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589Y1 -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구조체 - Google Patents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45589Y1 KR200245589Y1 KR2020010011513U KR20010011513U KR200245589Y1 KR 200245589 Y1 KR200245589 Y1 KR 200245589Y1 KR 2020010011513 U KR2020010011513 U KR 2020010011513U KR 20010011513 U KR20010011513 U KR 20010011513U KR 200245589 Y1 KR200245589 Y1 KR 20024558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layer
- main
- finishing
- stacked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시공 구조의 향상으로 조립 시공이 간편 용이하며, 식생(植生)공간의 대폭 확충으로 수변(水邊)생태계를 복원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연석 형상이 구성된 전면판(11) 후방에 한 쌍의 벽체(12)를 일체로 성형 제작한 주 옹벽체(1)를 전면판(11) 측면끼리 서로 맞닿도록 좌·우로 연속 설치하여 하단(층)을 구성하고, 그 상단(층)은 상기 하단(층)에서의 전면판(11)들의 측면이 접하는 부위 직상부에 주 옹벽체(1)의 중앙이 위치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계단식으로 적층 설치하여 층별로 수평의 지그재그형 식생(植生)공간(3)(4)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로 한 단(층)씩 건너 측방의 허공 부위에는, 주 옹벽체(1)의 절반 폭에 해당하고 자연석 형상이 구성된 전면판(21)과 배면판(23) 사이의 중심 선상에 벽체(22)를 일체로 성형 제작한 구조의 마감 옹벽체(2)를 설치하여 또 다른 식생(植生)공간(5)(6)(7)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 옹벽체(1)의 양 격벽(12) 및 마감 옹벽체(2)의 격벽(22)에는 상면 후방 쪽에 요철부(14)와 저면 전방 쪽에 대응의 요홈부(15) 및 상면 후방 쪽에 요철부(24)와 저면 전방 쪽에 대응의 요홈부(26)를 각각 구성하여, 상·하로 적층 축조되는 옹벽체들이 상호 서로 유동 없이 맞물림(끼워 맞춤)형태로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 옹벽체(1)의 양 격벽(12) 및 마감 옹벽체(2)의 격벽(22)에는, 좌·우 유통이 가능토록 통수공(13),(25)을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하천 등의 제방에 설치되는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시공 구조의 향상으로 조립 시공이 간편 용이하며, 식생(植生)공간의 대폭 확충으로 수변(水邊)생태계를 복원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수로나 하천의 법면(法面)에는 붕괴의 주원인이 되는 토사 유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석축이나 콘크리트 옹벽이 설치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으로 축조되는 석축이나 콘크리트 옹벽은 비록 구조적으로 안정감은 있으나 오히려 수변(水邊)생태계를 파괴시키는 필요악 요소로 작용한다.
예컨대 제방토사와 하천(용수로)의 내부 지중생태계가 교류할 수 없는 일종의 차단 벽 구조를 취하고 있음에 따른 생태계 순환을 억제, 차단시킬 뿐 아니라 하천(용수로)바닥에서의 수초(水草) 생장을 막게 되며, 수변(水邊)식물이 자랄 수 없는 바, 자연 그대로인 하천에서의 자생 수초들에 의해 자연 발생적으로 이루어지던 초자연적인 수질 정화 기능이 상실될 뿐만 아니라 각종 어류와 조류, 곤충류의 서식처를 훼손시켜 급기야 수변(水邊)생태계가 파괴되게 되는 실정이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 출한 것으로서, 조립·시공 구조의 향상으로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비교적 손쉽게 적층시공할 수 있으며 식생(植生)공간을 최대한 확충시킬 수 있는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 요소로서는, 전면판 후방에 한 쌍의 격벽을 일체로 성형하여 그 사이사이가 식생(植生)공간이 될 수 있는 주 옹벽체를 끼워 맞춤 구조에 의해 계단식 수평쌓기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 옹벽체를 좌·우로 연속되게 연접 시공함에 있어서 상·하의 단(층) 상호간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 시공함에 따른 한 단(층)씩 건너의 양측 말미 허공 부위에는, 주 옹벽체의 절반 폭에 해당하는 I형 마감 옹벽체를 끼워 맞춤 구조에 의해 연접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b, c,는 본 고안에 의한 주 옹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평면도, 측면도
도 2a, b, c는 본 고안에 의한 마감 옹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평면도,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 설치상태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주 옹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시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 옹벽체 11, 21 : 전면판
12, 22 : 벽체 13, 25 : 통수공
14, 24 : 요철부 15, 26 : 요홈부
2 : 마감 옹벽체 23 : 배면판
3, 4, 5, 6, 7 : 식생(植生)공간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b, c,는 본 고안에 의한 주 옹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평면도, 측면도이고, 도 2a, b, c는 본 고안에 의한 마감 옹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평면도,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 설치상태 평면 구성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주 옹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평면 구성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시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 예시도 이다.
도시 예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상·하부가 개구 된 주 옹벽체(1)와 I형의 마감 옹벽체(2)와로 이루어지며 이들간의 상호 조합 구성으로형성되는 식생(植生)공간(3),(4),(5)에 채움석 또는 채움토사를 채움으로써 소기의 목적하는 바를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주 옹벽체(1)는 비교적 중량체의 대형 구조물로서 도 1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석 형상이 구성된 전면판(11) 후방에 한 쌍의 벽체(12)가 일체로 성형 제작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벽체(12)에는 내협(內狹)·외광(外廣)의 통수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후방 쪽에 요철부(14)가 구성되어 있으며 저면 전방 쪽에는 대응의 요홈부(15)가 구성되어 상·하에 축조되는 주 옹벽체(1)들이 서로 유동 없이 맞물림(끼워 맞춤)형태로 조립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한다.
벽체(12)의 후방쪽 하부에는 지지 보강부(16)가 일체로 성형 제작된 구성을 취한다.
상기 주 옹벽체(1)는, 전면판(11) 측단끼리 상호 맞대어진 형태로 좌·우로 연속해서 수평 설치되게 되며 상·하의 단(층) 상호간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게 설치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식생(植生)공간의 최대화를 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주 옹벽체(1)들이 좌·우로 연속 배치되어 어느 한 단(층)을 이루고 그 상단(층) 및 하단(층)을 이루는 주 옹벽체(1)들을 상기 단(층)의 것과 엇갈림 형태로 사이사이에 위치되게 설치하여, 다단의 계단형태와 지그재그형태의 복합 구조에 따른 크고 작은 식생(植生)공간(3)(4)이 전체적으로 잘 조화된 법면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상·하의 단(층) 상호간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 시공함에 따른 한 단(층)씩건너의 양측 말미 허공 부위에는, 주 옹벽체(1)의 절반 폭에 해당하는 I형 마감 옹벽체(2)를 끼워 맞춤 구조에 의해 연접 마감 처리함으로써 또 다른 식생(植生)공간(5)(6)(7)을 형성시킨다.
마감 옹벽체(2)는 도 2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 옹벽체(1)와 상응되는 비교적 중량체의 대형 구조물로서, 상기 주 옹벽체(1)의 절반 폭에 해당하고 자연석 형상이 구성된 전면판(21)과 배면판(23) 사이의 중심 선상에 벽체(22)를 일체로 성형 제작한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벽체(22)에는 내협(內狹)·외광(外廣)의 통수공(25)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후방 쪽에 요철부(24)가 구성되어 있으며 저면 전방 쪽에는 대응의 요홈부(26)가 구성되어 상·하에 축조되는 주 옹벽체(1)들과 서로 유동 없이 맞물림(끼워 맞춤)형태로 조립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한다.
본 고안에 의한 옹벽 축조예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잘 정리된 제방 법면에 주 옹벽체(1)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면서 그 내부 공간에 채움석 혹은 채움토사를 선택적으로 채워 조립식 옹벽을 구축한다.
즉, 수중 구간에는 주로 자연석이나 깬돌 등의 채움석을 채우고, 수상 구간에는 주로 채움토사를 채움으로써 현지 상황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 옹벽체(1)를 적층 함에 있어서는 전면판(11) 측면끼리 서로 맞닿도록 주 옹벽체(1)를 좌·우의 가로 방향으로 연속 배치되게 설치하여 하단(층)을 구성하고, 그 상단(층)은 상기 하단(층)에서의 전면판(11) 측면이 접하는 위치 상부에 주 옹벽체(1)의 중앙이 위치되게 설치되며, 양 격벽(12)의 상면 후방부 및 저면 전방부에 형성된 요철부(14) 및 요홈부(15)를 통해 상호 결합됨으로써 지그재그형태와 아울러 계단형태를 취하게 된다.
즉, 하단(층) 주 옹벽체(1)의 우측 격벽(12)에 상단(층)의 또 다른 주 옹벽체(1)의 좌측 격벽(12)이 결합되되 각각의 요철부(14) 및 요홈부(15)에 의해 끼워맞춤식 조립수단으로 서로 맞물리게 설치됨으로써 유동 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하로 한 단(층)씩 걸른 측방의 허공 부위에는 마감 옹벽체(2)를 설치하여 상·하·좌·우로의 조화가 잘 이루어진 최대한의 식생(植生)공간을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식생(植生)공간(3)(4)(5)(6)(7)에는 수목이나 각종 초화류를 식재할 수 있는 바, 각 식생공간의 크기와 형태 및 위치 등을 감안하여 그에 알맞는 각종 초화류를 식재함으로써 인공적으로 구축된 옹벽의 일부가 가려지고 수목 및 초화류들에 의하여 미관을 환경 친화적으로 탈바꿈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주 옹벽체(1) 및 마감 옹벽체(2)에 의한 적층 옹벽 후면에는, 물은 내·외부로 이동이 가능하나 토립자(土粒子)는 통과가 불가능한 토목섬유인 흡출방지재(9)를 설치하여 홍수때는 물론 수위 상승시 지면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통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흡출방지재(9) 후방에는 채움율석(8)이 채워진다.
또한 수상 구간에는 내부채움토사가 이랫층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적층 단(층)의 상·하 옹벽체들 사이에 토사유출방지재를 설치한다.
한편, 제방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더욱 더 구조적인 안정성을 기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격벽의 후방부 형상이 T자형(17)으로 구성된 주옹벽체(1’)를 사용하여 축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옹벽의 축조가 완성된 상태의 수중구간에서는 채움석의 부착미생물에 의한 수질자연정화는 물론이거니와 식생(植生)공간 내에서 생장하는 수생식물에 의해 용존산소량이 증가되어 수질자연정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수면위 즉, 수상구간에서는 흐르는 물에 의해 온도와 습도를 상시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는 에코톤(ECO TONE)의 식생(植生)공간 내부 채움토사가 항시 부드러운 토양 상태를 유지하여 수변(水邊)식물이 서식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변(水邊)식물과 부드러운 토양은 지중(地中)소동물과 수변(水邊)곤충류에게 최적의 서식공간을 제공하게 됨과 더불어 조류에게도 좋은 서식환경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하천변 생태 환경을 복원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구조체에 의하면, 자립(自立)구조를 취하는 중량체의 성형 구조물로서 하천수(河川水)의 침식작용에 대처하기 위한 전면판과 통수공을 갖는 격벽을 일체로 성형 제작하여 자체적으로 구조적 안정성을 갖고, 제품의 소요 콘크리트 량을 최소화시켜 비용(COST)면에서 매우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상·하간 연결은 맞물림 요철 조립 방식으로 고안되어 수평 계단식 쌓기 방식에 의해 순차적으로 적층 축조할 수 있음으로써 조립 시공이 간편 용이하고 공기(工期)가 현격히 단축되게 되는 이점이 있으며, 시공 예산의 대폭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층간 지그재그 쌓기 방식에 의해 축조할 수 있음으로써 대·소의 각 식생(植生)공간들이 잘 조화된 상태로 최대한 확보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식생(植生)공간들은 바닥면이 없이 지층과 연통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상·하간의 생태계 순환(교류 증대 기능) 및 측벽의 내협(內狹)·외광(外廣)의 통수공들에 의해 좌·우 유통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면판에 자연석 형상이 구성되어 자연스러운 미관을 이룸으로써 자연친화적인 경관의 연출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4)
- 자연석 형상이 구성된 전면판(11) 후방에 한 쌍의 벽체(12)를 일체로 성형 제작한 주 옹벽체(1)를 전면판(11) 측면끼리 서로 맞닿도록 좌·우로 연속 설치하여 하단(층)을 구성하고, 그 상단(층)은 상기 하단(층)에서의 전면판(11)들의 측면이 접하는 부위 직상부에 주 옹벽체(1)의 중앙이 위치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계단식으로 적층 설치하여 층별로 수평의 지그재그형 식생(植生)공간(3)(4)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상·하로 한 단(층)씩 건너 측방의 허공 부위에는, 주 옹벽체(1)의 절반 폭에 해당하고 자연석 형상이 구성된 전면판(21)과 배면판(23) 사이의 중심 선상에 벽체(22)를 일체로 성형 제작한 구조의 마감 옹벽체(2)를 설치하여 또 다른 식생(植生)공간(5)(6)(7)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구조체.
-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주 옹벽체(1)의 양 격벽(12) 및 마감 옹벽체(2)의 격벽(22)에는 상면 후방 쪽에 요철부(14)와 저면 전방 쪽에 대응의 요홈부(15) 및 상면 후방 쪽에 요철부(24)와 저면 전방 쪽에 대응의 요홈부(26)를 각각 구성하여, 상·하로 적층 축조되는 옹벽체들이 상호 서로 유동 없이 맞물림(끼워 맞춤)형태로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구조체.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주 옹벽체(1)의 양 격벽(12) 및 마감 옹벽체(2)의 격벽(22)에는, 좌·우 유통이 가능토록 통수공(13),(25)을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1513U KR200245589Y1 (ko) | 2001-04-21 | 2001-04-21 |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1513U KR200245589Y1 (ko) | 2001-04-21 | 2001-04-21 |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45589Y1 true KR200245589Y1 (ko) | 2001-10-12 |
Family
ID=73081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11513U KR200245589Y1 (ko) | 2001-04-21 | 2001-04-21 |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45589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1568B1 (ko) | 2006-12-11 | 2007-03-29 | (주)제일이엔에스 | 식목용 호안블록 |
KR101187862B1 (ko) | 2012-04-30 | 2012-10-08 |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 생태계보호용 호안시설물 |
-
2001
- 2001-04-21 KR KR2020010011513U patent/KR20024558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1568B1 (ko) | 2006-12-11 | 2007-03-29 | (주)제일이엔에스 | 식목용 호안블록 |
KR101187862B1 (ko) | 2012-04-30 | 2012-10-08 |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 생태계보호용 호안시설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86423Y1 (ko) | 자연형 식생블록 | |
CN105862673A (zh) | 一种蜂巢砌块及其应用 | |
CN105839592A (zh) | 一种连体式蜂巢砌块及其应用 | |
KR100626572B1 (ko) | 축조 블록 | |
KR200245589Y1 (ko) |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구조체 | |
KR100892421B1 (ko) | 식생용 옹벽블럭 | |
KR20050105137A (ko) | 어소 및 옹벽겸용블럭과 그 시공방법 | |
KR20120000137A (ko) | 생태하천의 친환경적 호안 구조 | |
JPH08199531A (ja) | 魚巣と植生に共用し得る護岸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護岸壁 | |
KR100765341B1 (ko) | 녹화가 가능한 벽구조물 | |
KR20050019569A (ko) | 돌망태 옹벽을 이용한 생태하천의 인공어초 구조물 | |
CN211621506U (zh) | 一种组合式生态排水渠结构 | |
KR100934098B1 (ko) |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 | |
KR20050054895A (ko) | 레고형 옹벽블럭 | |
CN210049185U (zh) | 具有生态保护和修复功能的自然水体层级式景观驳岸 | |
CN205604183U (zh) | 一种蜂巢砌块、蜂巢护坡及蜂巢挡土墙 | |
KR200303564Y1 (ko) | 옹벽식 소파 호안구조 | |
KR100406812B1 (ko) | 격자형 망태블럭 | |
KR100447265B1 (ko) | 친환경적 하천 호안 시설물 | |
KR20110005277U (ko) | 식생옹벽블록 | |
KR101539400B1 (ko) |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방음기능 개비온 | |
KR200253290Y1 (ko) |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 |
KR100960812B1 (ko) |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 | |
JP2000170184A (ja) | 擁壁用コンクリ―トブロック及び擁壁 | |
KR200375738Y1 (ko) | 급경사 하천 및 옹벽용 생태 호안블럭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806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