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316Y1 - 호안블럭의 구조 - Google Patents
호안블럭의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36316Y1 KR200236316Y1 KR2020010008641U KR20010008641U KR200236316Y1 KR 200236316 Y1 KR200236316 Y1 KR 200236316Y1 KR 2020010008641 U KR2020010008641 U KR 2020010008641U KR 20010008641 U KR20010008641 U KR 20010008641U KR 200236316 Y1 KR200236316 Y1 KR 20023631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raft
- bank
- present
- sides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사진 제방에 축조되는 호안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축조된 상태에서 식생이 용이하고 제방 침하 및 제방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호안블럭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럭은 호안블럭이 제방에 축조될 때 블록과 블록의 결합에 결속력이 있고, 환경친화적인 호안블럭의 구조를 갖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호안블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두께로 된 판상 블록형태를 하는 것으로 사방측면에 S 모양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즉 호안블럭(100)의 사방측면에 형성된 S 모양의 요철은 사방 각면에 동일한 형태로 요철이 형성되는데, 도 1에 표시된 H는 결합홈이 형성된 부분을 표시하고, I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부분을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H)과 결합돌기(I)는 상호 연접하여 일측면을 형성하고, 한 벌로써 각 측면에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경사진 제방에 축조되는 호안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축조된 상태에서 식생이 용이하고 제방 침하 및 제방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호안블럭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 및 수로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 하천, 호수, 기타 수로(水路)등에 여러 형태와 크기를 가진 호안블럭과 돌망태 등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돌망태는 와이어 등으로 돌무더기를 감싸 지면에 고정시키는 시공방법으로 돌 틈사이로 토양의 공기 및 유입되는 물의 배수는 원활하나 시공에 따른 애로사항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돌망태의 경우 특히 연약지반에 설치되면 홍수시 물이 제방을 범람하게 되면 돌망태의 돌틈사이로 범람하는 물이 침투하기 용이하므로 돌망태의 기능에 불구하고 제방이 유실되는 사례가 빈번하므로 임시적으로 제방을 형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는 하나 항구적 제방을 형성하는데 돌무더기의 시공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제방에 정형화된 형태와 크기를 갖는 호안블럭이 수로등의 언(堰)에 시공되어 제방을 보호하고 있는데 이를 호안블럭이라 한다. 이러한 호안블럭은특히 홍수로 인한 제방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블럭의 시공 면이 일정하면서 조밀한 상태가 되도록 시공되는 바, 제방의 상,하측의 토질에 따라시공된 블록 중에서 하나의 블럭이 유실되거나 이탈되면, 점차적으로 각 측면 및 저면이 밀착 고정된 각각의 호안블럭은시간이 진행됨에 있어 유실되거나 심지어는 붕괴되는 사고를 불러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블럭의 조밀한 시공상태에 있어서 블럭의 유실은 우천시 제방과 근접되는 지면으로 스며든 물의 배출이 어렵게 되어 지반이 약화로 인해 유실의 진행이 빠르게 나타나며, 물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한 관계에 따라 지반의 토양이 황폐화되는 문제점이 속출하였다.
한편, 상기 블럭의 전면은 제방작업에 있어 내구성을 감안하거나 작업자의 발판역할을 하기 위해 일정 높이의 돌부가 형성되어 있으나, 돌부의 형성은 블럭의 내구성을 위해 전면은 사각형태이되 블럭의 전면과 이웃하는 각 4면의 측면부분은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둥글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블록은 대부분 돌부를 제외한 각 가장자리부분의 두께는 일체로 성형된 돌부는 발을 헛디디는 사례가 빈번하여 실족사고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으며, 돌부의 역할 이외에 큰 역할은 기대하기가 어려웠다.
현재의 각종 블록의 제작에 있어서 콘크리트제품으로 이루어지는 블록임을 감안하여 자연과 잘 어우러질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생산이 기대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호안블럭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창안되었는데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과제는 호안블럭이 제방에 축조될 때 블록과 블록의 결합에 결속력이 있고, 환경친화적인 호안블럭의 구조를 갖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럭의 평면도
도 3는 본 고안의 호안블럭 다수개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제방의 경사면에 본 고안의 호안블럭 다수개가 축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100' : 호안블럭
110 : 배수로 120, 120', 120' : 관통구멍
H : 결합홈 I : 결합돌기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럭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럭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럭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럭의 다수개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럭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호안블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두께로 된 판상 블록형태롤 하는 것으로 사방측면에 'S' 모양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즉 호안블럭(100)의 사방측면에 형성된 'S' 모양의 요철은 사방 각면에 동일한 형태로 요철이 형성되는데, 상기 'S'자 모양의 요철은 둥글게 움푹들어간 결합홈(H)과 둥글게 돌출된 결합돌기(I)로 이루어 진다. 상기 결합홈(H)과 결합돌기(I)는 상호 연접하여 일측면에 형성되고 한 벌로써 각 측면에 형성되고 둥근 결합홈(H)와 둥근 결합돌기(I)는 상호 치합될 정도의 크기와 넓이를 갖는다.
그리고 호안블럭(100)의 상부 면의 가장자리는 길이를 따라 일정 폭과 깊이로 함몰되어 계단상을 이루고 있는데, 이 부분은 호안블럭(100)과 호안블럭(100')이 결합하여 축조되면 배수로(110)를 형성한다.(도 3 및 도 4 참조)
호안블럭(100)의 상부면에서 저면으로 관통하여 관통구멍(12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의 호안블럭에 의하여 제방 등에 축조된 상태를 부분확대 사시도 및 평면도로 도 3 과 도 4에 도시하고 있는데, 도 3 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호안블럭(100)의 사방측면에 각각 다른 호안블럭(100')이 결합되어 축조되는데, 하나의 호안블럭(100) 이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H)에 다른 호안블럭(100')의 결합돌기(I')가 끼워지고, 결합돌기(I)가 다른 호안블럭(100')의 결합홈(H')에 끼워진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개의 호안블럭(100, 100')들이 제방에 축조 시공되는 것이다.
이같이 호안블럭(100, 100')들을 시공할 때 호안블럭(100, 10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120)에 흙을 충진하여 잔디나 기타 초목을 심을 수 있도록하고, 4개의 호안블럭이 결합하여 축조되면 중앙 부분에 상기 관통구멍(120)과 동일한 크기로 제2 관통구멍(120')가 형성된다. 이 제 2 관통구멍(120')에도 축조시 흙을 충진하여 잔디나 기타 초목을 심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렇게 축조 시공된 호안블럭(100)과 호안블럭(100') 사이에 상기의 의하여 망상의 배수로(110)가 형성하게 되는데, 호안블럭(100,100')이 제방(L)의 경사면에 시공 축조되므로 우천시 제방의 경사면에 내린 빗물은 축조된 제방(L)의 지반으로 스며들지 않고 배수로(110)를 따라 배수되는데, 상기 배수로(110)의유로(流路)가 구불구불한 사행(蛇行)으로 형성되므로 빗물의 유속이 줄어들어 제방유실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고 제방에 시공 축조된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럭은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진 제방에 시공 축조됨에 있어 호안블럭과 호안블럭간의 결합이 구조적으로 안정되기에 상당한 규모의 홍수가 있어도 제방에서 호안블럭이 이탈되지 않고, 기타의 자연재해나 사람 또는 동물이 제방에 위해를 가하더라도 호안블럭이 안정적으로 축조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대규모의 호우가 있다하여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럭은 사행(蛇行)의 배수로가 형성되므로 유속을 줄일 뿐아니라 배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그만큼 제방붕괴의 위험이 줄어든다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호안블럭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에 흙을 채워넣어 관통 구멍에서 식물이나 기타 꽃등을 심을 수 있어 환경 친화적 제방을 축조하게 된다.
즉 관통구멍에 심어진 식물이나 꽃 등에 잠자리나 기타 생물들이 서식할 공간을 제공하므로 시멘트만으로 형성된 종래의 호안블록에 비하여 환경 친화적이며, 더욱이 시각적으로도 아름다운 하천 또는 강의 경관을 연출하게 된다.
Claims (1)
- 일정두께를 갖고 판 상으로 된 것으로 제방의 경사면에 축조되는 호안블럭에 있어서, 사방측면 각면에 결합홈(H)과 이에 연접하여 결합돌기(I)로 이루어진 'S'자형의 요철이 형성되고, 블록의 상부면 가장자리는 길이를 따라 일정 깊이와 폭으로 함몰되어 계단을 이루어 타호안블럭(100')과 결합하여 배수로(110)을 형성하며, 상부면 중앙은 저면까지 관통하는 관통구멍(120)이 형성되고, 4개의 호안블럭이 결합하여 그 중앙부분에 제2관통구멍(120')이 형성되는 호안블럭.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08641U KR200236316Y1 (ko) | 2001-03-28 | 2001-03-28 | 호안블럭의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08641U KR200236316Y1 (ko) | 2001-03-28 | 2001-03-28 | 호안블럭의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36316Y1 true KR200236316Y1 (ko) | 2001-10-10 |
Family
ID=73064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08641U KR200236316Y1 (ko) | 2001-03-28 | 2001-03-28 | 호안블럭의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36316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0425B1 (ko) * | 2001-11-19 | 2005-10-12 | 주식회사 테포시티 | 호안블록 |
KR100710493B1 (ko) | 2006-06-19 | 2007-05-04 | 강용구 | 식생 호안블록 |
-
2001
- 2001-03-28 KR KR2020010008641U patent/KR20023631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0425B1 (ko) * | 2001-11-19 | 2005-10-12 | 주식회사 테포시티 | 호안블록 |
KR100710493B1 (ko) | 2006-06-19 | 2007-05-04 | 강용구 | 식생 호안블록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97518Y1 (ko) | 생태 식생옹벽블럭 | |
JP4979797B2 (ja) | ダムの天端高を高くするための上部構造物 | |
KR200236316Y1 (ko) | 호안블럭의 구조 | |
KR100719520B1 (ko) | 어소겸용 식생블럭 | |
KR200231243Y1 (ko) | 호안 식생용 블럭 | |
KR101294664B1 (ko) | 투수성 호안블록 | |
KR200300440Y1 (ko) | 친환경 구축력 옹벽블록 | |
KR100710493B1 (ko) | 식생 호안블록 | |
KR200284980Y1 (ko) |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부비노출형호안블록 | |
KR200414869Y1 (ko) | 옹벽블록 | |
KR200249172Y1 (ko) | 환경친화적 중력식 보강토 식재옹벽블록 | |
KR100514086B1 (ko) | 친환경 구축력 옹벽 | |
KR200356111Y1 (ko) | 호안블록 | |
KR100406812B1 (ko) | 격자형 망태블럭 | |
KR200247050Y1 (ko) | 구배가 형성된 대형식재옹벽블록 | |
KR20070118531A (ko) | 호안 블럭 | |
KR100433919B1 (ko) | 하안 생태 옹벽블록 | |
KR200297571Y1 (ko) | 식생 옹벽 구조체 | |
KR200356104Y1 (ko) | 바구니형 식생호안블록 | |
KR200297220Y1 (ko) | 식생호안블럭 | |
KR100796317B1 (ko) | 조경 블럭 | |
KR200312007Y1 (ko) | 제방 축조 기능을 갖는 호안블럭 | |
KR200348386Y1 (ko) | 호안블록 | |
KR200346774Y1 (ko) | 식생용 호안블록 | |
KR200398169Y1 (ko) | 식생 호안블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J210 |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0126 Effective date: 20050427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621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