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158Y1 -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 Google Patents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158Y1
KR200408158Y1 KR2020050032944U KR20050032944U KR200408158Y1 KR 200408158 Y1 KR200408158 Y1 KR 200408158Y1 KR 2020050032944 U KR2020050032944 U KR 2020050032944U KR 20050032944 U KR20050032944 U KR 20050032944U KR 200408158 Y1 KR200408158 Y1 KR 200408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late
river
block
loss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영
Original Assignee
(주)화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화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50032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1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1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개시된 하천제방의 유실방지 블록은 수평베이스판과 그 중심에 형성되고, 호안측으로 상단에 체결홈을 수직으로 형성한 수직벽으로 구성된 기초옹벽과; 상기 수직벽에 형성된 체결홈들을 커버하게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체결볼트로 체결되는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기초옹벽의 체결홈에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밴드부, 이후 체결공이 뚫린 체결부와 체결부에서 일정 각도로 꺽인 꺽임부가 교대로 반복 형성되어 2개를 한조로 한 굴절플레이트와, 상기 굴절프레이트의 타단에 일정 길이의 연결플레이트로 호안에 매설되는 고정콘크리트와, 상기 굴절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호안에 일부 매설되고 골재, 토사를 채워져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공간부와 배수공이 다수 형성된 육각생태블록으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와 같은 하천제방의 유실방지 블록은 친환경적인 요소를 가지도록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육각생태블록을 도입하여 하천주변에 식물의 풍부하게 자랄 수 있게 하천 주변의 자연 생태계를 살릴 수 있도록 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육각생태블록, 골재, 토사 제방블록, 식물

Description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The loss prevention block of a river bank}
도 1은 종래의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블록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블록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블록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유실방지블록 20 : 기초옹벽
21 : 수평베이스판 22 : 체결홈
23 : 수직벽 24 : 장착공
30 : 체결플레이트 31 ; 체결볼트
32 : 고정공 40 : 굴절플레이트
41 : 고정밴드부 42 : 체결공
43 : 체결부 44 : 꺽임부
50 : 고정콘크리트 51 : 연결플레이트
60 : 육각생태블록 61 : 식재공간부
62 : 배수공
본 고안은 하천 제방의 유실 방지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친환경적인 요소를 가지도록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육각 생태블록을 도입하여 하천주변에 식물들이 풍부하게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하천 주변의 자연 생태계를 살릴 수 있도록 하고 시공이 용이한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는, 양측에 콘크리트로 제작하여 시공되는 호안 시설물이 설치되는데, 상기 호안 시설물은 대부분 콘크리트 옹벽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상술한 콘크리트 옹벽(2)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2)에 단순히 제방블록(4)을 호안(6)에 쌓아 형성되고 있어 수변식물들이 자랄 수 없도록 하고 있어 하천의 자연생태계를 파괴하는 한 원인이 된다.
그리고, 하천 주변이 제방블록(4)으로 덮혀 있어 빗물이나 소하천의 물이 흡수되지 못하고 큰하천으로 바로 흘러들게 되어 물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하천에 물고기나 생명체의 서식처를 제공하지 하는 문제도 있어 자연생태계를 해치는 것은 물론 갈수기시 하천의 수량이 부족하여 수중식물이나 생명체의 서식환경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하천의 바닦이 그대로 노출되고 있어 서식하는 물고기들의 산란처가 제공되지 않아 환경을 파괴하는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을 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친환경적인 요소를 가지도록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육각 생태블록을 도입하여 하천주변에 식물들이 풍부하게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하천 주변의 자연 생태계를 살릴 수 있도록 하고 시공이 용이한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블록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평베이스판과 그 중심에 형성되고, 호안측으로 상단에 체결홈을 수직으로 형성한 수직벽으로 구성된 기초옹벽과; 상기 수직벽에 형성된 체결홈들을 커버하게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체결볼트로 체결되는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기초옹벽의 체결홈에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밴드부, 이후 체결공이 뚫린 체결부와 체결부에서 일정 각도로 꺽인 꺽임부가 교대로 반복 형성되어 2개를 한조로 한 굴절플레이트와: 상기 굴절프레이트의 타단에 일정 길이의 연결플레이트로 호안에 매설되는 고정콘크리트와: 상기 굴절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호안에 일부 매설되고 골재, 토사를 채워져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공간부와 배수공이 다수 형성된 육각생태블록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블록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블록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블록(10)은 크게 기초옹벽(20), 체결플레이트(30), 굴절플레이트(40), 고정콘크리트(50), 육각생태블록(60)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초옹벽(20)은 수평베이스판(21)과 그 중심에 형성되고, 호안측으로 상단에 체결홈(22)을 수직으로 형성한 수직벽(2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직벽(23)에는 최상단면에 체결플레이트(30)를 장착하게 장착공(24)이 뚫려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22)은 수직형태로 형성되어 굴절플레이트(4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기초옹벽(2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플레이트(30)는 수직벽(23)에 형성된 체결홈(22)들을 커버하게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체결볼트(31)로 체결된다. 체결플레이트(30)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수직벽(23)의 장착공(24)에 고정되게 장착공(24)과 같은 간격으로 고정공(32)이 뚫려 형성된다.
상기 굴절플레이트(40)는 기초옹벽(20)의 수직벽(23)에서 호안측에 형성된 체결홈(22)에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밴드부(41), 이후 체결공(42)이 뚫린 체결부(43)와 체결부(43)에서 일정 각도로 꺽인 꺽임부(44)가 교대로 반복 형성되며, 2개를 한조로 하여 구성된다.
굴절플레이트(40)는 2개를 대칭되게 배치하여 6각 형태가 형성되도록 하며, 체결부(43)들의 체결공(42)을 통해 체결볼트(31)로 체결된다.
상기한 굴절프레이트(40)는 조립이 완성되면 식재공간부(61)를 형성하게 되고, 육각생태블록(60)을 잡아주게 되어 견고한 시공이 되도록 한다.
상기한 고정콘크리트(50)는 굴절프레이트(40)의 타단에 일정 길이의 연결플레이트(51)로 호안에 매설된다. 고정콘크리트(50)는 블록으로 연결플레이트(51)가 연결 설치되어 굴절플레이트(40)의 설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한 육각생태블럭(60)은 굴절플레이트(40)에 의해 형성된 호안에 일부 매설되고 골재, 토사가 채워져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공간부(61)와 배수공(62)이 다수 형성된다. 육각생태블록(60)은 식재공간부(61) 깊이를 어느 정도 형성하는 가에 따 라 크기나 매설되는 정도가 결정된다.
상기 배수공(62)은 6면에 거쳐 뚫려 형성되고 있어 배수성을 높혀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썩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설치예를 설명하면, 하천의 양측의 수변지역에 설치되는 기초옹벽(20)의 수직벽(23)에 형성된 체결홈(22)에 굴절플레이트(40)의 고정밴드부(41)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굴절플레이트(40)들을 설치할 때 대칭으로 형성하여 육각공간부(43)를 형성하게 배치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나서 굴절플레이트(40)는 체결부(43)에 형성된 체결공(42)을 통해 체결볼트(31)들을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한 식재공간부(61)들을 통해 육각생태블록(60)들을 시공하면서 식재공간부(61)에 골재(61-1)와 토사(61-2)를 채우고 식물을 식재하면 된다.
이렇게 육각생태블록(60)의 설치와 더블어 굴절플레이트(40)의 타단에는 연결플레이트(51)에 의하여 연결 설치된 고정콘크리트(50)들을 호안측에 매설하여 굴절플레이트(51)의 견고한 설치와 육각생태블록(60)의 정밀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육각생태블록(60)에 식재된 식물들에 의하여 하천주변의 생태계가 형성되고, 제방블록들로 삭막하게 형성되던 하천에 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므로서 하천생태계 복원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식물 식재가 가능한 육각생태블록을 시공하므로 서 하천 주변의 자연 생태계 복원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방블록에 의해 하천이 콘크리트블록으로 덮여 삭막하던 환경을 식물들을 식재할 수 있게 조성하므로서 친환경적인 시공을 도모하게 된다.
하천의 조경을 조성할 수 있는 등 간단한 조립구조로 설치하므로 시공이 용이하여 친환경적 요소를 가지는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하천 호안 시설물로서 굴절플레이트에 의하여 밀림이 방지되는 시공법으로 정밀시공을 가능하게 한 시설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

  1. 수평베이스판(21)과 그 중심에 형성되고, 호안측으로 상단에 체결홈(22)을 수직으로 형성한 수직벽(23)으로 구성된 기초옹벽(10)과;
    상기 수직벽(23)에 형성된 체결홈(22)들을 커버하게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체결볼트(31)로 체결되는 체결플레이트(30)와;
    상기 기초옹벽(10)의 체결홈(22)에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밴드부(41), 이후 체결공(42)이 뚫린 체결부(43)와 체결부(43)에서 일정 각도로 꺽인 꺽임부(44)가 교대로 반복 형성되어 2개를 한조로 한 굴절플레이트(44)와:
    상기 굴절프레이트(44) 타단에 일정 길이의 연결플레이트(51)로 호안에 매설되는 고정콘크리트(50)와:
    상기 굴절플레이트(40)에 의해 형성된 호안에 일부 매설되고 골재(61-1), 토사(61-2)를 채워져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공간부(61)와 배수공(62)이 다수 형성된 육각생태블록(60)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KR2020050032944U 2005-11-22 2005-11-22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KR2004081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944U KR200408158Y1 (ko) 2005-11-22 2005-11-22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944U KR200408158Y1 (ko) 2005-11-22 2005-11-22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030A Division KR100604674B1 (ko) 2005-10-31 2005-10-31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158Y1 true KR200408158Y1 (ko) 2006-02-07

Family

ID=4448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944U KR200408158Y1 (ko) 2005-11-22 2005-11-22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1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05873A (zh) * 2022-09-14 2022-11-08 山东黄河水利工程质量检测中心 一种黄河生态修复护坡结构及使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05873A (zh) * 2022-09-14 2022-11-08 山东黄河水利工程质量检测中心 一种黄河生态修复护坡结构及使用方法
CN115305873B (zh) * 2022-09-14 2023-12-29 山东黄河水利工程质量检测中心 一种黄河生态修复护坡结构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162B1 (ko) 환경보호 생태복원 식생블록 설치구조
CN101387107A (zh) 带桩式防浪结构的生态护岸
KR200408158Y1 (ko)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KR100604674B1 (ko)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KR20100065450A (ko) 환경친화형 호안블록을 이용한 법면 시공방법
KR100349863B1 (ko) 호안용 블록 및 그를 이용한 자연형 호안시공법
KR100467288B1 (ko) 하천제방 시공구조
KR200259236Y1 (ko) 생태 하천 제방의 제방틀 구조
KR100547001B1 (ko) 친환경적인 생태형 호안 블록 구조
KR200415620Y1 (ko) 하천 게비온 호안의 식생블럭
KR200350402Y1 (ko) 하천생태계 보호를 위한 육각형 생태블록 설치구조
KR100815290B1 (ko) 물고기집이 설치된 옹벽블럭조립체
KR100445216B1 (ko) 식생 호안블록
KR200406758Y1 (ko) 변화형 친환경 블록
KR200219575Y1 (ko) 축조용 조립식 격자블록의 구조
KR101375232B1 (ko) 하천제방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제방구조
KR200356133Y1 (ko) 제방용 호안블록
KR200262760Y1 (ko) 물고기 보호를 위한 호안기초 사각박스 구조
KR200344543Y1 (ko) 호안 기초콘크리트 블록
KR100607668B1 (ko) 친환경구조를 갖는 일체형 하천의 호안블록
KR200378182Y1 (ko) 하천 제방에 설치되는 말뚝기초 옹벽 구조
KR200338820Y1 (ko) 하천 제방의 유실 방지공 설치구조
KR100452152B1 (ko) 하천생태계 보호를 위한 육각형 생태블록 설치구조
KR200364364Y1 (ko) 자연형 호안블록 설치구조
KR100467287B1 (ko) 자연형 호안블록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