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220Y1 - 식생호안블럭 - Google Patents

식생호안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220Y1
KR200297220Y1 KR2020020024718U KR20020024718U KR200297220Y1 KR 200297220 Y1 KR200297220 Y1 KR 200297220Y1 KR 2020020024718 U KR2020020024718 U KR 2020020024718U KR 20020024718 U KR20020024718 U KR 20020024718U KR 200297220 Y1 KR200297220 Y1 KR 200297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vegetation
prevent
revetment block
ba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옥
Original Assignee
김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옥 filed Critical 김태옥
Priority to KR2020020024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2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220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제방이나 강변 및 바닷가의 둑, 배수로의 양측 둑, 도로의 양측 경사면 등의 각종 경사면에서 토사가 유실되거나 경사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호안블록 전면에 요철 형상의 돌출부를 형성시켜 내구성을 강화하고 유속감소에 도움을 주며,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식생공을 형성하여 제방 지반의 토양에 산소를 공급시켜 토양의 황폐함을 방지하며, 우천시 하천으로 급격히 흘러내리는 물의 유속을 저하시켜 하천의 빠른 범람을 지연토록 하며, 시공된호안블록에 조경녹지 면적을 확대함으로서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식물의 뿌리가 식생홈부와 식생공을 통하여 지반으로 뿌리내림 함으로써, 호안블록간의 조합을 견고하게 하여 호안블록의 이탈에 따른 제방의 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연결철사를 끼울 수 있는 연결홈이 있어 범면이 물에 잠길 때 범면이 가라앉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식생호안블럭{Plantable revetment block}
본 고안은 하안(河岸) ·해안(海岸) ·둑을 보호해서 유수에 의한 물가선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비탈면에 시설하는 호안블록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호안블록의 전면부에는 유속의 감소를 위한 돌출부를 형성하고, 호안블록 양측에는 식생홈을 수직상으로 다수 형성하여 기존의 식생공 식생 면적보다 더 많은 식생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축조되는 제방에 조경면적을 확대함과 동시에 호안블록의 유실을 방지하며, 우천시 물의 배수를 원활하게 할 뿐 아니라 연접한 호안블록간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블록의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고안한 식생용 호안블록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이미 구비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호안블럭을 생산하는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생산량을 극대화 시킬수 있는 구조와 형상을 지닌 식생용 호안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 및 수로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 하천, 호수, 기타 수로(水路)등에 여러 형태와 크기를 가진 호안블럭과 돌망태 등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돌망태는 와이어 등으로 돌무더기를 감싸 지면에 고정시키는 시공방법으로 돌 틈사이로 토양의 공기 및 유입되는 물의 배수는 원활하나 시공에 따른 애로사항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돌망태의 경우 특히 연약지반에 설치되면 홍수시 물이 제방을 범람할 경우 돌망태의 돌틈사이로 범람하는 물이 침투하기 용이하므로돌망태의 기능에 불구하고 제방이 유실되는 사례가 빈번하므로 임시적으로 제방을 형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는 하나 항구적 제방을 형성하는데 돌무더기의 시공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제방에 정형화된 형태와 크기를 갖는 호안블럭이 수로등의 언(堰)에 시공되어 제방을 보호하고 있는데 이를 호안블럭이라 한다. 이러한 호안블럭은 특히 홍수로 인한 제방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블럭의 시공 면이 일정하면서 조밀한 상태가 되도록 시공되는 바, 저수로가 제방에 접근하는 곳 또는 홍수 때 물의 충돌이 많은 곳에는 특히 견고하게 할 필요가 있다.
제방의 상,하측의 토질에 따라시공된 블록 중에서 하나의 블럭이 유실되거나 이탈되면, 점차적으로 각 측면 및 저면이 밀착 고정된 각각의 호안블럭은 시간이 진행됨에 있어 유실되거나 심지어는 붕괴되는 사고를 불러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들어서 하천 유역의 토지 이용이 증대되고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하천 환경도 현저하게 변화되고 있다. 특히, 하천주변의 토지 이용 밀도가 높은 도시 하천의 경우, 홍수 소통의 치수 목적으로 저수로와 고수부지의 정비, 도로의 신설및하천 제방의 축조 등으로 인하여 하천 환경이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잘이루어지도록 녹지를 조성시켜 자연적인 환경에 근접하도록 노력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에는 하천 제방 및 수로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모양의 크기를 갖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콘크리트 호안블록을경사진 제방의 지면에 일정하게 깔아 평면형태로 맞추어 시공하므로서 외압을 견딜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는 몇 차례의겨울이 지나 지반이 침하되거나 홍수로 인하여 하단부에 위치한 블록중 한개만 이탈되더라도 연쇄적으로 미끄러져 내리게되므로 홍수피해를 증가시키는 문제점 있으며, 호안블록이 지면에서 이탈되지 않고 처음 시공한 상태를 유지한다 하더라도 슬라이딩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블록과 블록을 서로 밀착되도록 연결시키므로 토양의 산소공급 부족으로 인한 황폐화와 생육공간의 부족으로 콘크리트 블록 사이에서는 식물이 생육할 수 없으므로 주변환경에 너무 딱딱한 느낌을줄뿐만 아니라 우천시 빗물이 스며들지 않고 빨리 흘러내리므로 하천이 단시간 내에 범람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호안블록은 기존의 블록생산기계를 이용하여 형틀만을 바꾸어 여러가지로 다양하게 생산된다. 이 경우, 호안블록의 형상이 복잡다단하면 기계의 한사이클동안 생산할 수 있는 수량이 줄어들어 심하게는 한사이클에 한 개밖에 못만드는 비경제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 기존의 대형이나 중형 식생블록은 그 규격이 너무 커 소형(32매)기계로는 생산이 불가능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식생공을 형성하여 식물을 심거나 자생할 수 있도록 하며, 호안블록을 연결시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철선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며, 유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가공성을 높일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호안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의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의 사시도
도 5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3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 3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의 설치한 모습의 사시도
도 9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의 설치한 모습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200,300: 호안블록 101,201,301: 상면중앙저부
102,202,302: 상면측방저부 110,210,310: 돌출부
111,211,311: 돌출부경사면 120,220,320: 식생홈
130,230,330: 연결홈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연접한 호안블록 상호간을 연결하여 제방의 지반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홈과, 식생홈이 형성된 육방형의 호안블록에 있어서,
호안블록(100,200,300)의 상면에 형성된 형성된 돌출부(110,210,310);
상기 호안블록(100,200,300)의 양측 모서리부에 단면이 다각형 또는 폐곡선의 절반부분이 되도록 수직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식생홈(120,220,320); 및
연접하는 상기의 호안블록(100,200,300) 연결시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철선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호안블록(100,200,300)의 측면에 천공된 연결공(130,230,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호안 블록이다.
따라서, 본 고안인 호안블록은 시공시 경사된 제방 또는 지반 경사면에 설치되며, 전체적인 형태는 육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설치시 요홈과 돌기를 끼워 맞추는 수고가 없어 시공이 편리하다.
그러나, 사면의 경사가 급하거나 유속이 빨라 호안블록끼리 상호 단속을 요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본 고안인 호안블록(100,200,300)의 측면에는 연결철선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천공된 연결공(130,230,330)이 마련되어 있다.
작업현장의 지반 경사 각도, 지질 또는 작업조건에 따라서 연결공 (130,230,330)에 연결철선(도시생략)을 모두 삽입시킬 수도 있고,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공(15)에 삽입을 생략한 상태로 연결철선(도시생략)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면상에는 연결공(130,230,330)이 돌출부(110,210,310)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돌출부(110,210,310)와 직각으로 형성할 수 도 있으며, 또한 돌출부돌출부(110,210,310)와 평행인 연결공과 직각인 연결공(130,230,330)을 함께 형성할 수도 있다.
호안블록(100,200,300)의 상면에는 돌출부(110,210,310)를 두어, 유수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유속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마찰력을 증대시켜 실족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사고에 대비하게 된다.
상기의 돌출부(110,210,310)의 측면에는 경사를 두어 아래측을 두텁게 함으로써 돌출부의 뿌리부분을 강하게 한다. 따라서 경사는 허용되는 한도 내에서 완만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안블록(100,200,300)의 양측 모서리부에 단면이 다각형 또는 폐곡선의 절반부분이 되도록 수직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데 , 이는 식생홈(120,220,320)으로써, 차후 식물들이 자생할 수 있도록 하며, 우천시에는 빗물이 스며들거나 스며들은 빗물을 배출토록 하여 급속한 하천의 범람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홈의 형상은 여러가지를 상정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육각형, 원형, 사면이 원호처리된 사다리꼴을 실시예로써 구성하였다.
본 고안의 호안블록(100,200,300) 설치 실시 예를 살펴보면, 호안블록 (100,200,300) 중 돌출부(110,210,310)가 있는 상면부를 위측으로 향하게 하고, 저면부는 지반에 대응되도록 한다.
호안블록(100,200,300)을 정렬하는 방법으로는 돌출부(110,210,310)를 수평면과 나란하게 하거나, 돌출부(110,210,310)를 수평면과 수직되게 하거나, 이를 상호 혼합정렬하는 방법이 있다.
우천시 제방 위측의 빗물을 하천으로 급속히 흘러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돌출부(110,210,310)를 수평면과 평행하게 하거나, 평행과 수직의 혼합정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공된 호안블록(100,200,300)과 호안블록(100,200,300)의 연결공 (130,230,330)은 상호 연결하여 철선 또는 별도의 철사를 관통시켜 호안블록(100,200,300)과 호안블록(100,200,300)을 연결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시공된 호안블록(100,200,300)과 호안블록(100,200,300)이 연결된 이음부에는 원형, 육각형 등의 식생공이 형성되어 차후 식물들이 자생할 수 있도록 하며, 우천시에는 빗물이 스며들거나 스며들은 빗물을 배출토록 하여 급속한 하천의 범람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식생공은 호안블록(100,200,300)과 호안블록(100,200,300)의 연결시 통상의 블록시공방법과 같이 연결부가 교대로 시공되므로 양측면이 막힌상태가되고 이 막힌 식생홈부는 흙으로 채워져 식물을 식재 또는 자생토록 한다.
본 고안의 호안블록(100,200,300)은 식생공이 형성되어 식물을 식재하거나 자생토록 함으로 식생면적을 기존의 어느 식생블록보다도 많이 확보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적층된 호안블록(100,200,300)들은 연결공(130,230,330)에 철선을끼워 호안블록(100,200,300)과 호안블록(100,200,300)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일부의 지반침하 혹은 홍수시 일측의 호안블록이 이탈되어 다른 호안블록까지 함께 슬라이딩되어 제방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특히, 본 고안의 호안블록(100,200,300)은 경사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고, 그 경사면에 설치된 호안블록(100,200,300)과 호안블록(100,200,300)사이의 식생공을 이용하여 꽃, 풀, 작은 조경나무 등을 심어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룰수 있도록 조경공사를 겸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본 고안의 호안블록은 세워서 압축성형 함으로서 강도가 통상의 호안블록보다 강하게 성형되고, 구조가 간단하여 호안블록 제작기계의 한번의 사이클로 3~5개의 호안블록을 생산해낼 수 있어 생산비용인 측면에서도 효율적이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운반시 적층이 쉬워 차량 등에 적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측면부에 돌기등이 형성되지 않아 운반 중 또는 하적 중에 부서지거나 깨질 염려가 줄어든다.
본 고안의 호안블록의 크기는 여러가지로 형성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하고 지반침하시 연결된 호안블록이 함몰되거나 밑으로 쳐지는 현상이 없어 시공후 검사 및 관리가 간단 용이하다.
본 고안과 선행기술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등록번호 제20-0192112호는 외형이 복잡하여 주형을 만드는 것이 어려울 뿐 아니라, 생산과정에서 호안블록 제작기계의 싸이클당 1이상 만들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호안블록간의 접촉 부분에 단층이 형성되어 충격시 부서지기 쉽고,운반 또는 보관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게다가 호안블록간 상호 결집력이 없어 우천시 유실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반해 본 고안은 생산성이 우수하며, 운반 또는 보관에 용이하며, 연결공을 이용한 호안블록간의 연결을 통해 상호단속할 수 있다.
등록번호 제20-0202469호 및 등록번호 제20-0174866호는 상면이 평평하여 하안(河岸) ·해안(海岸)에 설치할 경우 유속의 감소를 기대할 수 없으며, 호안블록 상면 위에서의 보행자의 실족사고가 우려된다. 또한, 식생공을 호안블록 내부에 생성함으로 인해 호안블록의 생산시 코어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주형제작의 곤란함이 있을 뿐 아니라, 원형 또는 사각의 삽입체를 끼워 설치함으로 인한 시공비용의 증대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고안은 상면에 돌출부를 마련함으로써 마찰력의 증대를 통한 유속의 감소 및 안전사고예방을 기대할 수 있으며, 주형제작의 간편으로 인한 생산비용의 절감과, 설치공정의 단순화로 인한 시공비용의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등록번호 제20-0279901호 및 등록번호 제20-0231243호는 식생공을 한 쪽 모서리 측면에만 형성시키어 식생공의 면적을 좁게 할 뿐만 아니라, 시공하여 보면 식생공이 한 블럭 건너에만 생기거나, 조잡하고 작게 생기게 된다. 또한, 완성후 운반이나 보관시에 폭이 좁은 단부가 충돌로 인하 파손이 불가피하다. 이에 반해, 본고안은 식생공을 획기적으로 확장시켰을 뿐 아니라, 식생홈은 호안블록의 내측으로 마련되어 있어 단부가 호안블록의 전체적인 폭을 그대로 유지하여 응력구배면에서 안전함으로 운반이나 보관이 용이하며 충격에도 강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고안은 하천제방이나 강변 및 바닷가의 둑, 배수로의 양측 둑, 도로의 양측 경사면 등의 각종 경사면에서토사가 유실되거나 경사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호안블록 전면에 요철 형상의 돌출부를 형성시켜 내구성을 강화하고 유속감소에 도움을 주며,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식생공을 형성하여 제방 지반의 토양에 산소를 공급시켜 토양의 황폐함을 방지하며, 우천시 하천으로 급격히 흘러내리는 물의 유속을 저하시켜 하천의 빠른 범람을 지연토록 하며, 시공된호안블록에 조경녹지 면적을 확대함으로서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식물의 뿌리가 식생홈부와 식생공을 통하여 지반으로 뿌리내림 함으로써, 호안블록간의 조합을 견고하게 하여 호안블록의 이탈에 따른 제방의 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연결철사를 끼울 수 있는 연결홈이 있어 범면이 물에 잠길 때 범면이 가라앉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시공이 편리하고, 가볍고 운반하기 편리하며 특히 조립하기가 쉬워 능률적이며 시공비용도 저렴해 가장 경제적인 제품이며, 제작기계의 1싸이클 회전시 타제품은 1장씩 생산하나 3-4장씩 생산할 수 있어 가장 경제적이다.

Claims (2)

  1. 연접한 호안블록 상호간을 연결하여 제방의 지반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홈과, 식생홈이 형성된 육방형의 호안블록에 있어서,
    호안블록(100,200,300)의 상면에 형성된 형성된 돌출부(110,210,310);
    상기 호안블록(100,200,300)의 양측 모서리부에 단면이 다각형 또는 폐곡선의 절반부분이 되도록 수직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식생홈(120,220,320); 및
    연접하는 상기의 호안블록(100,200,300) 연결시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철선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호안블록(100,200,300)의 측면에 천공된 연결공(130,230,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호안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돌출부(110,210,310)의 양측면은 경사면(111,211,3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호안 블록.
KR2020020024718U 2002-08-20 2002-08-20 식생호안블럭 KR200297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718U KR200297220Y1 (ko) 2002-08-20 2002-08-20 식생호안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718U KR200297220Y1 (ko) 2002-08-20 2002-08-20 식생호안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220Y1 true KR200297220Y1 (ko) 2002-12-12

Family

ID=73078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718U KR200297220Y1 (ko) 2002-08-20 2002-08-20 식생호안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2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026B1 (ko) * 2003-11-10 2004-06-05 김태옥 호안블럭제작장치 및 그 제작방법
CN110042847A (zh) * 2019-04-18 2019-07-23 通榆加亿科技环保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路基护坡构造用混凝土砖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026B1 (ko) * 2003-11-10 2004-06-05 김태옥 호안블럭제작장치 및 그 제작방법
CN110042847A (zh) * 2019-04-18 2019-07-23 通榆加亿科技环保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路基护坡构造用混凝土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74191A1 (en) Breakwater construction blocks having improved stability against over-turning and pulling-out when struck by natural forces
CN100535253C (zh) 一种互嵌式护坡砌块及其施工方法
US5499891A (en) Earth-retaining module and system
JP4979797B2 (ja) ダムの天端高を高くするための上部構造物
KR100627039B1 (ko) 화분형태 식생축조호안블록
KR200297220Y1 (ko) 식생호안블럭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200231243Y1 (ko) 호안 식생용 블럭
KR101294664B1 (ko) 투수성 호안블록
KR200247050Y1 (ko) 구배가 형성된 대형식재옹벽블록
KR200236316Y1 (ko) 호안블럭의 구조
KR100963989B1 (ko) 호안용 식생 코이어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법면 녹화공법
KR200346774Y1 (ko) 식생용 호안블록
KR20070118531A (ko) 호안 블럭
KR100514086B1 (ko) 친환경 구축력 옹벽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KR200406758Y1 (ko) 변화형 친환경 블록
KR100433919B1 (ko) 하안 생태 옹벽블록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CN216339291U (zh) 一种水利防护堤防
KR200312007Y1 (ko) 제방 축조 기능을 갖는 호안블럭
CN212375800U (zh) 一种水利工程生态支护结构
CN210887088U (zh) 一种用于河道护岸的透水生态坞式挡墙底座
KR200285001Y1 (ko) 식생용 호안 블록
KR200279901Y1 (ko) 식생용 호안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