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578Y1 - 하천의 어소, 유충 및 기초블록 - Google Patents

하천의 어소, 유충 및 기초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578Y1
KR200219578Y1 KR2020000032675U KR20000032675U KR200219578Y1 KR 200219578 Y1 KR200219578 Y1 KR 200219578Y1 KR 2020000032675 U KR2020000032675 U KR 2020000032675U KR 20000032675 U KR20000032675 U KR 20000032675U KR 200219578 Y1 KR200219578 Y1 KR 2002195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pace
river
filled
larv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6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달환
Original Assignee
김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달환 filed Critical 김달환
Priority to KR20200000326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5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5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578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위쪽으로 개구부를 가지고 속이비어 있으면서 둘레에 통수공을 가지는 블록성형물을 하천의 법면에 다단으로 축조하며, 블록성형물의 내에는 채움석으로 채워, 블록내의 채움석에서 부착성 및 부유성의 미소조류(微小藻類)의 영향으로 생태계의 호안기능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블록내의 통수공을 통하여 어류가 자유로이 드나들며, 채움석간의 공간이 어류의 서식처를 제공하여 산란까지 할 수 있도록 한 하천의 어소블록에 관한 것으로, 속이빈 장방형상의 블록(100)내에 공간(10)이 형성되고 위쪽은 개구된 개구부(20)를 가지며 전후,좌우 및 바닥에 통수공(1),(2),(3),(4),(5)들이 뚫려 있으며, 블록의 전면에 튀어나온 기둥(101)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20)와 바닥(30)에 이맞물림 가능한 결합요철(21),(31)이 형성되어 블록을 척층 축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블록의 수평방향으로 고정수단인 고정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평볼트이음구멍(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블록(100)의 공간(10)에 일정크기의 채움석(50)이 채워져 넣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하천의 어소, 유충 및 기초블록{A block for a spawning ground and a larva block the basic block of in river}
본 고안은 하천폭이 비교적 좁은 경사면이 급한 중소하천의 법면에 호안용으로 축조할 수 있는 하천의 어소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위쪽으로 개구부를 가지고 속이비어 있으면서 둘레에 통수공을 가지는 블록성형물을 하천의 법면에 다단으로 축조하며, 블록성형물의 내에는 채움석으로 채워, 블록내의 채움석에서 부착성 및 부유성의 미소조류(微小藻類)의 영향으로 생태계의 호안기능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블록내의 통수공을 통하여 어류가 자유로이 드나들며, 채움석간의 공간이 어류의 서식처를 제공하여 산란까지 할 수 있도록 한 하천의 어소, 유충 및 기초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폭이 비교적 좁고, 게다가 그 법면이 급경사를 이루고 있으면서도 유속이 빠른 하천법면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여야 하는데 이때 대부분이 콘크리트옹벽을 쌓거나, 석축을 쌓아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로 법면을 축조하는 경우, 우선 콘크리트옹벽 및 석축에서 수변(水邊)식물이 자랄 수 없고, 또한 하천 어류들의 서식처는 물론 산란처까지도 상실하게 되기 때문에, 어류의 번식 증대에도 막대한 지장을 초래케 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환경보호차원에 있어서도 역행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천의 법면에 쌓아 축조할 수 있는 블록을 형성하되, 블록에 개구 및 통수공들이 뚫려 어류들이 자유로이 드나들도록 조성하는 한편, 블록의 내에는 어류들이 서식 산란할 수 있는 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돌을 채워서 어류의 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블록내의 채움석은 블록의 배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의 수질 정화기능을 촉진하여 수질의 보존과 호안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하천의 어소, 유충 및 기초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속이빈 장방형상의 블록내에 공간이 형성되고 위쪽은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며 전후,좌우 및 바닥에 통수공들이 뚫려 있으며, 블록의 전면에 튀어나온 기둥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바닥에 이맞물림 가능한 결합요철이 형성되어 블록을 척층 축조할 수 있고 측면에 뚫은 수평볼트이음구멍이 형성됨을 기본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블록의 공간에 일정크기의 채움석이 채워져 넣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블록공간내의 채움석들간의 공간은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채움석에 의하여 법면의 이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의 수질을 정화하는 기능도 갖게 됨에 따라서, 결국 수질환경을 조성하여 환경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a,b,c는 본 고안의 어소블록의 전체 사시도, 우측면도 및 정면도,
도 2a,b,c는 본 고안의 기초소블록의 전체 사시도, 우측면도 및 정면도,
도 3a,b,c는 본 고안의 유충블록의 전체 사시도, 우측면도 및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하천의 어소블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4,5, : 통수공 10 : 공간 20 : 개구부
30 : 바닥 40 : 칸박이 41 : 수평볼트이음구멍
50 : 채움석 60 : 기초콘크리트 70 : 기초블록
80 : 유충블록 90 : 투수법면 100 : 어소블록
110 : 뒤채움석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천의 어소블록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b,c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천의 어소블록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블록(100)은 속이빈 장방형의 박스형상으로써, 그의 내부는 공간(10)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간의 단면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블록(100)은 그의 위쪽이 개구된 개구부(20)를 가지며 전후,좌우 및 바닥에 통수공(1),(2),(3),(4),(5)들이 뚫려 있다.
상기 전방의 통수공(1)은 도 1a 와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크랭크형상으로 개구된 통수공을 가지며, 또한 후방은 원형의 통수공(2)들이 뚫려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에는 역사다리꼴 형상의 통수공(3),(4)이 뚫려 있으며, 또한 바닥 역시 장방형상의 통수공(5)들이 각각 뚫려 있다.
상기 블록(100)의 통수공은 설치 지역하천의 특성에 따라서 어느 통수공들을 뚫지 않도록 성형하여도 되며, 예를들어 후방의 원형 통수공(2)을 뚫지 않고, 블록내외부를 차단되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상기 어소블록(100)의 전방에는 전면 보다 튀어나온 기둥(101)이 종방향으로 여러개 형성되어 있다. 이 튀어나온 기둥(101)은 하천수가 출렁임에 따라서 어소블록(100)의 기둥(101)에 닿으면서 와류를 일으켜 블록(100)내의 수질을 정화하는 기능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어소블록(100)의 개구부(20)와 바닥에는 도 1b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이맞물림 가능한 결합요철(21),(31)들이 형성되어 있다.
즉, 어소블록(100)의 개구부(20)의 결합요철(21)에 위쪽 바닥(30)의 결합요철(31)이 결합되어 서로 적층 축조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블록의 측면에 형성한 수평볼트이음구멍(41)을 통해 고정수단인 고정볼트(도시생략) 등에 의하여 이웃하는 어소블록(100)들을 서로 수평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어소블록(100)의 공간(10)에는 대략 200mm정도의 채움석(50)이 채워지도록 하여 채움석(50)간의 공간에 어류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 4에서 상기 블록(100)들의 뒤에 채워지는 뒤채움석(90)의 공간에도 어류의 서식처가 된다.
또한, 도 4에서 법면에 블록의 축조에 있어서는 최하단에는 기초콘크리트(60)를 형성하며, 이 기초콘크리트(60)위에는 도 2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블록에서 후방과 바닥에 통수공이 없는 개구부를 가지는 기초블록(70)이 쌓여지도록 하고, 또 그 위에 본 고안의 어소블록(100)이 축조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어소블록(100)의 위에는 도 3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충블록(80)이 축조된다.
상기 기초블록(70)은 도 2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속이빈 장방형의 박스형상으로써, 그의 내부는 공간(10)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간의 단면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초블록(70)은 그의 위쪽이 개구된 개구부(20)를 가지며 바닥 및 후방이 막혀 있으며, 측면에 통수공(3),(4)이 뚫려 있다.
즉, 상기 좌,우측에는 역사다리꼴 형상의 통수공(3),(4)이 뚫려 있으며, 또한 바닥은 막혀 있으나, 통수공을 형성하여도 된다.
역시, 상기 기초블록(70)의 전방에는 전면 보다 튀어나온 기둥(101)이 종방향으로 여러개 형성되어 있다. 이 튀어나온 기둥(101)은 하천수가 출렁임에 따라서 기초블록(70)의 기둥(101)에 닿으면서 와류를 일으켜 기초블록(70)내의 수질을 정화하는 기능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이 기초블록(70)의 위에는 어소블록(100)이 축조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블록의 측면에 형성한 수평볼트이음구멍(41)을 통해 고정수단인 고정볼트(도시생략) 등에 의하여 이웃하는 기초블록(70)들을 서로 수평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초블록(70)의 공간(10)에는 대략 200mm정도의 채움석(50)이 채워지도록 하여 채움석(50)간의 공간에 어류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도 4에서 기초블록(70)위에 본 고안의 어소블록(100)이 축조되며, 또한 상기 어소블록(100)의 위에는 도 3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충블록(80)이 축조된다.
상기 유충블록(80)은 도 3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속이빈 장방형의 박스형상으로써, 그의 내부는 공간(10)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간의 단면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전방에 경사진 공간(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충블록(80)은 그의 위쪽이 개구된 개구부(20)를 가지며 바닥에는 복수의 통수공(5)이 뚫려 있고 후방는 막혀 있으며, 측면에 통수공(3),(4)이 뚫려 있다.
역시, 상기 유충블록(80)의 전방에는 전면 보다 튀어나온 경사진 공간(11)이 형성되어 이 공간(11)에 도 4 와 같이 풀 등의 식물을 식재할 수 있다.
또한, 이 유충블록(80)의 측면에 형성한 수평볼트이음구멍(41)을 통해 고정수단인 고정볼트(도시생략) 등에 의하여 이웃하는 유충블록(80)들을 서로 수평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블록(100)은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길은 경우에 칸막이(40)가 일체로 성형되어 골조를 유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칸막이(40)가 없는 짧은 구조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하천의 법면에 쌓아 축조할 수 있는 블록을 형성하되, 블록에 개구 및 통수공들이 뚫려 어류들이 자유로이 드나들도록 조성하는 한편, 블록의 내에는 어류들이 서식 산란할 수 있는 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돌을 채워서 어류의 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블록내의 채움석은 블록의 배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의 수질 정화기능을 촉진시켜 희귀어가 모여들게 하고 채움석의 바닥에는 조(藻), 태(苔), 수초가 부착되어 번식하므로 동물성 플랑크톤을 증식시켜 어류의 먹이를 제공하는 등 생태적인 호안의 기능을 회복시키므로 환경의 보존과 생태호안을 동시에 충족시키게 된다.
또한 하부로부터 기초블록, 어소블록 및 유충블록 순으로 쌓아올릴 때에는 제일 이상적인 생태계 보전 호안을 축조할 수 있으며, 본 고안 제품을 볼트이음으로 시공능률이 향상되고 경제적이며 첨단부는 보차도 기능을 부여하고 인접하천 또는 수로의 법면 구배에 따라서 설치할 수 있다.

Claims (2)

  1. 속이빈 장방형상의 블록내에 공간이 형성되고 위쪽은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며 전후,좌우 및 바닥에 통수공들이 뚫려 있으며, 블록의 전면에 튀어나온 기둥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바닥에 이맞물림 가능한 결합요철이 형성되어 블록을 척층 축조할 수 있고, 블록의 측면에 수평볼트이음구멍을 형성하여 고정수단인 고정볼트 등에 의하여 이웃하는 블록들을 서로 수평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어소, 유충 및 기초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공간에 일정크기의 채움석이 채워져 넣어질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어소, 유충 및 기초블록.
KR2020000032675U 2000-11-22 2000-11-22 하천의 어소, 유충 및 기초블록 KR2002195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675U KR200219578Y1 (ko) 2000-11-22 2000-11-22 하천의 어소, 유충 및 기초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675U KR200219578Y1 (ko) 2000-11-22 2000-11-22 하천의 어소, 유충 및 기초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578Y1 true KR200219578Y1 (ko) 2001-04-02

Family

ID=73091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675U KR200219578Y1 (ko) 2000-11-22 2000-11-22 하천의 어소, 유충 및 기초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5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719B1 (ko) * 2001-03-29 2004-12-03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하천의 생태수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719B1 (ko) * 2001-03-29 2004-12-03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하천의 생태수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560B1 (ko) 생태계 보호를 위한 친환경 하천 바닥 블록설치구조
KR200219578Y1 (ko) 하천의 어소, 유충 및 기초블록
KR100892421B1 (ko) 식생용 옹벽블럭
JP2002112626A (ja) 植物育成ブロック構築構造
KR200418683Y1 (ko) 생태블록
JP2004218269A (ja) スロープ付き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H0762335B2 (ja) 生態系改善型護岸構造
KR100762355B1 (ko) 소하천 어소블록 설치구조
KR200274533Y1 (ko) 하천의 생태옹벽
KR200340941Y1 (ko) 옹벽블록 겸용 어소블록
KR200297571Y1 (ko) 식생 옹벽 구조체
KR20050052543A (ko) 유도로 형성용 블록, 유도로를 구비한 벽 구축용 패널재 및형틀
JP2001011840A (ja) 土木構造物用三角柱枠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2005282287A (ja) 水路式魚道ブロック
KR200219577Y1 (ko) 하천의 어소(魚巢) 및 식생블록
KR100478156B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KR200413594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JP2003232026A5 (ko)
KR100429733B1 (ko) 친환경세굴방지 어소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00362U (ko) 원형호안블럭
KR200250172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세트
KR200228745Y1 (ko) 기초어상블럭
KR20080070630A (ko) 옹벽 블록
KR200253290Y1 (ko) 조립식 생태(生態)옹벽
KR200438261Y1 (ko) 어소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