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719B1 - 하천의 생태수로 - Google Patents

하천의 생태수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719B1
KR100458719B1 KR10-2001-0016654A KR20010016654A KR100458719B1 KR 100458719 B1 KR100458719 B1 KR 100458719B1 KR 20010016654 A KR20010016654 A KR 20010016654A KR 100458719 B1 KR100458719 B1 KR 100458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waterway
wall
retaining wal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6650A (ko
Inventor
김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Priority to KR10-2001-0016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719B1/ko
Publication of KR20020076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7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어류와 조류 및 곤충류가 공생·서식하기에 알맞은 환경여건을 갖춘 서식처를 조성하여 수변(水邊)생태계를 보호·유지할 수 있는 하천의 생태수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방(6) 내의 지하수를 하천으로 자연스럽게 유입시킬 수 있는 통수공(11)을 가진 옹벽체(1)와, 하천수가 조용히 유입될 수 있는 개구부(21)를 갖는 수로벽체(2)와를 저판 콘크리트부(3)로 연결 구성하고, 저판 콘크리트부(3)의 일정 개소에 하천바닥까지 연통시켜 상·하간의 생태계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연통부(31)를 구성하는 한편, 수로(생태수로) 내에 적정크기의 채움석(5)을 채워넣어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천의 생태수로{Water course line of rivers}
본 발명은 각종 어류와 조류 및 곤충류가 공생·서식하기에 알맞은 환경여건을 갖춘 서식처를 조성하여 수변(水邊)생태계를 보호·유지할 수 있는 하천의 생태수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수로나 하천의 법면(法面)에는 붕괴의 주원인이 되는 토사 유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석축이나 콘크리트 옹벽이 설치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으로 축조되는 석축이나 콘크리트 옹벽은 오히려 수변(水邊)생태계를 파괴시키는 필요악 요소로 작용한다.
예컨대 제방토사와 하천(용수로)의 내부 지중생태계가 교류할 수 없는 일종의 차단 벽 구조를 취하고 있음에 따른 생태계 순환을 억제,차단시킬 뿐 아니라 하천(용수로)바닥에서의 수초(水草) 생장을 막게 되는 바, 자연 그대로인 하천에서의 자생 수초들에 의해 자연 발생적으로 이루어지던 초자연적인 수질정화기능이 상실될 뿐만 아니라 각종 어류와 조류,곤충류의 서식처를 훼손시켜 급기야 수변(水邊)생태계가 파괴되게 되는 실정이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제방 안쪽에 소정의 넓이를 갖는 공간을 확보하여 이에 하천수가 정숙·완만히 드나들 수 있고 제방토사 및 하천바닥과의 교류가 가능한 수변식생(水邊植生)지역을 형성하여 수변(水邊)생태계를 복원하고 보호·유지할 수 있는 생태수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 요소로서는, 옹벽기능을 하면서 제방 내의 지하수를 하천으로 자연스럽게 유입시킬 수 있는 통수공을 가진 옹벽체와; 하천수 본류와의 경계벽 역할을 하되 하천수 출입용 개구부를 통해 하천수가 드나들 수 있는 수로벽체와에 의해 소정폭의 수변수로(생태수로)를 구성한 골격적인 기본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상기 옹벽체와 수로벽체가 상호 연결되는콘크리트 타설구간(저판 콘크리트부)중의 수 곳을 하천바닥까지 연통시켜 상·하간의 생태계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연통부의 구성과, 수변수로(생태수로) 내에 적정크기의 자연석(채움석)을 수장하여 어류의 생식처를 제공할 수 있는 구성요소와로 복합적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옹벽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옹벽체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로벽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로벽체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옹벽체 11 : 통수공 12 : 연결철근
2 : 수로벽체 21 : 개구부 22 : 연결철근
3 : 저판 콘크리트부 31 : 연통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시도 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옹벽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로벽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시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대략, 제방(6)에 옹벽체(1)가 구성되고 하천쪽에는 수로벽체(2)가 구성되어 이들 사이에 일정폭의 생태수로를 조성할 수 있는 기본 구조를 취한다.
옹벽체(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종방향의 통수공(11)을 가지고 있으며 제방토사에 의한 토압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적 안정성을 갖추고 있는 바, 옹벽기능을 하면서 제방내의 지하수를 하천으로 자연스럽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설계 구성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수로벽체(2)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수위까지 하천수가 완만한 속도로 수로 내측을 향해 유입될 수 있는 일정 규격의 개구부(21)가 상부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하향 구성되어 있는 바, 조용하고 완만한 물의 흐름을 유지하여 수변식물의 성장을 돕도록 설계 구성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의 옹벽체(1) 및 수로벽체(2)는 공장에서 일정 규격으로 단위 생산되어 현장으로 운반, 설치하게 되는데 그 바닥판(저판) 즉, 하부에 각각 연결철근(12),(22)이 상호 대향되게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바,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고 소량의 콘크리트를 타설 함으로써 저판 콘크리트부(3)에 의한 연결 설치가 완료되게 되며, 저판 콘크리트부(3)의 일정 개소를 미 타설구간으로 설정하여 상·하간의 생태계 순환을 돕도록 연통부(31)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통부(31)는 기초 콘크리트부(4)를 통과하여 하천 바닥에까지 연통됨은 물론이다.
또한, 수로 내부에는 약 200 ㎜ 내외 크기의 자연석(호박돌)인 채움석(5)을 채워(쌓음) 어류의 은신 및 서식·산란처가 될 수 있는 공간 확보와 더불어 부착성 미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로 내부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상(하천바닥)토사가 유입되어 식생(植生)지역이 형성되고 자연스럽게 수변식물대가 형성되게 된다.
한편, 단기간에 식생코자 할 경우에는 갈대,갯버들 등의 수변식물을 식재 함으로써 울창한 수변림대를 조성하여 수질 정화는 물론, 수서곤충·어류·조류가 공생하는 수변(水邊)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생태수로에 의하면, 옹벽체(1)와 수로벽체(2)를 공장생산 즉, 일정 규격화로 단위생산 함으로써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운반이 용이하며 시공성이 뛰어나므로 재래식 공법보다 훨씬 경제적인생태 복원 요소로서의 이점이 있다.
또한, 수로벽체를 통해 유입되어 흐르는 수로내부의 물은 조용하고 완만하게 흘러 수변식물의 활착을 돕고 어류·조류·곤충류에게 좋은 서식처를 제공한다.
또한, 옹벽체의 통수공과 저판 콘크리트부의 연통부를 통해 지하수와 하천수의 융화를 촉진하고 토양미생물에 의한 초자연적인 수질정화 기능이 기대된다.
또한, 자연석(호박돌)을 수로내부에 채움으로써 흐르는 물의 속도를 낮춰 완만한 흐름이 되도록 하고, 채움석 바닥에는 부착미생물에 의한 역간접촉 정화기능으로 수질을 정화시키고, 채움석 공간에도 물고기들의 좋은 서식·산란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수로바닥에는 토사적층이 형성되어 수변식생(水邊植生)지역이 형성되므로 다양한 식물·생물이 서식하게 된다.
또한, 조용하고 완만한 수로내부의 물의 흐름은 수초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왕성하게 성장하는 수초(갈대·갯버들)에 의한 높은 수질정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1)

  1. 제방(6)내의 지하수를 하천으로 자연스럽게 유입시키는 통수공(11)을 가진 옹벽체(1)와;
    상기 옹벽체(1)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하천수가 유입되는 개구부(21)를 갖는 수로벽체(2)와;
    상기 옹벽체(1)의 하부와 수로벽체(2)의 하부를 콘크리트로 일체로 연결시키는 저판 콘크리트부(3)와;
    상기 옹벽체(1)와 수로벽체(2)와의 사이의 공간에 적정 크기로 채워지는 채움석(5)으로 구성되는 하천의 생태수로에 있어서,
    상기 저판 콘크리트부(3)에는 각각 상호 대향되게 일정간격으로 연결철근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저판 콘크리트부(3)의 일정 개소를 미타설 콘크리트구간으로 설정됨과 동시에 저판 콘크리트부(3)의 하부의 기초콘크리트부(4)를 통과하여 하천바닥까지 연통시켜 상·하간의 생태계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연통부(3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생태수로.
KR10-2001-0016654A 2001-03-29 2001-03-29 하천의 생태수로 KR100458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654A KR100458719B1 (ko) 2001-03-29 2001-03-29 하천의 생태수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654A KR100458719B1 (ko) 2001-03-29 2001-03-29 하천의 생태수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650A KR20020076650A (ko) 2002-10-11
KR100458719B1 true KR100458719B1 (ko) 2004-12-03

Family

ID=27699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654A KR100458719B1 (ko) 2001-03-29 2001-03-29 하천의 생태수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7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2423B2 (en) * 2001-12-26 2005-09-13 Robert E. Davis Migratory fish channel associated with one or more dams in a river
CN109356091B (zh) * 2018-11-21 2024-01-19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山溪河流堤防工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90821A (en) * 1987-09-30 1989-04-07 Aisin Seiki Differential mechanism of four-wheel-drive vehicle
JPH02120519A (ja) * 1988-10-31 1990-05-08 Fujitsu Ltd 自動車の推進力制御方法
JPH02200910A (ja) * 1989-01-28 1990-08-09 Chugoku Concrete Kogyo Kk 魚巣付l形水路ブロック
KR200163472Y1 (ko) * 1999-07-23 2000-02-15 주식회사한림에코텍 자연형호안블럭
KR200219578Y1 (ko) * 2000-11-22 2001-04-02 김달환 하천의 어소, 유충 및 기초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90821A (en) * 1987-09-30 1989-04-07 Aisin Seiki Differential mechanism of four-wheel-drive vehicle
JPH02120519A (ja) * 1988-10-31 1990-05-08 Fujitsu Ltd 自動車の推進力制御方法
JPH02200910A (ja) * 1989-01-28 1990-08-09 Chugoku Concrete Kogyo Kk 魚巣付l形水路ブロック
KR200163472Y1 (ko) * 1999-07-23 2000-02-15 주식회사한림에코텍 자연형호안블럭
KR200219578Y1 (ko) * 2000-11-22 2001-04-02 김달환 하천의 어소, 유충 및 기초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650A (ko) 200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240B1 (ko) 친환경 저류형 농수로
CN207003363U (zh) 挡墙结构和河道护岸系统
CN101387107A (zh) 带桩式防浪结构的生态护岸
KR100458719B1 (ko) 하천의 생태수로
JP2001224243A (ja) 人工緑化方法および人工緑地
KR20050019569A (ko) 돌망태 옹벽을 이용한 생태하천의 인공어초 구조물
KR20000007004A (ko) 중소하천의 어족(魚族)보호와 양서류(兩棲類)의이동통로를 가진 낙차공과 호안의 시공방법.
KR100677666B1 (ko) 내부에 수중생명체 서식공간이 구비된 하천 바닥블록
CN109371909B (zh) 一种人工生态岸堤的构筑方法
KR100671791B1 (ko)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JP3948639B2 (ja) 蛍育成用水路ブロックを使用した蛍育成水路構造
KR200268853Y1 (ko) 하천의 저수로 호안 식생대
KR100723256B1 (ko) 하천하상 생태복원 식생대 설치구조
KR20090012420A (ko) 어소블록
KR100523397B1 (ko) 식생대가 구축되는 도로부근 하천바닥의 세굴방지구조
KR100475103B1 (ko) 하천의 저수로 호안 식생대 및 그 시공방법
KR200163470Y1 (ko) 자연형호안블럭
KR101376276B1 (ko) 하천의 생태수로 구조
KR200298530Y1 (ko) 어초블록
KR200219577Y1 (ko) 하천의 어소(魚巢) 및 식생블록
KR20100015300A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물고기 서식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생태하천 수로를 이용하여 자연형 하천을 조성하는 자연친화적인 공법
KR200410822Y1 (ko)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
CN218436874U (zh) 一种生态驳岸框架
CN210031684U (zh) 一种净水石笼护岸结构
JPH11229342A (ja) 生態系に配慮した鋼矢板護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