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0630A - 옹벽 블록 - Google Patents
옹벽 블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70630A KR20080070630A KR1020087009572A KR20087009572A KR20080070630A KR 20080070630 A KR20080070630 A KR 20080070630A KR 1020087009572 A KR1020087009572 A KR 1020087009572A KR 20087009572 A KR20087009572 A KR 20087009572A KR 20080070630 A KR20080070630 A KR 200800706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retaining wall
- space
- filling material
-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블록 본체 내에 충전한 몸체 채움재가, 늘어난 하천물에 의해 전측 상부 공간을 지나 쓸려 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적어도 전벽(前壁)과 좌·우측벽을 구비하며, 상면을 개구 상태로 형성한 복수의 블록 본체를, 계단 형상으로 단쌓기함과 아울러, 각 블록 본체 내에 몸체 채움재를 충전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옹벽 블록에 있어서, 블록 본체 내의 전측 상부 공간에, 동 블록 본체 내의 몸체 채움재가 증수한 하천에 의해 상기 전측 상부 공간을 지나 쓸려 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에는, 객토 충전용 공간 내지는 고기집용 공간을 형성했다.
옹벽 블록,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변에 부설하여 식생용(植生用) 블록으로서도, 또는, 고기집용(魚巢用) 블록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옹벽 블록의 일 형태로서, 후술하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즉, 도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옹벽 블록(100)은, 옹벽을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블록 본체(12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블록 본체(120)는, 옹벽의 표면측에 배치되는 전벽(前壁;123)과, 시공지의 수직면측에 배치되는 후벽(後壁;124)과의 사이를, 도시하지 않은 2개의 측벽으로 연결한 사각형 케이스 형상을 하고 있고, 후벽(124)의 높이 치수는 전벽(123)의 높이 치수보다 낮다.
또한, 각 측벽은 각각, 전벽(123)으로부터 후벽(124)측으로, 전벽(123)의 높이 치수와 동일 높이 치수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 형성한 후, 후벽(124)의 높이 치수와 동일 높이로 한 단차부를 거쳐 후벽(124)에 연결시켜져 있다.
전벽(123)과 후벽(124)과의 사이에는, 블록 본체(120) 내를 전후로 칸막이하는 복수의 칸막이벽(130)이, 서로 이웃하는 측벽 상에 올려놓여져 있고, 칸막이벽(130)의 저부(底部) 근방에는, 칸막이벽(130)과 전벽(123)과의 사이의 객토(客 土) 공간에 충전한 객토(200)를 받는 베이스판(140)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블록 본체(120), 칸막이벽(130) 및, 베이스판(140) 등에 의해 구성된 옹벽 블록(100)을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할 때에는, 기준면 상에 올려놓은 블록 본체(120)의 내부 및 블록 본체(120)의 후벽(124)과 수직면과의 사이에, 자갈 또는 깬 돌 등의 몸체(胴) 채움재 및 뒷채움재(裏入材)를 측벽의 하단에서부터 낮은 위치까지 깔아둔 후, 블록 본체(120) 내의 전술한 객토 영역에는 객토(200)를, 블록 본체(120) 내의 다른 영역 및 블록 본체(120)의 후벽(124)과 수직면과의 사이에는 몸체 채움재 및 뒷채움재를, 각각 전벽(123) 상면의 위치까지 투입하여, 표면을 기준면으로 정지(整地)한다.
그리고, 이 자갈 또는 깬 돌에 의한 기준면 상에 다음 단(段)의 블록 본체(120)를 계단 형상으로 올려놓고, 앞에서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다음 단의 옹벽 블록(100)을 단쌓기한다. 이러한 조작을 소정 단수 반복함으로써, 옹벽을 구축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120693호 (도4)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한 옹벽 블록(100)은, 객토 공간 내에 객토(200)를 충전하고 있기 때문에, 하천의 물이 불어난 경우, 객토(200)가 쓸려 패어지거나 유출되어 베이스판(140)이 변위하고, 옹벽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해 블록 본체(120) 내에 투입한 몸체 채움재가 유출하여, 옹벽의 강도가 저하할 우려가 있다. 또한, 몸체 채움재의 유출량이 많은 경우에는, 옹벽이 붕괴할 우려도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계단 형상의 옹벽을 축조할 때에 계단 형상으로 단쌓기되는 블록 본체를 갖는 옹벽 블록으로서, 상기 블록 본체는, 적어도 전벽, 좌측벽 및, 우측벽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면에 개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블록 본체의 내부에 몸체 채움재가 단순 쌓기 되어 있고, 출수(出水)시에, 단순 쌓기된 상기 몸체 채움재가 단쌓기된 상기 블록 본체의 상면의 개구로부터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와 상기 블록 본체의 전벽과의 사이에, 고기집용 공간 또는 객토 충전용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서 이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에도 특징을 갖는다.
(1) 상기 블록 본체는, 그 전벽에, 상기 고기집용 공간과 옹벽 블록의 외부를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것.
(2)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는, 상기 블록 본체 내의 공간을 전후로 칸막이하는 전후 칸막이편과, 상기 전후 칸막이편과 상기 블록 본체의 전벽과의 간격을 유지하는 전후 간격 유지편을 구비하며, 상기 전후 칸막이편 및 전후 간격 유지편과, 상기 블록 본체의 전벽 및 좌우 측벽에 의해, 옹벽 블록의 외부로 연이어 통하는 고기집용 연통부(連通部)가 형성되어 있는 것.
(3)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전후 칸막이편과 상기 블록 본체의 전벽과의 사이의 상기 공간은, 상기 전후 간격 유지편에 의해 복수의 분할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분할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고기집용 공간이며, 상기 블록 본체는, 그 전벽에, 상기 분할 공간과 옹벽 블록의 외부를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것.
(4)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는, 단쌓기된 상단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전벽 전면(前面)이,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후단과 전단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전후 칸막이편과 상기 상단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전벽과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
(5)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전후 칸막이편은, 상기 상단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전벽에 맞닿는 상단면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틈을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
(6) 상기 블록 본체는, 그 좌우 측벽에,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를 수평걸기(橫架) 형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
(7)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전후 칸막이편은, 그 하부에, 상기 블록 본체의 전벽측으로 돌출하는 전후 칸막이편 각부(脚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블록 본체의 전후 칸막이편 지지부는, 상기 전후 칸막이편의 하부의 하면이 맞닿는 하부 지지면과, 상기 전후 칸막이편 각부의 하면이 맞닿는 각부 지지면과, 상기 전후 칸막이편 각부의 전면이 맞닿는 각부 전면 유지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
(8) 상기 전후 칸막이편 각부는, 상기 블록 본체의 전벽과의 사이에 빈틈이 형성되는 상태로 돌출하고 있는 것.
(9)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는, 적어도, 상하 칸막이편과 전후 칸막이편에 의해, 객토 충전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들 칸막이편과 블록 본체의 전벽과 좌우측벽에 의해, 객토를 충전하기 위한 객토 충전부가 형성되도록 한 것.
(10)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상하 칸막이편에, 상하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는 상하 연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 연통공을 객토 충전용 공간의 일부로 이룬 것.
(11) 상하 연통공의 저부에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용 그물체(網體)를 배치한 것.
(12) 상기 블록 본체의 좌우 측벽에는,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를 수평걸기 형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형성한 것.
(발명의 효과)
(1)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계단 형상의 옹벽을 축조할 때에 계단 형상으로 단쌓기되는 블록 본체를 갖는 옹벽 블록으로서, 블록 본체는, 적어도 전벽, 좌측벽 및, 우측벽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면에 개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블록 본체의 내부에 몸체 채움재가 단순 쌓기 되어 있고, 출수시에, 단순 쌓기된 상기 몸체 채움재가 단쌓기된 블록 본체의 상면의 개구로부터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와 블록 본체의 전벽과의 사이에, 고기집용 공간 또는 객토 충전용 공간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서 이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블록 본체 내의 전측 상부 공간에 몸체 채움재 방지체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블록 본체 내에 충전한 몸체 채움재가, 불어난 하천의 수류에 의해 상기 전측 상부 공간을 통하여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에는, 고기집용 공간 또는 객토 충전용 공간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서 이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객토 충전용 공간 내에 객토를 충전하여, 동 객토에 식물을 식생시킨 경우에는, 식물을 자라게 할 수 있고, 또한, 어류 등의 수생 동물이 고기집용 공간을 통하여 블록 본체 내로 출입이 자유롭게 한 경우에는, 상기 블록 본체 내를 수생 동물의 은신처로서 이용할 수 있어, 상기 수생 동물을 자라게 할 수 있다.
(2)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블록 본체가, 그 전벽에, 고기집용 공간과 옹벽 블록의 외부를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하천에 옹벽 블록을 설치한 경우, 블록 본체의 전벽보다도 수위가 높은 상태에서, 고기집용 공간에 들어간 물고기 등의 수생 생물이, 수위의 감소에 따라 블록 본체 내부에 갇혀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가, 블록 본체 내의 공간을 전후로 칸막이하는 전후 칸막이편과, 상기 전후 칸막이편과 블록 본체의 전벽과의 간격을 유지하는 전후 간격 유지편을 구비하며, 전후 칸막이편 및 전후 간격 유지편과, 블록 본체의 전벽 및 좌우측벽에 의해, 옹벽 블록의 외부로 연이어 통하는 고기집용 연통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생 동물이, 외부로부터 고기집용 연통부를 통하여 블록 본체 내로 이동하는 것도, 또한, 블록 본체 내로부터 고기집용 연통부를 통하여 외부로 이동하는 것도 할 수 있어, 수생 동물의 육성을 도모할 수 있다.
(4)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전후 칸막이편과 블록 본체의 전벽과의 사이의 상기 공간이, 전후 간격 유지편에 의해 복수의 분할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분할 공간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고기집용 공간이며, 블록 본체는, 그 전벽에, 분할 공간과 옹벽 블록의 외부를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하천의 수위가 블록 본체의 전벽 상부보다도 저하한 경우, 고기집용 공간에 생식하는 수생 동물이, 블록 본체의 전벽 상부를 넘어 하천으로 되돌아갈 수 없는 상태여도, 수생 동물은 외부와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통하여 하천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5)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는, 단쌓기된 상단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전벽 전면이,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후단과 전단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전후 칸막이편과 상단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전벽과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하천의 물이 불어나, 수류로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가 블록 본체로부터 이탈할 것 같이 된 경우라도,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전후 칸막이편의 상부와, 상단의 블록 본체의 전벽의 하부가 맞닿게 되어,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가 블록 본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전후 칸막이편과 상단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전벽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하여, 물고기가, 전후 칸막이편의 배부(背部)에 형성한 몸체 채움재의 간극에 들어올 수 있기 때문에, 블록 본체 내에 있어서의 수생 동물의 생태계를 보다 풍요로운 것으로 할 수 있다.
(6)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전후 칸막이편이, 상단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전벽에 맞닿는 상단면을 구비함과 아울러, 틈을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하천의 물이 불어나, 수류에 의해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를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한 경우라도,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를 블록 본체 내에 고정해 둘 수 있다.
게다가,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틈을 통하여, 물고기가, 전후 칸막이편의 배부에 형성한 몸체 채움재의 간극으로 들어올 수 있기 때문에, 블록 본체 내에 있어서의 수생 동물의 생태계를 보다 풍요로운 것으로 할 수 있다.
(7)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블록 본체가, 그 좌우측벽에,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를 수평걸기 형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블록 본체의 좌·우측벽에 형성한 지지부에,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를 수평걸기 형상으로 지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를 안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몸체 채움재의 유출 방지 기능과, 블록 본체를 통한 고기집 기능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블록 본체 내에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를 삽입할 때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가 블록 본체 내부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8) 청구항 8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전후 칸막이편이, 그 하부에, 블록 본체의 전벽측으로 돌출하는 전후 칸막이편 각부를 구비하고 있고, 블록 본체의 전후 칸막이편 지지부는, 전후 칸막이편의 하부의 하면이 맞닿는 하부 지지면과, 전후 칸막이편 각부의 하면이 맞닿는 각부 지지면과, 전후 칸막이편 각부의 전면이 맞닿는 각부 전면 유지면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하방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물고기가 노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와, 블록 본체의 전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고기집용 공간을 넓게 유지할 수 있어, 수생 동물의 성육의 장을 널리 확보할 수 있다.
(9) 청구항 9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전후 칸막이편 각부가, 블록 본체의 전벽과의 사이에 빈틈이 형성된 상태로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전후 칸막이편 각부와 블록 본체의 전벽과의 사이에 빈틈이 형성되어,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하부로 수생 동물이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10) 청구항 10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가, 적어도, 상하 칸막이편과 전후 칸막이편에 의해, 객토 충전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들 칸막이편과 블록 본체의 전벽과 좌우측벽에 의해, 객토를 충전하기 위한 객토 충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객토 충전부를 넓게 확보하여, 상기 객토 충전부 내에 객토를 충전하여, 상기 객토에 식물을 식생함으로써, 옹벽의 녹화(綠化)를 도모할 수 있다.
(11) 청구항 11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상하 칸막이편에, 상하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는 상하 연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 연통공을 객토 충전용 공간의 일부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상하 칸막이편에 상하 연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하 연통공을 객토 충전용 공간의 일부로 하여, 상기 객토 충전용 공간을 증설하고 있기 때문에, 상하 칸막이편 상에 형성되는 객토 충전용 공간과, 상하 연통공 중에 형성되는 객토 충전용 공간의 양쪽에 객토를 충전하여 식물을 식생할 수 있다.
이때, 빗물 등은, 양 객토 충전용 공간 내에 충전한 객토를 지나 블록 본체 내로 확실히 배출할 수 있어, 식생 기능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상하 칸막이편 상에 형성되는 객토 충전용 공간 내에 충전한 객토가, 불어난 하천에 의해 쓸려 패어진 경우라도, 상하 연통공 중에 형성되는 객토 충전용 공간 내에 충전한 객토는 확보할 수 있어, 블록 본체 내에 충전한 몸체 채움재가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재차, 상하 칸막이편 상에 형성되는 객토 충전용 공간 내에 객토를 충전하는 것만으로, 식생 기능을 양호하게 회복시킬 수 있다.
(12) 청구항 12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상하 연통공의 저부에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용 그물체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하 연통공의 저부에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용 그물체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만일, 상하 연통공 중에 형성되는 객토 충전용 공간 내에 충전한 객토가 쓸려 패어진 경우라도,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용 그물체에 의해, 블록 본체 내에 충전한 몸체 채움재가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3) 청구항 13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블록 본체의 좌우측벽에,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를 수평걸기 형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블록 본체의 좌·우측벽에 형성한 지지부에,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를 수평걸기 형상으로 지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를 안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몸체 채움재의 유출 방지 기능과, 객토를 통한 식생 기능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블록 본체 내에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를 삽입할 때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가 블록 본체 내부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을 사용한 옹벽의 일부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2 는 상기 옹벽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3 은 상기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평면 설명도(a)와 배면 설명도(b)이다.
도4 는 식생용의 옹벽 블록의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평면 설명도(a)와, 배면 설명도(b)와, Ⅰ-Ⅰ선 단면도(c)이다.
도5 는 고기집용의 옹벽 블록의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평면 설명도(a)와, 배면 설명도(b)와, Ⅱ-Ⅱ선 단면도(c)이다.
도6 은 다른 실시 형태로서의 옹벽 블록을 사용한 옹벽의 일부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7 은 다른 실시 형태로서의 식생용의 옹벽 블록의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평면 설명도(a)와, 배면 설명도(b)와, Ⅲ-Ⅲ선 단면도(c)와, Ⅳ-Ⅳ선 단면도(d)이다.
도8 은 종래 기술로서의 옹벽의 일부의 단면 측면 설명도이다.
도9 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을 사용한 옹벽의 일부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10 은 상기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평면 설명도(a)와 배면 설명도(b)이다.
도11 은 옹벽 블록의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평면 설명도(a)와, 배면 설명도(b)와, Ⅳ-Ⅳ선 단면도(c)이다.
도12 는 단부착 오목부의 부분 확대 모식도이다.
도13 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을 사용한 옹벽의 일부의 확대 단면 측면도이다.
도14 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을 사용한 옹벽의 일부의 모식도이다.
도15 는 상기 옹벽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16 은 옹벽 블록의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평면 설명도(a)와, 배면 설 명도(b)와, Ⅴ-Ⅴ선 단면도(c)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1 : 옹벽 블록
A2 : 옹벽 블록
B : 기초 블록
Y : 옹벽
S : 전측(前側) 상부 공간
1 : 블록 본체
2 :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
3 :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
4 : 전벽(前壁)
5 : 후벽(後壁)
6 : 좌측벽
7 : 우측벽
20 : 객토 충전용 오목부
21 : 상하 칸막이편(片)
22 : 전후 칸막이편
23 : 좌우 칸막이편
24 : 상하 연통공
25 :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용 그물체
26 : 객토 충전용 보조 오목부
30 : 객토 충전부
35 : 고기집용 연통로
36 : 전후 칸막이편
37 : 전후 간격 유지편
38 : 고기집용 연통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집용의 옹벽 블록(A1)과 식생용의 옹벽 블록(A2)을, 기초 블록(B) 상에 단쌓기함으로써 구축한 호안(護岸)용의 옹벽(Y)의 측면 단면 설명도이며, 또한, 도2 는, 상기 옹벽(Y)의 평면 설명도이다.
즉, 옹벽(Y)은, 도1 및 도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바닥(K1)의 지반 중에 기초 블록(B)을 뿌리 박힌 블록으로 하여 부설하고, 그 위에 안정화 블록(C)을 기초 고정을 위해 부설하고, 그 안정화 블록(C)의 위에 평상 수위 이하의 하천(K2) 중 및 강바닥(K1)의 아래에 1단 내지는 복수단(본 실시 형태에서는 2단)의 고기집용의 옹벽 블록(A1)을 단쌓기하며, 추가로 그 위에 복수단의 식생용의 옹벽 블록(A2)을 강변(K3)의 수직면을 따르게 하여 계단 형상으로 단쌓기하여 구축하고 있다.
그리고, 기초 블록(B) 내와 고기집용의 옹벽 블록(A1) 내에는, 예를 들면, 50mm∼150mm의 자갈을 몸체 채움재(D)로서 충전함과 아울러, 이들의 블록(B, C, A1)의 배후에 동일한 자갈을 뒷채움재(U)로서 충전하고, 또한, 식생용의 옹벽 블록(A2) 내에는, 예를 들면, 0.01mm∼50mm의 깬 돌을 몸체 채움재(D)로서 충전함과 아울러, 동 옹벽 블록(A2)의 배후에 동일한 깬 돌을 뒷채움재(U)로서 충전하여 단순 쌓기 옹벽을 구축하고 있다.
여기서 단순 쌓기(옹벽)란, 각 옹벽 블록의 내부에 충전한 몸체 채움재(D)가 자갈, 폐 콘크리트 블록, 슬래그 덩어리 등의 불규칙한 형상을 한 고형물이나, 규칙적으로 일정 형상의 것이어도, 난잡하게 겹쳐 쌓음으로써 빈틈을 생기게 하는 블록체인 것을 말하고, 반고형(半固形) 형상의 충전재를 틈 없이 충전하는, 소위 빈틈없이 쌓기(옹벽)와 반대되는 의미의 것이다.
또한, 도1 중, 부호(M)는, 강변(K3)의 흙이 뒷채움재(U)측으로 빨려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흡출 방지 매트이다.
여기서, 고기집용의 옹벽 블록(A1)과 식생용의 옹벽 블록(A2)은, 도3∼도5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공통 형태의 블록 본체(1)에, 고기집용의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 내지는 식생용의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를 부착하여 구성하고 있다.
또한, 안정화 블록(C)은 블록 본체(1)와 동일한 것으로 하고 있다. 게다가, 안정화 블록(C)에는, 고기집용의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를 부착할 수도 있다. 안정화 블록(C)에 고기집용의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를 설치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강바닥(K1)의 위치가 하천(K2)의 수류 등에 의해 파내려가져 안정화 블록(C)의 위치까지 내려갔을 때에, 이 안정화 블록(C)을 고기집용의 옹벽 블록(A1) 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 설명의 편의상, 우선, 블록 본체(1)의 구성을 설명하고, 그 다음에, 식생용의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의 구성을 설명하고, 이어서 고기집용의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구성을 설명한다.
[블록 본체(1)의 구성]
블록 본체(1)는, 도1∼도3(평면 설명도(a)와 배면 설명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벽(4, 5)과 좌·우측벽(6, 7)으로부터 상·하면 개구의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고, 후벽(5)은, 전벽(4)의 높이의 절반보다도 낮게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블록 본체(1)를 간결하게 그리고 경량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블록 본체(1)를 상·하면 개구의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각 옹벽 블록의 내부 공간을 연속시켜, 각 옹벽 블록의 내부 공간끼리의 환경의 차단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좌·우측벽(6, 7)은, 전벽(4)측이 높게 후벽(5)측이 낮게 계단 형상으로 형성하여, 전부 천단면(前部 天端面;6a, 7a)과 후부(後部) 천단면(6b, 7b)을 형성함과 아울러, 좌·우측벽(6, 7)의 후벽(5)과 연속하는 후부 천단면(6b, 7b)의 부분은, 후벽(5)보다 조금 높게 형성하고 있다.
게다가, 좌·우측벽(6, 7)의 전부의 외측면에는, 도3(a)(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간격 유지편으로서의 접합부(8, 9)를 외측쪽으로 팽출시키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여 형성하고 있고, 좌측의 접합부(8)에는, 상하 방향으로 신 장하면서 그리고 단면 반원호 형상의 접합용 오목부(8a)를 형성하고, 상기 접합용 오목부(8a)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테이퍼면(8b, 8c)을 형성하는 한편, 우측의 접합부(9)에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면서 그리고 단면 반원호 형상의 접합용 볼록부(9a)를 형성하고, 상기 접합용 볼록부(9a)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테이퍼면(9b, 9c)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블록 본체(1, 1)는, 도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신장하는 대략 동일 직선상에서 접속 상태로 배치할 수 있고, 이때, 좌측의 블록 본체(1)의 접합용 볼록부(9a)와 우측의 블록 본체(1)의 접합용 오목부(8a)를 끼워 맞추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블록 본체(1, 1)는, 전방으로 볼록 형상으로 굽어지는 원호선 형상으로 배치함과 아울러, 좌우 방향으로 접속할 수 있고, 이때, 양 블록 본체(1, 1)에는 후측의 테이퍼면(8c, 9c)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양 테이퍼면(8c, 9c)이 맞닿기까지 곡률 반경을 작게 설정할 수 있어, 양 블록 본체(1, 1)끼리를 간섭시키는 일 없이 곡선 시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블록 본체(1, 1)는, 후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굽어지는 원호선 형상으로 배치함과 아울러, 좌우 방향으로 접속할 수 있고, 이때, 양 블록 본체(1, 1)에는 전측의 테이퍼면(8b, 9b)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양 테이퍼면(8b, 9b)이 맞닿기까지 곡률 반경을 작게 설정할 수 있어, 양 블록 본체(1, 1)끼리를 간섭시키는 일 없이 곡선 시공을 행할 수 있다.
블록 본체(1)의 접합부(8, 9)의 천단면(8d, 9d)에는, 도3(a) 에 나타내는 바 와 같이, 대략 연직 방향으로 신장하는 끼움 구멍(10, 10)을 형성하고, 각 끼움 구멍(10, 10) 안으로 미끄럼 방지편(11, 11)(도1 참조)과 매달아 올리기용 연결편(도시하지 않음)의 어느 하나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끼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도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 본체(1)의 좌우측 전부의 천단면(8d, 9d)에 형성된 끼움 구멍(10, 10) 안으로, 미끄럼 방지편(11, 11)의 하부를 끼우고, 상기 미끄럼 방지편(11, 11)을 천단면(8d, 9d)보다 상방으로 돌출시켜, 상기 미끄럼 방지편(11, 11)에 블록 본체(1)의 바로 위쪽에 단쌓기하는 블록 본체(1)의 전면 하부를 맞닿게 함으로써, 상단의 블록 본체(1)의 전방으로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미끄럼 방지편(11, 11)에 의해 상단에 단쌓기한 블록 본체(1)의 미끄러짐을 방지함으로써, 하단의 블록 본체(1)에 상기 미끄럼 저항력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블록 본체(1)의 좌우측 전부의 천단면(8d, 9d)에 형성한 끼움 구멍(10, 10) 안으로, 상기 매달아 올리기용 연결편의 하부를 끼우고, 상기 매달아 올리기용 연결편을 천단면(8d, 9d)보다 상방으로 돌출시켜, 상기 매달아 올리기용 연결편을 매달아 올리기용 와이어 등을 통하여 매달아 올리기 작업기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매달아 올리기 작업기로 옹벽 블록(A1, A2)을 용이하게 매달아 올릴 수 있다.
따라서, 옹벽 블록(A1, A2)을 매달아 올리기용 연결편을 통하여 매달아 올리기 작업기에 의해 매달아 올려 단쌓기함으로서, 옹벽 구축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식생용의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의 구성]
식생용의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는, 도1∼도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 본체(1) 내의 전측 상부 공간(S)에 설치하여, 상기 블록 본체(1) 내에 충전한 몸체 채움재(D)가 불어난 하천(K2)에 의해 상기 전측 상부 공간(S)을 통하여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고,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에는, 객토 충전용 공간으로서의 객토 충전용 오목부(20)를 형성하고 있다.
즉, 몸체 채움재 방지체(3)는, 도4(a) 의 평면도와, 도4(b) 의 정면도와, 도4(c)의 Ⅰ-Ⅰ선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폭방향으로 신장하는 판 형상의 상하 칸막이편(21)과, 상기 상하 칸막이편(21)의 후단 테두리부에서 상방으로 상승하는 판 형상의 전후 칸막이편(22)과, 상기 전후 칸막이편(22)에서부터 상하 칸막이편(21) 상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판 형상의 좌우 칸막이편(23)으로 형성하고 있고, 좌우 칸막이편(23)은,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어 좌우측 단부와 중간부의 2개소에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하 칸막이편(21)과, 전후 칸막이편(22)과,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좌우 칸막이편(23, 23)으로부터, 상방과 전방이 개구하는 객토 충전용 오목부(20)를,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 형성하고 있다.
즉, 객토 충전용 오목부(20)는, 좌우 칸막이편(23, 23)에 의해 복수로 구획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 칸막이편(23, 23)으로 구획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객 토 충전용 오목부(20)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비교적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출수시에 하천(K2)의 수위가 상승하여 객토 충전용 오목부(20)에 충전되어 있던 객토가 쓸려 패어진 경우라도, 객토의 쓸려 패어진 양을 가능한 한 적게 할 수 있다. 좌우 칸막이편(23, 23)은 객토 유출 방지 효과를 일으키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 쓸려 패어짐이란, 객토 충전용 오목부(20)에 충전한 객토가, 하천(K2)의 수류에 의해, 쓸려 내려가면서 패이는 현상을 말한다.
그리고, 각 객토 충전용 오목부(20) 내에 있어서, 상하 칸막이편(21)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는 역원추대 형상의 상하 연통구멍(24)을, 객토 충전용 공간의 일부로서,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 형성함과 아울러, 도1 및 도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상하 연통공(24)의 저부에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용 그물체(25)를 배치하여, 상기 상하 연통공(24)과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용 그물체(25)에 의해 객토 충전용 보조 오목부(26)를 형성하고 있다. 부호(27)는,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를 매달아 올리는 매달아 올리기 기구를 삽입하기 위한 매달아 올리기용 구멍이다.
여기서,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용 그물체(25)로서는, 통수성(배수성)을 가짐과 아울러, 블록 본체 내에 충전한 몸체 채움재가 쓸려 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객토 충전용 오목부(20) 내와 객토 충전용 보조 오목부(26) 내에 충전한 객토(G)의 배수를,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용 그물체(25)를 통하여 몸 체 채움재(D)를 충전한 블록 본체(1) 내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 객토(G)의 배수성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고, 식물의 생육(식생) 환경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어, 식생 블록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록 본체(1)의 좌·우측벽(6, 7)의 내측면에는, 도3(a) 의 평면 설명도와 도3(b) 의 배면 설명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 상부 위치(접합부(8, 9)의 내측 상부 위치)에 있어서, 위쪽과 안쪽이 개구하는 지지부로서의 단(段)부착 오목부(28, 29)를 형성하고 있고, 양 단부착 오목부(28, 29)에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의 좌우측 단부를 위쪽으로부터 끼워 맞춰,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를 착탈이 자유롭게 수평걸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각 단부착 오목부(28, 29)의 전후 폭 및 상하 폭은, 각각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의 전후 폭 및 상하 폭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하고, 각 단부착 오목부(28, 29)에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의 좌우측 단부를 끼워 맞춰 수평걸기한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의 전면(상하 칸막이편(21)의 전면과 좌우 칸막이편(23)의 전면)이 블록 본체(1)의 전벽(4)의 후면(내면)에 맞닿음과 아울러,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의 후면(전후 칸막이편(22)의 후면)이 각 단부착 오목부(28, 29)의 후면에 맞닿아,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의 전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됨과 아울러,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의 상면(좌우 칸막이편(23)의 상면)과 각 접합부(8, 9)의 상면이 일치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각 단부착 오목부(28, 29)에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의 좌우측 단부를 끼워 맞춰 수평걸기한 상태에 있어서는,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의 상하 칸막이편(21)과, 전후 칸막이편(22)과, 블록 본체(1)의 전벽(4)과, 좌·우측벽(6, 7)에 의해, 도2 및 도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객토(G)를 충전하기 위한 객토 충전부(30)가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고기집용의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구성]
고기집용의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는, 도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 본체(1) 내의 전측 상부 공간(S)에 설치하여, 상기 블록 본체(1) 내에 충전한 몸체 채움재(D)가 하천(K2)에 의해 상기 전측 상부 공간(S)을 통하여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고,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에는, 고기집용 공간으로서의 고기집용 연통로(35)를 형성하고 있다.
즉,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는, 도5(a) 의 평면도와, 도5(b) 의 배면도와, 도5(c) 의 Ⅱ-Ⅱ선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폭방향으로 신장하는 판 형상의 전후 칸막이편(36)과, 상기 전후 칸막이편(36)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판 형상의 전후 간격 유지편(37)으로 형성하고 있고, 전후 간격 유지편(37)은,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우측 단부와 중간부의 2개소에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전후 칸막이편(36)과 전후 간격 유지편(37)으로 구획하여 분할 공간을 형성하고, 상하 방향과 전방이 개구하는 고기집용 연통로(35)를,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는,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와 동일하게, 블록 본체(1)의 단부착 오목부(28, 29)에 좌우측 단부를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춰,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를 착탈이 자유롭게 수평걸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상하폭은, 식생용의 몸체 채움재 방지체(3)의 상하 폭이나 단부착 오목부(28, 29)의 상하폭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함과 아울러,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전후 폭은, 식생용의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의 전후 폭이나 단부착 오목부(28, 29)의 전후 폭보다도 폭 좁게 형성하고, 각 단부착 오목부(28, 29)에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좌우측 단부를 끼워 맞춰 수평걸기한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전면(전후 간격 유지편(37)의 전면)이 블록 본체(1)의 전벽(4)의 후면(내면)에 맞닿음과 아울러,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의 후면(전후 칸막이편(36)의 후면)이 배후에 충전한 몸체 채움재(D)에 눌려져,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의 전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됨과 아울러,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상면(전후 칸막이편(36)과 전후 간격 유지편(37)의 상면)과 각 접합부(8, 9)의 상면이 일치하는 상태로 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각 단부착 오목부(28, 29)에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좌우측 단부를 끼워 맞춰 수평걸기한 상태에 있어서는,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전후 칸막이편(36)과, 전후 간격 유지편(37)과, 블록 본체(1)의 전벽(4)과, 좌·우측벽(6, 7)에 의해, 도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와 블록 본체(1) 내를 연이어 통하는 고기집용 연통부(38)가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한 분할 공간에,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고기집용 연통로(35)의 전후폭은, 블록 본체(1) 내에 충전되어 있는 몸체 채움재(D)의 최대 지름보다도 작게 형성하여, 고기집용 연통부(38)를 통하여 몸체 채움재(D)가 쓸려 패어져 블록 본체(1)의 외부로 유출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또한,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전후 칸막이편(36)과 블록 본체(1)의 전벽(4)과의 사이의 공간은, 상기 전후 간격 유지편에 의해 복수의 분할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어, 수생 생물이 유영(遊泳)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는, 전후 칸막이편(36)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판 형상의 전후 간격 유지편(37)을,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우측 단부와 중간부의 2개소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전후 칸막이편(36)에 배후로부터 몸체 채움재(D)에 의한 누름력이 작용한 경우에,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후 간격 유지편(37, 37)간 마다의 스팬(span)에서 굽힘 모멘트가 발생하게 되어, 각 굽힘 모멘트를 저감시킬 수 있어,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강도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는, 예를 들면, 철근을 사용하는 일 없이 콘크리트만으로, 저렴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는, 외부와 블록 본체(1) 내를 연이어 통하는 고기집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면 좋아, 예를 들면, 내(內) 전후 한쌍의 전후 칸막이편(36, 36)의 사이에, 복수의 전후 간격 유지편(37)을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는 고기집용 연통로(35)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고기집용의 블록 본체(1)의 전벽(4)에는, 수생 동물이 출입 가능한 구멍을 적절히 형성하여, 고기집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A1, A2)은 상기와 같이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이들의 옹벽 블록(A1, A2)을 단쌓기 하여 호안용의 옹벽(Y)을 구축했을 때에, 물이 불어남에 의해 식생용의 옹벽 블록(A2)에 형성한 객토 충전부(30) 내의 객토(G)가 쓸려 패어진 경우에도,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가 몸체 채움재(D)의 상면을 덮고 있기 때문에,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에 의해 옹벽 구조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몸체 채움재(D)가 쓸려 패어지거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하단의 블록 본체(1) 내에 충전한 몸체 채움재(D)가 쓸려 패어지거나 유출되면, 그 바로 위쪽에 단쌓기한 상·하면 개구의 블록 본체(1) 내의 몸체 채움재(D)가, 하단의 블록 본체(1) 내로 낙하하고, 또한, 그 낙하한 몸체 채움재(D)도 쓸려 패어지거나 유출되면, 최종적으로 상방으로 단쌓기한 상·하면 개구의 모든 블록 본체(1) 내의 몸체 채움재(D)가 쓸려 패어지거나 유출된다는 결과에 이르는 것도 고려되며, 그 경우에는, 호안용의 옹벽(Y)이 붕괴할 염려도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옹벽 구조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몸체 채움재(D)가 쓸려 패어지거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호안용의 옹벽(Y)의 강도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기집용의 옹벽 블록(A1)의 블록 본체(1)와 식 생용의 옹벽 블록(A2)의 블록 본체(1)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하여 공통화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옹벽 블록(A1, A2)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옹벽 블록(A1, A2)에 충전하는 몸체 채움재(D)와 그 배후에 충전하는 뒷채움재(U)의 전압(轉壓) 작업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제1 단계의 전압 작업으로서, 좌우 방향으로 병설시켜 부설한 각 블록 본체(1) 내에 몸체 채움재(D)를 좌·우측벽(6, 7)의 각 단부착 오목부(28, 29)의 하단 테두리부와 동일한 제1 레벨(L1)까지 충전함과 아울러, 상기 블록 본체(1)와 절토면(J)과의 사이의 공간 내에 뒷채움재(U)를 좌·우측벽(6, 7)의 각 단부착 오목부(28, 29)의 하단 테두리부와 동일한 제1 레벨(L1)까지 충전하고, 이들의 충전재의 표면을 전압기(轉壓機)에 의해 전압함으로써, 블록 본체(1) 내, 나아가서는, 상기 블록 본체(1)와 절토면(J)와의 사이도, 충분히 전압할 수 있다.
이때,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블록 본체(1)의 좌·우측벽(6, 7)의 후부 천단면(6b, 7b), 나아가서는, 후벽(後壁;5)의 상면은, 제1 레벨(L1)보다도 하방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좌우 방향으로의 횡(橫)이동시에 지장이 되지 않아, 그 결과, 각 블록 본체(1)의 전압 작업을 순차 횡이동하면서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그 후, 제2 단계의 전압 작업으로서, 블록 본체(1)의 잔여의 공간 내에 몸체 채움재(D)를 전벽(4)의 높이와 동일한 제2 레벨(L2)까지 충전함과 아울러, 그 배후에 뒷채움재(U)를 충전하고, 이들 충전재의 표면을 전압함으로써, 블록 본체(1) 내, 나아가서는, 블록 본체(1)와 절토면(J)과의 사이도, 충분히 전압할 수 있다.
이때,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블록 본체(1)의 좌·우측벽(6, 7)의 전부 천단면(6a, 7a)은, 제2 레벨(L2)과 동일 레벨(동일 지상 높이)이기 때문에, 좌우 방향으로의 횡이동시에 지장이 되지 않아, 그 결과, 각 블록 본체(1)의 전압 작업을 순차 횡이동하면서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벽(5)보다도 높은 제1 레벨(L1)과, 상단 레벨인 제2 레벨(L2)을 기준으로 하여, 2단계로 나누어 전압 작업을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블록 본체(1) 내에 충전한 충전재의 전압 작업시에 좌·우측벽(6, 7)과 후벽(5)이 지장이 되지 않고, 게다가, 블록 본체(1) 내, 나아가서는, 블록 본체(1)와 절토면(J)과의 사이에 충전한 충전재도 수월하게 그리고 충분히 전압할 수 있어, 옹벽 구축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최하단의 블록열의 전압 작업이 종료한 후에, 그 위에 2단째의 볼록 본체(1)를 단쌓기하여 블록열을 형성함과 아울러, 동일하게 전압 작업을 행하고, 순차 소요의 단수만큼 동일한 작업을 반복하여 행한다.
여기서,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 3)는, 각각 제1 단계의 전압 작업을 행한 후에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고, 그 후에, 이들의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 3)의 배후에 충전재를 충전하여, 제2 단계의 전압 작업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도6 은, 다른 실시 형태로서의 옹벽 블록(A1, A2)을 사용한 옹벽(Y)의 일부의 단면 측면도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블록 본체(1)의 단부착 오목부(28, 29)를 형성하는 일 없이,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 3)를 제1 레벨(L1)까지 전압한 몸체 채움재(D)의 위에 직접 올려놓고, 그 상태에서 제2 레벨(L2)까지 충전재를 충전 한 후에, 제2 단계의 전압 작업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 3)를, 블록 본체(1)의 전벽(4)에 배후로 충전한 몸체 채움재(D)의 누름력에 의해 눌러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식생용의 옹벽 블록(A2)에서는, 블록 본체(1)의 전벽(4)의 후면(내면) 아래 테두리부로부터, 하단의 블록 본체(1)의 제2 레벨(L2)까지 충전한 몸체 채움재(D)의 상면까지에 걸쳐, 시트 형상의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40)를 부설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몸체 채움재(D)의 위에 직접 올려놓은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가, 동 몸체 채움재(D)의 침하 등에 의해 하방으로 변위했을 때에, 동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의 상단면과, 상단에 단쌓기한 블록 본체(1)의 하단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한 경우라도,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40)에 의해, 상단에 단쌓기한 블록 본체(1) 내의 몸체 채움재(D)가, 상기 간극을 통하여 쓸려 패어져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7 은, 다른 실시 형태로서의 식생용의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의 평면 설명도(a)와, 배면 설명도(b)와, Ⅲ-Ⅲ선 단면도(c)와, Ⅳ-Ⅳ선 단면도(d)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는, 기본적 구조를 상기한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와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 전후 한 쌍의 전후 칸막이편(22, 22)을 형성하여, 객토 충전용 공간으로서의 객토 충전용 오목부(20)가, 상면만이 개구하는 오목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어서 다르다.
이와 같이 하여, 객토 충전부(30)를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3)의 객토 충전용 오목부(20) 단독으로 형성하여, 동 객토 충전용 오목부(20) 내에 객토(G)를 충전·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9 및 도10 은, 추가적인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옹벽 블록(A3)은,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고기집용 연통부(38)를 보다 넓게 함으로써, 고기집용 공간을 확장하여, 수생 동물이 집짓기 쉽도록 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옹벽 블록(A3)의 블록 본체(1) 내의 전측 상부 공간(S)에,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를 설치하여, 상기 블록 본체(1) 내에 충전한 몸체 채움재(D)가 하천(K2)에 의해 전측 상부 공간(S)을 통하여 쓸려 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는, 도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폭방향으로 신장하는 판 형상의 전후 칸막이편(36)과, 상기 전후 칸막이편(36)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전후 간격 유지편(37)으로 형성하고 있고, 전후 간격 유지편(37)은,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어 도중부의 2개소에 복수 형성하고 있다.
전후 간격 유지편(37)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다리꼴의 형상은, 블록 본체(1)의 내부에 충전하는 몸체 채움재(D)의 전벽 방향으로의 하중에 의해 생기는 굽힘 모멘트를 경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전후 칸막이편(36)은, 도10 및 도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하부에, 블록 본체(1)의 전벽(4) 측으로 돌출하는 전후 칸막이편 각부(脚部;53)를 구비하고 있고, 이 전후 칸막이편 각부(53)와 전벽(4)과의 사이에 간격(W)을 형성하여 고기집용 연통로(35)를 형성하고 있다.
환언하면, 전후 칸막이편 각부(53)의 전벽(4) 방향으로의 돌출 길이를, 전후 간격 유지편(37)의 전벽(4) 방향으로의 돌출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함으로서, 간격(W)을 형성하여 고기집용 연통로(35)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블록 본체(1)에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를 설치했을 때에, 블록 본체(1)에 충전한 몸체 채움재(D)가 하천(K2)의 흐름에 의해 유출하는 것을,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가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아울러, 고기집용 공간을 보다 확장할 수 있어, 수생 생물의 생활의 장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는, 블록 본체(1)의 단부착 오목부(28, 29)에 좌우측 단부를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춰, 동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를 착탈이 자유롭게 수평걸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단부착 오목부(28, 29)는 전후 칸막이편 지지부로서 기능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도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착 오목부(28, 29)에는, 전후 칸막이편의 하부의 하면이 맞닿는 하부 지지면(56)과, 전후 칸막이편 각부(53)의 하면이 맞닿는 각부 지지면(57)을 구비하고 있어,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저면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블록 본체(1)의 내부에 몸체 채움재(D)을 충전하지 않아도, 가교할 수 있는 상태로 하고 있다. 또한, 도12 는 설명의 편의상, 단부착 오목부(29)를 확대 도시하고 있지만, 단부착 오목부(28)에 대해서도 서로 대칭이기 는 하지만 동일하다.
따라서, 도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하방에 서식 공간(E)을 형성할 수 있어, 수생 동물의 성육 장소를 넓게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생 동물의 은신 장소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지지면(56)과 각부 지지면(57)과는, 블록 본체(1)에 몸체 채움재 방지체(2)를 설치했을 때에, 도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가로 상단의 전벽(4)의 하단면과의 사이에 틈(H)이 형성되는 위치로 하고 있다.
따라서, 틈(H)의 간극을 수생 식물이 빠져나갈 수 있어,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배면(58)측의 몸체 채움재(D)에도 수생 생물을 생육시킬 수 있다.
또한, 틈(H)은, 하천(K2)의 수류를 통하게 함으로써, 몸체 채움재(D)의 배면(58)측에 신선한 하천수를 공급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단부착 오목부(28, 29)에는, 전후 칸막이편 각부(53)의 전면이 맞닿는 각부 전면 유지면(59)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각부 전면 유지면(59)은, 블록 본체(1)의 내부에 충전한 몸체 채움재(D)에 의해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를 전벽(4) 측으로 누르는 하중(압력)을 전후 간격 유지편(37, 37)과 동일하게 받아들이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다음으로, 블록 본체(1)의 구성에 눈을 돌리면, 블록 본체(1)는, 도9 및 도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벽(4, 5)과 좌·우측벽(6, 7)으로부터 상·하면 개구의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고, 후벽(5)은, 전벽(4)의 높이의 절반보다도 낮게 형성하여, 블록 본체(1)를 간결하게 그리고 경량으로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전벽(4)에는, 고기집용 공간과 옹벽 블록의 외부를 연이어 통하도록 정면에서 보아 대략 정사각형 형상의 도주 구멍(50)을 테이퍼 형상으로 관통 형성하고 있고, 이 도주 구멍(50)은,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를 블록 본체(1)에 설치했을 때에, 전후 칸막이편 각부(53)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도주 구멍(50)은, 하천(K2)을 유영하는 수생 생물이 블록 본체(1)의 내부로 들어가기 위한 경로로서 기능함과 아울러, 하천(K2)의 수량이 감소했을 때에, 블록 본체(1) 내에 생식하는 수생 생물을 하천(K2)측으로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구멍으로서도 기능하는 것이다.
또한, 전벽(4)에는, 상기 도주 구멍(50)보다도 더욱 하방으로 전면 통수공(51)을 테이퍼 형상으로 관통 형성하고 있다. 이 전면 통수공(51)은, 블록 본체(1) 내의 물의 순환을 조장하기 위해 형성하고 있는 것이지만, 도주 구멍(50)과 동일하게, 하천(K2)의 수량이 감소했을 때에 블록 본체(1) 내에 생식하는 수생 생물을 하천(K2) 측으로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구멍으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이 도주 구멍(50)은, 도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梁) 형상의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를 적용한 옹벽의 블록 본체(1)에 관통 형성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즉, 이 도주 구멍(50)은,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형상에 관계없이, 블록 본체(1)의 전벽에 관통 형성함으로써, 수생 생물이 블록 본체(1)와 하천(K2)과의 사이를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다.
좌·우측벽(6, 7)에는, 직사각형상의 측면 통수공(52)을 관통 형성하고 있 다. 이 측면 통수공(52)은, 옹벽 블록(A3)의 좌우 방향으로의 물순환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 형성하고 있고, 몸체 채움재(D) 중의 물의 막힘을 감소시켜, 수생 생물의 생육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런데, 도9 에 있어서, 옹벽 블록(A4)은, 옹벽 블록(A3)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지만, 강바닥(K1)에 매몰된 상태로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옹벽 블록(A4)을 강바닥(K1)에 매몰한 경우에는, 옹벽 블록(A4)의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와 블록 본체(1)의 전벽(4)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강바닥(K1)의 토양을 유입시켜, 수생 식물을 번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천(K2)의 수생 식물의 양을 늘릴 수 있고, 하천(K2)의 자연 환경을 보다 풍요로운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하천(K2)의 수류 등에 의해, 옹벽 블록(A4)의 상기 공간으로부터 토양이 제거된 경우에는, 하천수로 채워지게 되어, 상기 공간을 고기집용 공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천(K2)의 수위가 극도로 저하하여 강바닥(K1) 부근까지 강하한 경우라도, 옹벽 블록(A4)의 상기 공간에 하천수가 저류되어 있는 상태이면, 동 공간을 고기집용 공간과 겸하여, 물 웅덩이를 요구하는 수생 생물의 대피 장소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고기집용 공간에는, 비교적 큰 자갈 등을 넣음으로써, 보다 수생 생물의 생식 환경을 정돈하도록 해도 좋다. 이때, 자갈 사이는 수생 생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충분한 간극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집짓기 공간(E)은,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고, 몸체 채움재(D)로 채우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도 또한, 몸체 채움재(D) 사이는, 수생 생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충분한 간극을 형성하고, 병행하여, 도주 구멍(50)을 통하여 수생 생물이 본체 블록의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도주 구멍(50)을 완전히 폐쇄하도록 몸체 채움재(D)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이 옹벽 블록(A4)을 설치하는 주변 수역의 수생 생물이 빠져나갈 수 있을 정도의 틈이 생기도록 몸체 채움재(D)를 충전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옹벽 블록(A3)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14 에 나타낸다. 도14 는, 계단 형상으로 형상한 옹벽(Y)의 옹벽 블록(A3)을 확대하여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옹벽 블록(A3)에 의하면, 블록 본체(1)의 내부에 여러가지 수생 생물을 생식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는, 전후 칸막이편(36)과 전벽(4)과의 사이를 넓히면서도, 전후 칸막이편(36)의 하부에 전후 칸막이편 각부(53)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고기집 공간을 넓게 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수생 생물(M1)과 같이 여유를 가지고 고기집 공간을 유영할 수 있고, 동시에, 몸체 채움재(D)가 블록 본체(1)로부터 고기집용 연통로(35)를 통하여 유출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상면(전후 칸막이편(36)의 상면)과, 또한 상단의 블록 본체(1)의 전벽(4)의 하단면과의 사이에는 틈(H)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수생 생물(M2)이나 수생 생물(M3)과 같이, 고기집용 공간과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배면측과의 사이에서 왕래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하면 근방에는, 몸체 채움재(D)의 양을 줄여 집짓기 공간(E)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수생 생물(M4)과 같이, 수생 생물에 성육이나 집짓기의 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블록 본체(1)의 전벽(4)에는,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전후 칸막이편 각부(53)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의 근방에 도주 구멍(50)을 관통 형성하고 있다. 게다가, 수생 생물(M5)과 같이, 하천(K2)과 블록 본체(1)의 내부와의 사이에서, 수생 생물이 전벽(4)을 넘는 일 없이 왕래하기 위한 경로로 할 수 있다. 또한, 하천(K2)의 수량이 감소하여, 전벽(4)의 높이보다도 수위가 하회한 경우라도, 수생 생물(M5)과 같이, 블록 본체(1)의 내부로부터 하천(K2)으로 전벽(4)을 넘는 일 없이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옹벽 블록(A3)을 수생 생물의 바이오토프(biotope)로서 활용할 수 있어, 하천(K2)의 주변 수역에 있어서의 수생 생물의 생육 환경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15 에 옹벽 블록(A3)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나타낸다. 도15 는, 옹벽 블록(A3)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지만,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전후 칸막이편(36)과 블록 본체(1)의 전벽(4)과의 사이의 공간을 전후 간격 유지편(37)에 의해 구획하여 형성한 3개의 분할 공간 중, 중앙 분할 공간에 객토(G)를충전하여 식물을 식생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옹벽 블록(A3)의 분할 공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기집용 공간으로서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객토 충전 공간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중앙의 분할 공간에 객토(G)를 충전하여 구성한 옹벽 블록(A3)은, 평수위(하천이 통상의 수량시의 수위)로부터 저수위(하천의 수량이 적을 때의 수위)까지의 사이에 설치하는 옹벽 블록에 적용하면 좋다.
즉, 하천이 평수위인 경우에는, 객토가 수면하에 잠기어 수생 식물의 생육의 장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하천이 저수위로 된 경우에는, 객토가 수면상에 노출하여, 육생 식물의 생육의 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하천 환경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객토가 수면하에 잠기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충전한 객토가 하천의 유수에 의해 유출한 경우는, 이 분할 공간이 수중 공간으로 되어, 수생 생물의 피난처로서 활용되게 된다.
따라서, 도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천(K2)의 수위가 L3의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분할 공간은 고기집용 공간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한편, 하천(K2)의 수위가 L4의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분할 공간을 객토 충전 공간으로서 객토(G)를 충전하고, 식물을 심을 수 있어 옹벽(Y)의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 공간을 고기집용 공간으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전벽(4)의 고기집용 공간과 대향하는 위치에 도주 구멍(50)을 관통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객토(G)의 유출을 막기 위해, 전벽(4)의 객토 충전 공간으로서 이용한 분할 공간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전술한 도주 구멍(50)을 관통 형성하지 않도록 해 도 좋다.
다음으로,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변용예를 도16 에 나타낸다. 이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는, 전후 칸막이편(36)의 높이를, 동 전후 칸막이편(36)의 상단면이, 더욱 상단의 블록 본체(1)의 전벽(4)의 하단면에 맞닿는 높이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전후 칸막이편(36)의 상단면의 일부에 오목부(59)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59)를 통하여 고기집 공간과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의 배면(58)과의 사이에서, 틈(H)을 형성하여 수생 생물이 왕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에 의하면, 상단면이 더욱 상단의 블록 본체(1)의 전벽(4)의 하단면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하천(K2)의 수류에 의해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를 들어올리는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가 부상함으로써, 동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2)와 블록 본체(1)가 접촉을 반복하여 일어하는 쌍방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3)
- 계단 형상의 옹벽을 축조할 때에 계단 형상으로 단(段)쌓기되는 블록 본체를 갖는 옹벽 블록으로서,상기 블록 본체는, 적어도 전벽(前壁), 좌측벽 및, 우측벽을 구비하고, 또한 상면에 개구를 구비하고 있고,상기 블록 본체의 내부에 몸체 채움재가 단순 쌓기 되어 있고,출수(出水)시에, 단순 쌓기된 상기 몸체 채움재가 단쌓기된 상기 블록 본체의 상면의 개구로부터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가 설치되어 있고,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와 상기 블록 본체의 전벽과의 사이에, 고기집용 공간 또는 객토 충전용 공간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서 이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블록 본체는, 그 전벽에, 상기 고기집용 공간과 옹벽 블록의 외부를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는, 상기 블록 본체 내의 공간을 전후로 칸막 이하는 전후 칸막이편과, 상기 전후 칸막이편과 상기 블록 본체의 전벽과의 간격을 유지하는 전후 간격 유지편을 구비하며,상기 전후 칸막이편 및 전후 간격 유지편과, 상기 블록 본체의 전벽 및 좌우측벽에 의해, 옹벽 블록의 외부로 연이어 통하는 고기집용 연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 제3항에 있어서,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전후 칸막이편과 상기 블록 본체의 전벽과의 사이의 상기 공간은, 상기 전후 간격 유지편에 의해 복수의 분할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고,상기 복수의 분할 공간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고기집용 공간이며, 상기 블록 본체는, 그 전벽에, 상기 분할 공간과 옹벽 블록의 외부를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는, 단쌓기된 상단(上段)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전벽 전면(前面)이,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후단과 전단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전후 칸막이편과 상기 상단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전벽과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 제5항에 있어서,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전후 칸막이편은, 상기 상단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전벽에 맞닿는 상단면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틈을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블록 본체는, 그 좌우측벽에, 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를 수평걸기(橫架) 형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전후 칸막이편은, 그 하부에, 상기 블록 본체의 전벽측으로 돌출하는 전후 칸막이편 각부(脚部)를 구비하고 있고,상기 블록 본체의 전후 칸막이편 지지부는, 상기 전후 칸막이편의 하부의 하면이 맞닿는 하부 지지면과, 상기 전후 칸막이편 각부의 하면이 맞닿는 각부 지지면과, 상기 전후 칸막이편 각부의 전면이 맞닿는 각부 전면 유지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전후 칸막이편 각부는, 상기 블록 본체의 전벽과의 사이에 빈틈이 형성되는 상태로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는, 적어도, 상하 칸막이편과 전후 칸막이편에 의해, 객토 충전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들 칸막이편과 블록 본체의 전벽과 좌우측벽에 의해, 객토를 충전하기 위한 객토 충전부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 제10항에 있어서,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의 상하 칸막이편에, 상하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는 상하 연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 연통공을 객토 충전용 공간의 일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 제11항에 있어서,상하 연통공의 저부에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용 그물체(網體)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 제1항 및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블록 본체의 좌우측벽에는, 몸체 채움재 유출 방지체를 수평걸기 형상 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314450 | 2005-10-28 | ||
JPJP-P-2005-00314450 | 2005-10-28 | ||
JP2006200147 | 2006-07-22 | ||
JPJP-P-2006-00200147 | 2006-07-2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0630A true KR20080070630A (ko) | 2008-07-30 |
Family
ID=3796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09572A KR20080070630A (ko) | 2005-10-28 | 2006-10-28 | 옹벽 블록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WO2007049773A1 (ko) |
KR (1) | KR20080070630A (ko) |
WO (1) | WO200704977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49927A (ja) * | 2008-04-07 | 2009-10-29 | Toei Shoko Kk | 擁壁構造 |
CN114622518B (zh) * | 2022-02-21 | 2023-05-09 |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 一种消落带岩石边坡挑板堆石生态巢穴及建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20693A (ja) * | 1994-10-26 | 1996-05-14 | Paritei Jipangu:Kk | 擁 壁 |
JP3923449B2 (ja) * | 2002-06-07 | 2007-05-30 | 東栄商興株式会社 | 擁壁ブロック |
-
2006
- 2006-10-28 JP JP2007542712A patent/JPWO2007049773A1/ja active Pending
- 2006-10-28 KR KR1020087009572A patent/KR2008007063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6-10-28 WO PCT/JP2006/321578 patent/WO200704977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7049773A1 (ja) | 2007-05-03 |
JPWO2007049773A1 (ja) | 2009-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78413B1 (ko) | 하천사면을 따라 승하강 조절되는 친환경적인 부력식생태시설 설치구조 | |
KR100801017B1 (ko) | 조립식 수로용 옹벽 | |
KR100654936B1 (ko) | 옹벽 블록 시공 방법 | |
JP3416097B2 (ja) | 生態安定化ブロック | |
KR20080070630A (ko) | 옹벽 블록 | |
KR100892421B1 (ko) | 식생용 옹벽블럭 | |
JP5065527B2 (ja) | 擁壁構造及び植栽可能な擁壁構築法 | |
CN207987862U (zh) | 一种绿色生态护坡水岸结构 | |
KR101223653B1 (ko) | 여울목 및 수중 도랑을 구비한 다단 생태하천 수중보와 그의 시공방법 | |
JP2709427B2 (ja) | 魚巣付き護岸 | |
KR100665693B1 (ko) | 호안기초 기능을 구비한 어소블록 | |
JP4295405B2 (ja) | 環境共生型緑化用擁壁ブロック及びそのブロックに使用されるブロック本体 | |
JPH05302312A (ja) | 生態系改善型護岸構造 | |
JP2008025119A (ja) | 水際用ブロック | |
KR100746128B1 (ko) |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축조방법 | |
KR200297571Y1 (ko) | 식생 옹벽 구조체 | |
KR200274533Y1 (ko) | 하천의 생태옹벽 | |
KR200357964Y1 (ko) | 옹벽 블록 | |
JP2709430B2 (ja) | 魚巣ブロック | |
KR200338756Y1 (ko) | 식생블록구조체 | |
KR100478158B1 (ko) | 에코투인박스 | |
KR20240146169A (ko) | 식생의 양육이 가능한 물고기용 도보 | |
JP2709429B2 (ja) | 魚巣ブロック | |
JP3610119B2 (ja) | 魚巣用積ブロック及びその施工方法 | |
JP3841086B2 (ja) | 生態系保全・再生護岸ブロッ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