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822Y1 -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822Y1
KR200410822Y1 KR2020050037199U KR20050037199U KR200410822Y1 KR 200410822 Y1 KR200410822 Y1 KR 200410822Y1 KR 2020050037199 U KR2020050037199 U KR 2020050037199U KR 20050037199 U KR20050037199 U KR 20050037199U KR 200410822 Y1 KR200410822 Y1 KR 2004108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ological
anchor
ecological block
riv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7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50037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8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8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8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하천 바닥의 세굴을 방지함과 아울러 생태환경을 조성할 목적으로 하천 호안을 따라 근접시공되는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는, 속이빈 중공관 형태로 양단이 개구되며 외면에는 외부에서 내부를 관통토록 수개의 앵커홀이 천공된 다수의 생태블록과, 하나의 생태블록과 이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생태블록의 앵커홀이 연통되도록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앵커홀을 동시에 관통하는 긴 타원형의 결속앵커와, 앵커홀을 관통한 상기 결속앵커 양 선단부를 생태블록 내부에 고정시키는 체결고리와, 하천 호안과 상기 생태블록을 연결하기 위해 하천 호안에 그 일부가 매설되며 타단은 호안과 맞닿은 생태블록의 앵커홀을 관통토록 외부로 돌출된 앵커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앵커, 체결고리, 앵커고리를 통해 다수의 생태블록들이 유기적인 결속관계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생태블록의 내부에는 속채움재를 채워 생태블록이 중량구조물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하천 호안, 둔치, 생태블록

Description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Eco block executive construc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시공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10: 생태블록
12: 앵커홀
20: 결속앵커
30: 체결고리
40: 앵커고리
본 고안은 하천 바닥의 세굴을 방지함과 아울러 생태환경을 조성할 목적으로 하천 호안을 따라 근접시공되는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 생태블록들을 서로 이웃하도록 하천 호안시설물을 따라 근접배치하고 이들을 다양한 종류의 결속앵커와 체결고리로서 견고히 결속시킴으로써 대홍수나 유속이 심한 지역에서도 생태블록이 파손되어 이탈되거나 밀리는 것이 방지되어 세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그 시공시 별도의 물막이 선시공 없이도 현장 즉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이 매우 용이한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천의 녹지와 생태계의 환원을 위해 하천 가장자리를 따라 둔치를 조성하고 있다. 둔치는 물가의 언덕진 곳을 뜻하는 말로서 최근에는 홍수시 하천 범람으로 인한 하천 주변의 제방 붕괴나 유실을 방지하며 아울러 유수에 의한 하천바닥의 세굴 발생을 예방하여 하천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되고 있다. 최근에는 공원 조성을 위한 용도와 생태계 보존을 위한 생태환경 조성용도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둔치는 통상적으로 하천 제방보호를 위한 호안 시설물을 따라 근접 시공되는데, 하천바닥의 세굴방지라는 측면을 우선시하여 콘크리트나, 콘크리트 블록에 의한 시공이 주를 이루고 있다.
상기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둔치를 시공하는 경우에, 시공 후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출로 인하여 주변의 자연경관을 헤치며 무엇보다도 하천의 수위에 따라 수중에 매몰됐을 때 수중 동식물들의 산란처나 서식처를 전혀 제공하지 못하는 관계로 생태계를 파괴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더욱이 콘크리트를 이용한 둔치의 조성은 대부분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여 시공하고 있는 실정이여서, 시공시 하천 유수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물길을 차단한 상태에서 시공이 이루어져야만 했다. 때문에, 물길을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가시설 예컨대, 물막이보가 요구되어야만 했으며, 별도의 가시설 설치 및 해체하는데 따른 인력 및 추가 공사비용이 지출되며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환경친화적이며 동시에 수중 동식물에게 서식, 산란처를 제공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조형미를 갖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둔치의 시공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종래 일반적인 콘크리트형 생태블록은 단일 블록체들을 단순히 조적식으로 시공하는 구조로서 블록간 유기적인 결속력이 약해 대홍수시 하천의 유량과 유속의 영향을 받아 쉽게 파손되거나 유실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되는 수개의 앵커홀을 구비하며 속이빈 중공관 형태의 다수 생태블록들을 서로 이웃하도록 하천 호안시설물을 따라 근접배치하고 이들을 다양한 종류의 결속앵커와 체결고리로서 견고히 결속시킴으로써 대홍수나 유속이 심한 지역에서도 생태블록이 파손되어 이탈되거나 밀리는 것이 방지되어 세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그 시공시 별도의 물막이 선시공 없이도 현장 즉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이 매우 용이한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천 바닥의 세굴을 방지함 과 아울러 생태환경을 조성할 목적으로 하천 호안을 따라 근접시공되는 하천둔치에 있어서, 속이빈 중공관 형태로 양단이 개구되며 외면에는 외부에서 내부를 관통토록 수개의 앵커홀이 천공된 다수의 생태블록과, 하나의 생태블록과 이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생태블록의 앵커홀이 연통되도록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앵커홀을 동시에 관통하는 긴 타원형의 결속앵커와, 앵커홀을 관통한 상기 결속앵커 양 선단부를 생태블록 내부에 고정시키는 체결고리와, 하천 호안과 상기 생태블록을 연결하기 위해 하천 호안에 그 일부가 매설되며 타단은 호안과 맞닿은 생태블록의 앵커홀을 관통토록 외부로 돌출된 앵커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앵커, 체결고리, 앵커고리를 통해 다수의 생태블록들이 유기적인 결속관계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생태블록의 내부에는 속채움재를 채워 생태블록이 중량구조물을 이룰 수 있는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속채움재로는 상기 속채움재()는 잡석과 토사를 혼합하여서 된 혼합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는, 하천 호안을 따라 근접배치되는 다수의 생태블록(10)과, 이러한 생태블록(10)들을 서로 연결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생태블록(10)은 속이빈 원통형의 중공관 형태로 양단이 개구되며 외면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수개의 앵커홀(12)이 천공된 구조를 이룬다. 이때, 상기 앵커홀(12)은 생태블록의 시공위치에 따라 그 형성 위치 및 갯수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서와 같이 하천 호안과 인접하는 생태블록(10a)의 경우에는 4개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하좌우로 또 다른 생태블록이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5내지 6개의 앵커홀이 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생태블록(10)은 단일구조물로서 현장타설이 아닌 기성폼으로 제작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대량 양산이 가능하며 거푸집과 같은 별도의 가시설 없이도 현장직접시공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현장 시공시 물길을 막기위한 가시설 예컨대, 물막이 보가 필요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다수의 생태블록(10)들은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결속부재를 매개로 이웃하는 생태블록(10)들끼리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적용된 결속부재는 결속앵커(20) 및 체결고리(30) 그리고 앵커고리(40)로 구성된다.
상기 결속앵커(20)는 하나의 생태블록(10)과 이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생태블록(10)의 앵커홀(12)이 연통되도록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앵커홀(12)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두 개의 생태블록(10)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게 길이방향으로 긴 타원형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체결고리(30)는 상기와 같이 앵커홀(12)을 관통한 결속앵커(20) 양 선단부를 생태블록(10) 내부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부가 절결된 C형 체결고리가 적용된다.
또한, 상기 앵커고리(40)는 하천 호안과 상기 생태블록(1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천 호안에 그 일부가 매설되며 타단은 호안과 맞닿은 생태블록(10)의 상기 앵커홀(12)을 관통토록 절곡된 중앙부가 길게 돌출된 형상을 지닌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결속부재들을 통해 이웃하는 생태블록(10)간 결속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생태블록(10) 내부로는 이러한 생태블록(10)이 중량의 구조물을 이룰 수 있게 속채움재(50)가 채워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태블록(10) 내부에 채워지는 속채움재(50)로서 본 고안에서는 일반 자갈을 포함한 잡석과 토사를 혼합한 혼합석이 적용된다. 이는 생태블록(10)에 속채움재(50)를 채움시공한 후 그곳에 수초를 식생시켜 생태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수중 동식물의 산란 및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도 2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하천 호안을 따라 호안주변에 시공되어 하천의 세굴을 방지하며 아울러 동식물의 생태환경을 제공한다.
시공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천 호안 주변에 이 호안을 따라 다수의 생태블록(10)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한다. 이때, 각 생태블록(10)들에 형성된 앵커홀(12)이 서로 연통되게 생태블록(10)들을 인접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상태 즉, 하나의 생태블록(10)과 이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생태블록(10)의 앵 커홀(12)이 서로 연통되게 인접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되는 앵커홀(12)들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결속앵커(20)를 끼운다.
그 후, 각각의 생태블록(10) 내부에서 생태블록 내부로 돌출된 상기 결속앵커(20) 끝단에 체결고리(30)를 끼워 결속앵커(20)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면 서로 이웃하는 생태블록(10)들을 간단히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호안(1)과 인접한 생태블럭(10a)의 경우 역시 호안에 그 일부가 매설된 앵커고리(20)가 생태블럭(10a)의 앵커홀(12)을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하도록 생태블럭(10a)을 배치한 후 생태블럭(10a) 내부로 돌출된 앵커고리(20) 선단에 체결고리(30)를 끼우면 호안(1)과 생태블럭(10a)을 간단하게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은 결속과정을 통해 다수의 생태블록(10)들이 서로 유기적인 결속관계가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생태블록(10)이 중량의 구조물을 이룰 수 있게 상기 생태블록(10)의 내부에는 속채움재(50)를 채운 후 수초를 식재하여 본 고안에 적용된 하천 둔치의 시공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시공되는 본 고안에 따르면, 하천 둔치를 조성하기 위해 이를 시공함에 있어서 기성폼형태로 제작되어진 단위 블록형태의 생태블록(10)들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시공함에 따라 기존 콘크리트타설에 비해 시공면적이 줄어들고 시공이 간편하며, 시공시 물길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현장 즉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특정구간에 하자가 발생될 경우 그 구간에 있는 호안기초블록만을 따로 분리시켜 보수공사를 시행할 수 있어 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더욱이, 생태블록(10)은 하천 둔치의 기능 뿐 아니라 수중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생태계 보존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에 의하면, 다수 생태블록들을 서로 이웃하도록 하천 호안시설물을 따라 근접배치하고 이들을 결속앵커와 체결고리로서 견고히 결속시킴으로써, 대홍수나 유속이 심한 지역에서도 생태블록이 파손되어 이탈되거나 밀리는 것이 방지되어 세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그 시공시 별도의 물막이 선시공 없이도 현장 즉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이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생태블록 내부에 제공되는 공간에는 토사와 잡석을 채우면서 동시 수초를 식재하여 식물을 식생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시공 후 환경친화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생태계 보존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2)

  1. 하천 바닥의 세굴을 방지함과 아울러 생태환경를 조성할 목적으로 하천 호안을 따라 근접시공되는 하천 둔치에 있어서,
    속이빈 중공관 형태로 양단이 개구되며 외면에는 외부에서 내부를 관통토록 수개의 앵커홀(12)이 천공된 다수의 생태블록(10)과;
    하나의 생태블록(10)과 이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생태블록(10)의 앵커홀(12)이 연통되도록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앵커홀(12)을 동시에 관통하는 긴 타원형의 결속앵커(20)와;
    앵커홀(12)을 관통한 상기 결속앵커(20) 양 선단부를 생태블록(10) 내부에서 고정시키는 체결고리(30)와;
    하천 호안(1)과 상기 생태블록(10)을 연결하기 위해 하천 호안(1)에 그 일부가 매설되며 타단은 호안과 맞닿은 생태블록(10)의 앵커홀(12)을 관통토록 외부로 돌출된 앵커고리(40);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앵커(20), 체결고리(30), 앵커고리(40)를 통해 다수의 생태블록(10)들이 유기적인 결속관계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생태블록(10)의 내부에는 속채움재(50)를 채워 생태블록(10)이 중량구조물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채움재(50)는 잡석과 토사를 혼합하여서 된 혼합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
KR2020050037199U 2005-12-30 2005-12-30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 KR2004108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199U KR200410822Y1 (ko) 2005-12-30 2005-12-30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199U KR200410822Y1 (ko) 2005-12-30 2005-12-30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822Y1 true KR200410822Y1 (ko) 2006-03-08

Family

ID=41761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7199U KR200410822Y1 (ko) 2005-12-30 2005-12-30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8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482B1 (ko) 2006-04-11 2007-04-03 주식회사 동호 하천 제방 법면 보강 시 유공관을 이용한 호안의 식생 축조공법과 이에 적합한 유공관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482B1 (ko) 2006-04-11 2007-04-03 주식회사 동호 하천 제방 법면 보강 시 유공관을 이용한 호안의 식생 축조공법과 이에 적합한 유공관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0822Y1 (ko)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
KR100515136B1 (ko)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KR100664993B1 (ko) 호안블럭
KR20010035227A (ko) 하천의 어족자원과 양서류를 보호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하상보호 및 호안의 시공방법
KR100671791B1 (ko)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KR101162842B1 (ko) 하천둑 및 그 축조방법
KR100449585B1 (ko) 식생호안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
KR100641287B1 (ko) 사방 또는 호안 공사용 조립식 프레임 축조 구조체
KR200300440Y1 (ko) 친환경 구축력 옹벽블록
KR101097055B1 (ko) 주철 판넬로 축조된 사방댐과 골막이 및 그 축조방법
KR100689662B1 (ko) 하천의 녹지화용 호안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375232B1 (ko) 하천제방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제방구조
KR101839576B1 (ko) 지오그리드가 적용된 호안 제방
JP2008025119A (ja) 水際用ブロック
KR200327410Y1 (ko) 호안블록의 체결장치
JP3357641B2 (ja) 護岸ブロック
KR100305773B1 (ko) 토목용부직포흙벽돌및그것을이용한시공방법
KR100449586B1 (ko) 능형망을 이용한 호안 공법
KR20130034340A (ko) 투수성 호안블록
KR20090000362U (ko) 원형호안블럭
KR100458719B1 (ko) 하천의 생태수로
KR200240459Y1 (ko) 호안 블럭
KR200395309Y1 (ko) 식생 호안블록
KR20090000363U (ko) 어소 블럭
KR200300447Y1 (ko) 식생 호안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