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2543A - 유도로 형성용 블록, 유도로를 구비한 벽 구축용 패널재 및형틀 - Google Patents

유도로 형성용 블록, 유도로를 구비한 벽 구축용 패널재 및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2543A
KR20050052543A KR1020057006935A KR20057006935A KR20050052543A KR 20050052543 A KR20050052543 A KR 20050052543A KR 1020057006935 A KR1020057006935 A KR 1020057006935A KR 20057006935 A KR20057006935 A KR 20057006935A KR 20050052543 A KR20050052543 A KR 20050052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induction furnace
forming
wall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가유기 오트스기
슈지 노무라
Original Assignee
란데스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란데스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란데스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2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54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복수개의 블록의 단쌓기에 의해 연속된 유도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블록 전면에 있어서 볼록 라인, 오목 라인, 또는 단차를 그 단부가 인접하는 블록간에서 연속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이다. 볼록 라인, 오목 라인, 또는 단차는 상단 블록과 하단 블록으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하여 골쌓기에 의해 유도로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유도로에는 블록 전면 단부 또는 중간 정도에 평탄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벽면에 완성한 사로는 개구리, 영원 등의 양서류나 반디의 유충 등의 곤충류도 사로를 따라 수중으로부터 육상으로 또는 그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유도로 형성용 블록, 유도로를 구비한 벽 구축용 패널재 및 형틀{Block for forming leading passage, and panel member and frame for constructing wall body with leading passage}
본 발명은 옹벽이나 호안 등의 벽에 있어서 완사면을 이루는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소동물의 이동이나 생물의 생식환경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유도로(誘導路) 형성용 블록과, 완성한 기설(旣設)의 벽의 전면(前面)에 점착 고정하여 유도로를 형성하는 패널재, 및 벽 구축시에 사용하여 벽 전면에 유도로를 형성하는 형틀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이 소동물의 이동의 방해가 되거나, 생식환경을 파괴하고 있는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부터 여러 가지 구조의 블록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협수로(狹水路)로 전락한 소동물의 탈출 유도를 도모하기 위해서, U자형 측홈의 외측 임의위치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연설함으로써 지표면까지의 유도로로서 기능하는 경사벽을 구비한 블록(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32097호), 일반적인 수로 블록의 일내벽면 또는 양 내벽면을 따르도록 설치하면 계단형 또는 조면형(粗面狀)의 사로가 형성되는 블록(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250121호), 수로통 블록 본체에 탈출용 슬로프를 형성한 것(일본실공평6-26569호), U자형 측홈에 있어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바깥쪽 팽출부의 층계참으로부터 탈출용 사면을 형성한 것(일본실공평7-54383호) 등이 예시된다.
측홈이나 협수로와 같이, 폭이 좁고 지표면으로부터 그다지 깊지 않은 통수로의 경우에는 상기 블록 측벽의 일부에 개구를 설치하여 탈출 유도로를 형성하는 블록을 연설하거나,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블록의 일부에 유도로를 구비한 블록을 넣는 것으로 대응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의 블록을 시냇물이나 하천, 해안, 도로 등에 있어서의 측벽이나 옹벽 등의 벽에 대하여 설치하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 불가능하다.
즉, 이들 벽은 다수개의 블록을 켜쌓기나 골쌓기하는 단쌓기 시공에 의해서 높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뿐만 아니라, 거의 수직으로 자른 벽면으로 형성되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벽체의 전면 부분이 전체적으로 평활한 상태로 마무리되어 있거나, 하단 블록과 상단 블록의 사이가 완전히 분단되어 있거나 하였기 때문에, 소동물이 아래로부터 기어오르거나, 반대로 육상으로부터 물가로 이동하는 것이 극히 곤란하였다.
또한, 측홈이나 협수로이면, 소동물이 물과 함께 흐르는 동안에 유도로가 연설된 개구 부분이나 유도로의 층계참 부분에 겨우 도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광범위하게 시공되는 것이 통례인 벽의 경우, 벽과 미시공인채로 남겨진 절단해서 낸 길이나 물가와의 경계 부분과 같은, 유도로가 될 수 있는 장소에까지 소동물이 겨우 도착하는 것은 거의 기적에 가깝다.
또, 새롭게 구축되는 벽 외에, 완성한 기설의 벽에 있어서 소동물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은 없었고, 시공현장에서 형틀을 사용하여 직접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벽 구축방법에 대응시킬 필요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블록을 사용하여 단쌓기에 의해 벽을 형성한 경우에, 소동물의 탈출 그 밖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유도로(이하, 단순히 「사로(斜路)」라고도 한다)를 대략 연속시킨 상태로 형성할 수 있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의 제공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완성한 기설의 벽 전면에 대하여 점착 고정함으로써 소동물의 탈출 유도로(사로)를 대략 연속시킨 상태로 형성할 수 있는 패널재의 제공을 제 2 목적으로 하고, 또한, 벽을 새롭게 설치할 때에 사용하면 간이하게 유도로를 형성할 수 있는 형틀의 제공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유도로의 창출과 동시에 식생도 배려하여, 다자연형의 벽면을 형성함으로써, 생물이 생식할 수 있는 환경의 재생을 종합적으로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에 의해 구축된 옹벽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블록의 평면도.
도 3은 상기 블록의 정면도.
도 4는 상기 블록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에 의해 구축된 옹벽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상기 블록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의 더욱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다른 블록을 사용하여 구축된 옹벽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상기 옹벽을 구성하는 블록의 하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상기 옹벽을 구성하는 다른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2종류의 쌓기 블록으로 유도로를 형성한 예를 도시하는 옹벽의 정면도.
도 12는 상기 옹벽에 사용한 블록의 하나의 정면도.
도 13은 상기 블록의 측면도.
도 14는 상기 블록의 저면도.
도 15는 도 11의 옹벽에 사용한 블록의 다른 하나의 정면도.
도 16은 상기 블록의 측면도.
도 17은 개구리 등의 양서류가 유도로를 이동하고 있는 모양을 도시하는 동 옹벽의 오목부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의 더욱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9는 볼록 라인을 단부가 블록의 양단 가장자리에 도달하지 않을 정도로 형성하여 유도로를 형성하도록 한 예의 옹벽의 정면도.
도 20은 상기 옹벽에 사용한 유도로 형성용 블록의 평면도.
도 21은 상기 블록의 측면도.
도 22는 상기 옹벽에 있어서 개구리가 유도로를 이동하고 있는 모양을 도시하는 오목부 사시도.
도 23은 블록의 전면에 유도로를 형성한 다른 예의 사시도.
도 24는 블록의 전면에 유도로를 형성한 더욱 다른 예의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6은 상기 블록의 평면도.
도 27은 상기 블록의 우측면도.
도 28은 상기 블록의 X-X단면도.
도 29는 상기 블록의 시공도.
도 30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의 더욱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측 사시도.
도 31은 상기 블록의 저면측 사시도.
도 32는 상기 블록의 시공도.
도 3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4는 상기 블록을 다단으로 적층한 시공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5는 상기 블록을 다단으로 적층한 다른 시공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6a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의 더욱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6b는 그 우측면도.
도 37은 동 블록을 다단으로 적층한 시공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8a는 앞의 도 36에 도시한 블록에 있어서의 연결부로서 다른 형태를 채용한 예의 정면도, 도 38b는 그 우측면도이며, 도 38c는 X-X 단면도이고, 도 39는 상기 블록의 시공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0은 더욱 다른 예의 블록을 사용하여 시공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패널재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2는 상기 패널재를 기설 벽 전면에 점착 고정한 예의 사시도.
도 4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패널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4는 상기 패널재를 기설 벽 전면에 점착 고정한 예의 사시도.
도 45는 다수개의 공동부를 설치한 패널 본체가 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에서는, 벽의 전면(화장면(化粧面))라인, 또는 단차를 그 단부가 인접하는 블록간에서 연속하는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하였다. 여기에 말하는 유도로란, 벽을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또는 그 역방향으로 생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길을 말하며, 반드시 비스듬하게 설치된 상태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고, 블록 전면 단부 또는 중반쯤에 유도로에 연속해 있는 대략 수평 방향의 평탄부(스테이지)를 갖도록 도중이 평탄하게 되어 있거나, 만곡되어 있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유도로는 블록 전면에 수직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사면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단 블록과 하단 블록에서 볼록 라인이 다른 방향으로 설치된 블록을 사용하여, 유도로를 대략 연속시켜 형성하도록 골쌓기하여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말하는 벽체는 수직 적층 옹벽이어도, 경사 적층 옹벽, 기대기식 옹벽 등의 옹벽이어도 좋고, 이른바 옹벽면뿐만 아니라 작은 강의 측벽면 등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여기에 말하는 인접한다고 하는 것은 종횡 또는 비스듬하게 인접하는 것이다. 자세하게는 볼록 라인, 오목 라인, 또는 단차가 상단 블록과 하단 블록으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고, 골쌓기에 의해 유도로를 형성하도록 한 유도로 형성용 블록이라든가 유도로가 블록 전면의 단부 또는 중반쯤에 평탄부를 갖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 즉, 유도로가 평탄부 양측에 경사 아래쪽으로부터 상승, 또는 평탄부 양측으로부터 경사 위쪽으로 상승하도록 설치된 유도로 형성용 블록이 바람직하다. 평탄부는 생물에게 휴식의 장소를 제공하고, 상승 또는 하강하는 방향의 변경이나 선택의 기회를 준다. 물가부에 생식하는 생물에 있어서는 유도로가 상하로 연통함으로써, 수위의 변동에 관계없이 벽면상을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사로형의 물가부가 확보되어, 항상 생태에 알맞은 생식환경이 유지된다.
이러한 유도로 형성용 블록에는 유도로를 형성한 전면판의 배부 브레이스(brace)측에 공동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전면판에 연통 구멍을 설치하면, 벽은 돌이나 토사를 충전함으로써 투수성을 갖고, 생물을 건조로부터 보호할 수도 있다. 또한, 식생의 기반으로서도 유효하게 기능하기 때문에 생물에 생식공간을 주는 바람직한 형태가 된다.
상단 블록과 하단 블록에서 볼록 라인이 다른 방향으로 설치된 블록을 사용하여, 유도로를 형성하도록 골쌓기할 때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이 전면판과 브레이스(brace)부로 이루어지는 쌓기 블록형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도로에는 굄돌의 요철을 형성하거나, 유도로 또는 유도로 근방에 식생 기능을 부여하는 홈 또는 구멍을 설치하면 더욱 바람직한 다자연형의 형태가 된다. 또한, 블록의 화장면에 식생 기능을 부여하는 층을 만들거나 일체 성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식생 기능을 부여하는 층으로서는 다공질 콘크리트나 목분(木粉) 등의 유기질, 탄소질, 그 식생에 적합한 물자의 고화체층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에서는 벽체를 구성하는 블록을, 블록 전면 상부의 천정면 부분이 하강 완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개의 블록을 다단쌓기할 때에는 상기 하강 완사면이 복수개의 블록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사로가 되도록 형성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사로는 전기의 유도로와 동의이다.
블록 전면 상부의 천정면 부분을 하강 완사면으로 형성 가능하면 개개의 블록의 형상은 상관없지만, 보다 구체적인 형상으로서는 블록 전면이 수평 방향으로 길고 편평한 대략 육각형상을 하고 있고, 하강 완사면이 평탄한 스테이지부를 중앙에 배치하여 좌우에 각각 연설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블록 전면이 이등변삼각형상을 하고 있고, 하강 완사면이 두개의 등변의 천정면 부분에 설치된 것이나, 블록 전면보다 후방측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위쪽에 설치된 돌기부의 천정면 부분이 하강 완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복수개의 블록을 다단쌓기할 때에는 상기 하강 완사면이 블록 전면 상부의 천정면 부분을 개재하면서 복수개의 블록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사로가 되는 것도 채용할 수 있다. 또, 블록 전면이 이등변삼각형상을 한 경우, 블록의 상하 방향을 순차로 역방향으로 하면서 가로 방향으로 나열하게 된다.
하강 완사면, 즉 사로의 표면은 소동물의 이동을 배려하여, 요철형 또는 조면형으로 형성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표면에 소돌기나 작은 구덩이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치하여 보거나, 표면을 소계단형으로 형성하거나, 여러 가지 굄돌 가공을 채용할 수 있는 점은 앞의 유도로 형성용 블록과 같다.
블록 전면이 대략 수직면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는 블록을 다단쌓기할 때에, 하단에 위치하는 블록보다 상단에 위치하는 블록을 배면 방향으로 엇갈리게 하여 계단형으로 배치하는 것으로, 개개의 블록에 형성된 하강 완사면을 연속시킬 수 있다. 한편, 블록을 수직 방향으로 다단쌓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하강 완사면을 구비한 블록 전면 상부를 하강 완사면이 없는 블록 전면 하부보다 전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는 것으로 대응할 수 있다.
블록의 적층 방법에 관계없이, 블록의 천정면과 저면에 있어서, 다단쌓기되는 블록끼리의 연결부를 대응 형성하여 두면, 시공의 신속화나 탈락 방지가 도모된다. 특히 블록을 계단형으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상단에 위치하는 블록을 배면 방향으로 엇갈리게 할 때의 위치 결정이 용이해진다. 연결부로서는 돌기와 그것에 대응하는 요함부나 결합 구멍의 조합 외에, 핀을 사용한 연결방법, 별도 연결부재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예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에서는 블록 전면과 배면 브레이스부의 사이에 공동부를 설치하여, 상기 공동부와 연통하는 개구를 블록 전면 또는 상면에 천공함으로써, 식생이 가능한 다자연형의 벽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블록을 계단형으로 설치하는 경우, 하단에 위치하는 블록의 상부 천정면이 노출되게 되기 때문에, 천정면에 천공한 개구(투공)로부터 노출된 채우기 토사 등으로부터 식생이 도모되고, 블록 전면을 패널판형으로 형성하여 공동부까지 연통하는 개구가 노출되도록 하여 두면, 역시 채워진 토사 등으로부터 자연스러운 식생이 도모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은 배면 브레이스부를 포함한 전체를 콘크리트제의 일체 성형품으로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배면 브레이스부의 전부 또는 일부에 금속제나 섬유제의 네트를 사용한 것, 예를 들면 콘크리트제로 대략 판형상을 한 블록 전면보다 배면측에 대략 ㄷ자형의 철망이 연설되어, 전체적으로 박스 형상을 한 것 등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완성한 벽체 전면에 점착 고정되는 콘크리트제 패널재로서, 전면측에 볼록 라인, 요함부 또는 단차가 설치되어 있고, 벽체 전면에 점착 고정하였을 때에는 상기 볼록 라인 등의 단부가 인접하는 패널간에서 연속하여,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완사면을 이루는 유도로가 형성되는 패널재로 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유도로의 의의나, 유도로의 표면에 여러 가지 굄돌 가공을 채용할 수 있는 점은 이전의 유도로 형성용 블록과 같다.
한편, 현장 타설에 의해 콘크리트제 벽을 구축하는 경우의 형틀로서는 콘크리트 타설면측에 볼록 라인, 요함부 또는 단차가 설치되어 있고, 벽이 완성되었을 때에는 벽 전면에 있어서 상기 볼록 라인 등이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완사면을 이루는 유도로가 전사 형성되는 것을 사용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형틀을 뗀 후의 완성한 콘크리트제 벽의 전면에 형성된 탈출용 유도로에 의해서 소동물의 이동이 확보되게 된다. 형틀은 유도로의 전사 형성용의 볼록 라인 등을 포함한 전용 형틀로 하여도 좋고, 종래의 합판제 또는 금속제의 형틀의 콘크리트 타설면에 대하여 장착 사용하는 발포스티롤제 등의 경량 전사 형틀로 하여도 좋다.
또한, 소위 버림 형틀이라고 불리는 형틀로서, 콘크리트 타설면측에 배근을 구비하는 한편, 전면측에 볼록 라인, 요함부 또는 단차가 설치되어 있고, 벽이 완성되었을 때에는 벽 전면에 있어서 상기 볼록 라인 등이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완사면을 이루는 유도로로 형성되는 것도 사용된다. 이러한 버림 형틀로서는 발판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복수개를 쌓아 올리면서 고정시킨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형틀을 화장면으로 하면서 배근에 의해 타설 콘크리트와 일체화한 구조물이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완성한 옹벽 등의 전면에 형성되는 탈출용 유도로에 의해서 소동물의 이동이 확보되게 된다.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유도로 형성용 블록에서는 박스형을 한 본체의 블록 전면(화장면)에 있어서 대략 X자형을 이루도록 연속하는 유도로(1a, 1b)가 배치되어 있다. 블록 전면 중반쯤에는 제 1 평탄부(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 1 평탄부(2)를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에 형성된 볼록부(3)와 위쪽에 형성된 오목부(4)에 의해서, 유도로(1a, 1b)가 입체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즉, 블록의 최하 가장자리 양측으로부터 제 1 평탄부(2)를 향하여 합류하도록 경사 위쪽으로 상승한 유도로(1a, 1a)는 제 1 평탄부(2)를 지나서, 블록의 최상 가장자리 양측으로 분기하여 경사 위쪽으로 상승하는 유도로(1b, 1b)가 되어, 연속된 유도로(1a, 1b)를 형성한다.
블록 전면에 있어서의 볼록부(3)는 블록 전면의 최하 가장자리보다도 그 가로 폭을 짧게, 소폭으로 설치되어 있고,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유도로 형성용 블록을 다단으로 쌓아 벽을 구성하였을 때에는 상단 블록과 하단 블록의 사이에 생물의 통로가 되는 제 2 평탄부(5)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제 2 평탄부(5)도, 유도로(사로)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예의 유도로 형성용 블록에서는 블록 전면 최상 가장자리의 중앙 부분에 제 1 평탄부(2)가 설치되어 있다. 유도로(1b, 1b)는 이 제 1 평탄부(2)로부터 좌우로 분기하여 비스듬하게 강하하도록 연설된 후, 블록 양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 2 평탄부(5, 5)에 도달하고 있다. 이 제 2 평탄부(5, 5)로부터 더욱 블록 최하 가장자리의 중앙 부근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강하하는 유도로(1a, 1a)가 연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도로 형성용 블록을 다단으로 쌓았을 때에는 상단 블록의 유도로(1a, 1a)가 하단 블록의 제 1 평탄부(2)와 연속하도록 되어 있다.
본 예의 유도로 형성용 블록에서는 박스형을 한 본체의 브레이스측 공간과의 사이에서, 상하의 블록을 쌓았을 때에 블록 내외로 연통 구멍이 생기도록, 전벽에 오목부(7, 7)가 배치되는 동시에, 생물에게 집을 제공하는 가로 구멍(8)이 천공되어 있다. 가로 구멍(8)은 구덩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박스형 본체의 내부공간에 연통하는 투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다른 예의 유도로 형성용 블록을 도시하는 사시도이지만, 이 블록의 기본 형상은 앞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에 가깝다. 유도로(1a, 1a)는 블록 최하 가장자리 양단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상승하여 블록 중앙에 위치하는 제 1 평탄부(2)에서 합류하고, 이어서 제 1 평탄부(2)로부터 분기한 유도로(1b, 1b)가 블록 최상 가장자리 양단에까지 비스듬하게 상승하도록 연설되어 있다. 즉, 유도로(1a, 1b)는 제 1 평탄부(2)를 개재하여 정면에서 보아 대략 X자형으로 연속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유도로(1a, 1b) 및 제 1 평탄부(2)에는 굄돌의 요철(9)이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유도로(1a, 1b)를 따라, 토사의 퇴적 또는 충전에 의해서 식물이 무성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식생 기능을 갖는 홈(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의 블록을 쌓았을 때에 블록 내외에서 연통 구멍이 생기도록, 전벽에는 오목부(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박스형 블록의 배면판(11)에는 배후로부터의 통수(通水)를 가능하게 하는 통수 구멍(12)이 천공되어 있고, 또한, 측판(13)과 대들보(14)에는 인접하는 블록과의 연통 구멍(15)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블록의 상하 방향으로는 배근 구멍(16)이 설치되어 있다.
완성한 옹벽면에 형성되는 유도로가 인접하는 블록간에서 연속하도록 개개의 블록 표면에 단로(單路)로서 설치하고, 복수개의 블록의 단쌓기에 의해 연속된 상태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그와 같이 형성한 유도로 형성용 블록의 예를 도 8 이하에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그 일례로, 도 9에 도시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에서는 블록 전면에 있어서 좌측 아래쪽으로부터 우측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설치된 단유도로(1; 單誘導路)와 그 상부에 설치된 평탄부(17)가 보인다. 또, 도 10에 도시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에서는, 도 9의 예의 블록과 대칭을 이루도록, 단유도로(1)가 우측 아래쪽으로부터 좌측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블록에 있어서의 평탄부(17)는 상단 블록을 단쌓기함으로써, 단유도로(1)와 연속된 상태가 된다.
도 11 이하에는, 골쌓기되는 쌓기 블록으로 유도로를 형성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쌓기 블록 본체는 도 13이나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면판(18)과 브레이스부(19)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전면판(18)도 브레이스부(19)도, 관통 구멍을 설치하거나, 공동(空洞)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쌓기 블록 본체의 전면에 볼록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골쌓기에 의해 유도로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단 블록과 하단 블록에 각각 볼록 라인이 다른 방향으로 설치된 2종류의 블록을 사용하여, 이들을 적시 사용하여 골쌓기에 의해 연속된 유도로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그 중의 한쪽의 블록을 도시한 것으로, 이 블록에서는 전면판(18)의 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볼록 라인(20a)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은 또 한쪽의 쌓기 블록을 도시하고 있고, 전면판(18)의 길이 방향의 중앙에 볼록 라인(20b)을 형성하고 있다. 어느쪽의 블록에 있어서나, 볼록 라인(20a, 20b)의 양단부는 경사 리브에 의해서 보강되어 있다. 개구리 등의 양서류가 유도로를 이동하고 있는 모양을 도 17에 도시한다. 볼록 라인(20a, 20b)의 보강 리브는 소동물의 이동을 쉽게 하기 위해서, 도 18과 같이 소단면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유도로는 또, 다소 간헐적으로 설치하여도 좋다. 도 19 내지 도 22에 그 일례를 도시한다. 이들의 예에서는 볼록 라인(21)을 블록의 길이 방향 중앙에, 그 단부가 블록의 양단 가장자리에 도달하지 않을 정도로 형성하고 있다. 개구리가 유도로를 이동하고 있는 모양을 도 22에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볼록 라인(21)을 형성하는 사면은 요철의 굄돌면(23)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식물이 무성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볼록 라인(21)나 상기 사면의 적소에 식재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블록의 전면에 대략 연속된 유도로를 형성한 다른 실시예를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다. 사로와 평탄부로 이루어지는 대략 연속된 유도로(1)의 형성은 하부가 상부보다도 브레이스측으로 되어 있는 복수의 볼록부의 규칙적인 반복에 의한다. 이들을 도 24와 같이 모조석(擬石)상태로 형성하면, 더욱 경관상 바람직하게 된다.
도 2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6은 상기 블록의 평면도, 도 27은 상기 블록의 우측면도, 도 28은 상기 블록의 X-X단면도, 도 29는 상기 블록의 시공도이다. 이들에 도시된 예의 유도로 형성용 블록은 블록 전면(R1; 화장면)이 좌우 방향으로 길고 편평한 대략 육각형상을 한 것이고, 블록 전면(R1) 상부의 천정면 부분이 하강 완사면(R11)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패널형을 한 블록 전면(R1)의 두께를 이용하여 하강 완사면(R11)을 확보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록의 최상면 부분을 평탄한 스테이지부(R12)로 하고, 상기 스테이지부(R12)를 중앙으로 하여 좌우 방향에 각각 하강 완사면(R11, R11)이 연설된 형태를 하고 있다. 이들 좌우의 완사면(R11, R11)의 표면이나, 스테이지부(R12)의 표면은 요철형 또는 조면형으로 형성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 전면(R1)의 표면측(화장면측)은 호안 설치시의 경관을 배려하여, 자연석을 모방한 모조석 모양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 부분과, 좌우에 각 1개씩, 모조석 모양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부정(不定)형상을 한 개구(R13a, R13b, R13c)가 천공되어 있다. 이들 개구(R13a, R13b, R13c)는 모두 블록 배면 브레이스부(R2)와의 사이에서의 각 공동부(R3a, R3b, R3c)와 연통해 있다. 도 2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3개의 공동부 중, 좌우의 공동부(R3b, R3c)에는 바닥판이 없이 상부로부터 바닥부까지가 관통하여 투수성이 확보되어 있지만, 중앙의 공동부(R3a)에는 바닥판(R5)이 있고, 그 중앙에 천공된 단면 유발형상을 한 물 제거용 소투공(R31)에 의해서 투수성이 확보되어 있다. 중앙의 공동부(R3a)에 바닥판(R5)을 설치한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블록을 다단쌓기할 때의 안정성 확보를 도모하면서, 블록 자체의 강도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본 예의 유도로 형성용 블록에서는 블록 전면(R1)이 대략 수직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단으로 쌓을 때에는 도 2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단에 위치하는 블록보다도 상단에 위치하는 블록을 배면 방향으로 엇갈리게 하면서, 계단형으로 설치된다. 각 블록의 좌우단으로 블록 전면(R1)과 블록 배면 브레이스부(R2)를 연결하는 리브(R4, R4)의 상면에는 연결부가 되는 오목부(R41, R41)가 설치되어 있고, 단쌓기로 한 각 블록에 인접하고 있는 상단측의 블록 전면(R1)의 저면 부분이 결합함으로써, 양 블록의 어긋남 고정이 도모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순차 블록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옹벽이나 호안의 전벽면에는 복수개의 블록에 걸쳐 상하 방향 비스듬하게, 또는 지그재그로, 하강 완사면(R11)과 스테이지부(R12)가 교대로 연속된 사로가 형성된다.
블록의 공동부(R3a, R3b, R3c)에는 쇄석(碎石)이나 토사가 채워져 형성되는 옹벽 등의 경사 각도에 따라서는 상단측의 블록이 하단측의 블록보다 한층 배면측에 가까이 두도록 배치되게 되어, 노출된 블록 공동부(R3a, R3b, R3c)의 상면 부분으로부터 더욱 효과적인 식생이 도모되게 된다. 블록 전면(R1)의 개구(R13a, R13b, R13c)는 사로를 이동하는 소동물의 집이 되거나, 수중에 묻힌 부분에서는 물고기 둥지가 될 수도 있다.
도 30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1은 상기 블록을 상하 반전하여 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예의 블록은 블록 전면(S1)이 이등변삼각형상을 하고 있고, 경사진 두개의 등변에 있어서 블록 전면측에 위치한 천정면 부분이 하강 완사면(S11, S11)을 이루는 것이다.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전면(S1)과 블록 배면 브레이스부(S2)는 3개의 리브(S4, S4, S4)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이들 블록 전면(S1)과 블록 배면 브레이스부(S2)의 사이가 공동부(S3)가 되고, 각 리브(S4, S4, S4)간의 개구가 공동부(S3)와 연통해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앞의 예의 블록과 같이, 블록 전면(S1)에는 자연석을 모방한 요철모양을 실시하여도 좋고, 공동부(S3)에 연통하는 개구를 설치하여도 좋다.
도 32는 도 30 및 도 31의 예의 블록을 다단으로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 시공도이다. 본 예의 블록에서는 교대로 상하 방향을 반대로 하면서 옆으로 나열하여 1단째가 형성되고, 그 상단에도 마찬가지로 하여 교대로 상하 방향을 반대로 하면서 옆으로 나열하여 2단째가 형성되고, 이것이 반복함으로써 다단으로 적층된 옹벽 등이 완성된다. 1단째보다 2단째를 배면측에 가까이 하도록 엇갈리게 하여 계단형으로 적층하는 점은 앞의 도 29의 시공예와 같지만, 본 예에서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더욱 같은 단으로 두개의 등변이 하향이 되도록 배치된 블록을 배면측에 가까이 하도록 엇갈리게 하고, 두개의 등변이 상향이 되도록 배치된 블록의 하강 완사면(S11, S11)이 노출되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 두개의 등변이 하향이 되도록 배치된 블록에서는 블록 전면(S1)의 저변 부분이 평탄한 스테이지부(S12)가 되고, 이 스테이지부(S12)를 개재하면서, 하강 완사면(S11)이 상하 방향 비스듬하게, 또는 지그재그로 연속된 사로가 형성되게 된다. 도면 중, 격자형 모양을 표시한 부분은 쇄석이나 토사 등이 채워진 공동부(S3)이기 때문에, 스테이지부(S12)보다 배면측에 위치하는 이들 공동부(S3)의 토사 등이 노출되도록 블록을 엇갈리게 하여 적층함으로써, 노출된 토사 등으로부터 식생이 도모된다.
도 3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의 더욱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예의 블록에서는 정면에서 보아 횡직사각형을 한 블록 전면(T1)과, 동 형상을 한 블록 배면 브레이스부(T2)의 거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 정면에서 보아 대략 산 형상을 한 돌기부(T5)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T5)에는 상당 정도의 두께가 확보되어 있고, 이 두께를 이용하여, 돌기부(T5)의 정상부 천정면 부분을 스테이지부(T12)로 하면서, 이 스테이지부(T12)로부터 블록 좌우단으로 계속되는 사면을 하강 완사면(T11, T11)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블록 전면(T1)으로부터 배면측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위쪽에 설치된 돌기부(T5)와 블록 전면(T1)의 사이, 그리고 해당 돌기부(T5)와 블록 배면 브레이스부(T2)의 사이는 각각 중앙의 리브(T4)로 2개로 분할되고, 상하로 연통한 공동부(T3a, T3b)로 되어 있다.
도 34는 앞의 도 33에 도시한 예의 블록을 다단으로 적층한 시공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시공예에서는 하단에 위치하는 블록에 있어서의 돌기부(T5)의 배면측, 요컨대 배면 브레이스부(T2)의 위에 다음의 블록을 배치함으로써, 계단형의 옹벽면을 형성하고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돌기부(T5)의 정상부에 설치된 스테이지부(T12)의 높이는 블록 전면(T1)의 높이의 정확히 2배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단으로 켜쌓기된 시공상태에 있어서는 하단측 블록의 스테이지부(T12)와 상단측 블록에 있어서의 블록 전면(T1)의 천정면 부분이 연속하고, 그 결과, 하단에 위치한 블록에 있어서의 블록 전면(T1)의 천정면 부분으로부터 하강 완사면(T11)을 지나서 스테이지부(T12)를 통과하여, 상단의 블록에 있어서의 블록 전면(T1)의 천정면 부분으로 연속하는 사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 본 예의 블록에서도 도면 중 격자형 모양으로 도시된 공동부(T3a, T3b)에는 쇄석이나 토사가 채워져 식생이 도모되게 된다.
도 35는 앞의 도 33에 도시한 예의 블록을 다단으로 적층한 다른 시공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앞의 시공예에서는 다단으로 적층하는 블록은 상하단에서 같은 위치에 있도록 했지만, 본 시공예에서는 1단마다 블록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엇갈리게 하여 적층하면서, 하단에 위치하는 블록보다 상단에 위치하는 블록을 배면 방향으로 엇갈리게 하면서 계단형으로 배치하고 있다. 그 결과, 하단에 위치하는 블록의 하강 완사면(T11)을 지나서 스테이지부(T12)에 도달하고, 상단에 위치하는 블록에 있어서의 블록 전면(T1)의 천정면 부분을 지나서 하강 완사면(T11)에 도달하는 거리가 앞의 시공예의 경우에 비하여 짧아지기 때문에, 완성한 옹벽면에 있어서는 1단째의 블록에 있어서의 하강 완사면(T11)으로부터 다음 단의 블록에 있어서의 하강 완사면(T11)에 도착하기 쉽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소동물의 움직임이 더욱 스무스해진다고 생각된다.
도 36a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의 더욱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6b는 그 우측면도이다. 본 예의 블록에서도, 정면에서 보아 대략 가로로 긴 육각형상을 한 블록 전면(U1)의 상부 천정면 부분에 있어서 평탄한 스테이지부(U12)를 중앙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각각 하강 완사면(U11, U11)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들 하강 완사면(U11, U11)을 구비한 블록 전면(U1)의 상부가 하강 완사면을 갖지 않는 블록 전면(U1) 하부보다도 전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앞의 예의 블록과 상위하고 있다. 또한, 블록 전면(U1)과 블록 배면 브레이스부(U2)의 사이에 공동부는 볼 수 없고, 그 대신에, 블록의 천정면측에 볼록이 되고, 블록의 저면측에 오목이 되는 연결부(U41)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도, 앞의 예의 블록과 상위가 보인다.
그리고, 종전 설명한 예의 블록과 달리, 본 예의 블록은 계단형으로 적층하는 것은 아니고, 수직 또는 급구배 사면으로 적층함으로써 옹벽면을 형성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즉, 도 37은 본 예의 블록의 시공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블록의 연결부(U41)가 상하 방향으로 결합하도록 연속하여 다단쌓기된다. 각 블록 배면 브레이스부(U2)에는 설치 사면과의 사이에 앵커(U5; anchor)가 설치되어 있고, 이 앵커(U5)에 의해서 블록을 고정하면서, 각 블록이 다단으로 적층하여 시공된 후에 뒤에 되메우기재(back-filling material)가 투입되게 된다. 적층된 블록이 옹벽으로서 완성된 상태에 있어서는 벽면으로부터 돌출한 블록 전면(U1)의 상부에 있어서의 하강 완사면(U11)과 스테이지부(U12)가 연속하고, 완성한 옹벽면에 있어서 상하 방향 비스듬하게, 또는 지그재그형의 사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 본 예의 블록을 수직 방향으로 쌓는 경우, 하강 완사면(U11)과 스테이지부(U12)가 모두 약간 경사 아래쪽으로 경사져 버리기 때문에, 그들의 표면에는 요철형 또는 조면형의 굄돌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효과적으로 소동물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하강 완사면(U11)과 스테이지부(U12) 부분을 홈형으로 한 요면부로 형성하면 좋다.
도 38a는 도 36의 블록에 있어서의 연결부로서 다른 형태를 채용한 예의 정면도이고, 도 38b는 우측면도이며, 도 38c는 X-X 단면도이다. 본 예의 블록에서는 연결부로서 결합 홈(U42)이 채용되어 있고, 블록의 배면측에서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 그리고 좌우 부분에 있어서 결합 홈(U42)이 설치되어 있다. 도 39는 동 블록의 시공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블록을 다단으로 쌓을 때에는 인접하는 블록의 결합 홈(U42)에 대하여 걸치도록 연결판(U6)을 끼움으로써, 블록끼리의 연결 고정이 도모된다. 연결판(U6)의 배면측에서는 설치 사면과의 사이에 앵커(U5)가 설치되어 있고, 이 앵커(U5)에 의해서 고정되면서 각 블록이 적층하여 시공된 후에 되메우기재가 투입되게 된다. 블록 상측 부분의 결합 홈(U42)에 보이는 노치(U43)는 앵커(U5) 결합용으로서 설치된 것이다.
이렇게 해서 다수개의 블록을 단쌓기 시공함으로써 형성된 옹벽은 뒤 되메우기재가 투입되어 완성되었을 때에는 앞의 예와 마찬가지로, 벽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블록 전면(U1)의 상부에 있어서의 하강 완사면(U11)과 스테이지부(U12)가 연속하여, 옹벽면 전체에 있어서 상하 방향 비스듬하게, 또는 지그재그형으로 연속하는 사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40은 더욱 다른 예의 블록을 사용하여 시공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예의 블록도, 정면에서 보아 대략 가로로 긴 육각형상을 한 블록 전면(V1)의 상부 천정면 부분에 있어서 평탄한 스테이지부(V12)를 중앙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각각 하강 완사면(V11, V11)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하강 완사면(V11, V11)을 구비한 블록 전면(V1)의 상부가 하강 완사면을 갖지 않는 블록 전면(V1) 하부보다도 전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점은 앞의 도 36의 블록 등과 같지만, 블록 전체가 배면 브레이스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면과 배면이 개방된 공동부(V3)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 상위하고 있다. 도면 중에 격자형 모양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동부(V3)의 내부에 쇄석이나 토사 등이 채워지면서 복수개의 블록이 다단으로 적층되면, 공동부(V3)의 전단 부분과 함께 스테이지부(V12)나 하강 완사면(V11, V11)이 벽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이들 스테이지부(V12)나 하강 완사면(V11, V11)이 연속함으로써, 옹벽면 전체에 있어서 상하 방향 비스듬하게, 또는 지그재그형으로 연속하는 사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4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패널재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예의 패널재는 가로로 긴 장방형을 한 패널 본체(P1A)의 전면에 있어서, 장변 방향 중앙에 한개의 볼록 라인(P2)이 설치된 것이다. 또한, 볼록 라인(P2)의 좌우단에는 상기 볼록 라인(P2)을 유지하도록 경사 리브(P3, P3)가 연설되어 있고, 이들 볼록 라인(P2)과 양단의 경사 리브(P3, P3)의 사이 부분이 요함부(P4)로 되어 있다. 한편, 패널 본체(P1A)의 배면은 통상은 돌기가 없는 평탄면으로 형성되지만, 패널재의 중량을 경감하기 위해서 주변부를 남기고 함몰한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패널재를 기설의 벽 전면에 점착 고정한 예를 도 42에 도시한다. 기설의 벽 전면(W)은 평활면인지 조면인지에 상관없고, 경사 각도에 관해서도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요는 패널재를 점착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벽이면 되는 것으로, 접착제나 앵커 등 각종 고정수단을 적시 선택 사용함으로써 점착 고정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앞의 도 40의 패널재와, 상기 패널재보다 약간 짧은 패널재를 조합하면서, 복수개의 패널재를 기설 벽 전면(W)의 하단 부근으로부터 상단까지 3단으로 그룹 분리하면서 연속 고정하고 있다. 당연한 일이지만, 그룹 분리하지 않고, 완전한 직선으로서 연속 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본 예에서는 기설 벽으로서 하천의 옹벽면을 상정하고 있고, 수면 위치를 고려하여 기설 벽 전면(W)의 하단보다 약간 가까운 위치로부터 패널재를 점착하고 있지만, 기설 벽 전면(W)의 최하단을 기점으로 하여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연속하여 점착된 패널재에 의해서, 인접하는 패널재와의 사이에 경사 리브(P3, P3)를 개재하면서, 각 패널재에 있어서의 볼록 라인(P2)의 단부끼리가 연속하여, 기설 벽 전면(W)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경사면을 이루는 유도로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 리브(P3, P3)에 끼워져 볼록 라인(P2)의 상측에 위치하는 요함부(P4)는 유도로를 이동하는 소동물의 휴식장소가 되고, 토사 등이 날려 쌓이면 잡초 등의 식생도 도모된다.
도 4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패널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의 도 41의 예의 패널재에 비하여 더욱 복잡한 형상을 하고 있지만, 역시 대략 횡직사각형상을 한 패널 본체(P1B)의 전면측에서, 상단 중앙에 설치된 평탄한 스테이지부(P8)를 개재하여 좌우 방향 아래쪽으로 경사진 제 1 단차(P5, P5)와, 양단으로부터 각각 꺽어 하단 중앙에 도달하는 아래쪽으로 경사진 제 2 단차(P6, P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단차(P5, P5)와 제 2 단차(P6, P6)의 사이에는 가로로 긴 삼각형상을 한 투공(P7, P7)이 천공되어 있다. 이들 투공(P7, P7)은 때로 소동물의 집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러한 패널재를 기설 벽 전면에 점착 고정한 예를 도 44에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패널 본체(P1B)는 상하 방향으로 겹쳐 쌓도록 점착 고정되어 있고, 또한 2개 정도를 상단측에 점착 고정함으로써, 기설 벽 전면(W)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에 도달할 때까지 연속하는 완사면을 이루는 유도로가 형성된다.
즉, 최하단에 위치하는 패널 본체(P1B)에서의 제 2 단차(P6, P6)를 시점으로 하는 유도로는 제 1 단차(P5, P5)로 이어지고, 각 패널 본체(P1B)의 스테이지부(P8)를 개재하면서, 상단에 위치하는 패널 본체(P1B)에서의 제 2 단차(P6, P6)로 이어지고, 지그재그가 되어 최상단에 위치하는 패널 본체(P1B)로 연속하는 것이다.
또, 도 44에 있어서 오른쪽에 점착 고정되어 있는 패널 본체(P1C)는 좌측에 점착 고정된 앞의 패널 본체(P1B)의 전면측 전체에 모조석과 같은 요철 모양을 실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전면측 전체에 요철 모양이 실시된 결과, 완성한 유도로의 표면도 요철형 또는 조면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유도로를 이동하는 소동물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의 방지가 도모되는 것이다.
이러한 패널재에는 1 내지 복수개의 공동부를 설치함으로써, 기설 벽 전면에 점착 고정하였을 때에는 풍부한 식생을 실현할 수 있다. 도 45는 다수개의 공동부를 설치한 패널 본체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 앞의 패널 본체(P1B나 P1C)를 기본 형상으로 하면서 제 1 단차(P5, P5)나 제 2 단차(P6, P6), 그리고 스테이지부(P8)와 배면판(P10)의 사이에 복수개의 공동부(P9)를 설치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예의 패널 본체(P1D)에서도, 앞의 예의 패널 본체(P1B, P1C)와 마찬가지로 제 1 단차(P5, P5)나 제 2 단차(P6, P6) 및 스테이지부(P8)는 각각 소동물의 유도로가 되는 것이지만, 공동부(P9)에 토사나 쇄석이 채워짐으로써, 뿌리 내린 식물이 소동물의 은신 장소로서도 기능하고, 패널 본체(P1D)가 수몰 부분에 점착 고정된 경우에 있어서는 쇄석 등의 빈틈이 어류의 집도 된다.
이상 설명한 패널재는 기설의 벽 전면에 대하여 점착 고정함으로써 사용되는 것이지만,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서 새롭게 벽의 구축 시공을 도모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면측에 볼록 라인, 요함부 또는 단차가 설치되어 있는 형틀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도 41의 패널재에 대응하는 개별 전사 형틀을 형성하여, 이것을 신설하고자 하는 벽 전면 구축용에 설치되는 형틀에 대하여 적시 위치에 배치 고정하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이 완성되었을 때에는 도 4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 전면에 있어서 볼록 라인 등이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완사면을 이루는 유도로가 전사 형성되게 된다.
또한, 도 43의 패널재에 대응하는 개별 전사 형틀을 형성하여, 역시 신설하는 벽 전면 구축용으로서 설치되는 형틀에 대하여 적시 배치 고정하여 두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이 완성되었을 때에는 도 4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 전면에 있어서 볼록 라인 등이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완사면을 이루는 유도로가 전사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전사면에서의 유도로 형성 부분을 요철형 또는 조면형으로 형성하여 두면, 완성한 벽 전면도 도 44의 우측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하는 소동물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도모된다.
또, 형틀로서는 콘크리트 타설면측이 되는 전 사면측에 볼록 라인, 요함부 또는 단차를 입체적으로 조각한 것이면, 발포폴리스티렌 등의 합성수지 발포체를 강철제 또는 목제의 패널에 점착 고정한, 종래 사용되었던 일반적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서 새롭게 벽의 구축 시공을 도모하는 경우로, 형틀을 그대로 구조물의 화장면으로 하는 버림 형틀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43에 예시되는 바와 같은 패널재의 배면측, 요컨대 콘크리트 타설면측에 배근을 돌출 설치시킨 것을 형틀로 한다. 배근으로서는 종래의 버림 형틀에 사용되고 있는 강철제의 L형 래그(leg)나 앵커 외에, 금속제나 섬유제의 네트 등도 적절하게 사용된다. 또는 쌓아 올린 형틀의 이면측을 앵글(angle)재 등으로 연결 시공하여도 좋다. 어떻든간에, 배면측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해서 일체화한 옹벽 등가 구축되어, 완성한 옹벽 등의 전면측에는 도 4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 전면에 있어서 볼록 라인 등이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완사면을 이루는 유도로가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패널재의 경우와 같이, 유도로 형성 부분을 요철형 또는 조면형으로 형성하여 두면, 완성한 벽 전면도 도 44의 우측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하는 소동물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도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은 복수개를 사용하여 켜쌓기나 골쌓기의 단쌓기를 하여 벽을 형성할 때에 유용하고, 벽을 높게 형성한 경우에도, 유도로(사로)를 대략 연속시킨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로는 개구리, 영원 등의 양서류나 반디의 유충 등의 곤충류도, 사로를 따라 수중으로부터 육상으로, 또는 그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높은 벽면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소동물은 사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결과, 옹벽 등의 설치공사에 의해 종래의 짐승 등 소동물의 이동로가 분단되어 버린 경우에 있어서도, 새로운 이동로의 확보가 도모되기 때문에, 생식환경에 대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도로가 평탄부 양측에 경사 아래쪽으로부터 상승 또는 평탄부 양측으로부터 경사 위쪽으로 상승하도록 설치한 유도로 형성용 블록을 사용하면, 벽의 사면에 복잡한 유도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블록 전면 상부의 천정면 부분을 하강 완사면으로 한 유도로 형성용 블록에서는 복수개를 다단쌓기로, 특히 하단에 위치하는 블록보다 상단에 위치하는 블록을 배면 방향으로 엇갈리게 하여 계단형으로 배치하면, 벽면으로서 높게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도, 벽면을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소동물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사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로 형성용 블록은 식생에도 배려가 이루어져 있고, 공동부에 채워진 쇄석이나 토사 부분으로부터 블록의 개구를 거쳐서 식물이 무성하여, 생물의 집이 확보되는 다자연형의 벽면의 형성이 용이하고, 물가부에 생식하는 생물에 있어서는 하천 등의 수위변동에 관계없이 항상 물가부가 확보되기 때문에, 안정한 생태계의 보전이 도모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도로를 구비한 벽 구축용 패널재를 사용하면, 기설 옹벽이나 호안과 같은 벽의 전면 부분에 점착 고정함으로써, 해당 현장에서의 소동물의 생식 상황에 적합한 형상이나 경로로서, 벽 전면을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소동물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유도로를 신설할 수 있다. 벽설치에 의해서 짐승 등 소동물의 이동로가 분단되어 버린 경우에 있어서도, 벽 전면에 점착 고정하는 것만으로 구조에 큰 개조를 가하지 않고 새로운 이동로를 확보할 수 있고, 생식환경의 재생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도로를 구비한 벽 구축용 형틀을 사용하면, 현장 타설에 의해 신설되는 콘크리트 벽 구축시에 있어서 형틀(경우에 따라서는 버림 형틀)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사용할 뿐으로, 해당 현장에서의 소동물의 생식 상황에 적합한 형상이나 경로로서, 벽 전면을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소동물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유도로를 병설할 수 있다.

Claims (23)

  1. 복수개의 블록의 단쌓기에 의해 연속된 유도로를 형성하도록, 블록 전면에 있어서 볼록 라인, 오목 라인, 또는 단차를 그 단부가 인접하는 블록간에서 연속하는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볼록 라인, 오목 라인, 또는 단차가 상단 블록과 하단 블록으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고, 골쌓기에 의해 유도로를 형성하도록 한 유도로 형성용 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유도로가 블록 전면 단부 또는 중반쯤에 평탄부를 갖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
  4. 제 1 항에 있어서, 유도로가 평탄부 양측에 경사 아래쪽으로부터 상승, 또는 평탄부 양측으로부터 경사 위쪽으로 상승하도록 설치된 유도로 형성용 블록.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로를 형성한 전면판의 배부 브레이스측에 공동부를 갖는 동시에, 상기 전면판에 연통 구멍을 설치한 유도로 형성용 블록.
  6. 제 2 항에 있어서, 유도로를 형성한 블록이 전면판과 브레이스부로 이루어지는 쌓기 블록형인 유도로 형성용 블록.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로에 굄돌의 요철을 형성한 유도로 형성용 블록.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로 또는 유도로 근방에 식생 기능을 부여하는 홈 또는 구멍을 설치한 유도로 형성용 블록.
  9. 블록 전면 상부의 천정면 부분이 하강 완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개의 블록을 다단쌓기할 때에는 상기 하강 완사면이 복수개의 블록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사로가 되는 것인 유도로 형성용 블록.
  10. 제 9 항에 있어서, 블록 전면이 수평 방향으로 길고 편평한 대략 육각형상을 하고 있고, 하강 완사면이 평탄한 스테이지부를 중앙에 배치하여 좌우에 각각 연설된 것인 유도로 형성용 블록.
  11. 제 9 항에 있어서, 블록 전면이 이등변삼각형상을 하고 있고, 하강 완사면이 두개의 등변의 천정면 부분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
  12. 블록 전면보다 배면측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위쪽에 설치된 돌기부의 천정면 부분이 하강 완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개의 블록을 다단쌓기할 때에는 상기 하강 완사면이, 블록 전면 상부의 천정면 부분을 개재하면서 복수개의 블록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사로가 되는 것인 유도로 형성용 블록.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강 완사면의 표면이 요철형 또는 조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유도로 형성용 블록.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록 전면이 대략 수직면을 이루고 있고, 다단쌓기할 때에는 하단에 위치하는 블록보다 상단에 위치하는 블록을 배면 방향으로 엇갈리게 하여 계단형으로 배치되는 것인 유도로 형성용 블록.
  15. 제 9 항, 제 10 항, 제 13 항 또는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강 완사면을 구비한 블록 전면 상부가 하강 완사면이 없는 블록 전면 하부보다 전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
  16. 제 9 항, 제 10 항, 제 13 항 또는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록의 천정면과 저면에 있어서, 다단쌓기되는 블록끼리의 연결부가 대응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
  17. 제 9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록 전면과 배면 브레이스부의 사이에 공동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동부와 연통하는 개구가 블록 전면 또는 상면에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로 형성용 블록.
  18. 완성한 벽 전면에 점착 고정되는 콘크리트제 패널재로, 전면측에 볼록 라인, 요함부 또는 단차가 설치되어 있고, 벽 전면에 점착 고정하였을 때에는 상기 볼록 라인 등의 단부끼리가 인접하는 패널간에서 연속하여,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완사면을 이루는 유도로로 형성되는 것인 유도로를 구비한 벽 구축용 패널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유도로의 표면이 요철형 또는 조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유도로를 구비한 벽 구축용 패널재.
  20. 콘크리트제 벽의 구축에 사용되는 형틀, 콘크리트 타설면측에 볼록 라인, 요함부 또는 단차가 설치되어 있고, 벽이 완성되었을 때에는 벽 전면에 있어서 상기 볼록 라인 등이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완사면을 이루는 유도로가 전사 형성되는 것인 유도로를 구비한 벽 구축용 형틀.
  21. 제 20 항에 있어서, 완성한 벽에 있어서의 유도로의 표면에 상당하는 콘크리트 타설면이 요철형 또는 조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유도로를 구비한 벽 구축용 형틀.
  22. 콘크리트제 벽의 구축에 사용되는 형틀로, 콘크리트 타설면측에 배근을 구비하는 한편, 전면측에 볼록 라인, 요함부 또는 단차가 설치되어 있고, 벽이 완성되었을 때에는 벽 전면에 있어서 상기 볼록 라인 등이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완사면을 이루는 유도로로 형성되는 것인 유도로를 구비한 벽 구축용 형틀.
  23. 제 22 항에 있어서, 유도로의 표면이 요철형 또는 조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유도로를 구비한 벽 구축용 형틀.
KR1020057006935A 2002-10-25 2003-10-23 유도로 형성용 블록, 유도로를 구비한 벽 구축용 패널재 및형틀 KR200500525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10499 2002-10-25
JP2002310499 2002-10-25
JP2003111893 2003-04-16
JPJP-P-2003-00111893 2003-04-16
JPJP-P-2003-00114336 2003-04-18
JP2003114336 2003-04-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543A true KR20050052543A (ko) 2005-06-02

Family

ID=3218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935A KR20050052543A (ko) 2002-10-25 2003-10-23 유도로 형성용 블록, 유도로를 구비한 벽 구축용 패널재 및형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190534B2 (ko)
KR (1) KR20050052543A (ko)
AU (1) AU2003275617A1 (ko)
DE (1) DE10393582T5 (ko)
WO (1) WO200403810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1175A2 (ko) * 2008-01-14 2009-07-23 생태활성화 블록
KR100925264B1 (ko) * 2008-12-03 2009-11-05 조을제 생태활성화 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8948B (en) * 2004-10-08 2009-01-07 Andrew Mountain Method of scour protection using fabric formwork to resemble rock armour protection
JP4960940B2 (ja) * 2008-09-19 2012-06-27 三和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小動物用通路付ブロックおよびこのブロックを配置した側溝
IT1395750B1 (it) * 2009-09-22 2012-10-19 Marani Elemento modulare per muri di sostegno a gravità.
JP5816420B2 (ja) * 2010-07-30 2015-11-18 ランデス株式会社 擁壁構築用貯水ブロ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4138A (ja) * 1991-09-30 1994-10-21 Kunio Watanabe 土留め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H05169409A (ja) * 1991-12-20 1993-07-09 Nippon Chem Kogyo Kk 表面模様つきコンクリート壁類の製造方法と、それに用いる成形型
JP2709428B2 (ja) * 1992-04-30 1998-02-04 昭和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魚巣付き落差工及び魚道
JP3339721B2 (ja) * 1993-04-12 2002-10-28 ランデス株式会社 水路用ブロック
JP2668824B2 (ja) * 1994-06-29 1997-10-27 ヨシコン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成形品及び製造装置
JP3013406U (ja) * 1995-01-06 1995-07-18 東北石材ブロック株式会社 多自然型河川護岸ブロック
JPH08269974A (ja) * 1995-03-31 1996-10-15 Ozawa Concrete Kogyo Kk 法面保護用捨型枠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250121A (ja) * 1996-03-15 1997-09-22 Hokuetsu:Kk 小動物脱出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取り付けてな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水路
JPH09296433A (ja) * 1996-05-08 1997-11-18 Nippon Kogyo Kk 護岸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製護岸
JPH10121498A (ja) * 1996-10-24 1998-05-12 Nippon Shinshiyuku Sochi Kogyo Kk 石積工用ブロック、石積工護岸及び道路の石積工擁壁
JP2000303427A (ja) * 1999-04-20 2000-10-31 Shimada Kk 多自然型護岸構造及び多自然型護岸擁壁ブロック
JP4295405B2 (ja) * 1999-10-22 2009-07-15 日本興業株式会社 環境共生型緑化用擁壁ブロック及びそのブロックに使用されるブロック本体
JP2002112626A (ja) * 2000-10-03 2002-04-16 Juichi Yamauchi 植物育成ブロック構築構造
JP2002275919A (ja) * 2001-03-13 2002-09-25 Gunma Kankyo Service:Kk コンクリート積ブロッ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1175A2 (ko) * 2008-01-14 2009-07-23 생태활성화 블록
WO2009091175A3 (ko) * 2008-01-14 2009-10-22 Cho Eul-Jae 생태활성화 블록
KR100925264B1 (ko) * 2008-12-03 2009-11-05 조을제 생태활성화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393582T5 (de) 2005-09-15
AU2003275617A1 (en) 2004-05-13
WO2004038105A1 (ja) 2004-05-06
JPWO2004038105A1 (ja) 2006-02-23
JP4190534B2 (ja) 200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625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50052543A (ko) 유도로 형성용 블록, 유도로를 구비한 벽 구축용 패널재 및형틀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JP4494456B2 (ja) 誘導路形成用ブロック
JP4457384B2 (ja) 魚道ブロック及びこの魚道用ブロックを使用した魚道施工工法
KR200340941Y1 (ko) 옹벽블록 겸용 어소블록
JP4139723B2 (ja) 擁壁ブロックおよび仕切り板ならびに擁壁の構築方法
KR1006484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설치구조
JP3475945B2 (ja) 粗石魚道ブロックおよび粗石式魚道
KR101129494B1 (ko) 식생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시공방법
JPH0682119U (ja) ホタル魚床環境護岸コンクリート製品
CN100430558C (zh) 引导路径形成用块材
JP3016040U (ja) 前面空積み背面練り積み土留擁壁
JP2965909B2 (ja) 生態系保全型擬石ブロック積み護岸構造
JPH0354185Y2 (ko)
JPH10114928A (ja) 河川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工
KR200363528Y1 (ko) 옹벽식생호안블록
JP3013406U (ja) 多自然型河川護岸ブロック
JP2644984B2 (ja) 河川床覆工構造と覆工擬石ユニット
KR200219578Y1 (ko) 하천의 어소, 유충 및 기초블록
KR20080070630A (ko) 옹벽 블록
KR200429329Y1 (ko)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
JP3328672B2 (ja) 護岸兼魚巣用ブロック
JP3610119B2 (ja) 魚巣用積ブロック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438261Y1 (ko) 어소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