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943Y1 -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 Google Patents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943Y1
KR200272943Y1 KR2020020002196U KR20020002196U KR200272943Y1 KR 200272943 Y1 KR200272943 Y1 KR 200272943Y1 KR 2020020002196 U KR2020020002196 U KR 2020020002196U KR 20020002196 U KR20020002196 U KR 20020002196U KR 200272943 Y1 KR200272943 Y1 KR 2002729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lock
revetment
teeth
revetmen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희
Original Assignee
이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희 filed Critical 이근희
Priority to KR2020020002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9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94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급류와 배면토압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과 어소·노변의 빗물통로·수초대 조성용 식생공간 등의 용이한 확보, 시공성 및 시공현장에서의 적응성 개선에 역점을 둔 호안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앞면과 양 측면에 어소·노변의 빗물통로·식물의 식생용으로 쓰이는 세로홈(2) 및 가로홈(3)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위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4)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1)과; 양 측면에 식생용 세로홈(2a)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톱니(4,5)를 가진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a)과; 양 측면에 수초식생용 세로홈(2b)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톱니(4,5)를 가진 수초식생용 호안블록(1b)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 식생용 호안블록{Bank protection block for fish house and vegetation having sawtooth for connection upper and lower block}
본 고안은 하천용 호안블록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급류와 배면토압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높고, 어소·절개지와 노면간 경계의 빗물통로·수초대 조성용 식생공간 등의 용이한 확보가 용이하며, 시공성과 시공현장에서의 적응성도 우수한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 또는 빗물통로 구축용 호안블록과 식생용 호안블록에 관한 것이다.
축조 후에 어소 공간이 확보되도록 제조된 종래의 호안블록은 전후 ·좌우·전후좌우·전후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을 형성한 것이 태반이고, 적층면과 좌우면은 결속용 돌기와 홈을 막론하고 한결같이 밋밋하다.
이러한 어소용 호안블록은 축조할 때 숙련도가 높은 축조기술을 요하므로 시공 난이도가 높고 인건비 지출도 크다. 또, 축조 후에는 인접한 호안블록과의 암수맞춤에 의한 결속에도 불구하고 하천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 즉 급류와 배면토압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장담할 수 없는 등 조적신뢰도에도 문제가 있다.
또, 축조 후에 확보되는 어소 공간은 그 용도 외에 수변 수초대를 조성함에 있어서 수초가 뿌리를 내리고 왕성하게 생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으로 활용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
게다가, 종래의 어소용 호안블록은 다른 용도, 이를테면 인도 또는 차도와 역에 인접한 성토법면, 절개면과의 경계선상에 설치하여 지표면을 타고 흘려내리는 빗물과 여기에 휩쓸려 가는 토사가 인도나 차도로 범람하지 않고 집수통으로 흘러들도록 유도하는 빗물통로 목적으로 전용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급류와 배면토압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과 어소 공간과 수초대 조성용 식생공간의 확보, 시공성 및 시공현장의 실정에 적합한 호안블록의 활용성 증대 및 현장적응성 개선효과가 우수한 호안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앞뒷면과 양 측면에 어소용 세로홈 및 가로홈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위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갖고서 빗물통로 확보용으로도 전용할 수 있게 한 어소용 호안블록과; 양 측면에 식생용 세로홈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식생용 호안블록을 제공한다.
또, 상기한 여러 종류의 호안블록을, 하안에서 수면 이하에는 어소용 호안블록과 식생용 호안블록을, 그리고 하천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높이의 하안에는 식생용 호안블록을 계단식 또는 경사지게 시공하고, 수면 아래에서 세로홈에 의해 형성되는 어소 및 식생용 호안블록의 옆공간 바닥에는 자갈을 깔아 어소로 활용하며, 하천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층의 식생용 호안블록의 세로홈에 의해 형성되는 옆공간에는 토사를 채우고 수초, 수변식물 등을 식재하여 하안에 수초대를 조성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톱니형 접속부를 가진 어소·절개지용 빗물통로 구축용 호안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톱니형 접속부를 가진 식생용 호안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톱니형 접속부를 가진 식생용 호안블록의 사시도
도 4는 톱니형 접속부를 가진 어소 및 식생용 호안블록을 하안의 기울기에 부합하도록 계단식으로 조적한 경우의 정면도
도 5는 그 종단측면도
도 6은 어소 및 식생용 호안블록을 계단식으로 시공한 경우의 축조예시도
도 7는 그 종단측면도
도 8은 어소 및 식생용 호안블록을 사선방향으로 시공한 경우의 시공예시도
도 9는 그 종단측면도
도 10은 절개면에 어소용 호안블록을 빗물통로 구축용으로 사용하고 그 위에 식생용 호안블록을 시공한 경우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어소(빗물통로 구축용 겸용) 호안블록
1a, : (광폭) 식생용 호안블록 1b : (협폭) 식생용 호안블록
2,2a,b : 세로홈 3,3a,b : 가로홈
4,5 : 톱니
도 1에서, 어소용 호안블록(1)은 주로 하상의 기초 콘크리트층 위에 조적하는 기층용 호안블록으로서, 앞뒤로 관통한 세로홈(2)과 좌우로 관통하는 가로홈(3)이 +상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조적면이 되는 상면과 저면에는 톱니(4,5)가 형성된 어소용 호안블록이다.
세로홈(2)과 가로홈(3)은 호안블록(1)을 축조한 후에 하천 어류가 서식하고 산란도 하는 안락한 어소 공간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상부 톱니(4)는 나중에 축조되는 상층 호안블록의 저면쪽 톱니(5)와 서로 맞물려 강력한 결속력을 보임으로써 하천의 횡단방향(화살표 A)으로 상층 호안블록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 하부 톱니(5)는 상부 톱니(4)와 같은 형태 및 방향이 같고, 기초 콘크리트의 상면에 대한 마찰력을 늘려 접지 안정성을 높이고 하층 호안블록의 상부 톱니(4)와 맞물려 하층 호안블록상에서 적층안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톱니(4,5)가 삼각형 단면이고 앞뒤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로 된 직선형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정파형 톱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어소용 호안블록(1)은 일반 절개지용 빗물통로 구축용 블록으로도 유효하다. 어소 또는 빗물통로로서의 가치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필요하다면 앞면에 가까운 상면에 종공(20)을 형성하여 하천의 물고기가 어소에서 위 아래로 드나들 수 있게 하고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이 가로홈(3) 속으로 유입되기 쉽게 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식생용 호안블록(1a)은 주로 하상의 기초 콘크리트층 위에 조적하거나 수위에 따라 하천수와 접촉할 가능성이 높은 층에 조적하는 것으로, 폭(W)이 넓다. 이 식생용 호안블록(1a)은 좌우측면의 중간에는 세로홈(2a)이 그리고 앞면의 중간에는 가로홈(3a)이 형성되어 있고, 조적면이 되는 상면과 저면에는 톱니(4,5)도 형성되어 있다.
세로홈(2a)은 인접한 다른 식생용 호안블록(1a)측 세로홈(2a)과 합동으로 수초 식생용 공간을 조장하게 되고 수초식재가 곤란한 수면 아래쪽에 시공할 경우에는 인접한 식생용 호안블록(1a)측 세로홈(2a)과 합동으로 조장되는 옆공간을 하천 어류용 산란장 또는 서식공간으로 적합한 어소로도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도 하안에서 조적되는 높이에 따라 상부 톱니(4)는 나중에 축조되는 상층 호안블록의 저면쪽 톱니(5)와 서로 맞물려 강력한 결속력을 보임으로써 하천의 횡단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상층 호안블록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하부 톱니(5)는 기초 콘크리트의 상면에 대한 마찰력을 늘려 접지 안정성을 높이기도 하고 하층 호안블록의 상부 톱니(4)에 맞물려 하층 호안블록 상에서의 적층안정성을 높이기도 한다. 이들 톱니(4,5)도 피치가 일정한 직선형, 정파형 톱니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식생용 호안블록(1b)은 센 물살과 강한 물결에 영향을 받는 어소용 호안블록(1) 및 수위의 영향을 받는 층에 적용되기도 하는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a)과는 달리 하천수위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 안전한 층에 조적하는 것으로, 상기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a)에 비해 폭(w)이 좁다. 이 식생용 호안블록(1b)의 좌우측면에는 식생용 세로홈(2b)이 그리고 앞면의 중앙에는 가로홈(3a)이 형성되어 있고, 조적면이 되는 상면과 저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용도를 가진 톱니(4,5)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어소용 호안블록(1)과 식생용 호안블록(1a,b)을 사용하여 호안 또는 절개면 보호를 위한 시공요령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와 도 5에서, 바닥이 정리된 하상(6)에서 하안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하천방향을 따라 기초 콘크리트(7)를 선시공하여 양생시키고, 기초 콘크리트(7) 위에는 하천방향을 따라 어소용 호안블록(1)을 잇대어 조적하거나 그 위에 조적되는식생용 호안블록(1a)의 길이 이하의 간격을 띄우고 가지런하게 조적한다. 이때, 호안블록(1)의 뒷면은 미리 정돈된 기초 콘크리트(7)의 뒷끝선에 맞추는 것이 조적하기 편리하다. 그리고 어소용 호안블(1)의 뒷면과 그 하안 사이의 공간에 돌(8)을 채워서 어소용 호안블록(1)이 수압의 영향에도 물러날 수 없게 안정시킨다. 돌(8)은 하상에서 어소용 호안블록(1) 상면까지로 제한하여 후시공되는 상층 호안블록을 조적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어소용 호안블록(1) 위에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a)을 조적한다. 이때는 어소용 호안블록(1)의 상부 톱니(4)에 윗줄에 시공되는 식생용 호안블록(1a)의 저면쪽 톱니(5)를 맞물리는 것으로 손쉽게 축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윗줄의 초식생용 호안블록(1a)은 특별히 줄을 맞출 필요는 없다.
식생용 호안블록(1a)은 평상시의 수위는 물론 장마철의 최고수위 때에 수면에 잠기는 높이까지를 참작하여 알맞은 높이로 조적하고, 하천수의 영향을 받는 층의 식생용 호안블록(1a)의 뒷공간에도 돌(8)을 채워 조적안정성을 높임과 동시에 유실불안감을 해소하고, 하천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층의 식생용 호안블록(1a)측 뒷공간에는 토사(9)를 채워 조적안정성을 높인다.
그리고 수위로부터 안전한 높이까지 층층이 어소 겸용 수초식생용 호안블록(1a)을 축조한 후 하천수의 받지 않는 층부터는 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b)을 조적하고, 그 뒷공간에 토사(9)를 채워 조적상태의 안정을 도모한다.
기층의 어소용 호안블록(1)을 제외한 나머지 윗줄용 식생용 호안블록(1a,b)은 그 앞끝을 아랫줄의 어소용 호안블록(1) 또는 식생용 호안블록(1a)의 앞끝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고 톱니(4) 2개만큼 하안쪽으로 물려 조적하여 층층이 단을 이루게 함으로써 수면 위로 드러나는 호안블록의 시각적 조적미를 높이고 조적안정성도 강화하며, 배면토압에 대한 내구력도 높이는 동시에 수면 위의 상하층 식생용 호안블록(1a,b)의 앞쪽에 수초를 식생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소 블록(1)과 식생용 호안블록(1a,1b)은 층마다 옆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조적한 경우 수면 하에서 옆공간(10) 또는 세로홈(2,2a)와 함께 형성되는 옆공간(10)의 바닥에는 자갈(11)을 깔아 하천 어류용 산란장과 쾌적한 서식환경을 조장하고, 수면 위 옆공간(12)에는 토사(13)를 채우고 수초(14)를 심어 수초대를 조성하는 것으로 호안공사를 마감한다. 이렇게 하면 경사도 1 : 0.5까지도 튼튼하고 안정된 호안을 구축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바닥이 정리된 하상(6)에 선시공된 기초 콘크리트(7)위에서부터 하천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전한 높이까지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a)을 조적하고, 하천수의 전혀 받지 않는 층에는 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b)을 조적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호안블록 시공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시공예에서도 식생용 호안블록(1a,b)의 뒷공간에는 돌(8)과 토사(9)를 채워 조적상태의 안정을 도모한다.
또, 식생용 호안블록(1a)의 상부 톱니(4)에 윗줄의 식생용 호안블록(1a)의 저면쪽 톱니(5)를, 그리고 최상단 바로 아래층의 식생용 호안블록(1a)의 상부 톱니(4)에 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b)측 저면쪽 톱니(5)를 맞물려 조적할 때에도 아래층 호안블록의 톱니(4) 하나만큼 하안쪽으로 물러나게 조적하면 도 4 및 도 5의 시공방법의 경우와 동등한 시공효과를 거둘 수 있다.
수면 하의 식생용 호안블록(1a)에서 옆쪽 호안블록측 세로홈(2a)에 의해 형성되는 옆공간(10)의 바닥에는 자갈(11)을 깔아 하천 어류용 산란장과 쾌적한 서식환경을 조장하고, 수면 위 식생용 호안블록(1a)의 옆공간(12)에는 토사(13)를 채우고 수초(14)를 심어 수초대를 조성한다.
도 8과 도 9는 윗층으로 갈수록 적어도 톱니(4) 하나만큼 물려 계단식으로 조적하는 상기한 제1,2 호안블록 시공방법과는 달리 층별로 단차를 두지 않고 하안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거기에 적합한 사선방향으로, 층별 어소용 및 식생용 호안블록(1,1a,1b) 또는 식생용 호안블록(1a,1b)의 앞면이 단일 사선상에 놓이게 축조하는 것을 제외한 그 밖의 시공순서와 요령은 상기한 제1,2 호안블록 시공요령과 동일하게 축조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이 호안블록 시공방법으로는 기울기 1:03 이상 가능하다.
도 10은 어소용 호안블록(1)을 빗물통로용 경사면 보호블록(1-1)으로 활용하여 절개면(16)의 하단에 설치하고 그 위에 상기의 요령으로 식생용 호안블록(1a) 또는 (1a,b)을 조적하면서 배면에 토사(9)를 채워 다지고, 빗물통로용 보호블록(1-1)들과 식생용 호안블록(1a) 또는 (1a,b)의 각 옆공간(12)에 토사(13)를 채우고 초본류나 개나리 등의 식물(15)을 심어서 절개지를 녹화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활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10의 호안블록 시공요령에 있어서, 각층의 식생용 호안블록(1a)(1b) 사이에 형성되는 옆공간(12)에 식재하는 수초(14) 또는 초본류와나무(15)는 깊숙이 뿌리를 묻어서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강풍과 폭우에도 뽑히거나 유실되지 않게 하는 것이 식생안정에 이롭다.
이상 설명한 대로 본 고안은 앞면과 양 측면에 어소용 세로홈 및 가로홈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톱니형 접속부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 양 측면에 수면 하에서 어소용 공간으로도 활용되는 식생용 세로홈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톱니형 접속부를 가진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 및 양 측면에 식생용 세로홈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톱니형 접속부를 가진 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은 각기 상하면에 주어진 톱니에 의하여 상하층 호안블록간의 결속력이 증대되고 기초 콘크리트 위에서의 저면 톱니는 접지마찰력을 높여 급류와 배면토압에도 너끈히 견뎌내는 강력한 호안블록 시공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식생용 호안블록의 옆면에 주어진 식생용 세로홈은 수중층에서는 어소로 활용가능하고 수면 밖에서는 옆공간 깊숙이 수초를 식재할 수 있으므로 강풍과 폭우에도 안정된 수변수초대 혹은 절개면의 녹화를 이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소용 및 식생용 호안블록을 계단식 또는 사선방향으로 조적하고, 수면 이하의 어소용 호안블록과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의 세로홈에 의해 형성되는 옆공간의 바닥에는 자갈을 깔아 어소로 활용하며, 하천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층의 광폭의 식재용 호안블록 및 수초식재용 호안블록의 세로홈에 의해 형성되는옆공간에는 토사를 채우고 수초를 식재하여 수변수초대를 조성하는 본 발명의 호안블록 시공방법은 위 아래층 호안블록의 상면과 저면에 형성된 톱니를 이용하여 매우 신속히 그리고 능률적으로 호안블록을 조적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그 조적상태도 매우 돈독하여 급류와 배면토압에 대해 조적구조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조적도 특별한 기술을 요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조적할 수 있다.
또,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은 그 옆공간을 수중 어소로 활용할 수 있고, 하안의 현장상황에 따라 호안블록의 조적기울기 선택도 자유로운 등 현장 적응성도 우수하다.
그리고 절개지 같은 곳에서는 어소용 호안블록은 빗물통로 구축용 경사면 보호블록으로, 또 식생용 호안블록은 그 경사면 보호 및 녹화용 블록으로 활용하여 튼튼하고 안전한 푸른 녹지대를 조성할 수도 있다.

Claims (1)

  1. 앞면에는 어소용 세로홈(2)을 그리고 양 측면간에는 어소용 가로홈(3)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톱니(4,5)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1)과; 양 측면에 식생용 세로홈(2b)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톱니(4,5)를 가진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a)과; 양 측면에 식생용 세로홈(2b)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톱니(4,5)를 가진 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 식생용 호안블록.
KR2020020002196U 2002-01-23 2002-01-23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KR2002729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196U KR200272943Y1 (ko) 2002-01-23 2002-01-23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196U KR200272943Y1 (ko) 2002-01-23 2002-01-23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935A Division KR100446815B1 (ko) 2002-01-23 2002-01-23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943Y1 true KR200272943Y1 (ko) 2002-04-20

Family

ID=7311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196U KR200272943Y1 (ko) 2002-01-23 2002-01-23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94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516B1 (ko) * 2006-07-28 2007-02-08 (주)이젠바텀 환경친화형 식생 옹벽블럭
KR100699700B1 (ko) 2006-12-06 2007-03-26 동남이엔씨(주) 하천 양안의 옹벽구조
KR100962373B1 (ko) 2008-05-23 2010-06-1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파 성능이 내재된 친수호안블록
CN115434288A (zh) * 2022-09-23 2022-12-06 南通市通州水利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生态鱼巢护岸及其施工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516B1 (ko) * 2006-07-28 2007-02-08 (주)이젠바텀 환경친화형 식생 옹벽블럭
KR100699700B1 (ko) 2006-12-06 2007-03-26 동남이엔씨(주) 하천 양안의 옹벽구조
KR100962373B1 (ko) 2008-05-23 2010-06-1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파 성능이 내재된 친수호안블록
CN115434288A (zh) * 2022-09-23 2022-12-06 南通市通州水利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生态鱼巢护岸及其施工方法
CN115434288B (zh) * 2022-09-23 2024-03-26 南通市通州水利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生态鱼巢护岸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2943Y1 (ko)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KR100446815B1 (ko)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CN216973293U (zh) 一种具有新型结构的生态挡土砌砖
KR200386573Y1 (ko) 자연형 생태옹벽블럭
KR200327418Y1 (ko) 식생용 호안블럭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100662876B1 (ko) 하천 생태보호용 식생블록 설치구조
KR200272869Y1 (ko) 자연형 식생블록
KR200408078Y1 (ko) 연결식 식생호안블록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KR100475103B1 (ko) 하천의 저수로 호안 식생대 및 그 시공방법
KR200321438Y1 (ko) 도로 비탈면 보호용 녹화사면구조물
JP3056699B2 (ja) 覆土ブロック
CN220685961U (zh) 一种用于河道护岸的生态护坡砌块及其安装结构
KR100478156B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JP4013210B2 (ja) 河川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工
KR20020069953A (ko) 생태블록
KR200346774Y1 (ko) 식생용 호안블록
CN219240453U (zh) 一种装配式生态挡墙砌块
KR200279901Y1 (ko) 식생용 호안 블록
KR200285001Y1 (ko) 식생용 호안 블록
KR200402406Y1 (ko) 다공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사면 보강용 친환경 옹벽블록
KR200413594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KR200429329Y1 (ko)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
KR200408208Y1 (ko)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하천 제방의 녹화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