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815B1 -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815B1
KR100446815B1 KR10-2002-0003935A KR20020003935A KR100446815B1 KR 100446815 B1 KR100446815 B1 KR 100446815B1 KR 20020003935 A KR20020003935 A KR 20020003935A KR 100446815 B1 KR100446815 B1 KR 100446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lock
revetment
revetment block
w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686A (ko
Inventor
이근희
Original Assignee
이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희 filed Critical 이근희
Priority to KR10-2002-0003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815B1/ko
Publication of KR20030063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류와 배면토압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과 어소·노변의 빗물통로·수초대 조성용 식생공간 등의 용이한 확보, 시공성 및 시공현장에서의 적응성 개선에 역점을 둔 호안블록과 이 호안블록을 사용하여 어소와 수초대, 또는 수초대 조성이 가능한 호안블록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앞뒷면과 양 측면에 어소·노변의 빗물통로·식물의 식생용으로 쓰이는 세로홈(2) 및 가로홈(3)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위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4)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1)과; 양 측면에 식생용 세로홈(2a)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톱니(4,5)를 가진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a)과; 양 측면에 수초식생용 세로홈(2a)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톱니(4,5)를 가진 수초식생용 호안블록(1b)을 제공한다.
또, 상기 호안블록들을 하안에서의 위치에 따라 계단식 또는 사선방향으로 층층이 축조하면서 방사시트를 깔아 하안의 토사 및 블록층의 뒷공가네 채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며, 수면 이하의 어소용 호안블록과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의 세로홈에 의해 형성되는 옆공간에는 자갈을 깔아 어소로 활용하며, 하천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층의 광폭 및 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간 세로홈에 의해 형성되는 옆공간에는 토사를 채우고 수초를 식재하여 수변 수초대를 조성하는 호안블록 시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 식생용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Bank protection block for fish house having sawtooth for connecting upper and lower block, and bank protection block for veget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하천용 호안블록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급류와 배면토압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높고, 어소 및 수초대 조성용 식생공간 확보가 용이하며, 시공성과 시공현장에서의 적응성도 우수하며, 접지마찰력과 상하층 호안블록간 접속력이 우수한 호안블록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축조 후에 어소 공간이 확보되도록 제조된 종래의 호안블록은 전후 ·좌우·전후좌우·전후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을 형성한 것이 태반이고, 적층면과 좌우면은 결속용 돌기와 홈을 막론하고 한결같이 밋밋하다.
이러한 어소용 호안블록은 축조할 때 숙련도가 높은 축조기술을 요하므로 시공 난이도가 높고 인건비 지출도 크다. 또, 축조 후에는 인접한 호안블록과의 암수맞춤에 의한 결속에도 불구하고 하천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 즉 급류와 배면토압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장담할 수 없는 등 조적신뢰도에도 문제가 있다.
또, 축조 후에 확보되는 어소 공간은 그 용도 외에 수변 수초대를 조성함에 있어서 수초가 뿌리를 내리고 왕성하게 생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으로 활용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
게다가, 종래의 어소용 호안블록은 다른 용도, 이를테면 인도 또는 차도와 역에 인접한 성토법면, 절개면과의 경계선상에 설치하여 지표면을 타고 흘려내리는 빗물과 여기에 휩쓸려 가는 토사가 인도나 차도로 범람하지 않고 집수통으로 흘러들도록 유도하는 빗물통로 목적으로 전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급류와 배면토압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과 어소 공간과 수초대 조성용 식생공간의 확보, 시공성 및 시공현장의 실정에 적합한 호안블록의 활용성 증대 및 현장적응성 개선에 역점을 둔 호안블록과, 이 호안블록을 적절히 사용하여 어소와 하안의 수초대 조성, 또는 절토면의 식물대 조성과 함께 빗물통로를 구축할 수 있는 호안블록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앞뒷면과 양 측면에 어소용 세로홈 및 가로홈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위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갖고서 빗물통로 확보용으로도 전용할 수 있게 한 어소용 호안블록과; 양 측면에 식생용 세로홈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식생용 호안블록을 제공한다.
또, 상기한 여러 종류의 호안블록을, 하안에서 수면 이하에는 어소용 호안블록과 식생용 호안블록을, 그리고 하천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높이의 하안에는 식생용 호안블록을 계단식 또는 경사지게 시공하고, 수면 아래에서 세로홈에 의해 형성되는 어소 및 식생용 호안블록의 옆공간 바닥에는 자갈을 깔아 어소로 활용하며, 하천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층의 식생용 호안블록의 세로홈에 의해 형성되는 옆공간에는 토사를 채우고 수초, 수변식물 등을 식재하여 하안에 수초대를 조성하는 호안블록 시공방법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어소용 호안블록을 절개지의 하단에 배치하여 빗물통로로 활용하며, 그 위에 절개지의 구배에 따라 식생용 호안블록을 계단식 또는 경사지게 축조하고, 식생용 호안블록의 세로홈에 의해 형성되는 옆공간에 토사를 채우고 초본류나 개나리같이 비탈면 보호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식물을 식재하여 녹지대를 조성하는 호안블록 시공방법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톱니형 접속부를 가진 어소·노변의 빗물통로 구축용 호안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톱니형 접속부를 가진 식생용 호안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톱니형 접속부를 가진 식생용 호안블록의 사시도
도 4는 톱니형 접속부를 가진 어소 및 식생용 호안블록을 하안의 기울기에 부합하도록 계단식으로 조적한 경우의 정면도
도 5는 그 종단측면도
도 6은 어소 및 식생용 호안블록을 계단식으로 시공한 경우의 축조예시도
도 7는 그 종단측면도
도 8은 어소 및 식생용 호안블록을 사선방향으로 시공한 경우의 시공예시도
도 9는 그 종단측면도
도 10은 절개지에 어소용 호안블록을 빗물통로 구축용으로 사용하고 그 위에 식생용 호안블록을 시공한 경우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어소(빗물통로 구축용 겸용) 호안블록
1a, : (광폭) 식생용 호안블록1b : (협폭) 식생용 호안블록
2,2a : 세로홈3,3a : 가로홈
4,5 : 톱니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안블록(1)은 주로 하상의 기초 콘크리트층 위에 조적하는 기층용 어소 및 어도용 호안블록으로서, 앞뒤로 관통한 세로홈(2)과 좌우로 관통하는 가로홈(3)이 +상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조적면이 되는 상면과 저면에는 톱니(4,5)가 형성된 어소용 호안블록이다.
세로홈(2)과 가로홈(3)은 호안블록(1)을 축조한 후에 하천 어류가 서식하고 산란도 하는 안락한 어소 공간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상부 톱니(4)는 나중에 축조되는 상층 호안블록의 저면쪽 톱니(5)와 서로 맞물려 강력한 결속력을 보임으로써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상층 호안블록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 하부 톱니(5)는 상부 톱니(4)와 같은 형태 및 방향이 같고, 기초 콘크리트의 상면에 대한 마찰력을 늘려 접지 안정성을 높이고 하층 호안블록의 상부 톱니(4)와 맞물려 하층 호안블록상에서 적층안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톱니(4,5)가 삼각형 단면이고 앞뒤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로 된 직선형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정파형 톱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어소용 호안블록(1)은 일반 절개지용 빗물통로 구축용 블록으로도 유효하다. 어소 또는 빗물통로로서의 가치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필요하다면 앞면에 가까운 상면에 종공(20)을 형성하여 하천의 물고기가 어소에서 위 아래로 드나들 수 있게 하고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이 가로홈(3) 속으로 유입되기 쉽게 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식생용 호안블록(1a)은 주로 하상의 기초 콘크리트층 위에 조적하거나 수위에 따라 하천수와 접촉할 가능성이 높은 층에 조적하는 것으로, 폭(W)이 넓다. 이 식생용 호안블록(1a)은 좌우측면의 중간에는 세로홈(2a)이 그리고 앞면의 중간에는 가로홈(3a)이 형성되어 있고, 조적면이 되는 상면과 저면에는 톱니(4,5)도 형성되어 있다.
세로홈(2a)은 인접한 다른 식생용 호안블록(1a)측 세로홈(2a)과 합동으로 수초 식생용 공간을 조장하게 되고 수초식재가 곤란한 수면 아래쪽에 시공할 경우에는 인접한 식생용 호안블록(1a)측 세로홈(2a)과 합동으로 조장되는 옆공간을 하천 어류용 산란장 또는 서식공간으로 적합한 어소로도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도 하안에서 조적되는 높이에 따라 상부 톱니(4)는 나중에 축조되는 상층 호안블록의 저면쪽 톱니(5)와 서로 맞물려 강력한 결속력을 보임으로써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상층 호안블록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하부 톱니(5)는 기초 콘크리트의 상면에 대한 마찰력을 늘려 접지 안정성을 높이기도 하고 하층 호안블록의 상부 톱니(4)에 맞물려 하층 호안블록 상에서의 적층안정성을 높이기도 한다. 이들 톱니(4,5)도 피치가 일정한 직선형, 정파형 톱니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식생용 호안블록(1b)은 센 물살과 강한 물결에 영향을 받는 어소용 호안블록(1) 및 수위의 영향을 받는 층에 적용되기도 하는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a)과는 달리 하천수위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 안전한 층에 조적하는 것으로, 상기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a)에 비해 폭(w)이 좁다. 이 식생용 호안블록(1b)의 좌우측면에는 식생용 세로홈(2b)이 그리고 앞면의 중앙에는가로홈(3a)이 형성되어 있고, 조적면이 되는 상면과 저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용도를 가진 톱니(4,5)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어소용 호안블록(1)과 식생용 호안블록(1a,b)을 사용하여 호안 또는 절개지 보호용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와 도 5에서, 바닥이 정리된 하상(6)에서 하안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하천방향을 따라 기초 콘크리트(7)를 선시공하여 양생시키고, 기초 콘크리트(7) 위와 그 뒤쪽 바닥 및 사면에는 토사유실방지용 방사시트(17)를 깐다. 이어서 상기 기초 콘트리트(7) 위에다 하천방향을 따라 어소용 호안블록(1)을 잇대어 조적하거나 그 위에 조적되는 식생용 호안블록(1a)의 길이 이하의 간격을 띄우고 가지런하게 조적한다. 이때, 호안블록(1)의 뒷면은 미리 정돈된 기초 콘크리트(7)의 뒷끝선에 맞추는 것이 조적하기 편리하다. 그리고 어소용 호안블(1)의 뒷면과 그 하안 사이의 공간에 돌(8)을 채워서 어소용 호안블록(1)이 수압의 영향에도 물러날 수 없게 안정시킨다. 돌(8)은 하상에서 어소용 호안블록(1) 상면까지로 제한하여 후시공되는 상층 호안블록을 조적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어소용 호안블록(1) 위에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a)을 조적한다. 이때는 어소용 호안블록(1)의 상부 톱니(4)에 윗줄에 시공되는 식생용 호안블록(1a)의 저면쪽 톱니(5)를 맞물리는 것으로 손쉽게 축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윗줄의 초식생용 호안블록(1a)은 특별히 줄을 맞출 필요는 없다.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a)은 평상시의 수위는 물론 장마철의 최고수위 때에 수면에 잠기는 높이를 참작한 안전한 평균수위까지 조적하고, 그 뒷공간에도 돌(8)을채워서 조적안정성을 높임과 동시에 유실불안감을 해소한 다음에 그 위에 상기 방사시트(17)에서 연장된 방사시트(17)를 깐다.
상기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a)층 위에서부터 수위로부터 안전한 높이까지 추가로 상기 식생용 호안블록(1a)을 축조하면서 그 뒷면에 상기 방사시트(17)에서 연장된 방사시트(17)를 치고 토사(9)를 체우며, 하천수의 전혀 받지 않는 층부터 하안의 상단까지는 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b)을 조적하고, 그 뒷공간에 방사시트(17)를 치고 역시 토사(9)를 채워서 조적상태의 안정을 도모한다.
기층의 어소용 호안블록(1)을 제외한 나머지 윗줄용 식생용 호안블록(1a,b)은 그 앞끝을 아랫줄의 어소용 호안블록(1) 또는 식생용 호안블록(1a)의 앞끝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고 톱니(4) 2개만큼 하안쪽으로 물려 조적하여 층층이 단을 이루게 함으로써 수면 위로 드러나는 호안블록의 시각적 조적미를 높이고 조적안정성도 강화하며, 배면토압에 대한 내구력도 높이는 동시에 수면 위의 상하층 식생용 호안블록(1a,b)의 앞쪽에 수초를 식생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소 블록(1)과 식생용 호안블록(1a,1b)은 층마다 옆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조적한 경우 수면 하에서 옆공간(10) 또는 세로홈(2,2a)와 함께 형성되는 옆공간(10)의 바닥에는 자갈(11)을 깔아 하천 어류용 산란장과 쾌적한 서식환경을 조장하고, 수면 위 옆공간(12)에는 토사(9)를 채우고 수초(14)를 심어 수초대를 조성하는 것으로 호안공사를 마감한다. 이렇게 하면 경사도 1 : 0.5까지도 튼튼하고 안정된 호안을 구축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상기한 제1 시공예와 마찬가지로 바닥이 정리된 하상(6)에 선시공된 기초 콘크리트(7) 위와 그 뒤쪽 바닥 및 사면에 방사시트(17)를 깔고, 상기 기초 콘크리트(7) 위에서부터 하천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전한 높이까지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a)을 조적하면서 그 뒷공간에 돌(8)을 채우고 방사시트(17)로 뒷채움한 토사(9)의 유실을 방지하며, 하천수의 전혀 받지 않는 층에는 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b)을 조적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호안블록 시공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 식생용 호안블록(1a)의 상부 톱니(4)에 윗줄의 식생용 호안블록(1a)의 저면쪽 톱니(5)를, 그리고 최상단 바로 아래층의 식생용 호안블록(1a)의 상부 톱니(4)에 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b)측 저면쪽 톱니(5)를 맞물려 조적할 때에도 아래층 호안블록의 톱니(4) 하나만큼 하안쪽으로 물러나게 조적하면 도 4 및 도 5의 시공방법의 경우와 동등한 시공효과를 거둘 수 있다.
수면 하의 식생용 호안블록(1a)에서 옆쪽 호안블록측 세로홈(2a)에 의해 형성되는 옆공간(10)의 바닥에는 자갈(11)을 깔아 하천 어류용 산란장과 쾌적한 서식환경을 조장하고, 수면 위 식생용 호안블록(1a)의 옆공간(12)에는 토사(13)를 채우고 수초(14)를 심어 수초대를 조성한다.
도 8과 도 9는 윗층으로 갈수록 적어도 톱니(4) 하나만큼 물려 계단식으로 조적하는 상기한 제1,2 호안블록 시공방법과는 달리 층별로 단차를 두지 않고 하안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거기에 적합한 사선방향으로, 층별 어소용 및 식생용 호안블록(1,1a,1b) 또는 식생용 호안블록(1a,1b)의 앞면이 단일 사선상에 놓이게 축조하는 것을 제외한 그 밖의 시공순서와 요령은 상기한 제1,2 호안블록 시공방법과 동일하게 축조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이 호안블록 시공방법으로는 기울기 1:03 이상 가능하다.
도 10은 어소용 호안블록(1)을 빗물통로용 경사면 보호블록(1-1)으로 활용하여 절개면(16)의 하단에 설치하고 그 위에 상기의 요령으로 식생용 호안블록(1a) 또는 (1a,b)을 조적하면서 배면에 토사(9)를 채워 다지고, 빗물통로용 보호블록(1-1)들과 식생용 호안블록(1a) 또는 (1a,b)의 각 옆공간(12)에 토사(13)를 채우고 초본류나 개나리 등의 식물(15)을 심어서 절개지를 녹화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활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10의 호안블록 시공방법에 있어서, 각층의 식생용 호안블록(1a)(1b) 사이에 형성되는 옆공간(12)에 식재하는 수초(14) 또는 초본류와 나무(15)는 깊숙이 뿌리를 묻어서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강풍과 폭우에도 뽑히거나 유실되지 않게 하는 것이 식생안정에 이롭다.
이상 설명한 대로 본 발명은 앞면과 양 측면에 어소용 세로홈 및 가로홈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톱니형 접속부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 양 측면에 수면 하에서 어소용 공간으로도 활용되는 식생용 세로홈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톱니형 접속부를 가진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 및 양 측면에 식생용 세로홈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톱니형 접속부를 가진 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은, 각기 상하면에 주어진 톱니에 의하여 상하층 호안블록간의 결속력이 증대되므로 급류와 배면토압에도 너끈히 견뎌내는 강력한 호안블록 시공층을 얻을 수 있다.
또, 식생용 호안블록의 옆면에 주어진 식생용 세로홈은 수중층에서는 어소로 활용되고 수면 밖에서는 옆공간 깊숙이 수초를 식재할 수 있으므로 강풍과 폭우에도 안정된 수변수초대 혹은 절개지의 사면녹화를 이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소용 및 식생용 호안블록을 계단식 또는 사선방향으로 조적하고, 수면 이하의 어소용 호안블록과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의 세로홈에 의해 형성되는 옆공간의 바닥에는 자갈을 깔아 어소로 활용하며, 하천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층의 광폭의 식재용 호안블록 및 수초식재용 호안블록의 세로홈에 의해 형성되는 옆공간에는 토사를 채우고 수초를 식재하여 수변수초대를 조성하는 본 발명의 호안블록 시공방법은 위 아래층 호안블록의 상면과 저면에 형성된 톱니를 이용하여 매우 신속히 그리고 능률적으로 호안블록을 조적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그 조적상태도 매우 돈독하여 급류와 배면토압에 대해 조적구조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조적도 특별한 기술을 요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조적할 수 있다.
또,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은 그 옆공간을 수중 어소로 활용할 수 있고, 하안의 현장상황에 따라 호안블록의 조적기울기 선택도 자유로운 등 현장 적응성도 우수하다.
그리고 절개지 같은 곳에서는 어소용 호안블록은 빗물통로 구축용 경사면 보호블록으로, 또 식생용 호안블록은 그 경사면 보호 및 녹화용 블록으로 활용하여 튼튼하고 안전한 푸른 녹지대를 조성할 수도 있다.

Claims (6)

  1. 앞면 또는 앞뒷에 어소용 세로홈(2)을 그리고 양 측면간에는 어소용 가로홈(3)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톱니(4,5)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1)과; 양 측면에 식생용 세로홈(2a)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톱니(4,5)를 가진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a)과; 양 측면에 식생용 세로홈(2a)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톱니(4,5)를 가진 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1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 식생용 호안블록.
  2. 정지작업된 하안측 하상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 위와 사면을 따라 방사시트를 까는 단계와; 기초 콘크리트 위에는 앞면과 양 측면에 어소용 세로홈 및 가로홈을 갖고 상면과 저면에는 톱니가 형성된 어소용 호안블록을 조적하고 그 뒷면과 상기 방사시트의 안쪽 사이의 공간에 돌을 채워 조적상태를 안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어소용 호안블록층 위에는 양측면에 식생용 세로홈이 형성되고 상면과 저면에는 톱니가 형성된 광폭 식생용 호안블록을 조적하고 그 뒷공간과 방사시트 사이에 상기 식생용 호안블록의 높이까지 돌과 토사를 채워 조적상태를 안정시키며 그 돌-토사층 위에 연장된 방사시트를 까는 단계와; 상기 최하층 식생용 호안블록층 위에서부터 수위의 영향을 받지 않는 하안의 높이까지 상기한 것과 동일한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을 적층 시공하면서 층별 광폭 식생용 호안블록의 이면에 방사시트를 치고 그 뒤쪽 공간에 돌과 토사를 채워 조적상태를 안정시키는 단계와; 최상단 광폭 식생용 호안블록층 위에는 양 측면에 식생용 세로홈이 형성되고 상면과 저면에는 톱니가 형성된 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을 조적하고 그 뒷면에 방사시트를 친 다음에 뒷공간에다 토사를 채우는 단계와; 수위의 영향을 받지 않는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층부터 최상단의 협폭 식생용 호안블록층의 각 세로홈들에 의해 형성되는 옆공간에 토사를 채우고 수초를 식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록 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과 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은 어소용 호안블록과 아래층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측 상부 톱니 하나를 뒤쪽으로 물려서 계단식으로 조적하는 호안블록 시공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과 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은 어소용 호안블록과 아래층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측 상부 톱니 2개를 뒤쪽으로 물려서 계단식으로 조적하는 호안블록 시공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어소용 호안블록과 광폭 식생용 호안블록 및 협폭 식생용 호안블록은 각층의 호안블록 앞면이 하안의 기울기에 부합되도록 단일 사선에 놓이게 조적하는 호안블록 시공방법.
  6. 정지작업된 하안측 하상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 위와 그 뒤쪽 지면 및 사면에 방사시트를 까는 단계와; 기초 콘크리트 위에서부터 평균 수위까지는 양측면에 어소로도 쓰이는 식생용 세로홈이 형성되고 상면과 저면에는 톱니가 형성된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을 조적하고 그 뒷공간과 방사시트 사이에 돌과 토사를 채워 조적상태를 안정시키고 그 돌-토사층 위에 상기 방사시트를 연장하여 까는 단계와; 상기 식생용 호안블록층 위에서부터 수위의 영향을 받지 않는 하안의 높이까지 상기한 것과 동일한 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을 적층 시공하면서 층별 광폭 식생용 호안블록의 이면에 방사시트를 치고 그 뒤쪽 공간에 돌과 토사를 채워 조적상태를 안정시키는 단계와; 최상단의 광폭 식생용 호안블록층 위에는 양 측면에 식생용 세로홈이 형성되고 상면과 저면에는 톱니가 형성된 협폭의 식생용 호안블록을 조적하고 그 뒷면에 방사시트를 친 다음에 뒷공간에다 토사를 채우는 단계와; 수위의 영향을 받지 않는 광폭의 호안블록층부터 최상단의 협폭 식생용 호안블록층의 세로홈들에 의해 형성되는 옆공간에 토사를 채우고 수초를 식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록 시공방법.
KR10-2002-0003935A 2002-01-23 2002-01-23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0446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935A KR100446815B1 (ko) 2002-01-23 2002-01-23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935A KR100446815B1 (ko) 2002-01-23 2002-01-23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196U Division KR200272943Y1 (ko) 2002-01-23 2002-01-23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686A KR20030063686A (ko) 2003-07-31
KR100446815B1 true KR100446815B1 (ko) 2004-09-01

Family

ID=32219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935A KR100446815B1 (ko) 2002-01-23 2002-01-23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8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547B1 (ko) * 2007-05-09 2007-07-27 주식회사 삼경 하천의 생태계 보존을 위한 피난 산란처를 제공하는어소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739B1 (ko) * 2007-07-09 2007-12-18 김종득 옹벽용 어소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옹벽
CN109594523A (zh) * 2018-12-18 2019-04-09 上海市水利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装配式两级挡土墙结构
CN110485369A (zh) * 2019-08-05 2019-11-22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抗水土流失阶梯式生态框护岸结构及其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547B1 (ko) * 2007-05-09 2007-07-27 주식회사 삼경 하천의 생태계 보존을 위한 피난 산란처를 제공하는어소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686A (ko)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9106A (ko) 조립식 호안블록
KR100446815B1 (ko)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272943Y1 (ko)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CN216973293U (zh) 一种具有新型结构的生态挡土砌砖
KR200428974Y1 (ko) 호안블록
KR200327418Y1 (ko) 식생용 호안블럭
KR100392506B1 (ko) 생태블록
KR20110009351A (ko) 조적식 옹벽 축조용 호안블록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JP4013210B2 (ja) 河川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工
KR200408078Y1 (ko) 연결식 식생호안블록
KR200297571Y1 (ko) 식생 옹벽 구조체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KR200346774Y1 (ko) 식생용 호안블록
KR102264637B1 (ko) 바이오 폴리머 피복 다공성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존치형 수변사면 침식방지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285001Y1 (ko) 식생용 호안 블록
KR200429329Y1 (ko)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
KR200398169Y1 (ko) 식생 호안블록
CN218436872U (zh) 一种用于航道整治的生态护坡结构
CN215925860U (zh) 一种生态治理侵蚀沟的填埋秸秆和谷坊复合式结构
JP2912583B2 (ja) コンクリ−トブロック
JP2003239290A (ja) 裸地法面の緑化方法と植生基盤
KR200236316Y1 (ko) 호안블럭의 구조
KR100663257B1 (ko) 옹벽용 블록
KR200279901Y1 (ko) 식생용 호안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