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664B1 - 투수성 호안블록 - Google Patents

투수성 호안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664B1
KR101294664B1 KR1020110098302A KR20110098302A KR101294664B1 KR 101294664 B1 KR101294664 B1 KR 101294664B1 KR 1020110098302 A KR1020110098302 A KR 1020110098302A KR 20110098302 A KR20110098302 A KR 20110098302A KR 101294664 B1 KR101294664 B1 KR 101294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tment block
block
permeable
revetmen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4340A (ko
Inventor
오창주
Original Assignee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98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664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수성 호안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이나 하천, 저수지, 댐, 유수지 등의 제방 사면(斜面)에 설치되어 제방의 토사등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강우시 지표면으로 빗물유입이 용이한 투수성 호안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수개의 투수공이 상하로 다수개 관통 형성된 투수성 호안블록에 있어서, 상기 투수공은 수평한 바닥면에 대해 일방향으로 일정한 경사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경사면에 호안블록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투수공이 중력 작용방향과 일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투수성 호안블록의 바람직한 형상으로는 그 몸체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 측면에는 몸체의 내측으로 일정깊이 파여진 오목한 체결홈이 형성되고, 다른 양 측면에는 다른 호안블록의 체결홈에 끼워져 서로 인접하는 호안블록 상호간에 견고한 끼움 결합이 가능한 끼움돌기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투수성 호안블록{Permeability tetrapod}
본 발명은 투수성 호안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이나 하천, 저수지, 댐, 유수지 등의 제방 사면(斜面)에 설치되어 제방의 토사 등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강우시 지표면으로 빗물유입이 용이한 투수성 호안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해예방과 농업용 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저수지나 하천, 강이 설치되고, 이러한 저수지 등에는 일정량의 물을 저류시키거나 물이 흘러가는 수로를 형성하기 위해 둑을 설치하기 마련이다.
특히, 최근에서는 도심 등지에도 생태계복원과 공원조성, 녹지사업 등을 위해 물길을 마련하거나 하천을 정비하는 등 다양한 치수시설과 이들 치수시설로부터 수해예방을 위해 제방시설이 설치되며, 이들 제방시설은 충분한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일정 높이와 경사도를 갖도록 설치된다.
특히, 이들 제방시설은 충분한 안식각을 갖도록 시설되어야만 제방을 쌓고 있는 토사 등이 빗물 등에 의해 쉽게 쓸려나가지 않게 되고, 제방이 붕괴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들 제방의 붕괴방지와 토사의 유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경사진 제방의 지표면에는 통상 일정 두께 및 크기의 콘크리트나 암반을 쌓아 둑을 형성하고 있는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형 제방의 경우에는 경사면에 식물이 생장할 수 없는 환경이 조성되어 주변환경을 삭막하게 하고, 제방 및 하천이 갖는 환경정화작용 등 고유한 자연환경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제방은 수중생물과 육상생물의 경계면이 되어 다양한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경계부에 속하나, 콘크리트화되고 블록화 되는 추세에 따라 다양한 생물군이 사라지고, 빗물의 지표면 흡수나 지하수의 유출을 막아 오히려 제방이 무너지는 역기능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 투수공이 형성되거나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식재부가 마련된 일정한 관통부가 형성된 투수성 호안블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투수성 호안블록은 그 재질에 있어서 매우 다양하고, 그 크기나 형상에 있어서 매우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지만, 공통적으로 수평한 지표면에 대하여 수직의 관통공, 즉 투수공이나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식재부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실제로 경사면에 설치되는 호안블록의 경우, 관통된 투수공이나 식재부를 통해 생장하는 식물은 경사면에 설치된 호안블록에 형성된 관통공이 경사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식생하는 식물 또한 경사면에 수직으로 발아되거나 성장할 수 밖에 없어 식물성장에 바람직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고, 또한 경사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투수공으로 인해 강우시에 외부의 빗물이 호안블록의 표면으로 흘러내리면서 호안블록에 형성된 투수공을 통해 지표면으로 흡수되는 효율이 낮을 수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의 호안블록은 바닥이 수평한 노면에 설치되는 블록과 마찬가지로 사방으로 연속 설치되는 다수개의 블록 사이에 상호 버팀대 역할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일측 제방이나 호안블록이 이탈되는 경우, 이탈된 호안블록의 주변에 설치된 다른 호안블록도 아무런 저항없이 자연스럽게 무너지면서 경사면에 형성된 호안블록의 유실이 대량으로 발생되는 경우가 많아 이차적인 수해를 입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투수성 호안블록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경사면에 설치되더라도 빗물 등의 유입이 용이함은 물론 식물의 생장이 용이하도록 하는 투수성 호안블록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방으로 연속 설치되는 다수개의 호안블록 상호간에 견고한 버팀대 역할을 하도록 하여 일부 호안블록이 유실되더라도 유실된 호안블록 주변의 다른 호안블록이 대량으로 유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투수성 호안블록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호안블록은 다수개의 투수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투수성 호안블록에 있어서, 상기 투수공이 수평한 바닥면에 대해 일방향으로 일정한 경사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경사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투수공이 중력작용방향과 일치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투수성 호안블록은 그 몸체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 측면에는 몸체의 내측으로 일정깊이 오목하게 파여진 체결홈이 형성되고, 다른 양 측면에는 다른 호안블록의 체결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 및 끼움돌기부에는 상호 끼움 결합시 상하로 일치되는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해 서로 다른 호안블록 상호간은 물론 호안블록이 설치된 지표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서로 다른 호안블록 상호간을 연결하면서 경사면에 호안블록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호안블록의 몸체 두께에 비해 1.5~ 2배가 되는 길이를 갖으며 상단에는 그 몸통부의 수평 단면적보다 넓은 머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뾰쪽한 박음부가 구비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투수공은 호안블록 몸체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투수공이 형성된 내측부의 표면에는 장식용 도안이 형성되어 외적 심미감이 있는 투수성 호안블록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호안블록은 각종 제방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경우, 블록 몸체에 형성된 투수공이 중력 작용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우천시에 호안블록 저면의 지표면에 흡수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경사면에 설치되는 호안블록이 상호간에 연결되고, 각 호안블록을 연결하는 고정부재가 호안블록의 관통공을 경유하여 호안블록 저면의 지표면에 일정깊이 박혀 강우시에 호안블록이 유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호안블록의 표면에 다양한 모양의 장식용 도안이 형성되어 경사면 설치 후 외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호안블록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투수성 호안블록의 일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호안블록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호안블록의 외관사시도,
도 5은 도 4의 B-B선에 따른 투수성 호안블럭의 일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호안블록의 사용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제방 등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투수성 호안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호안블록 몸체의 가장자리측으로 일정크기로 상하 관통된 투수공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투수공은 경사면 설치시에도 중력 작용방향과 일치되도록 어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외부 빗물 등이 지표면으로 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특정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호안블록 몸체의 양 측면에는 몸체 내측으로 일정 깊이 오목하게 파여진 체결홈이 형성되고, 또 다른 양측면에는 다른 호안블록의 체결홈에 끼워지도록 일정 길이 돌출된 끼움돌기부가 형성되며, 상호 끼움 결합된 체결홈과 끼움돌기부에는 상하로 일치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이 체결공을 통해 고정부재가 호안블록 상호간에 연결하면서 지표면에 고정 설치되어 호안블록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강우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일측 단면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호안블록(100)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 두께와 크기를 가지며, 몸체(10)의 가장자리 측으로 일정 크기의 투수공(20)이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된다.
물론, 본 발명의 투수성 호안블록(100)은 몸체(10)의 내부에 철근 등이 포함되고 그 재질은 콘크리트나 아스콘과 같은 내구성과 내충격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시 쉽게 파괴되지 않도록 구성되지만,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호안블록에 있어서 일반적인 구성에 해당되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부에 한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호안블록(100)의 특징부는 몸체(10)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투수공(20)이 몸체(10)의 상면에서 그 저면을 향해 관통되어 형성되지만, 그 관통된 각도가 일정각도, 즉 통상의 평평한 지면에 대하여 일측으로 45°±10°도 전후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호안블록(10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각도로 형성된 제방의 경사면(70)에 설치될 경우 상기 투수공(20)은 중력작용방향에 일치되는 방향으로 유지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호안블록(100)은 몸체(10)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투수공(20)의 내측으로 장식용 도안(30)이 형성되어 있어 설치 후 외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호안블록(100a)이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호안블록(100a)은 몸체(10)의 측면, 즉 바람직한 형상인 육면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양 측면에 몸체(10)의 내측으로 일정깊이 함몰된 체결홈(40)이 형성되고, 다른 양 측면에는 다른 호안블록의 체결홈에 끼워져 서로 다른 호안블록끼리 상호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끼움돌기부(45)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호안블록(100a)은 도 6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四面)에 체결홈(40)과 끼움돌기부(45)가 각각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호안블록끼리 사방에서 견고하게 지지되어 제방에 설치된 후에 어느 일측에서 횡압력을 받더라도 최초 설치된 위치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호안블록(100a)의 몸체(10) 양측면에 형성된 체결홈(40)과 또 다른 양측면에 형성된 끼움돌기부(45)에는 주변의 다른 호안블록의 몸체(10)와 상호 끼움 결합된 후에 각각의 체결홈(40)과 끼움돌기부(45)에 형성된 체결공(43,44)을 통해 일정 길이의 고정부재(50)가 관통되어 호안블록(100a) 저면의 지표면에 일정 깊이 박히게 되어 호안블록이 경사면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아 제방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50)는 상호 인접하는 호안블록을 연결하면서 동시에 지표면에 고정하도록 그 길이가 몸체(10) 두께의 1.5~2배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호안블록의 몸체(10)를 관통한 후에 지표면에 충분히 박힐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50)의 상단부에는 고정부재(50)의 몸체 중간부의 수평 단면적보다 넓은 머리부(52)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뾰쪽한 박음부(55)가 구비되어 상기 머리부(52)가 호안블록의 체결공 상면에 밀착되어 호안블록의 외표면을 고정하고, 상기 박음부(55)는 호안블록이 설치된 지표면으로 깊게 박혀 호안블록이 경사지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6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100a)의 사용시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100a)의 몸체(10) 사면(四面)에는 체결홈(40) 및 끼움돌기부(45)가 각각 형성되고, 상호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로 일치되는 체결공(43,44)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 각각의 호안블록의 체결홈(40)에 인접하는 다른 호안블록의 끼움돌기부(45)가 끼워진 후에 일정길이의 고정부재(50)가 관통되어 제방의 경사면에 일정 깊이 박혀 고정되므로 제방의 어느 일측에서 횡압력을 받더라도 설치된 호안블록이 최초 설치된 위치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아 강우시에도 호안블록의 유실로 제방의 토사(60)가 흘러내려 제방이 쉽게 무너지는 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다.
통상, 강우가 집중될 경우, 경사면(70)으로 흘러내린 빗물이 하천으로 유입되어 빠른 속도로 물이 흐르면, 경사면(70)의 호안블록에는 큰 횡압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경사면(70)의 지표면에 단순히 놓여진 종래의 호안블록은 유속이 빠른 물길에 쉽게 이탈되어 유실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호안블록이 유실될 경우, 유실된 호안블록이 위치한 경사면의 토사는 빠른 유속에 의해 쉽게 휩쓸려나가게 되고, 토사(60)의 유출은 주변의 다른 경사면의 연속적인 붕괴를 초래하여 이로 인해 경사면의 지표면에 지탱된 호안블록도 토사의 유출로 쉽게 붕괴된다.
이러한 연속적인 과정을 통해 큰 제방도 강우시에는 쉽게 무너져 내리게 되고, 제방의 붕괴는 주변 농경지나 도로 및 주택을 침수시켜 막대한 경제적, 인명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호안블록(100a)의 경우, 사방으로 연속설치된 호안블록끼리 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홈(40)과 끼움돌기부(45)가 상호간에 물려있고, 이와 더불어 일정 길이의 고정부재(50)가 호안블록 상호간을 연결하는 체결홈(40)과 끼움돌기부(45)에 형성된 체결공(43,44)을 관통하여 경사면(70)의 지표면에 일정 깊이 박혀 설치되므로, 강우시나 불어난 물길에 의해 호안블록의 표면에 작용하는 횡압력이 증대되더라도 설치된 경사면의 지표면으로부터 호안블록이 쉽게 이탈되지 않아 제방의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하여 수해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제방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호안블록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호안블록의 몸체 측면에 형성된 체결홈의 체결공과, 이 체결홈에 끼움 결합된 타측 호안블록의 끼움돌기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하나의 고정부재가 경사지의 지표면에 일정 깊이로 박혀 호안블록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투수공이 호안블록의 몸체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호안블록의 투수공을 통해 일정길이의 체결밴드를 결속하여 설치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호안블록의 견고한 설치와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호안블록은 몸체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투수공(20)이 형성되고, 상기 투수공(20)이 형성된 내측부의 표면에는 장식용 도안(30)이 형성되어 있어 설치 후 외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호안블록에 형성된 투수공(20)은 경사면에 설치되더라도 중력 작용방향과 일치되어 집중호우시에도 일부 빗물이 상기 투수공(20)으로 침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호안블록이 설치된 경사면에서의 빗물 흡수가 빠르게 되어 하천이 범람하는 등의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형상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호안블록은 강이나 하천의 제방은 물론 도심의 치수설비에 설치되는 각종 제방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각종 식물의 생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다양한 생물 성장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삭막한 외관을 친환경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호안블록에 형성된 투수공이 일정한 경사각도로 형성되어 경사면에 설치될 경우 중력방향과 수평상태가 유지되어 외부의 빗물 등의 유입이 용이하여 지표면으로 빗물 흡수가 빨라 집중 호우시에도 하천 및 수로 등의 범람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농경지, 도로, 주택 등의 침수를 예방하는데 일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설치된 호안블록은 경사지의 지표면 및 주변의 다른 블록과 견고하게 연결되어 고정 설치되므로, 호안블록의 유실을 방지하여 제방이 무너지거나 하는 등의 2차적인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10 : 몸체 20 : 투수공
30 : 장식용 도안 40 : 체결홈
43, 44 : 체결공 45 : 끼움돌기부
50 : 고정부재 52 : 머리부
55 : 박음부 60 : 토사
70 : 경사면 100, 100a : 호안블록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경사면 설치시 중력 작용방향과 일치되도록 다수개의 투수공이 수평한 바닥면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측면에는 서로 다른 블록간에 상호연결 가능한 구조를 갖는 육면체 형상의 호안블록에 있어서,
    상기 투수공은 호안블록 몸체의 가장자리부에 45°±10°의 기울기로 형성되고, 상기 투수공의 내측으로 장식용 도안이 표면에 형성되며, 서로 다른 블럭 간의 연결을 위해 블록의 양 측면에는 몸체 내측으로 일정깊이 파여진 오목한 체결홈이 형성되고, 다른 양 측면에는 다른 호안블록의 체결홈에 삽입되어져 서로 인접하는 호안블록간에 견고한 끼움 결합이 가능한 끼움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 및 끼움돌기부에는 상호 끼움 결합시 상하로 일치되는 체결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블록 몸체의 두께에 비해 1.5~2배의 길이를 갖는 고정부재가 관통되어 지표면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호안블록.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098302A 2011-09-28 2011-09-28 투수성 호안블록 KR101294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302A KR101294664B1 (ko) 2011-09-28 2011-09-28 투수성 호안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302A KR101294664B1 (ko) 2011-09-28 2011-09-28 투수성 호안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340A KR20130034340A (ko) 2013-04-05
KR101294664B1 true KR101294664B1 (ko) 2013-08-08

Family

ID=48436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302A KR101294664B1 (ko) 2011-09-28 2011-09-28 투수성 호안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185B1 (ko) 2013-03-29 2015-05-18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텔레스코픽 장치
KR102045117B1 (ko) * 2017-07-11 2019-12-05 김석문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110A (ko) * 2005-02-16 2005-12-15 한상관 절개지 또는 제방의 경사면에 상협하광 형태의 경사면 통공구가 구성되도록 식생블록을 제작 설치하는 토목공법
KR100699710B1 (ko) * 2006-11-29 2007-03-26 동남이엔씨(주) 하천의 호안블록구조
KR200438259Y1 (ko) * 2007-06-28 2008-02-04 강문구 식생호안블럭
KR101048392B1 (ko) * 2011-02-28 2011-07-11 이종혁 굴곡사면에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호안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110A (ko) * 2005-02-16 2005-12-15 한상관 절개지 또는 제방의 경사면에 상협하광 형태의 경사면 통공구가 구성되도록 식생블록을 제작 설치하는 토목공법
KR100699710B1 (ko) * 2006-11-29 2007-03-26 동남이엔씨(주) 하천의 호안블록구조
KR200438259Y1 (ko) * 2007-06-28 2008-02-04 강문구 식생호안블럭
KR101048392B1 (ko) * 2011-02-28 2011-07-11 이종혁 굴곡사면에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호안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340A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7518Y1 (ko) 생태 식생옹벽블럭
KR100644413B1 (ko) 식생 녹화블록
KR101294664B1 (ko) 투수성 호안블록
KR101692041B1 (ko) 해안 침식 방지용 개비온 구조
KR200406758Y1 (ko) 변화형 친환경 블록
KR100719520B1 (ko) 어소겸용 식생블럭
KR200414869Y1 (ko) 옹벽블록
KR20070118531A (ko) 호안 블럭
KR100689662B1 (ko) 하천의 녹지화용 호안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CN214460121U (zh) 一种城市内湖生态景观护坡结构
KR100796317B1 (ko) 조경 블럭
KR102437778B1 (ko) 게비온 옹벽블록
KR102295428B1 (ko) 산사태 방지 수로관
KR200402406Y1 (ko) 다공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사면 보강용 친환경 옹벽블록
KR100449586B1 (ko) 능형망을 이용한 호안 공법
KR100996666B1 (ko) 견고성이 보강된 하천법면용 조립식 호안블럭
KR200395309Y1 (ko) 식생 호안블록
KR200422482Y1 (ko) 호안블록
KR200297220Y1 (ko) 식생호안블럭
KR200388831Y1 (ko) 식생호안블록
KR20100001503U (ko) 비탈면 보호용 격자틀
KR200356117Y1 (ko) 녹화 식생호안블럭
KR200285001Y1 (ko) 식생용 호안 블록
KR200279901Y1 (ko) 식생용 호안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