 두 개의 옹벽블록(1)의 상부에 인접한 하나의 옹벽블록(1)의 중앙고리체(1n)에 삽입하여 너트(1t)로 체결하여 다수의 옹벽블록을 상하 좌우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축조된 옹벽블록의 하부에 하천의 물이 있을 경우, 도 1과 같이 옹벽블록(1)의 전방체(1a)에 형성된 앞쪽관통구(1e)와 격벽부(1c)에 측면관통구(1f), 옹벽블록의 상측 개구부를 통하여 어류가 원활하게 드나들 수 있다.
그리고 옹벽블록의 내부에 배치된 자연석 등에 의해 형성되는 틈이 어류집으 로 사용될 수 있어 어류의 번식을 왕성하게 하며, 옹벽블록의 내부에 채워질 수 있는 돌과 토양으로 인하여 식물이 쉽게 뿌리내릴 있어 생태계가 신속하게 복원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의 다수 개가 적층되어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안블록 1a : 전방체
1b : 후방체 1c : 격벽부
1d : 바닥부 1e : 앞쪽관통구
1f : 측면관통구 1m : 상부고리체
1n : 중앙고리체 1p : 수평연결체
1r,1t : 너트 1s : 수직연결체

Claims (2)

  1. 하천이나 저수지, 해양의 제방과 도로의 옹벽에 배열 적층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에 있어서,
    전방체와 후방체 사이에 두 개의 격벽부가 일체로 이격 형성되어 내부에 석재투입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체의 중앙부에 앞쪽관통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격벽부의 중앙부에 측면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체와 후방체의 하측에 형성되는 바닥부에 하측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부의 상측 후방에 돌출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돌출부를 삽입하는 다수의 삽입부가 상기 격벽부의 하측에 이격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체의 뒤쪽 상부 양측에 상부고리체를 각각 설치함과 아울러 후방체의 뒤쪽 하부 중앙에 중앙고리체를 설치하며, 측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호안 겸용 옹벽블록의 인접한 두 개의 상부고리체가 수평연결체와 너트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연결체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연결체가 두 개의 호안 겸용 옹벽블록의 상부에 인접한 하나의 호안 겸용 옹벽블록의 중앙고리체에 삽입되어 너트로 체결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
  2. 삭제
KR1020090063428A 2009-07-13 2009-07-13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 KR100934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428A KR100934098B1 (ko) 2009-07-13 2009-07-13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428A KR100934098B1 (ko) 2009-07-13 2009-07-13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4098B1 true KR100934098B1 (ko) 2009-12-24

Family

ID=4168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428A KR100934098B1 (ko) 2009-07-13 2009-07-13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0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11B1 (ko) 2016-05-02 2016-11-04 박공영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및 그 토목블록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7124A (ja) * 1993-03-05 1994-09-13 Kyodo Concrete Kk 根固めボックス
KR200235686Y1 (ko) 2001-03-15 2001-10-08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도로하천 제방 물고기 보호용 호안블럭
KR200367377Y1 (ko) 2004-08-20 2004-11-10 덕산콘크리트(주) 친환경 생태 어소 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7124A (ja) * 1993-03-05 1994-09-13 Kyodo Concrete Kk 根固めボックス
KR200235686Y1 (ko) 2001-03-15 2001-10-08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도로하천 제방 물고기 보호용 호안블럭
KR200367377Y1 (ko) 2004-08-20 2004-11-10 덕산콘크리트(주) 친환경 생태 어소 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11B1 (ko) 2016-05-02 2016-11-04 박공영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및 그 토목블록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098B1 (ko)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
KR100892421B1 (ko) 식생용 옹벽블럭
KR20120000137A (ko) 생태하천의 친환경적 호안 구조
KR100515136B1 (ko)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KR20000007004A (ko) 중소하천의 어족(魚族)보호와 양서류(兩棲類)의이동통로를 가진 낙차공과 호안의 시공방법.
KR200428974Y1 (ko) 호안블록
KR100719520B1 (ko) 어소겸용 식생블럭
KR101297419B1 (ko) 어류 및 육상동물의 은신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친환경 생태 블록
KR200408078Y1 (ko) 연결식 식생호안블록
KR200414869Y1 (ko) 옹벽블록
KR200272943Y1 (ko)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KR101162842B1 (ko) 하천둑 및 그 축조방법
KR200297571Y1 (ko) 식생 옹벽 구조체
KR20060095089A (ko)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KR20130021961A (ko) 식생블록
KR101185998B1 (ko) 해수유통구가 형성된 호안블럭의 시공방법
KR20110005277U (ko) 식생옹벽블록
KR200245589Y1 (ko)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구조체
CN216839249U (zh) 一种复合式生态堤防结构
CN219690425U (zh) 一种硬质鱼巢护岸结构
KR200369896Y1 (ko) 어소겸용 식생블럭
KR100476836B1 (ko)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250172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세트
KR200352991Y1 (ko) 사면 보호용 식생 호안 블럭 구조물
KR101775008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