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290Y1 -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 Google Patents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290Y1
KR200253290Y1 KR2020010012251U KR20010012251U KR200253290Y1 KR 200253290 Y1 KR200253290 Y1 KR 200253290Y1 KR 2020010012251 U KR2020010012251 U KR 2020010012251U KR 20010012251 U KR20010012251 U KR 20010012251U KR 200253290 Y1 KR200253290 Y1 KR 200253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finishing
space
ma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달환
Original Assignee
김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달환 filed Critical 김달환
Priority to KR2020010012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2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290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시공 구조의 향상으로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비교적 손쉽게 적층 시공할 수 있으며 식생(植生)공간을 균형 있고 잘 조화된 상태로 조성하여 법면(法面)녹화는 물론 곤충류, 조류 등의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변(水邊)생태계를 복원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생태(生態)옹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면판(11)의 양측 후면에 연이어 경사격벽(12)(13)을 형성하고 이를 좀더 긴 길이를 갖는 배면판(14) 안쪽 위치에 연이어지게 일체로 성형 제작한 상부가 개구된 중량체(重量體)의 주 옹벽체(1)를 배면판(14) 측면끼리 서로 맞닿도록 좌·우로 연속 설치하여 하단(층)을 구성하고, 그 상단(층)은 상기 하단(층)에서의 전면판(11)들의 측면이 접하는 부위 직상부에 주 옹벽체(1)의 중앙이 위치되는 다단의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 설치하여 층별로 수평의 지그재그형 식생(植生)공간(공간부)(10)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로 한 단(층)씩 건너 측방의 허공 부위에는, 주 옹벽체(1)의 절반 폭에 해당하고 전면판(21)과 배면판(24) 사이를 경사격벽(22)과 직격벽(23)으로 연이어지게 일체로 성형 제작한 상부가 개구된 중량체(重量體)의 마감 옹벽체(2)를 설치하여 또 다른 식생(植生)공간(공간부)(20)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 옹벽체(1)의 경사격벽(12)(13) 및 마감 옹벽체(2)의 경사격벽(22)과 직격벽(23)에는 상면 후방 쪽에 인서트 볼트(INSERTBOLT)(15),(25)를 구성하고, 주 옹벽체(1)의 공간부(10) 저면 양측 상응위치 및 마감 옹벽체(2)의 공간부(20) 저면 상응 위치에는 장공형태의 결속공(16),(26)을 구성하여 상·하로 적층 축조되는 옹벽체들이 고정너트(6)로 상호 유동 없이 결속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 옹벽체(1) 및 마감 옹벽체(2)의 전면판(11),(21) 상면을 돌출 되게 연설하여 걸림턱(18),(28)을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 옹벽체(1) 및 마감 옹벽체(2)의 전면판(11),(21)을 배제되게 개구시켜 이에 방청 처리된 철망(19),(29)를 설치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 옹벽체(1) 및 마감 옹벽체(2)들이 조립 적층 되는 최 상단의 공간부(10),(20) 외측의 허공 부위를 덮개(3),(4)로 복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생태(生態)옹벽{Assemblyable retaining wall for the protection of evironment}
본 고안은 하천 등의 제방에 설치되는 조립식 생태(生態)옹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시공 구조의 향상으로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비교적 손쉽게 적층 시공할 수 있으며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 시공함에 따른 균형 있고 잘 조화된 식생(植生)공간의 조성으로 수변(水邊)생태계를 복원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생태(生態)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수로나 하천의 법면(法面)에는 붕괴의 주원인이 되는 토사 유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석축이나 콘크리트 옹벽이 설치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으로 축조되는 석축이나 콘크리트 옹벽은 비록 구조적으로 안정감은 있으나 오히려 수변(水邊)생태계를 파괴시키는 필요악 요소로 작용한다.
예컨대, 단순히 법면을 보호·유지하기 위한 기능만을 수행토록 시공됨으로 말미암아 법면(法面)에 초화(草花)류들의 식생(植生)이 불가능하고, 하천의 자연경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자연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치는 실정이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 출한 것으로서, 조립·시공 구조의 향상으로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비교적 손쉽게 적층 시공할 수 있으며 식생(植生)공간을 균형 있고 잘 조화된 상태로 조성하여 법면(法面)녹화는 물론 곤충류, 조류 등의 서식처가 될 수 있는 조립식 생태(生態)옹벽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 요소로서는, 전방 상부에 걸림턱을 가지는 전면판과 이에 비하여 다소 긴 길이를 갖는 배면판 사이에 한 쌍의 격벽을 일체로 성형하여 그 사이가 식생(植生)공간이 될 수 있는 주 옹벽체를 상하 결속수단에 의하여 조립 축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 옹벽체를 좌·우로 연속되게 연접 시공함에 있어서 상·하의 단(층) 상호간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 시공함에 따른 한 단(층)씩 건너의 양측 말미 허공 부위에는, 주 옹벽체의 절반 폭에 해당하는 마감 옹벽체를 연접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 옹벽체의 전면판을 배제하고 대신 철망을 구성하여 하천수(河川水)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b, c,는 본 고안에 의한 주 옹벽체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평면도, 측면도
도 2a, b는 본 고안에 의한 마감 옹벽체의 일 실시 예를 보인 평면도, 측면도
도 3a, b는 본 고안에 의한 표준형 덮개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측면도
도 4a, b는 본 고안에 의한 단부형 덮개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측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 예의 조립 구성을 보인 조립상태 정면도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 예의 조립 구성을 보인 조립상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결속부의 상세도
도 7a, b는 본 고안에 의한 주 옹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평면도, 정면도
도 8a, b는 본 고안에 의한 마감 옹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평면도,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시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 옹벽체 11, 21 : 전면판
12, 13, 22 : 경사격벽 14, 24 : 배면판
15, 25 : 인서트 볼트(INSERT BOLT) 16, 26, 36, 46 : 결속공
17, 27 : 저면판 18, 28 : 걸림턱
19, 29 : 철망 2 : 마감 옹벽체
23 : 직격벽 3 : 표준형 덮개
4 : 단부형 덮개 5 : 와셔
6 : 고정너트 10, 20 : 공간부(식생공간)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b, c,는 본 고안에 의한 주 옹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평면도, 측면도이고, 도 2a, b는 본 고안에 의한 마감 옹벽체의 일 실시 예를 보인 평면도, 측면도이며, 도 3a, b는 본 고안에 의한 표준형 덮개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측면도이고, 도 4a, b는 본 고안에 의한 단부형 덮개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측면도이며, 도 5a 및 b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의 조립 구성을 보인 조립상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결속부의 상세도 이며, 도 7a, b는 본 고안에 의한 주 옹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평면도, 정면도이고, 도 8a, b는 본 고안에 의한 마감 옹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평면도,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시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 예시도 이다.
도시 예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상부가 개구 된 주 옹벽체(1)와 마감 옹벽체(2)와로 이루어지며 이들간의 상호 조합 구성으로 형성되는 식생(植生)공간(공간부)(10),(20)에 채움석 또는 채움토사를 채움으로써 수질 자연 정화와 법면(法面)녹화를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주 옹벽체(1)는 비교적 중량체(重量體)의 대형 구조물로서 도 1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11)과 배면판(14)사이에경사격벽(12)(13)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면이 개구된 전협·후광(前狹·後廣)의 공간부(식생공간)(10)를 갖도록 일체화되게 성형 제작된 구성을 취한다.
즉, 배면판(14)은 전면판(11)에 비하여 다소 긴 길이를 가지며 경사격벽(12)(13)의 전방부가 전면판(11) 양 측면과 일치되고 후방부는 배면판(14)의 약간 내측에 연결된 형태로 성형 제작된 구성을 취한다.
상기 전면판(11)은 그 상부가 돌출 되게 연설된 걸림턱(18)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판(11)과 배면판(14)은 상·하 기울기의 구배진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격벽(12)(13)의 상면 후방 측에는 인서트 볼트(INSET BOLT)(15)가 매입 설치되어 있으며, 공간부(식생공간)(10) 저면 즉, 저면판(17) 대응 위치에는 상응하는 장공형태의 결속공(16)이 형성되어 조립 적층시 와셔(5) 및 고정너트(6)를 이용하여 상·하간을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도 6 참조)
상기 결속공(16)은 배수 및 상·하간의 유통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 옹벽체(1)는, 배면판(14) 측단끼리 상호 맞대어진 형태로 좌·우로 연속해서 수평 설치되게 되며 상·하의 단(층) 상호간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게 설치함으로써 잘 조화된 식생(植生)공간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5a, b에서와 같이 주 옹벽체(1)들이 좌·우로 연속 배치되어 어느 한단(층)을 이루고 그 상단(층) 및 하단(층)을 이루는 주 옹벽체(1)들을 상기 단(층)의 것과 엇갈림 형태로 사이사이에 위치되게 설치하여, 다단의 지그재그 구조에 따른 식생(植生)공간(10)이 전체적으로 잘 조화된 법면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상·하의 단(층) 상호간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 시공함에 따른 한 단(층)씩 건너의 양측 말미 허공 부위에는, 주 옹벽체(1)의 절반 폭에 해당하는 마감 옹벽체(2)를 연접 마감 처리함으로써 또 다른 식생(植生)공간(공간부)(20)을 형성시킨다.
마감 옹벽체(2)는 도 2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 옹벽체(1)와 상응되는 비교적 중량체(重量體)의 대형 구조물로서, 전면판(21)과 배면판(24)사이에 경사격벽(22)과 직격벽(23)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면이 개구된 전협·후광(前狹·後廣)의 공간부(식생공간)(20)를 갖도록 일체화되게 성형 제작된 구성을 취한다.
즉, 배면판(24)은 전면판(21)에 비하여 다소 긴 길이를 가지며 경사격벽(22)의 전방부가 전면판(21) 일 측면과 일치되고 후방부는 배면판(24)의 약간 내측에 연결된 형태이며, 직격벽(23)의 전·후방부는 전면판(21)과 배면판(24)의 타 측면과 일치되게 성형 제작된 구성을 취한다.
상기 전면판(21)은 그 상부가 돌출 되게 연설된 걸림턱(28)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판(21)과 배면판(24)은 상·하 기울기의 구배진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격벽(22)과 직격벽(23)의 상면 후방 측에는 인서트 볼트(INSETBOLT)(25)가 매입 설치되어 있으며, 공간부(식생공간)(20) 저면 즉, 저면판(27) 대응 위치에는 상응하는 장공형태의 결속공(26)이 형성되어 조립 적층시 와셔(5) 및 고정너트(6)를 이용하여 상·하간을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도 6 참조)
상기 결속공(26)은 배수 및 상·하간의 유통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도 2a, b에 도시된 마감 옹벽체(2)는 우측에 설치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좌측에 설치 구성되는 것은 이와는 대칭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도 5a, b의 도시 예에서와 같이 주 옹벽체(1)와 마감 옹벽체(2)들이 조립 적층된 최 상단에는 실족 예방 등을 위한 표준형 덮개(3) 및 단부형 덮개(4)가 설치 구성된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 상단의 좌·우 말단에 마감 옹벽체(2)가 설치 구성될 경우에는 주 옹벽체(1) 사이사이의 허공부 및 주 옹벽체(1)와 마감 옹벽체(2) 사이의 허공부를 도 3 a, b의 표준형 덮개(3)로 복개하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 상단이 주 옹벽체(1)만으로 설치 구성될 경우에는 주 옹벽체(1) 사이사이의 허공부를 도 3 a, b의 표준형 덮개(3)로 복개하고 좌우 말미의 허공부는 도 4 a, b의 단부형 덮개(3)로 복개한다.
표준형 덮개(3) 및 단부형 덮개(4)는 각각 장공 형태의 결속공(36),(46)이 형성되어 상기의 주 옹벽체(1) 및 마감 옹벽체(2)들의 결속 수단에서와 같이 결속 설치된다.
상기의 도 4a, b에 도시된 단부형 덮개(4)는 우측에 설치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좌측에 설치 구성되는 것은 이와는 대칭형태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옹벽 축조예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잘 정리된 제방 법면에 주 옹벽체(1)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면서 그 내부 공간에 채움석 혹은 채움토사를 선택적으로 채워 조립식 옹벽을 구축한다.
즉, 수중 구간에는 주로 자연석이나 깬돌 등의 채움석을 채우고, 수상 구간에는 주로 채움토사를 채움으로써 현지 상황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 옹벽체(1)를 적층 함에 있어서는 배면판(14) 측면끼리 서로 맞닿도록 주 옹벽체(1)를 좌·우의 가로 방향으로 연속 배치되게 설치하여 하단(층)을 구성하고, 그 상단(층)은 상기 하단(층)에서의 배면판(14) 측면이 접하는 위치 상부에 주 옹벽체(1)의 중앙이 위치되게 설치되며, 양 경사격벽(12)(13)의 상면 후방부에 매입 구성된 인서트 볼트(INSERT BOLT)(15) 및 공간부(10)의 저면판(17)에 형성된 장공 형태의 결속공(16)을 통해 와셔(5)와 고정너트(6)로 상호 결합됨으로써 다단의 지그재그 형태를 취하게 된다.
즉, 하단(층)의 이웃하는 양측 주 옹벽체(1)들의 걸림턱(18)에 상단(층)의 주 옹벽체(1) 전면판(11) 하부가 지지되고, 하단(층) 주 옹벽체(1)의 우측 경사격벽(13)측 인서트 볼트(INSERT BOLT)(15)에 상단(층)의 또 다른 주 옹벽체(1)의 좌측 결속공(16)이 결합되되 각각 와셔(5)와 고정너트(6)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됨으로써 유동 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하로 한 단(층)씩 거른 측방의 허공 부위에는 마감 옹벽체(2)를 설치하여 상·하·좌·우로의조화가 잘 이루어진 최대한의 식생(植生)공간(10)(20)을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식생(植生)공간(10)(20)에는 수목이나 각종 초화류를 식재할 수 있는 바, 각 식생공간의 크기와 위치 등을 감안하여 그에 알맞는 각종 초화류를 식재함으로써 인공적으로 구축된 옹벽의 일부가 가려지고 수목 및 초화류들에 의하여 미관을 환경 친화적으로 탈바꿈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식생공간(공간부)(10)(20)은 수중 구간(수면 아래)일 경우 자연석을 수용하여 어소를 제공하고 수질 자연 정화 효과는 물론, 수초(水草)가 자랄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주 옹벽체(1) 및 마감 옹벽체(2)는 다른 실시 예로써 그 전면판(11),(21)의 구성을 배제하고 도 7a, b 및 도 8a, b에서와 같이, 코팅(COATING) 또는 도금의 방청 처리된 철망(19),(29)를 구성하여 수중 구간에서의 하천수(河川水)가 자유로이 공간부(10)(20)내에 드나들 수 있게 하며, 수상 구간에서는 수변(水邊)식물이 철망(19)(29) 전방에까지 뻗쳐 성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의 주 옹벽체(1) 및 마감 옹벽체(2)에 의한 적층 옹벽 후면에는, 물은 내·외부로 이동이 가능하나 토립자(土粒子)는 통과가 불가능한 토목 섬유인 흡출방지재(200) 및 뒷채움석(100)을 설치 구성하여 홍수 때는 물론 수위 상승시 지면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통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옹벽의 축조가 완성된 상태의 수중 구간에서는 채움석(자연석)의부착 미생물에 의한 수질 자연정화는 물론이거니와 식생(植生)공간 내에서 생장하는 수생식물에 의해 용존 산소량이 증가되어 수질 자연정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수면 위 즉, 수상 구간에서는 흐르는 물에 의해 온도와 습도를 상시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는 에코톤(ECO TONE)의 식생(植生)공간 내부 채움토사가 항시 부드러운 토양 상태를 유지하여 수변(水邊)식물이 서식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변(水邊)식물과 부드러운 토양은 지중(地中)소동물과 수변(水邊)곤충류에게 최적의 서식공간을 제공하게 됨과 더불어 조류에게도 좋은 서식 환경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하천변 생태 환경을 복원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립식 생태(生態)옹벽에 의하면, 자립(自立)구조를 취하는 중량체(重量體)의 성형 구조물로서 조립·시공 구조의 향상으로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비교적 손쉽게 적층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 시공함에 따른 균형 있고 잘 조화된 식생(植生)공간의 조성으로 궁극적인 수변(水邊)생태계의 복원 유지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지그재그형 공간부(식생공간)에 자연석 등의 채움석을 채워 어류의 서식·산란처 제공은 물론, 부착 미생물에 의한 수질 자연정화 효과와 더불어 채움석에 의한 역간 접촉 정화 효과를 득할 수 있는 등의 특장점이 있다.

Claims (6)

  1. 전면판(11)의 양측 후면에 연이어 경사격벽(12)(13)을 형성하고 이를 좀더 긴 길이를 갖는 배면판(14) 안쪽 위치에 연이어지게 일체로 성형 제작한 상부가 개구된 중량체(重量體)의 주 옹벽체(1)를 배면판(14) 측면끼리 서로 맞닿도록 좌·우로 연속 설치하여 하단(층)을 구성하고, 그 상단(층)은 상기 하단(층)에서의 전면판(11)들의 측면이 접하는 부위 직상부에 주 옹벽체(1)의 중앙이 위치되는 다단의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 설치하여 층별로 수평의 지그재그형 식생(植生)공간(공간부)(10)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로 한 단(층)씩 건너 측방의 허공 부위에는, 주 옹벽체(1)의 절반 폭에 해당하고 전면판(21)과 배면판(24) 사이를 경사격벽(22)과 직격벽(23)으로 연이어지게 일체로 성형 제작한 상부가 개구된 중량체(重量體)의 마감 옹벽체(2)를 설치하여 또 다른 식생(植生)공간(공간부)(20)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옹벽체(1)의 경사격벽(12)(13) 및 마감 옹벽체(2)의 경사격벽(22)과 직격벽(23)에는 상면 후방 쪽에 인서트 볼트(INSERT BOLT)(15),(25)를 구성하고, 주 옹벽체(1)의 공간부(10) 저면 양측 상응위치 및 마감 옹벽체(2)의 공간부(20) 저면 상응 위치에는 장공형태의 결속공(16),(26)을 구성하여 상·하로 적층 축조되는 옹벽체들이 고정너트(6)로 상호 유동 없이 결속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옹벽체(1) 및 마감 옹벽체(2)의 전면판(11),(21) 상면을 돌출 되게 연설하여 걸림턱(18),(28)을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옹벽체(1) 및 마감 옹벽체(2)의 전면판(11),(21)을 배제되게 개구시켜 이에 방청 처리된 철망(19),(29)를 설치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옹벽체(1) 및 마감 옹벽체(2)들이 조립 적층 되는 최 상단의 공간부(10),(20) 외측의 허공 부위를 덮개(3),(4)로 복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KR2020010012251U 2001-04-27 2001-04-27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KR200253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251U KR200253290Y1 (ko) 2001-04-27 2001-04-27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251U KR200253290Y1 (ko) 2001-04-27 2001-04-27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290Y1 true KR200253290Y1 (ko) 2001-12-01

Family

ID=7310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251U KR200253290Y1 (ko) 2001-04-27 2001-04-27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2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162B1 (ko) 환경보호 생태복원 식생블록 설치구조
US20100290842A1 (en) Ecological restoration block
KR101816075B1 (ko) 바이오폴리머를 이용한 투수성 식생 어소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어소 시공방법
KR200253290Y1 (ko)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KR200418683Y1 (ko) 생태블록
KR20050019569A (ko) 돌망태 옹벽을 이용한 생태하천의 인공어초 구조물
JPH0762335B2 (ja) 生態系改善型護岸構造
KR100663689B1 (ko) 적층 조립식 방파제
JPH08199531A (ja) 魚巣と植生に共用し得る護岸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護岸壁
KR100671032B1 (ko) 식생형 호안블록과 호안구조물
KR100447265B1 (ko) 친환경적 하천 호안 시설물
KR100392506B1 (ko) 생태블록
JP2003034920A (ja) 河川水路用環境保全ブロック構造
KR100655463B1 (ko)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수생동식물 보호용 조립식 유공관
JP2005068888A (ja) 粗朶ふとん籠
KR200245589Y1 (ko)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구조체
US20020088408A1 (en) Vegetation zone facility
KR200259236Y1 (ko) 생태 하천 제방의 제방틀 구조
KR20070017567A (ko) 자연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사용하는 자연형 옹벽블록
KR200298530Y1 (ko) 어초블록
JP2001123467A (ja) 環境共生型緑化用擁壁ブロック
JP2837811B2 (ja) 生態系に配慮された護岸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護岸ブロック
KR20120067497A (ko) 식생 호안블럭
KR200219578Y1 (ko) 하천의 어소, 유충 및 기초블록
KR200333658Y1 (ko) 돌망태 옹벽을 이용한 생태하천의 인공어초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